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067B1 -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7067B1
KR0127067B1 KR1019950018944A KR19950018944A KR0127067B1 KR 0127067 B1 KR0127067 B1 KR 0127067B1 KR 1019950018944 A KR1019950018944 A KR 1019950018944A KR 19950018944 A KR19950018944 A KR 19950018944A KR 0127067 B1 KR0127067 B1 KR 01270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frame
support device
wire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0802A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18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7067B1/ko
Publication of KR9700008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70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70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럼버서포트 장치가 요추의 곡선을 따라 휨변형 되도록하여 받쳐진 상태가 안정되도록 하고 또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자동차의 럼버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시트의 시트등받이프레임 내측에 놓이는 금속망체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후방으로 결합된 탄성편과, 그리고 상기 탄성편의 하부가 상부 쪽으로 당겨져 상기 받침부재가 요추의 곡선을 따라 휘도록하는 견인부재가 구비된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제1도는 종래 시트등받이프레임의 정면도.
제2도는 종래 럼버서포트 장치의 평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등받이프레임의 정면도.
제4도는 본 발명 럼버서포트 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 럼버서포트장치의 일부 발췌 정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 럼버서포트장치의 일부 발췌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등받이 11 : 시트등받이프레임
11b : 미끄럼부 20 : 럼버서포트수단
21 : 받침부재 22 : 탄성편
30 : 견인부재 30a : 견인부
31,31a : 안내부 32 : 와이어
32a : 걸림구 32c : 연결구
33 : 조절손잡이 33a : 걸림턱
34 : 브래킷 35 : 암나사부
36 : 숫나사부 37 : 슬리브
37a : 돌기 38 : 안내판
38a : 통로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된 럼버서포트가 허리 곡선을 따라 형성되도록 하여 받쳐진 상태가 향상되도록하고 또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럼버서포트는 시트의 등받이에 설치된다. 즉 등받이에 설치된 상태에서 허리 부근의 요추(腰椎)쪽으로 이동 조절되고 조절된 상태에서 요추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럼버서포트 장치는 제1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의 등받이(1) 골격을 구성하는 시트등받이프레임(1a)의 하부로 설치된 받침판(2), 시트등받이프레임(1a)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편심된 캠(5)을 회전시키는 조절손잡이(6), 일측은 캠(5)과 연동되고 타측은 받침판(2)의 후방에 결합된 링크(3)로 구성된다. 그리고 링크(3)는 캠(5) 근방으로 형성된 힌지부(4)를 중심으로 요추 쪽으로 회동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럼버서포트 장치는 받침판(2)이 요추 쪽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링크(3)에 의해 시트등받이프레임(1a)에 설치된다. 그리고 조절손잡이(6)를 회전 조작하면 캠(5)이 회전되면서 링크(3)가 힌지부(4)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유동되고 이때 받침판(2)이 함께 유동된다. 따라서 받침판(2)이 시트등받이프레임(1a)의 전,후방으로 돌출된 량이 조절된다.
한편 받침판(2)은 전,후방으로 완충성을 갖는다. 즉 링크(3)가 자체 탄성력을 갖는 것으로서, 받침판(2)에 하중이 가해지면 힌지부(4)를 중심으로 전,후방으로 유동된다. 따라서 요추가 닿으면 그 하중이 받침판(2)을 통하여 링크(3)로 전달되고 이때 링크(3)의 완충력에 의해 요추가 받쳐진다.
