KR102112403B1 -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 Google Patents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2403B1
KR102112403B1 KR1020180080445A KR20180080445A KR102112403B1 KR 102112403 B1 KR102112403 B1 KR 102112403B1 KR 1020180080445 A KR1020180080445 A KR 1020180080445A KR 20180080445 A KR20180080445 A KR 20180080445A KR 102112403 B1 KR102112403 B1 KR 102112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headrest
link
angle
sof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6724A (ko
Inventor
전병문
Original Assignee
전병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병문 filed Critical 전병문
Priority to KR1020180080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2403B1/ko
Publication of KR20200006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6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2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 A47C1/037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including a head-rest in combination with a leg-rest or foot-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3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3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 A47C1/0320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3211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coupled concurrently 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movably-coupled seat and back-res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12Theatre, auditorium, or similar chai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체의 구동모터가 작동되어 등받이링크가 세워지거나 눕혀지고 다리받침링크가 접어지고 펼쳐지는 동작을 진행할 때 상기 등받이링크와 연결되는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가 연동되어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해 눕혀지거나 세워지면서 헤드레스트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별도의 구동모터가 구비되지 않아도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시에 소음이 헤드레스트로부터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소파에 앉은 사용자의 귀에 직접적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파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는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가 개시된다.

Description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sofa with tilting type headrest}
본 발명은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소파의 등받이와 다리받침이 유동되도록 하는 전동력에 의해 소파의 헤드레스트가 연동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구성의 단순화에 의한 생산단가를 최소화하고 소파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는 극장은 일반관람석과 VIP관람석으로 구분되고 있으며, 대개 일반관람석은 VIP관람석에 비해 관람비용이 저렴하기 때문에 많은 관람객을 수용하기 위해 의자가 계단식으로 된 관람석의 바닥에 다리가 고정되어 설치되는 것이 대부분으로, 이러한 의자는 다리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 시트를 펼친 다음 시트에 앉아서 영화를 관람하도록 하고 있으며, 관람석의 각 계단층 옆으로 연속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각각의 개별 의자시트와 등받이는 중간에 놓인 다리에 의해 구획되고 다리의 상단에는 의자의 팔걸이가 설치되어 영화 관람 중에 관람자가 팔걸이 위에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한편, VIP관람석은 일반관람석에 비해 수용되는 관람객이 적은 반면, 관람비용이 비싸기 때문에 관람객이 편안한 상태로 앉아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소파가 설치된다.
이러한 VIP관람석에 설치되는 소파는, 관람객이 앉는 안착부와 관람객의 등이 받쳐지는 등받이는 물론 관람자의 머리가 받쳐지는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관람객의 팔이 걸어지는 팔걸이가 쿠션을 갖도록 구비되어 있다.
더욱이, 근자들어서는 관람자가 더욱 편안한 상태로 영화를 관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등받이가 뒤로 젖혀지고 다리받침이 올라가서 관람자로 하여금 다리를 다리받침에 올려놓고 뻗은 상태에서 편안하게 영화를 관람하도록 하는 리클라이너 소파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리클라이너 소파의 종래 기술의 일예로, 공개특허 10-2018-0015951호인 머리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리클라이너 소파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버튼을 누르면 리클라이너장치의 작동에 의해 엉덩받이를 기준으로 등받이가 뒤로 넘어가고 다리받이가 올라가면서 사용자가 누운 상태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작동되는 리클라이너 소파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의 상부에 머리받이가 별도로 움직이게 설치되되 상기 머리받이와 등받이는 각도조절구를 통해 연결되어 등받이와 수평으로 놓인 머리받이를 사용자가 전방을 향하도록 잡아당기면 머리받이가 각도조절구를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다단으로 꺾이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각도조절구의 걸림 구조에 의해 꺾인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머리받이와 등받이는 후면이 탄성밴드로 연결되어, 머리받이를 최대한 전방으로 꺾었다 놓으면 각도조절구의 걸림 구조가 해제됨과 동시에 탄성밴드의 복원력에 의해 머리받이가 후방으로 이동해 다시 등받이와 수평으로 놓이게 작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등받이가 머리받이가 수평으로 놓인 상태에서 머리받이를 사용자가 잡아당기는 것에 의해 머리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으로 머리받이의 각도조절에 의해 사용자가 편안한 상태로 머리를 받칠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사용자가 머리받이를 직접 잡아당겨 머리받이의 각도를 조절하여야 하고 또한 각도가 조절된 머리받이를 원래의 수평상태로 위치시키려면 사용자가 