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3025A -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3025A
KR20040043025A KR1020020071017A KR20020071017A KR20040043025A KR 20040043025 A KR20040043025 A KR 20040043025A KR 1020020071017 A KR1020020071017 A KR 1020020071017A KR 20020071017 A KR20020071017 A KR 20020071017A KR 20040043025 A KR20040043025 A KR 20040043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lumber
support
seat
lum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71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94550B1 (ko
Inventor
김영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71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94550B1/ko
Publication of KR20040043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30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945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945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Stepwise movement mechanisms, e.g. ratch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슈크라형 럼버서포트 장치의 구조적인 문제점인 럼버 플레이트 상단부의 등판 지지감을 확보하기 위하여 럼버 플레이트 상단에 상기 럼버 플레이트가 작동함에 따라 연동되는 등판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럼버 플레이트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요추를 지지하더라도 탑승자 등판의 지지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Back support-structure for working together lumbarsupport-device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럼버 플레이트 상단에 상기 럼버 플레이트가 작동함에 따라 연동되는 등판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럼버 플레이트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요추를 지지하더라도 탑승자 등판의 지지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시트는 차량 내부의 한정된 공간과 중량의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그 배치에 따라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로 구분되며 프론트 시트에는 운전석, 조수석으로 나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 시트는 프론트 시트의 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는 운전 습관 및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를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어 놓고 시트에 착석하도록 되어 있고, 반면에 리어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이 장신일 경우에는프론트 시트를 앞으로 밀어 놓고 좌석에 착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자동차의 시트중 프론트 시트의 경우 운전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하기 위한 시트백이 있는데, 이는 시트백의 내부에 갖춰진 시트백 프레임과, 상부에 헤드 레스트가 끼워지고 그 하부에 회동장치를 마련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시트의 가장 편한 자세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런데, 장시간 운전 시, 탑승자의 착좌자세의 변화에 따라 근본적으로 대응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자동차의 시트백에는 등을 편안하게 감싸주는 완충장치와 요추를 편안하게 지지하여 주는 럼버서포트 장치가 있다.
이러한 럼버서포트 장치 중, 슈크라사에서 개발하여 특허 등록된 슈크라형 럼버서포트 장치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복원력이 구현되는 사각판 형상으로서, 그 아랫방향으로 4개의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개부(1a)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으로 연장된 연장판(1b)이 형성된 럼버 플레이트는 럼버 플레이트 서포트 와이어(11)를 따라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럼버 플레이트(1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수단은 작동레버(14), 와이어(15), 와이어 수용부(16)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와이어 수용부(16)는 상기 럼버 플레이트(10)의 뒷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서로 대향되는 동시에 횡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 통과 구멍(16a)이 각각 구비되어 서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형성된 와이어 수용부(16)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레버(14)와 연결된 와이어(15)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작동레버(14)의 회동에 의해 연결된 와이어(15)가 잡아 당겨져서 럼버 플레이트(10)의 상단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만곡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는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단부가 상하로 이동하며, 전후 조절을 할 수 있는 럼버 플레이트(10)가 구비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전후 조절량이 높은 장점이 있지만, 서구인의 신체 특성에 적용 가능하게만 구현되어 한국인의 신체 특성에는 맞지 않는 한편, 상기 럼버 플레이트(10)가 아랫방향으로 이동되어 요추부를 지지하는 구조이므로 럼버서포트 작동 시, 럼버 플레이트(10) 상부의 패드가 꺼지는 느낌이 들며, 운전 중에 이 부분을 지지하는 등 부분이 쉽게 피로해진다.
도 6은 럼버서포트 장치의 미작동 및 작동상태를 보이는 체압분포도로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인다.