그러나 받침판(2)이 평판의 형태로 구성되므로 요추의 받쳐진 상태가 불완전하다. 즉 인체 구조상 앉은 상태에서 요추가 약간 휘게 된다. 그러나 평판의 형태로 구성된 받침판(2)은 휘어진 요추를 완벽하게 받쳐줄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받침판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링크(3)와 힌지부(4)가 구비되고 또한 링크(3)는 편심된 캠(5)에 의해 전,후방으로 유동되면서 받침판(2)의 돌출된 상태가 조절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조립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럼버서포트 장치가 요추의 곡선을 따라 휨변형 되도록하여 받쳐진 상태가 안정되도록하고 또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도록한 자동차의 럼버서포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트의 시트등받이프레임 내측에 놓이는 금속망체의 받침부재와, 상기 받침부재 후장으로 결합된 탄성편과, 그리고 상기 탄성력의 하부가 상부 쪽으로 당겨져 상기 받침부재가 요추의 곡선을 따라 휘도록하는 견인부재가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시트등받이프레임의 정면도이다. 즉 시트의 등받이(10) 내부에 내장된 시트등받이프레임(11)의 상부 내측으로 허리 상부를 받쳐주는 쿠션판(11a)이 구비되고 또한 쿠션판(11a) 하부 쪽으로 허리 하부의 요추를 받쳐주는 받침부재(21)가 구비된다. 쿠션판(11a)은 파형으로 굴곡 형성된 스프링이 사용된다. 또한 받침부재(21)는 요추의 곡선을 따라 전,후방으로 휨변형 되도록 하는 럼버서포트수단(20)이 구비된다. 즉 받침부재(21)의 상,하단이 서로 근접되어 중앙이 전방 쪽으로 돌출 되도록 한다.
제4도는 본 발명 럼버서포트 장치의 분리 사시도이다. 즉 럼버서포트수단(20)은 받침부재(21)후방으로 다수개 배열된 탄성편(22), 그리고 각 탄성편(22)의 하단이 상단 쪽으로 이동되어 중앙이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는 견인부재(30)가 구비된다. 한편 받침부재(21)는 탄성편(22)의 휨변형을 수용하기 위해 완충성을 갖는 금속망체로 구성된다.
견인부재(30)는 각 탄성편(22)의 상,하단에 형성된 안내부(31)(31a), 하단이 하부쪽의 안내부(31a)에 걸린 상태로 상부쪽의 안내부(31)를 관통하는 와이어(32), 시트등받이프레임(11)의 일측으로 회전가능토록 설치된 조절손잡이(33), 그리고 조절손잡이(33)의 회전에 따라 왕복 이동되고 일측으로 각 와이어(32)의 선단이 결합된 견인부(30a)가 구비된다. 이때 각 와이어(32)는 로울러(32b)를 통하여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견인부(30a)에 결합된다.
제5도는 본 발명 럼버서포트 장치의 일부 발췌 정단면도이다. 조절손잡이(33)는 외주면에 걸림턱(33a)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암나사부(35)가 형성된다. 또한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는 걸림턱(33a)에 끼워지는 브래킷(34)이 구비된다. 즉 조절손잡이(33)가 회전되면 걸림턱(33a)이 브래킷(34)에 걸린 상태에서, 전,후방으로 유동되지 않고 제자리에서 회전만 하게 된다.
또한 견인부(30a)는 암나사부(35)에 체결되는 숫나사부(36), 숫나사부(36)의 일측으로 헛돌게 결합된 슬리브(37), 그리고 슬리브(37)가 왕복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관(38)이 구비된다. 즉 슬리브(37)는 외주면 상,하부로 돌기(37a)가 형성되고 안내관(38)은 내주면에 돌기(37a)가 끼워져 이동되는 통로(38a)가 형성된다. 또한 슬리브(37)의 후방으로 각 와이어(32)의 선단이 고정된 연결구(32c)가 체결 고정된다.