직접 머리받이를 전방으로 완전히 꺾은 상태에서 머리받이를 순간적으로 놓아주어야 하기 때문에 머리받이의 각도조절에 따른 편의성 및 효울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예로, 등록특허 10-1716976호인 전동식 헤드레스트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커버 형상으로써 결합부가 형성되고 스테이로드의 전방에 위치하며 후크형상의 스윙부재에 의해 스테이로드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윙커버, 상기 스테이로드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동부 및 일단은 상기 스윙커버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작동부에 결합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스윙커버를 전후방향으로 스윙되도록 하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커버의 결합부는 스윙커버를 관통하는 관통홀과 관통홀의 외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종래 기술은 구동부의 동력에 의해 기어가 리드스크류를 이동시켜 프론트커버와 리어커버를 갖는 헤드레스트가 이동되도록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가변시키는 별도의 구동부가 필요하게 되어 생산단가의 증대를 갖게 되며 헤드레스트에 구동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작동시 구동부의 소음이 그대로 사용자의 귀에 직접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 대한민국공개특허 10-2018-0015951호(2018.02.14. 등록) 특허문헌 2 : 대한민국등록특허 10-1716976호(2017.03.09. 등록)
본 발명은 등받이와 다리받침의 각도가 조절되는 소파에 구비되는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등받이와 다리받침의 각도를 조절하는 동력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연동되어 각도가 조절되도록 하여 구성의 단순화에 의한 생산단가를 최소화하고 소파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 시에 소음 전달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는, 안착부와 상기 안착부에 앉은 사용자의 등이 받쳐지는 등받이와 사용자의 다리가 받쳐지는 다리받침과 사용자의 머리가 받쳐지는 헤드레스트와 상기 등받이와 다리받침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베이스프레임과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바와 상기 슬라이드바의 스크류와 치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전후진이동구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전후진이동구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측이 힌지연결되고 끝단에 상기 다리받침과 연결되는 다리받침링크가 구비되는 접철링크와 상기 등받이와 상기 접철링크에 각각 연결되어 접철링크가 접어지고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세워지고 눕혀지는 등받이링크를 갖는 구동체를 포함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동작에 의해 연동되고 상기 접철링크와 등받이링크가 동작되어 상기 등받이가 눕혀지고 상기 다리받침이 펼쳐질 때 상기 등받이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를 세워주고, 상기 등받이가 세워지고 상기 다리받침이 접어질 때 상기 등받이측으로 상기 헤드레스트를 눕혀주어 상기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구동체의 구동모터가 작동되어 등받이링크가 세워지거나 눕혀지고 다리받침링크가 접어지고 펼쳐지는 동작을 진행할 때 상기 등받이링크와 연결되는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가 연동되어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대해 눕혀지거나 세워지면서 헤드레스트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조절하는 별도의 구동모터가 구비되지 않아도 헤드레스트의 각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어 생산단가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각도가 자동으로 조절되기 때문에 사용성은 물론 편의성이 크게 향상될 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시에 소음이 헤드레스트로부터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소파에 앉은 사용자의 귀에 직접적으로 소음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소파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위치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에 위치된 상태의 확대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로부터 돌출된 상태의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의 헤드레스트가 등받이로부터 돌출된 상태의 확대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의 끼움고정구가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안착부(1)와 상기 안착부(1)에 앉은 사용자의 등이 받쳐지는 등받이(2)와 사용자의 다리가 받쳐지는 다리받침(3)과 사용자의 머리가 받쳐지는 헤드레스트(4)가 구비되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상기 등받이(2)와 다리받침(3)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체(1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체(10)는, 베이스프레임(11)과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바(13)와 상기 슬라이드바(13)의 스크류와 치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전후진이동구(14)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15)와 상기 전후진이동구(14)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16)와 상기 제2링크(16)의 타측이 힌지연결되고 끝단에 상기 다리받침(3)과 연결되는 다리받침링크(17a)가 구비되는 접철링크(17)와 상기 등받이(2)와 상기 접철링크(17)에 각각 연결되어 접철링크(17)가 접어지고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세워지고 눕혀지는 등받이링크(18)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동체(10)는 상기 구동모터(12)를 작동시키면 상기 슬라이드바(13)의 내부에 구비되는 스크류(미도시)가 회전되고 상기 스크류에 치합된 전후진이동구(14)가 상기 슬라이드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되어 상기 구동모터(12)로부터 멀어지거나 후진되어 상기 구동모터(12)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전후진이동구(14)가 전진 또는 후진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전후진이동구(14)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16)가 전후진이동구(14)를 따라 슬라이드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또는 후진된다.
