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6976B1 - 전동식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전동식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6976B1
KR101716976B1 KR1020150179618A KR20150179618A KR101716976B1 KR 101716976 B1 KR101716976 B1 KR 101716976B1 KR 1020150179618 A KR1020150179618 A KR 1020150179618A KR 20150179618 A KR20150179618 A KR 20150179618A KR 101716976 B1 KR101716976 B1 KR 101716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ng
cover
stay rod
coupled
swing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9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임호섭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1501796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69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6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69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05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60N2/4829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25/00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 F16H25/18Gearings comprising primarily only cams, cam-followers and screw-and-nut mechanisms for conveying or interconverting oscillating or reciprocating motions
    • F16H25/20Screw mechanisms

Abstract

커버 형상으로써, 결합부가 형성되고, 스테이로드의 전방에 위치하며 후크형상의 스윙부재에 의해 스테이로드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윙커버; 상기 스테이로드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동부; 및 일단은 상기 스윙커버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작동부에 결합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스윙커버를 전후방향으로 스윙되도록 하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전동식 헤드레스트 {AUTOMATIC HEADREST}
본 발명은 시트 상부에 구비되어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탑승객의 요구에 따라 머리를 보다 편안하고 안락하게 감싸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추돌시 목 젖혀짐에 의한 목 및 머리 부위의 손상을 방지하고, 정상 주행시 머리부위를 밀착시켜 편안한 승차감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등받이 상단부에 설치되어 승차자의 머리 및 목 부위를 지지하고, 쿠션 재질의 패드와 시트프레임에 연결되는 헤드레스트 폴로 구성된다. 헤드레스트 폴은 승강이 가능하도록 시트프레임에 연결되는 구조를 통해, 탑승자의 키에 맞는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뿐만 아니라, 헤드레스트의 윙아웃(Wing Out)이 얼마나 머리를 편안하고 안락하게 감싸주는가도 중요한 부분으로 작용한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은 힌지를 기준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고정부와 작동부 사이의 마찰에 의하여 헤드레스트 양단의 윙(Wing)이 조절된 위치에 고정되도록 구성되어 있어 윙이 작동 후 고정되는 장치가 없어 마찰력이 과도할 경우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조절하는데 많은 힘을 가해야하고, 고정부와 작동부 사이의 마찰력이 과소할 경우 사용자가 머리를 지지하는 무게에 의하여 헤드레스트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되나, 적정 작동력(마찰력)은 탑승자에 따라 매우 상이함으로 일반화하여 적용하기 어렵다.
더불어, 의도하지 않는 외력(후방 충돌 등)에 의해 조절 후 위치에서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목상해치 증가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이 있으며, 사용자가 착좌 상태에서 헤드레스트를 조절하기 위하여 작동부가 보이지 않는 상태에서 팔을 머리 뒤쪽으로 뻗어서 힘을 가해야 하며, 보이지 않으므로 작동 방향을 인지하지 못하면 작동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헤드레스트를 정면으로 바라보면서 작동할 경우 착좌 상태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도록 정확하게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0775371 B1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탑승객이 편안함과 안락감을 느낄 수 있도록 윙을 작동한 후 고정시키며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조정이 용이하며 사고 등의 발생 시에도 탑승객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전동식 헤드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헤드레스트는 커버 형상으로써, 결합부가 형성되고, 스테이로드의 전방에 위치하며 후크형상의 스윙부재에 의해 스테이로드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윙커버; 상기 스테이로드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동부; 및 일단은 상기 스윙커버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작동부에 결합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스윙커버를 전후방향으로 스윙되도록 하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한다.
