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21087A -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21087A
KR20030021087A KR1020010054583A KR20010054583A KR20030021087A KR 20030021087 A KR20030021087 A KR 20030021087A KR 1020010054583 A KR1020010054583 A KR 1020010054583A KR 20010054583 A KR20010054583 A KR 20010054583A KR 20030021087 A KR20030021087 A KR 200300210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bar support
cam
support plate
lumbar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45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병용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45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21087A/ko
Publication of KR20030021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108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6Lumbar supports vertical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기존의 요추 지지장치는 요추 지지판이 캠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의 허리를 보호하였는바, 상기 요추 지지판이 전후 방향으로만 작동되어 지지력의 방향을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에 작동 수단이 상하로 제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맞게 상하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킨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Lumbar support device for adjusting up and down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의 요추 지지장치는 요추 지지판이 캠에 의해 전방으로 돌출되어 운전자 및 탑승자의 허리를 보호하였는바, 상기 요추 지지판이 전후 방향으로만 작동되어 지지력의 방향을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배제하고 대신에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에 작동 수단이 상하로 제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맞게 상하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요추 지지판을 가요성이 있는 스틸 패널로 하여 지지력을 넓은 범위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킨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있어서 시트는 차량 내부의 한정된 공간과 중량의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승객을 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바, 그 배치에 따라 프론트 시트와 리어 시트로 구분되며 프론트 시트에는 운전석, 조수석으로 나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차 시트는 프론트 시트의 운전석에 착석하는 운전자는 운전 습관 및 승객의 신체 조건에 따라 시트를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어 놓고 시트에 착석하도록 되어 있고, 반면에 리어시트에 착석하는 승객이 장신일 경우에는 프론트 시트를 앞으로 밀어 놓고 좌석에 착석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자동차의 시트중 프론트 시트의 경우 운전자의 등을 편안하게 지지하기 위한 등받이가 있는데, 이는 쿠션의 뒷쪽에 갖춰진 쿠션 브라켓과, 상부에 헤드 레스트가 끼워지고 그 하부에 회동장치를 마련하여 운전자로 하여금 시트의 가장 편한 자세로 조절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한 자동차의 등받이에는 등을 편안하게 감싸주는 완충장치와 허리를 편안하게 지지하여주는 요추 지지장치가 있다.
도 3은 종래의 자동차용 요추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종래의 요추 지지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의 허리부분이 얼마간 앞으로 돌출되면서 허리를 편안하게 지지하여 줌으로써 오랜 운전에도 요통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캠의 편심량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살펴보면, 종래의 요추 지지장치(100)는 운전자의 허리에 해당되는 부분에 요추 지지판(110)을 장착하고, 이 요추 지지판(110)을 와이어(120)로 지지하면서 양측으로 연장되어 일측은 시트의 시트백 프레임(130)에 다른 일측은 캠(200)의 측면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기 캠(200)은 작동 레버(210)와 일체된 캠축(220)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요추 지지장치(100)는 탑승자의 착좌자세가 다르기 때문에 허리의 지지력을 요하는 신체 부위가 다르고, 장기간의 운전중에 피로감을 느끼는 신체 부위 또한 승차 시간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방향성이 전후 방향으로만 이루어지는 종래의 요추 지지장치는 다양한 탑승자의 요구와 지지력의 방향을 변경하는데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에 작동 수단이 상하로 제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맞게 상하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한편, 요추 지지판을 가요성이 있는 스틸 패널로 하여 지지력을 넓은 범위에 골고루 분산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킨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안출의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의 가이드 브라켓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종래의 요추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백 프레임11 : 가이드 브라켓
12 : 캠13 : 캠축
14 : 작동 레버15 : 요추 지지판
16 : 가이드홀16a : 오목부
17 : 복원 스프링
이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탑승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 지지판(15)과;
상기 요추 지지판(15)을 밀어 지지량을 변화시키는 캠(12)과;
상기 캠(12)의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는 캠축(13)과;
상기 캠축(13)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캠(12)을 구동시키는 작동 레버(14)와;
상기 캠축(13)이 상하로 제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16)에 오목부(16a)가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11)과;
상기 요추 지지판(15)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그 요추 지지판(15)의모서리부에 탄설된 복원 스프링(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캠(12)의 폭은 그 캠(12)의 지지력이 넓은 범위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상기 요추 지지판(15)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추 지지판(15)은 지지면의 돌출면이 축소되어 확실한 요추지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작동도이다.
여기서, 도면 부호 10은 시트백 프레임을 나타낸다.
상기 시트백 프레임(10)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11)에는 운전자의 요추에 해당되는 부분에 요추 지지판(15)을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인 캠(12)과, 상기 캠(12)의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는 캠축(13)과, 상기 캠축(13)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캠(12)을 구동시키는 작동 레버(14)가 장착되고, 그 캠(12)의 전방 위치에 상기 요추 지지판(15)이 장착되는바, 상기 가이드 브라켓(11)에는 캠축(13)이 상하로 제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오목부(16a)가 형성된 가이드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요추 지지판(15)에는 각각의 모서리부에 복원 스프링(17)이 탄설되어 요추 지지판(15)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요추 지지판(15)은 가요성이 있는 스틸 재질로 형성되어 캠(12)이 지지할 시, 지지면이 돌출되는 한편, 그 지지면의 돌출면이 축소되므로 그만큼 확실한 요추지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캠(12)의 폭은 상기 요추 지지판(15)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어 캠(12)의 지지력이 넓은 범위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는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맞게 작동 레버(14)를 상하로 이동시키면 상기 작동 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캠(12)과 캠축(13)이 상하로 이동되게 된다.