또한, 제2링크(16)의 전진 또는 후진이동에 의해 상기 제2링크(16)의 타측이 힌지연결되고 끝단에 다리받침링크(17a)를 갖는 접철링크(17)가 펼쳐지거나 접어지면서 상기 등받이링크(18)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면서 등받이(2)가 세워지거나 눕혀지고 상기 다리받침링크(17a)가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다리받침(3)이 접어지거나 펼쳐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동체(10)의 구동에 의해 등받이(2)가 세워지거나 눕혀지고 다리받침(3)이 접어지거나 펼쳐지는 동작이 진행될 때, 상기 헤드레스트(40)가 연동되어 세워지거나 눕혀지게 되어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안락한 상태에서 영화를 감상하거나 또는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상기 구동체(1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접철링크(17)와 등받이링크(18)가 동작되어 상기 등받이(2)가 눕혀지고 상기 다리받침(3)이 펼쳐질 때 상기 등받이(2)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4)를 세워주고, 상기 등받이(2)가 세워지고 상기 다리받침(3)이 접어질 때 상기 등받이(2)측으로 상기 헤드레스트(4)를 눕혀주어 상기 헤드레스트(4)의 각도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측면에는 끼움고정구(31)가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 내면에는 제1틸팅축(32) 및 제2틸팅축(33)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1)의 프레임(1a) 하단에는 힌지브라켓(34)이 구비된다.
상기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20)는, 상기 구동모터(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등받이링크(18)가 상기 구동모터(12)측으로 이동될 때 힌지부(21)를 축으로 상기 등받이(2)측으로 세워지고 상기 등받이링크(18)가 상기 구동모터(12)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힌지부(21)를 축으로 상기 등받이(2)에 대해 눕혀지며 상기 등받이링크(18)와 상기 힌지부(21)에 의해 일측이 힌지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끼움고정구(31)에 끼움 연결되는 고정구멍(22)이 구비되는 등받이연결링크(23)와, 상기 헤드레스트(4)와 연결되는 제1연결편(24a)이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는 제2연결편(24b)이 구비되며 상기 제1틸팅축(32) 및 제2틸팅축(33)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홈(24c)을 갖는 틸팅가이드(24)와, 상기 틸팅가이드(24)의 제2연결편(24b)이 연결되는 지지바(25)와, 상기 지지바(25)에 상단이 힌지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힌지브라켓(34)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이 눕혀지거나 세워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바(25)의 하단을 당겨주거나 밀어주어 상기 틸팅가이드(24)와 제1연결편(24a)으로 연결되는 헤드레스트(4)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하는 지지링크(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지지바(25)의 하단 중앙에는 링크브라켓(25a)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링크(26)는,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이 눕혀지거나 세워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바(25)의 하단을 당겨주거나 밀어주도록, 상기 지지바(25)의 링크브라켓(25a)에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부(26a)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34)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부(26b)가 하단에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체(1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접철링크(17)가 구동모터(12)측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펼쳐지는 것에 의해 상기 등받이링크(18)가 눕혀져 등받이(2)가 눕혀지고 다리받침(3)이 펼쳐질 때 상기 헤드레스트(4)가 세워진다.