상기 스윙커버의 결합부는 스윙커버를 관통하는 관통홀과 관통홀의 외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윙커버의 고정부에는 중심측에 힌지홀이 형성되어 힌지핀에 의해 리드스크류가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윙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후크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스윙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후방에서 스윙커버를 지지하되, 상측은 스윙커버에 고정되고, 하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으로 리드스크류를 이동시키는 기어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테이로드에 고정되는 상측브라켓과 상측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측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측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결합홀에 힌지핀이 관통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로드에는 전방측에 결합되는 프론트커버와 후방측에서 결합되는 리어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전동식 헤드레스트에 따르면 종래의 마찰타입 헤드레스트를 사용하였을 때 발생했던 문제점들과 수동식 장치의 위치에 따른 사용 불편을 모터와 링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모터, 리드스크류, 링크 등에 의해 구성된 매커니즘에 의해 종래의 기술이 갖고 있는 마찰력 과대 시 작동이 어려운 점을 개선하였고, 헤드레스트 조절 후 위치에서 고정됨으로써 머리지지하중 및 사용자의 체형, 탑승 자세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한 기구 원복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기구가 원복함으로써 발생 할 수 있는 목상해치 증가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스위치를 이용하여 기구 작동함으로써, 수동식 헤드레스트 작동 기구가 갖고 있는 작동 시 탑승자 체형에 따른 신체적 불편함 및 작동 방향 미인지에 따른 작동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작동선 개선 및 사용자 인지성도 높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였다.
마찰 타입 자유 힌지 상태에서 작동 방향 전후 자유도를 구속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모터를 통한 작동량의 제어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정확히 사용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직접 구동 방식에서 스위치를 이용한 간접구동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조절 자세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락감이 증대되어 상품성의 향상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B 상세도.
도 3 내지 도 4는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스테이로드와 스윙커버의 결합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스윙커버의 관통홀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동식 헤드레스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B 상세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전동식 헤드레스트의 작동 전후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스테이로드(100)와 스윙커버(300)의 결합도이며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7은 스윙커버(300)의 관통홀(311)을 상세히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식 헤드레스트는 커버 형상으로써, 결합부(310)가 형성되고, 스테이로드(100)의 전방에 위치하며 후크형상의 스윙부재(330)에 의해 스테이로드(100)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윙커버(300); 상기 스테이로드(100)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동부(500); 및 일단은 상기 스윙커버(300)의 결합부(310)에 결합되고, 타단은 작동부(500)에 결합되어 작동부(500)의 작동에 의해 스윙커버(300)를 전후방향으로 스윙되도록 하는 리드스크류(700);를 포함한다.
상기 스테이로드(100)는 "n" 자 형성으로 형성되며 상하측으로 길게 형성된 측면부와 좌우방향으로 형성된 상측부로 구성된다. 측면부는 시트와 결합되고, 상측부는 스윙커버(300) 및 스윙부재(330)와 결합한다. 스윙커버(330)가 결합된 상측부는 스윙커버(330)가 스윙 궤적을 형성하도록 작동하는 축의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지칭하는 스테이로드(100)는 스테이로드(100)의 상측부를 지칭함을 밝힌다.
상기 스테이로드(100)를 중심으로 스테이로드(100)의 하방에는 작동부(500)가 결합되고, 스테이로드(100)의 전방에는 스윙커버(300)가 결합된다. 스윙커버(300)는 스윙커버(300)의 후면에 스테이로드(100)와 끼움결합될 수 있는 홀더가 구성되며 스윙커버(300)가 스테이로드(100)에 결합된 후 스테이로드(100)의 후방측에서 스윙부재(330)에 의해 다시 한 번 고정된다. 이러한 내용은 도 4 내지 도 5에서 확인 가능하다.
상기 스윙부재(330)는 후크 형상이되, 상기 스테이로드(100)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곡면)을 갖는 후크 형상으로써, 상측은 스윙커버(300)에 고정되고, 하측은 스윙커버(300)를 고정하지 않는 자유단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스윙커버(300)는 스테이로드(100)를 중심축으로 하여 상하측으로 스윙 궤적을 따라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작동부(500)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510)와 구동부(510)의 동력으로 리드스크류(700)를 이동시키는 기어부(530)로 구성되며 구동부(510)는 특히 모터일 수 있다. 상기 작동부(500)는 스테이로드(100)의 하방에 위치하되,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상하브라켓(550,570)에 의해 작동부(500)의 상측브라켓(550)이 스테이로드(100)의 하측에 고정되어 지지된다. 하측브라켓(570)은 기어부(530)와 조립되어 리드스크류(700)의 전진에 따라 상측브라켓(550)을 기준으로 기어부(530), 하측브라켓(570) 및 구동부(51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리드스크류(700)의 일단은 상기 스윙커버(300)의 결합부(310)에 결합되되 단부에는 결합홀(710)이 형성된다. 또한, 리드스크류(700)의 타단은 작동부(500)의 기어부(530)에 결합된다. 따라서, 리드스크류(700)는 구동부(510)의 동작 시 기어부(530)에 의해 전진 또는 후진함으로써 스윙커버(300)를 밀어 스윙커버(300)가 스테이로드(100)를 회전중심축으로 하여 상하측으로 스윙되도록 한다.
