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340B1 - 자동차 시트의 패드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패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340B1
KR0158340B1 KR1019950057483A KR19950057483A KR0158340B1 KR 0158340 B1 KR0158340 B1 KR 0158340B1 KR 1019950057483 A KR1019950057483 A KR 1019950057483A KR 19950057483 A KR19950057483 A KR 19950057483A KR 0158340 B1 KR0158340 B1 KR 01583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spring
seat
present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7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400A (ko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57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340B1/ko
Publication of KR9700364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4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3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패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 시트 패드(100)의 중앙에 스프링의 탄성계수와 동일한 경도를 갖는 허리 받침부(120)를 설치한 것인바, 본 발명에 의하면 탑승객의 허리부위만 비교적 단단한 경도로 보강해주므로써, 스프링을 생략하여 원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 조립작업의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패드
제1도는 종래의 자동차 시트의 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패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측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패드 120 : 허리 받침부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패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 패드의 허리 부위를 경도가 높은 재질로 형성시켜 프레임의 스프링과 동일한 탄성계수를 갖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패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등받이부와, 좌부 및 지지부로 구성되고, 탑승객이 안락한 자세로 승차감을 느끼도록 상측에는 승객의 후두부를 지지하는 헤드 레스트가 부착되며, 전, 후로 이동되는 시트 슬라이드장치 및 적당한 각도로 조절하는 리클라이닝장치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의 시트 등받이부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스프링(12)이 횡 방향으로 끼워지는 프레임(1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의 외측 표면에는 우레탄재질의 패드(20)가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시트의 등받이부는 탑승객의 허리부위에 위치하여 보강해주도록 탄성계수가 높은 스프링을 프레임에 끼워 사용하고 있으나, 상기한 스프링의 사양에 따라 일일이 패드를 그 스프링에 대응되도록 하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탑승객의 허리부위를 용이하게 보강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시트의 패드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 등받이부의 패드 중앙에 경도(硬度)가 높은 허리 받침부를 설치한 것으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패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스프링이 횡 방향으로 끼워지는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 표면에는 우레탄재질의 패드가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부에 잇어서, 상기 패드(100)의 중앙에 스프링의 탄성계수와 동일한 경도를 갖는 허리 받침부(120)를 설치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승객이 차량의 실내에 탑승할 때 허리 부위를 경도가 단단한 상기 패드(100)의 허리 받침부(120)에 지지되도록 하여 주행중에 탑승객의 허리 부위를 보강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탑승객의 허리 부위를 지지할 수 있는 허리 받침부를 패드의 중앙에 설치하여 다른 부위의 경도와는 다른 탄성계수를 갖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프레임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생략하여 원가 절감 및 시트 조립작업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프링과 혼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1)

  1. 내부에는 스프링이 횡 방향으로 끼워지는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측 표면에는 우레탄재질의 패드가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는 종래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부에 있어서, 상기 패드(100)의 중앙에 상기 스프링의 탄성계수와 동일한 경도를 갖는 허리 받침부(120)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패드.
KR1019950057483A 1995-12-27 1995-12-27 자동차 시트의 패드 KR015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483A KR0158340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시트의 패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7483A KR0158340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시트의 패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400A KR970036400A (ko) 1997-07-22
KR0158340B1 true KR0158340B1 (ko) 1998-12-01

Family

ID=19444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7483A KR0158340B1 (ko) 1995-12-27 1995-12-27 자동차 시트의 패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34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400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3593A (en) Lumbar support device
JPH03139442A (ja) 自動車
US4793653A (en) Reclining device for automotive seat
KR0158340B1 (ko) 자동차 시트의 패드
JPH0655176B2 (ja) 樹脂製シ−トフレ−ム
US11040645B2 (en) Seat back
JP2587236Y2 (ja) 車両用シート
KR100197170B1 (ko) 시트 백 형상 변형기능을 갖는 시트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0118778B1 (ko) 자동차의 시트
KR200357660Y1 (ko) 승용차용 안락 뒷좌석 장치
KR0111311Y1 (ko) 브레이크 연동식 차량 시트 등받이 럼버
JP2001204579A (ja) 弾性面体シート
KR100398106B1 (ko) 차량용 시트쿠션 스프링의 위치조절장치
JPH10165256A (ja) シートサイドガーニッシュ
KR960004707Y1 (ko) 자동차용 시이트백의 럼버판지지구조
FR2425957A1 (fr) Dispositif de support de sieges pour vehicules permettant le renforcement de la securite des passagers en cas de chocs lateraux
KR100526981B1 (ko) 차량용 시트의 요추 받침장치
JPH0513242Y2 (ko)
JPH0672443U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JP3680606B2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
JPH054746Y2 (ko)
KR200150394Y1 (ko) 시트 백의 허리 지지 조절장치
KR0163338B1 (ko) 허리받이쿠션이 내장된 자동차의 시트
KR0115873Y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