즉, 상기 구동모터(12)의 정방향 작동에 의해 상기 접철링크(17)가 펼쳐지면 상기 다리받침링크(17a)가 펼쳐지게 되고 다리받침링크(17a)와 연결된 다리받침(3)이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안착부(1) 및 안착부프레임(1a)이 상기 구동모터(12)로부터 멀어지게 되어 도 4의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안착부프레임(1a)이 구동모터(12)로부터 멀어지게 되면 상기 힌지브라켓(34)이 구동모터(12)측으로 당겨지고 이에 따라 상기 힌지브라켓(34)과 제2힌지부(26b)가 힌지연결된 상기 지지링크(26)가 상기 제2힌지부(26b)를 축으로 도 4의 좌측방향으로 힌지회전되면서 지지링크(26)의 상단에 구비된 제1힌지부(26a)와 링크브라켓(25a)이 힌지연결된 상기 지지바(25)가 좌측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지지바(25)가 도 4의 좌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상기 지지바(25)와 제2연결편(24b)으로 연결되는 상기 틸팅가이드(24)의 제2연결편(24b)이 좌측방향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틸팅가이드(24)의 가이드홈(24c)이 제1틸팅축(32)과 제2틸팅축(33)을 타고 가이드되면서 틸팅가이드(24)의 상부 즉, 틸팅가이드(24)의 제1연결편(24a)이 우측방향으로 이동되어 헤드레스트(4)가 세워진다.
이와 같이 구동체(10)의 구동모터(12)의 정방향 작동에 의해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20)가 연동되어 헤드레스트(4)가 세워지기 때문에 별도의 구동력 없이도 헤드레스트(4)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워진 헤드레스트(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동모터(12)의 역방향 작동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12)로부터 상기 전후진이동구(14)가 구동모터(12)측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상기 헤드레스트(4)가 세워지는 동작의 역순으로 세워진 헤드레스트(4)가 눕혀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구동체(10)의 구동모터(12)의 정방향 또는 역방향 작동에 의해 전후진이동구(14)가 슬라이드바(13)를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어 등받이(2)가 눕혀지고 다리받침(3)이 펼쳐질 때 헤드레스트(4)가 세워져 등받이(2)로부터 돌출되고, 눕혀진 등받이(2)가 세워지고 펼쳐진 다리받침(3)이 접어질 때 세워진 헤드레스트(4)가 세워지는 등받이(2)측으로 눕혀지기 때문에, 헤드레스트를 구동시키는 별도의 동력수단 없이도 헤드레스트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편안한 휴식과 영화관람을 유도할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가 구동체(10)의 구동모터(12) 작동에 의해 각도 조절이 이루어짐에 따라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끼움고정구(31)는, 상기 등받이연결링크(23)가 끼워지는 끼움가이드부(31a)와, 상기 끼움가이드부(31a)에 끼워지는 등받이연결링크(23)의 고정구멍(22)이 걸어지는 탄성걸림편(31b)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끼움고정구(31)는 탄성걸림편(31b)에 의해 상기 등받이연결링크(23)가 연결 고정되기 때문에 연결작업성이 쉽고 용이하게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탄성걸림편(31b)은, 상기 등받이연결링크(23)가 상기 끼움가이드부(31a)를 따라 끼워질 때 벌어졌다가 상기 고정구멍(22)이 탄성걸림편(31b)에 위치되면 다시 원래 위치로 복귀되어 상기 고정구멍(22)에 걸리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안착부 2 : 등받이
3 : 다리받침 4 : 헤드레스트
1a : 인착부 프레임 2a : 등받이 프레임
10 : 구동체 11 : 베이스프레임
12 : 구동모터 13 : 슬라이드바
14 : 전후진이동구 15 : 제1링크
16 : 제2링크 17 : 접철링크
17a : 다리받침링크 18 : 등받이링크
20 :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 21 : 힌지부
22 : 고정구멍 23 : 등받이연결링크
24 : 틸팅가이드 24a : 제1연결편
24b : 제2연결편 24c : 가이드홈
25 : 지지바 25a : 링크브라켓
26 : 지지링크 26a : 제1힌지부
26b : 제2힌지부 31 : 끼움고정구
31a : 끼움가이드부 31b : 탄성걸림편
32 : 제1틸팅축 33 : 제2틸팅축
34 : 힌지브라켓

Claims (4)

