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0389Y1 -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0389Y1
KR200150389Y1 KR2019950024223U KR19950024223U KR200150389Y1 KR 200150389 Y1 KR200150389 Y1 KR 200150389Y1 KR 2019950024223 U KR2019950024223 U KR 2019950024223U KR 19950024223 U KR19950024223 U KR 19950024223U KR 200150389 Y1 KR200150389 Y1 KR 2001503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r seat
seat cushion
gear
height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242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2825U (ko
Inventor
임인오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242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0389Y1/ko
Publication of KR9700128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28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03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03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 B60N2/18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cinematic pivoting about an axis located in the r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 B60N2/1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the front or the rear portion of the seat being adjustable, e.g. independently of each other characterised by the drive mechanism
    • B60N2/1864Gear wheel driven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리어 시트쿠션(12)의 측방에 제공되는 너브(16)를 회전시키면 반원형 기어(20)가 상기 슬로트(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기어(18)와 반원형 기어(20)의 맞물림 위치가 변화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리어 시트쿠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제1도는 선행기술에 따른 리어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본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가 리어 시트쿠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높이 조절장치 12 : 리어 시트쿠션
14 : 시트백 16 : 너브
18 : 기어 20 : 반원형 기어
22 : 슬로트 24 : 받침턱
26 : 서포트 바아 28 : 플로어 패널
50 : 리어 시트쿠션 52 : 리어 시트백
본 고안은 리어 시트쿠션(rear seat cushion)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간단한 구조로 리어시트쿠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여 리어 시트쿠션이 탑승자의 신체특성에 적합한 지지구조를 취하도록 하므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키게 되며 리어 시트쿠션의 상품성을 증가시키게 되는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height adjustor of rear seat cushion)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승용차의 시트에는 버킷 시트, 벤치 시트 및 리클라이닝 시트가 있으며; 버킷 시트(bucket seat)는 승객 개개인의 몸을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를 말하고, 시트가 1인용으로 나누어져 있으므로 세퍼레이트 시트(separate seat)라고도 한다. 벤치 시트(bench seat)는 승용차의 뒷좌석에 사용되는 벤치 모양의 시트로서 버킷 시트와 대도적으로 쓰이는 표현이다. 리클라이닝 시트(recliningseat)는 시트의 등받이(시트백)각 조정가능하도록 된 시트로서 적절한 운전을 할수 있는 목적외에, 휴식을 위해 시트를 눕혀 수면을 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트 슬라이드(seat slide)는 운전자의 신체 크기에 따라 시트가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구를 말하며, 시트 슬라이드나 리클라이닝 기구 등을 총칭하여 시트 어저스터(seat adjustor)라고 한다. 시트 어저스터는 시트 쿠션의 회전이나 기울기(높이)조절이 가능하게 되도록 하는 기구를 포함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선행기술에 따른 리어 시트를 나타내는 측면도를 도시하고, 리어 시트는 리어 시트쿠션(50)과 리어 시트백(52)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리어 시트쿠션(50)이 리어 시트백(52)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에는, 리어 시트쿠션의 높이조절이 불가능하게 되어 시트쿠션에 앉은 탑승객의 대퇴부가 전방을 향하여 점진적으로 미끄러지는 서브마린 형상이 발생되어 승차감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리어 시트쿠션에 서포트 패널을 추가하여 상기와 같은 서브마린 형상을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도 제안되 바 있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효과면에서 만족할 만한 것이 되지는 못하였다.
본 고안은 상기항 바와같은 선행기술에 따른 리어 시트쿠션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리어 시트쿠션의 높이가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리어 시트쿠션이 탑승자의 신체특성에 적합한 지지구조를 취하도록 하므로써 승차감을 향상 시키게 되며 리어 시트쿠션의 상품성을 증가시키게 되는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본 고안에 따른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높이 조절장치는, 리어 시트쿠션의 하방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단부에는 너브가 고정되며 중간부분에는 하나 이상의제1기어가 고정되는 서포트 바아, 및 플로어 패널에 형성되는 슬로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제1기어에 맞물리게 되는 하나 이상의 제2기어를 구비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상기 특성에 따라, 리어 시트쿠션의 측방에 제공되는 너브를 회전시키면 제2기어가 상기 슬로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제1기어와 제2기어의 맞물림 위치가 변화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리어 시트쿠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어, 리어 시트쿠션이 탑승자의 신체특성에 적합한 지지구조를 취하도록 하므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수 있게 되며, 리어 시트쿠션의상품성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술하며,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기도 한다.
제2도를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높이 조절장치가 리어 시트쿠션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를 도시하고;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도시한다. 본 고안에 따른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10)는 리어 시트쿠션(12)에 설치된다. 도면부호 14는 리어 시트백을 나타낸다.
높이 조절장치(10)는 서포트 바아(26)를 포함하며, 서포트 바아(26)는 리어 시트쿠션(12)의 하방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서포트 바아(26)의 양단부에는 너브(16)가 각각 고정되고, 서포트 바아(26)의 중간부분에는 기어(18)가 고정된다.
상기 기어(18)의 하방에서 플로어 패널(28)에는 차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로트(22)가 형성되며, 상기 슬로트(22)에는 반원형 기어(20)의 봄통부분이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수납되고, 상기 반원형 기어(20)는 상기 기어(18)에 맞물리게 된다. 슬로트(22)의 주변부는 반원형 기어(20)의 슬라이딩 이동에 대한 받침턱(24)을 형성하게 된다.
물론, 본 고안의 본 실시예에서는 , 상기 기어(18) 및 반원형 기어(20)가 각각 하나씩 제공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두 개 이상의 기어 및 이에 대응되는 두 개 이사의 반원형 기어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본 고안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에 따라, 리어 시트쿠션(12)의 측방에 제공되는 너브(16)를 회전시키면 반원형 기어(20)가 상기 슬로트(22)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되면서 기어(18)와 반원형 기어(20)의 맞물림 위치가 변화되므로, 간단한 구조로 리어 시트쿠션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게 되어, 리어 시트쿠션이 탑승자의 신체특성에 적합한 지지구조를 취하도록 하므로써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리어 시트쿠션의 상품성을 증가 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고안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1)