상기 리드스크류(700)와 스윙커버(300)의 결합관계를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스윙커버(300)의 결합부(310)는 스윙커버(300)를 관통하는 관통홀(311)과 관통홀(311)의 외주면 중 양측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317)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317)에는 중심측에 힌지홀(313)이 형성되며, 리드스크류(700)의 일단이 관통홀(311)을 관통하여 고정부(317)에 결합된다.
이 때 스윙커버(300)와 리드스크류(700)는 힌지홀(313)과 관통홀(311)을 관통한 힌지핀(315)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리드스크류(700)가 전진 및 후진되는 직선운동을 힌지핀(315)을 중심으로 스윙커버(300)가 회전운동하도록 변환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317)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양측방으로 연장된 지지부(319)가 형성된다. 지지부(319)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형상의 결사면이 형성되어 스윙커버(300)의 결합부(310)와 리드스크류(700)의 결합을 보다 단단하게 지지하여 작동 중 리드스크류(700)로부터 받는 압력을 지지하여 힌지핀(315)이 리드스크류(700)와 스윙커버(3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스테이로드(100)와 결합된 스윙커버(300)의 전방측에는 프론트커버(800)가 결합되고, 스테이로드(100)의 후방측에는 리어커버(900)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프론트커버(800)는 사용자의 후두부를 지지하기 용이하도록 설계된 전면을 가지되, 특히 윙-아웃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힌지핀에 의해 결합되는 복수의 조각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론트커버(800)의 후면에는 스윙커버(300)와 조립될 수 있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조립점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어커버(900)는 스테이로드(100)에 결합되어 헤드레스트 내부의 구성요소가 외부로 드러나지 않도록 커버해주는 역할을 한다. 프론트커버(800)와 리어커버(900)에 관련된 내용은 기공지된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은 전동식 헤드레스트에 의하면 종래의 마찰타입 헤드레스트를 사용하였을 때 발생했던 문제점들과 수동식 장치의 위치에 따른 사용 불편을 모터와 링크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해결하였다. 모터, 리드스크류, 링크 등에 의해 구성된 매커니즘에 의해 종래의 기술이 갖고 있는 마찰력 과대 시 작동이 어려운 점을 개선하였고, 헤드레스트 조절 후 위치에서 고정됨으로써 머리지지하중 및 사용자의 체형, 탑승 자세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한 기구 원복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또한, 차량의 주행 중에 발생하는 외력에 의해 기구가 원복함으로써 발생 할 수 있는 목상해치 증가 등의 안전상의 문제점을 해결하였으며 스위치를 이용하여 기구 작동함으로써, 수동식 헤드레스트 작동 기구가 갖고 있는 작동 시 탑승자 체형에 따른 신체적 불편함 및 작동 방향 미인지에 따른 작동 어려움 등의 문제점을 해결하면서 작동선 개선 및 사용자 인지성도 높여 사용자 편의성을 증대하였다.