제6도는 본 발명 럼버서포트장치의 일부 발췌 측단면도이다. 탄성편(22) 상부에 형성된 안내부(31)는 시트등받이프레임(11)의 상부에 고정되고 또한 하부의 안내부(31a)는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 형성된 미끄럼부(11b)와 접한다. 그리고 와이어(32)는 하단이 하부쪽의 안내부(31a) 하단에 걸리도록 걸림구(32a)가 형성된다. 따라서 와이어(32)의 견인에 의해 하부쪽의 안내부(31a)가 상부로 이동될때 미끄럼부(11b)를 따라 상부로 이동 안내된다. 이 처럼 구성된 본 발명은 받침부재(21)의 후방으로 다수개의 탄성편(22)이 용접 등의 수단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각 탄성편의 상부에 있는 안내부(31)가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되고 또한 하부의 안내부(31a)는 미끄럼부(11b)에 마찰 접촉된다. 한편 와이어(32)의 선단이 하부의 안내부(31a)를 통하여 상부의 안내부(31)에 끼워진다. 이때 와이어(32)는 하단의 걸림구(32a)가 하부의 안내부(31a)에 걸리고 또한 해당 로울러(32b)를 따라 수직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연결구(32c)의 후방에 고정된다.
한편 숫나사부(36)가 슬리브(37)의 개방된 일측으로 끼워진 상태에서 연결구(32c)가 체결된다. 그리고 슬리브(37)의 외주연으로 안내관(38)이 끼워진다. 이때 안내관(38)의 내주면에 형성된 통로(38a)에 슬리브(37)의 돌기(37a)가 끼워지면 슬리브(37)가 안내관(38)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조립된다. 한편 조절손잡이(33)는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33a)이 브래킷(34)에 끼워진 상태에서 브래킷(34)이 시트등받이프레임(11)의 일측에 나사못 등으로 체결 고정된다. 그리고 숫나사부(36)가 조절손잡이(33)의 암나사부(35)에 체결되면 조절손잡이(33)와 와이어(32)가 연결된다.
이 처럼 조립되는 본 발명은 받침부재(21)의 후방으로 다수개의 탄성편(22)이 설치되고 또한 각 탄성편(22)에 형성된 안내부(31)가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되고 안내부(31a)가 미끄럼부(11b)에 면접된 상태로 시트의 등받이(10) 내부에 설치된다. 이때 조절손잡이(33)는 시트의 등받이(10) 외측으로 노출된다. 한편 받침부재(21)가 설치된 상태에서 요추가 기대지면 그 힘에 의해 탄성편(22)이 후방으로 밀린다. 즉 탄성편(22)의 상,하부에 형성된 안내부(31)(31a)를 중심으로 중앙이 후방으로 탄성 변형되고 이때 탄성편(22)과 일체로 결합된 받침부재(21)가 함께 밀리면서 요추가 완충된다.
또한 앉은 상태에 따라 받침부재(21)를 전방쪽으로 돌출시켜 요추를 받칠 수 있다. 즉, 조절손잡이(33)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걸림턱(33a)이 브래킷(34)에 걸린 상태이므로 공회전 하게 된다. 이때 숫나사부가(36) 암나사부(35)에 체결된 상태에서 암나사부(35)가 회전되므로 숫나사부(36)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숫나사부(36)는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 되면서 제5도의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되고 동시에 슬리브(37)가 함께 이동된다. 이때 슬리브(37)는 돌기(37a)가 통로(38a)에 걸린 상태이므로 회전되지 않고 이동된다.
한편 슬리브(37)가 이동되면 후방의 연결구(32c)에 결합된 각 와이어(32)가 당겨진다. 그리고 당겨지는 와이어(32)는 하단이 걸림구(32a)를 통하여 탄성편(22)하부의 안내부(31a)에 걸린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탄성편(22)의 하단이 상부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탄성편(22)의 상부는 안내부(31)를 통하여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탄성편(22)은 안내부(31)를 축으로 활처럼 휘게 된다. 그리고 탄성편(22)이 휨과 동시에 이와 결합된 받침부재(21)가 함께 휜다.
따라서 조절손잡이(33)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탄성편(22)의 휜 정도가 조절된다. 한편 탄성편(22)과 받침부재(21)가 휘면 시트의 등받이(10) 전방이 앞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고 요추의 받침상태가 안정될때 까지 조절손잡이(33)를 회전 시킨다. 한편 조절손잡이(33)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숫나사부(36)가 제5도의 도면상 우측으로 밀리면서 와이어(32)가 느슨해 진다. 이와 동시에 탄성편(22)이 복원되고 와이어(32)는 다시 긴장된다. 이때 탄성편(22)이 후방으로 들어가면서 탄성편(22)의 돌출 정도가 작게 조정된다.