  1.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리어 시트쿠션의 하방에 회전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되고 단부에는 너브가 고정되며 중간부분에는 하나 이상의 제1기어가 고정되는 서포트 바아, 및 플로어 패널에 형성되는 슬로트를 따라 슬라이딩 이동가능한 방식으로 설치되면서 상기 제 1기어에 맞물리게 되는 하나 이상의 제2기어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2019950024223U 1995-09-06 1995-09-06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2001503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223U KR200150389Y1 (ko) 1995-09-06 1995-09-06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24223U KR200150389Y1 (ko) 1995-09-06 1995-09-06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825U KR970012825U (ko) 1997-04-25
KR200150389Y1 true KR200150389Y1 (ko) 1999-07-01

Family

ID=194229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24223U KR200150389Y1 (ko) 1995-09-06 1995-09-06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03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2825U (ko) 199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00394B1 (en) Seat arrangement for vehicle
CN108725280A (zh) 用于汽车座椅的扶手模块
KR200150389Y1 (ko) 리어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200150390Y1 (ko)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100302419B1 (ko) 이동가능한차량용시트쿠션장치
JP2903398B1 (ja) 座席用脇の下支持装置
KR20030021087A (ko) 자동차의 상하 조절용 요추 지지장치
KR200140918Y1 (ko) 시트 쿠션의 조절장치
KR100398128B1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받침장치
JPS62518Y2 (ko)
KR100444673B1 (ko) 자동차용 시트의 틸팅장치
KR19990018485U (ko) 시트의 시트백 높이 조절장치
JPS625392Y2 (ko)
KR100205891B1 (ko) 시트쿠션의 대퇴부 각도 조절장치
KR20030017727A (ko) 자동차용 시트
JPH0332434Y2 (ko)
KR980008729A (ko) 자동차 세퍼레이트 시트용 볼스터(Bolster) 조절장치
KR0140757Y1 (ko) 확장 가능한 자동차용 시이트
JPH0215706Y2 (ko)
JPH0625163Y2 (ja) 車両用シート
KR0138677Y1 (ko) 자동차 시트쿠션의 주름 제어장치
KR20030037001A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KR960009968Y1 (ko) 상하이동되는 요추받침구가 설치된 자동차용 시트
KR0145971B1 (ko) 헤드레스트의 전,후위치 가변구조
KR19980028225A (ko) 자동차 시트의 허리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