따라서, 꺼진감을 보완하기 위해 그 사이에 물건을 끼워서 운전을 하는 경우도 있는 한편, 시트백 패드면과 스프링 사이에 별도의 지지 패드를 삽입하여 지지감을 보완하고 있으나, 양호한 승차감을 유지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럼버 플레이트 상단에 상기 럼버 플레이트가 작동함에 따라 연동되는 등판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럼버 플레이트가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요추를 지지하더라도 탑승자 등판의 지지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종단면도,
도 3은 도 1의 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5는 종래의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미작동 및 작동상태를 보이는 체압분포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럼버 플레이트10a : 절개부
10b : 연장판 10c : 걸림홈
11 : 럼버 플레이트 서포트 와이어 12 : 고정 수단
13 : 등판지지 플레이트13a : 걸림턱
13b : 등판지지 판스프링 13c : 돌기
13d : 지지핀14 : 작동레버
15 : 와이어 16 : 와이어 수용부
16a : 와이어 통과 구멍 17 : 가이드 브라켓
17a : 가이드홈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100)에 설치된 작동수단에 의해 상단이 럼버 플레이트 서포트 와이어(11)를 따라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럼버 플레이트(10)가 구비된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럼버 서포트 장치와 연동되어 등판의 지지감을 확보할 수 있는 등판지지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등판지지 구조는 럼버 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홀(10c)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걸림턱(13a)이 형성된 사각판 형상의 등판지지 플레이트(13)와, 상기 등판지지 플레이트(13)의 핀(13d)에 의한 제한적인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그 양측면 프레임 브라켓(110)에 가이드홈(17a)이 구비된 가이드 브라켓(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등판지지 플레이트(13)는 그 전면부에 시트백 내의 우레탄 패드와의 미끄러짐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 세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복수개의 돌기(13c)가 형성되고, 그 후부에 플레이트 자체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등판지지 판스프링(13b)이 각각 상,하,좌,우에 격자구조 형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각각 도 1의 종단면도 및 횡단면도를 나타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면부호 100은 시트백 프레임을, 110은 프레임 브라켓을, 120은 지지대를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백 프레임(100) 상단부 양쪽에서 횡방향으로 지지하는 지지대(1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대(120)에는 시트백 프레임(100)의 하단부와 더불어 럼버 플레이트 서포트 와이어(11)가 2중으로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럼버 플레이트 서포트 와이어(11)에는 럼버 플레이트(10)가 장착되어 있는 바,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럼버 플레이트(10)는 탄성 복원력이 구현되는 사각판 형상으로서, 그 아랫방향으로 4개의 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진 절개부(1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양쪽으로 연장된 연장판(10b)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럼버 플레이트(10)는 상기 럼버 플레이트 서포트 와이어(11)에 종방향(상하 방향)으로 결착되면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그 뒷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별개의 고정 클립과 같은 고정수단(12)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럼버 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는 후술하는 등판지지 플레이트(13)가 장착될 수 있도록 걸림홀(10c)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럼버서포트 장치에는 상기 럼버 플레이트(10)를 작동하기 위한 작동수단이 부설되어 있는 바, 상기 작동수단은 작동레버(14), 와이어(15), 와이어 수용부(16)로 이루어져 있는 바, 상기 와이어 수용부(16)는 상기 럼버 플레이트(10)의 뒷면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서로 대향되는 동시에 횡축에 의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 통과 구멍(16a)이 각각 구비되어 서로 연통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단부에 형성된 와이어 수용부(16)의 일측에는 상기 작동레버(14)와 연결된 와이어(15)가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작동레버(14)의 회동에 의해 연결된 와이어(15)가 잡아 당겨져서 럼버 플레이트(10)의 상단이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만곡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구성된 럼버서포트 장치가 작동함에 따라 연동되어 등판의 적절한 지지성을 확보할 수 있는 등판 지지구조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등판 지지구조는 등판지지 플레이트(13)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등판지지 플레이트(10)는 상,하 선단이 만곡되어 있는 사각판 형상으로서, 상기 럼버 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홀(10c)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걸림턱(13a)이 형성되어 있고, 후부에는 플레이트 자체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등판지지 판스프링(13b)이 각각 상,하,좌,우에 격자구조 형태로 장착되어 있으며, 전면부에는 시트백 내의 우레탄 패드와의 미끄러짐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일정 간격을 두고 세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복수개의 돌기(13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등판지지 플레이트(13)가 제한적인 상하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그 양측면 프레임 브라켓(110)에 가이드홈(17a)이 구비된 가이드 브라켓(17)이 고정,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이드 브라켓(17)에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홈(17a)에 삽입되어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등판지지 플레이트(13)의 양측단에는 지지핀(13d)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원리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작동레버(14)를 회동시키면, 상기 작동레버(14)에 연결된 와이어(15)가 감겨지게 되면서 그 와이어(15)와 연결된 와이어 수용부(19)가 서로 근접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으로 럼버 플레이트(10)가 럼버 플레이트 서포트 와이어(11)를 따라 전방으로 당겨지게 되고, 그로인해 전방으로 만곡되어 탑승자의 요추를 지지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럼버 플레이트(10)와 연동되는 등판지지 플레이트(13)가 가이드 브라켓(17)의 가이드홈(17a)을 따라 아랫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여 