마찰 타입 자유 힌지 상태에서 작동 방향 전후 자유도를 구속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모터를 통한 작동량의 제어로 사용자가 원하는 정도로 정확히 사용위치를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 의한 직접 구동 방식에서 스위치를 이용한 간접구동 방식으로 변경함으로써 조절 자세의 불편함을 해소하여 사용자의 편의성 및 안락감이 증대되어 상품성의 향상 및 브랜드 이미지 제고의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스테이로드 300 : 스윙커버
310 : 결합부 311 : 관통홀
313 : 힌지홀 315 : 힌지핀
317 : 고정부 319 : 지지부
330 : 스윙부재 500 : 작동부
510 : 구동부 530 : 기어부
550 : 상측브라켓 570 : 하측브라켓
700 : 리드스크류 710 : 결합홀
800 : 프론트커버 900 : 리어커버

Claims (10)

  1. 커버 형상으로써, 결합부가 형성되고, 스테이로드의 전방에 위치하며 후크형상의 스윙부재에 의해 스테이로드에 회동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스윙커버;
    상기 스테이로드의 하방에 위치하는 작동부; 및
    일단은 상기 스윙커버의 결합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작동부에 결합되어 작동부의 작동에 의해 스윙커버를 전후방향으로 스윙되도록 하는 리드스크류를 포함하고;
    상기 스윙커버의 결합부는 스윙커버를 관통하는 관통홀과 관통홀의 외주면에서 전방으로 돌출된 플레이트 형상의 고정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커버의 고정부에는 중심측에 힌지홀이 형성되어 힌지핀에 의해 리드스크류가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측 및 하측으로부터 측방으로 연장된 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직경에 대응되는 직경을 갖는 후크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윙부재는 상기 스테이로드의 후방에서 스윙커버를 지지하되, 상측은 스윙커버에 고정되고, 하측은 자유단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구동부의 동력으로 리드스크류를 이동시키는 기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스테이로드에 고정되는 상측브라켓과 상측브라켓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하측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리드스크류의 일단측에는 결합홀이 형성되어 결합홀에 힌지핀이 관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로드에는 전방측에 결합되는 프론트커버와 후방측에서 결합되는 리어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헤드레스트.
KR1020150179618A 2015-12-15 2015-12-15 전동식 헤드레스트 KR101716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618A KR101716976B1 (ko) 2015-12-15 2015-12-15 전동식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9618A KR101716976B1 (ko) 2015-12-15 2015-12-15 전동식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16976B1 true KR101716976B1 (ko) 2017-03-16

Family

ID=58497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9618A KR101716976B1 (ko) 2015-12-15 2015-12-15 전동식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697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724A (ko) 2018-07-11 2020-01-21 전병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359U (ja) * 1993-10-30 1995-05-23 株式会社タチエス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JP2646379B2 (ja) * 1988-08-24 1997-08-27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フトチェンジ連動の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KR100775371B1 (ko) 2006-11-14 2007-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 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KR100793638B1 (ko) * 2007-03-07 2008-01-14 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스윙구조
KR20140080642A (ko) * 2012-12-12 2014-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6379B2 (ja) * 1988-08-24 1997-08-27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フトチェンジ連動の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JPH0727359U (ja) * 1993-10-30 1995-05-23 株式会社タチエス 格納式ヘッドレスト構造
KR100775371B1 (ko) 2006-11-14 2007-11-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헤드 레스트 위치 조절 장치
KR100793638B1 (ko) * 2007-03-07 2008-01-14 다이모스(주) 헤드레스트 스윙구조
KR20140080642A (ko) * 2012-12-12 2014-07-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6724A (ko) 2018-07-11 2020-01-21 전병문 각도가 조절되는 헤드레스트를 갖는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527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US9758076B2 (en) Automatic headrest
US20100026068A1 (en) Apparatus for tilting vehicle seat cushion
JP2003125891A (ja) ランバーサポート装置
JP5738626B2 (ja) 車両用ランバーサポート付きシートバックの構造
KR101725414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16976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92758B1 (ko)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593848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93847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JP4122444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20220050443A (ko) 전방 틸팅 메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KR101601525B1 (ko) 좌석 팔걸이
KR101470185B1 (ko) 차량의 시트 쿠션 익스텐션 패드 장치
KR101621208B1 (ko)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KR20150077502A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KR200482595Y1 (ko) 시트백 틸팅 장치
KR101517041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KR20040043025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1407262B1 (ko) 차량용 시트의 틸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