  1. 안착부(1)와 상기 안착부(1)에 앉은 사용자의 등이 받쳐지는 등받이(2)와 사용자의 다리가 받쳐지는 다리받침(3)과 사용자의 머리가 받쳐지는 헤드레스트(4)와 상기 등받이(2)와 다리받침(3)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베이스프레임(11)과 구동모터(12)와 상기 구동모터(12)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스크류가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바(13)와 상기 슬라이드바(13)의 스크류와 치합되어 상기 슬라이드바(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진 및 후진 이동되는 전후진이동구(14)와 상기 베이스프레임(11)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1링크(15)와 상기 전후진이동구(14)에 일측이 힌지연결되는 제2링크(16)와 상기 제2링크(16)의 타측이 힌지연결되고 끝단에 상기 다리받침(3)과 연결되는 다리받침링크(17a)가 구비되는 접철링크(17)와 상기 등받이(2)와 상기 접철링크(17)에 각각 연결되어 접철링크(17)가 접어지고 펼쳐지는 동작에 의해 세워지고 눕혀지는 등받이링크(18)를 갖는 구동체(10)를 포함하는 소파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10)와 연결되어 상기 구동모터(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접철링크(17)와 등받이링크(18)가 동작되어 상기 등받이(2)가 눕혀지고 상기 다리받침(3)이 펼쳐질 때 상기 등받이(2) 전방측으로부터 상기 헤드레스트(4)를 세워주고,
    상기 등받이(2)가 세워지고 상기 다리받침(3)이 접어질 때 상기 등받이(2)측으로 상기 헤드레스트(4)를 눕혀주어 상기 헤드레스트(4)의 각도를 조절하는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20)가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측면에는 끼움고정구(31)가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 내면에는 제1틸팅축(32) 및 제2틸팅축(33)이 구비되며 상기 안착부(1)의 프레임(1a) 하단에는 힌지브라켓(34)이 구비되며,
    상기 헤드레스트각도조절체(20)는,
    상기 구동모터(12)의 동작에 의해 상기 등받이링크(18)가 상기 구동모터(12)측으로 이동될 때 힌지부(21)를 축으로 상기 등받이(2)측으로 세워지고 상기 등받이링크(18)가 상기 구동모터(12)로부터 멀어질 때 상기 힌지부(21)를 축으로 상기 등받이(2)에 대해 눕혀지며 상기 등받이링크(18)와 상기 힌지부(21)에 의해 일측이 힌지연결되고 타측에 상기 끼움고정구(31)에 끼움 연결되는 고정구멍(22)이 구비되는 등받이연결링크(23)와;
    상기 헤드레스트(4)와 연결되는 제1연결편(24a)이 상단에 구비되고 하단에는 제2연결편(24b)이 구비되며 상기 제1틸팅축(32) 및 제2틸팅축(33)에 끼워져 가이드되는 가이드홈(24c)을 갖는 틸팅가이드(24)와;
    상기 틸팅가이드(24)의 제2연결편(24b)이 연결되는 지지바(25)와;
    상기 지지바(25)에 상단이 힌지연결되고 하단은 상기 힌지브라켓(34)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이 눕혀지거나 세워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바(25)의 하단을 당겨주거나 밀어주어 상기 틸팅가이드(24)와 제1연결편(24a)으로 연결되는 헤드레스트(4)가 세워지거나 눕혀지도록 하는 지지링크(26)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5)의 하단 중앙에는 링크브라켓(25a)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링크(26)는,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이 눕혀지거나 세워지는 동작에 의해 상기 지지바(25)의 하단을 당겨주거나 밀어주도록, 상기 지지바(25)의 링크브라켓(25a)에 힌지연결되는 제1힌지부(26a)가 상단에 구비되고,
    상기 등받이(2)의 프레임(2a)에 구비되는 힌지브라켓(34)에 힌지연결되는 제2힌지부(26b)가 하단에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끼움고정구(31)는,
    상기 등받이연결링크(23)가 끼워지는 끼움가이드부(31a)와;
    상기 끼움가이드부(31a)에 끼워지는 등받이연결링크(23)의 고정구멍(22)이 걸어지는 탄성걸림편(31b)으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KR1020180080445A 2018-07-11 2018-07-11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KR10211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445A KR102112403B1 (ko) 2018-07-11 2018-07-11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445A KR102112403B1 (ko) 2018-07-11 2018-07-11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724A KR20200006724A (ko) 2020-01-21