이때, 상기 캠축(13)은 가이드 브라켓(11)에 형성된 가이드홀(16)의 오목부(16a)를 따라 단계적으로 다음 단으로 넘어가며 이 오목부(16a)에서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이후, 상기 지지력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캠(12)을 회전시켜 상기 가요성이 있는 요추 지지판(15)이 전방으로 돌출되게 된다.
한편, 상기 요추 지지판(15)를 원상태로 복귀시키고자 할시에 다시 작동 레버(14)를 회전시켜 처음 상태로 하면 복원 스프링(17)의 복원력에 의해 요추 지지판(15)이 제자리로 복귀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는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에 고정된 가이드 브라켓에 작동 수단이 상하로 제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오목부가 형성된 가이드홀을 형성하여 탑승자의 착좌 자세에 맞게 상하로 이동시킨 후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탑승자의 편의성을 한층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탑승자의 요추를 지지하는 요추 지지판(15)과;
    상기 요추 지지판(15)을 밀어 지지량을 변화시키는 캠(12)과;
    상기 캠(12)의 좌우 방향으로 고정되는 캠축(13)과;
    상기 캠축(13)의 일단에 장착되어 상기 캠(12)을 구동시키는 작동 레버(14)와;
    상기 캠축(13)이 상하로 제한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가이드홀(16)에 오목부(16a)가 형성된 가이드 브라켓(11)과;
    상기 요추 지지판(15)이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그 요추 지지판(15)의 모서리부에 탄설된 복원 스프링(17)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캠(12)의 폭은 그 캠(12)의 지지력이 넓은 범위에 골고루 분산되도록 상기 요추 지지판(15)의 폭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요추 지지판(15)은 지지면의 돌출면이 축소되어 확실한 요추지지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가요성의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1020010054583A 2001-09-05 2001-09-05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200300210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583A KR20030021087A (ko) 2001-09-05 2001-09-05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4583A KR20030021087A (ko) 2001-09-05 2001-09-05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1087A true KR20030021087A (ko) 2003-03-12

Family

ID=27722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4583A KR20030021087A (ko) 2001-09-05 2001-09-05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2108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03B1 (ko) * 2005-05-23 2007-04-17 (주)체어텍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EP3369615A4 (en) * 2015-10-27 2019-06-26 Tachi-S Co., Ltd. VEHICLE SEAT
WO2020037232A1 (en) * 2018-08-16 2020-02-20 Sears Manufacturing Co. Adjustable lumbar support for a vehicle seat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03B1 (ko) * 2005-05-23 2007-04-17 (주)체어텍 가변 등받이를 갖는 의자
EP3369615A4 (en) * 2015-10-27 2019-06-26 Tachi-S Co., Ltd. VEHICLE SEAT
US10556527B2 (en) 2015-10-27 2020-02-11 Tachi-S Co., Ltd. Vehicle seat
WO2020037232A1 (en) * 2018-08-16 2020-02-20 Sears Manufacturing Co. Adjustable lumbar support for a vehicle seat
CN112533791A (zh) * 2018-08-16 2021-03-19 西尔斯制造公司 车辆座椅的可调节腰部支撑
JP2021534031A (ja) * 2018-08-16 2021-12-09 シアーズ・マニュファクチュアリング・カンパニーSears Manufacturing Company 車両シート用調整可能なランバーサポート
EP3768553A4 (en) * 2018-08-16 2021-12-22 Sears Manufacturing Company ADJUSTABLE LORDOSE SUPPORT FOR A VEHICLE SEAT
CN112533791B (zh) * 2018-08-16 2023-06-16 西尔斯制造公司 车辆座椅的可调节腰部支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83225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KR100462492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JP2624096B2 (ja) シート装置
US9119472B2 (en) Movable seat insert
KR20060024291A (ko) 자동차용 럼버 서포트 장치
KR20030037001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20040037932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헤드레스트 장치
KR20030021391A (ko) 자동차용 s-스프링을 이용한 요추 지지장치
KR20030037943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100492228B1 (ko) 자동차용 시트백의 요추조절장치
KR200150389Y1 (ko)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0158340B1 (ko) 자동차 시트의 패드
KR200346887Y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20020095814A (ko) 자동차용 더블캠을 장착한 요추 지지장치
KR100353725B1 (ko) 자동차의 팔걸이 높이 조절장치
KR19980060250A (ko) 쿠션용 헤드 레스트
KR100197255B1 (ko) 차량의 시트 백의 허리 지지장치
KR100534958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JP2024062475A (ja) シート
KR100292865B1 (ko) 자동차용리어시트의쿠션조절장치
KR200326840Y1 (ko) 자동차 시트용 머리받침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