운전자의 등판을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는 기존의 슈크라 럼버서포트 기능을 하는 동시에 럼버 플레이트(10)와 등판지지 플레이트(13)의 연동기능에 의해 탑승자의 요추 지지를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등판 지지도 가능하도록 하여 장시간 운전 시에 피로감을 전혀 느낄 수 없는 새로운 형태의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인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는 기존의 럼버서포트 장치의 구조적인 문제점인 럼버 플레이트 상단부의 지지감 확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럼버 플레이트 상단부에, 그 럼버 플레이트와 연동되는 등판지지 플레이트를 설치하여 장시간 운전시에도 안락한 시트를 구현할 수 있고, 더불어 등판지지 플레이트 후면에 등판지지 판스프링이 삽입되어 시트의 쿠션성을 소프트하게 작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100)에 설치된 작동수단에 의해 상단이 럼버 플레이트 서포트 와이어(11)를 따라 아랫방향으로 이동하여 전방으로 만곡되도록 형성된 럼버 플레이트(13)가 구비된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럼버 서포트 장치와 연동되어 등판의 지지감을 확보할 수 있는 등판지지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지지 구조는 럼버 플레이트(10)의 상단부에 형성된 걸림홀(10c)에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그 하단부에 일정간격을 두고 복수개의 걸림턱(13a)이 형성된 사각판 형상의 등판지지 플레이트(13)와, 상기 등판지지 플레이트(13)의 핀(13d)에 의한 제한적인 상하 슬라이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그 양측면 프레임 브라켓(110)에 가이드홈(17a)이 구비된 가이드 브라켓(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지지 플레이트(13)는 그 전면부에 시트백 내의 우레탄 패드와의 미끄러짐 성능을 증가시키기 위해 소정 간격을 두고 세로 길이 방향으로 길게 복수개의 돌기(13c)가 형성되고, 그 후부에 플레이트 자체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해 등판지지 판스프링(13b)이 각각 상,하,좌,우에 격자구조 형태로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2002-0071017A 2002-11-15 2002-11-15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04945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017A KR100494550B1 (ko) 2002-11-15 2002-11-15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71017A KR100494550B1 (ko) 2002-11-15 2002-11-15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3025A true KR20040043025A (ko) 2004-05-22
KR100494550B1 KR100494550B1 (ko) 2005-06-13

Family

ID=37339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71017A KR100494550B1 (ko) 2002-11-15 2002-11-15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945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475A (ko) * 2002-09-25 2004-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1046606B1 (ko) * 2009-02-20 2011-07-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럼버서포트
CN108275036A (zh) * 2017-01-05 2018-07-13 福特全球技术公司 具有改进的进入系统和模块化头部约束组件的高性能座椅总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6071B1 (ko) 2006-12-11 2011-01-06 슈크라 오브 노스 아메리카 리미티드 기후 대응 좌석용 척추 시스템
KR101122980B1 (ko) 2009-05-27 2012-03-15 홍정명 자동차 시트용 람버서포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7278A (en) * 1991-03-13 1993-06-08 Findlay Industries, Inc. Mechanism for providing adjustable lumbar support in a seat
DE4320105C1 (de) * 1993-06-17 1994-10-13 Ameu Management Corp Verstellvorrichtung für ein biegeelastisches Stützelement einer Rückenlehne
US5344211A (en) * 1993-08-05 1994-09-06 Riyaz Adat Adjustable backrest
KR970005887Y1 (ko) * 1995-03-25 1997-06-1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좌석용 요추받이
KR0127067B1 (ko) * 1995-06-30 1998-04-07 김태구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KR19990020106U (ko) * 1997-11-24 1999-06-15 정몽규 자동차용 시트의 허리지지조절장치
KR100414787B1 (ko) * 2000-06-16 2004-01-13 홍정명 자동차시트의 람버 서포트 제어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6475A (ko) * 2002-09-25 2004-03-3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1046606B1 (ko) * 2009-02-20 2011-07-06 주식회사다스 시트의 럼버서포트
CN108275036A (zh) * 2017-01-05 2018-07-13 福特全球技术公司 具有改进的进入系统和模块化头部约束组件的高性能座椅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94550B1 (ko) 2005-06-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23441B2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US8235467B2 (en) Vehicle seat
WO2012023520A1 (ja) シートクッションシェルユニット及び車両用シェル型シート
JP2002144938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8526425A (ja) 車両用シート
JP2003341401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3783225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20060103302A (ko) 자동차용 슬라이드형 헤드레스트
KR100534957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20020090668A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JP2001058533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JP2002160567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102647189B1 (ko) 차량용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JP2006111066A (ja) 車両用シート
KR20060024291A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장치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200147148Y1 (ko) 자동차용 팔받침대
KR100214999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
JP2001238753A (ja) 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3341400A (ja) 自動車用シートバック
KR10018716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트구조
KR10049454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3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9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