KR102112403B1 true KR102112403B1 (ko) 2020-05-18

Family

ID=69369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445A KR102112403B1 (ko) 2018-07-11 2018-07-11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240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912A (en) 1980-05-12 1981-12-29 Weber-Knapp Company Multiple position reclining chair assembly
US20130140856A1 (en) 2011-12-06 2013-06-06 Marcus L. Murphy Reclining seating unit with tiltable headrest
WO2016060744A1 (en) * 2014-10-15 2016-04-21 Crum Michael A Zerowall motorized multi-position recliner chair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91961A (en) * 1986-02-14 1987-09-08 Parma Corporation Recliner with headrest
KR101716976B1 (ko) 2015-12-15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
KR101875884B1 (ko) 2016-08-04 2018-07-06 김공훈 머리받이의 각도가 조절되는 리클라이너 소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07912A (en) 1980-05-12 1981-12-29 Weber-Knapp Company Multiple position reclining chair assembly
US20130140856A1 (en) 2011-12-06 2013-06-06 Marcus L. Murphy Reclining seating unit with tiltable headrest
WO2016060744A1 (en) * 2014-10-15 2016-04-21 Crum Michael A Zerowall motorized multi-position recliner chair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6724A (ko) 2020-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23599A1 (en) Reclining chair
JP6732881B2 (ja) 家具部材用リクライニング/レッグレスト機構
JP7277470B2 (ja) 椅子用チルト機構
CA2817252C (en) Linkage mechanism for a high-leg seating unit
US20170127844A1 (en) Chair with a Separate and Adjustable Headrest
CN105520409B (zh) 异形凳联动装置
US9173492B1 (en) Self-reclining chair
US9743770B1 (en) Multi-positioning recliner chair
US20130099543A1 (en) Reclining office chair
KR101238414B1 (ko) 전자동 리클라이너 소파
KR200494753Y1 (ko) 등받이가 이동되는 소파
KR102112403B1 (ko)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KR102140343B1 (ko) 좌판 익스텐드 기능을 가진 소파
KR102275795B1 (ko) 접힘경사부를 갖는 매트리스가 구비된 전동식 소파
CN108294515A (zh) 一种双动力驱动的座椅
KR102303786B1 (ko) 좌판이 젖혀지는 청소가 용이한 영화관용 소파
US20110095588A1 (en) Two-Stage Adjusting Member for Adjusting Slope of Seat Back
KR20140076782A (ko) 풋레스트 장치
EP3311701B1 (en) Variable height backrest/headrest for an upholstered item of furniture having an electromechanical lift mechanism
KR100990509B1 (ko) 의자
GB2428966A (en) Seat with pivoting backrest and coupled locking means therefor
KR102543558B1 (ko) 전동식 소파의 프레임 구조
EP4335325A1 (en) Sliding seat for sofa or armchair, integrated with adjustable backrest
JP6338213B2 (ja) 椅子
KR20090002690U (ko) 접이식 안마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