한편 조절손잡이(33)의 회전 조작으로 받침부재(21)가 돌출되면 요추가 적극적으로 받쳐진다. 그리고 요추가 받쳐지면 그 힘에 의해 받침부재(21)가 후방으로 밀린다. 이때 밀리는 받침부재(21)는 탄성편(22)의 탄성력에 의해 완충된다. 즉 탄성편(22)이 상부의 안내부(31)가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의 안내부(31a)가 미끄럼부(11b)를 따라 하부로 이동되려 한다.
이때 하부의 안내부(31a)가 와이어(32)를 통하여 연결구(32c)와 연결된 상태이므로 그 이동이 저지된다. 따라서 탄성편(22)은 휜 상태에서 후방으로 약간 밀린다. 이때 밀리는 정도는 기대는 힘에 비례하고 어느정도 밀리면 자체탄성력으로 더이상 밀리지 않게 된다. 또한 요추를 기대지 않으면 밀렸던 탄성편(22)이 복원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조절손잡이를 회전시키면 와이어가 당겨지고 이때 와이어의 하단과 연결된 탄성편이 활처럼 휘게 된다. 또한 조절손잡이의 회전량에 따라 휜 정도가 조절되면서 등받이의 전방이 볼록하게 돌출된다. 또한 돌출된 등받이는 요추의 곡선에 밀착되므로 요추의 받쳐진 상태가 안정된다. 한편 조절손잡이와 탄성편이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되므로 구성이 간소화 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시트의 시트등받이프레임(11) 내측에 놓이는 금속망체의 받침부재(21)와, 상기 받침부재(21) 후방으로 결합된 탄성편(22)과, 그리고 상기 탄성편(22)의 하부가 상부 쪽으로 당겨져 상기 받침부재(21)가 요추의 곡선을 따라 휘도록하는 견인부재(30)를 구비하는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재(30)는 상기 탄성편(22)의 상,하부에 형성된 안내부(31)(31a)와, 하단이 상기 하부쪽 안내부(31a)에 끼워져 걸린 상태로 상기 상부쪽 안내부(31)를 이동가능하게 관통하는와이어(32)와, 상기 시트등받이프레임(11)의 일측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조절손잡이(33)와, 상기 조절손잡이(33)의 외주면에 걸림턱(33a)이 형성되고 상기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 상기 걸림턱(33a)이 공횐 되게 끼워지는 브래킷(34)과, 그리고 상기 조절손잡이(33)의 회전에 따라 왕복이동되고 후방으로 상기 와이어(32)의 선단이 고정된 견인부(30a)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쪽 안내부(31)는 상기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쪽 안내부(31a)는 상기 시트등받이프레임(11)에 형성된 미끄럼부(11b)에 면접되어 승강 이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부(30a)는 상기 조절손잡이(33)의 후방으로 형성된 암나사부(35)와, 상기 암나사부(35)에 체결되는 숫나사부(36)가 공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후단으로 상기 와이어(32)의 선단이 고정되며 외주면에 돌기(37a)가 형성된 슬리브(37)와, 그리고 상기 슬리브(37)의 외주면에 끼워져 상기 돌기(37a)가 이동안내되도록 통로(38a)가 형성된 안내관(38)을 구비함을 특징으로하는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32)의 하단에 걸림구(32a)가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31a) 하단에 걸리고 상단에 연결구(32c)가 형성되어 상기 슬리브(37)의 후단에 고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KR1019950018944A 1995-06-30 1995-06-30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KR01270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944A KR0127067B1 (ko) 1995-06-30 1995-06-30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944A KR0127067B1 (ko) 1995-06-30 1995-06-30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02A KR970000802A (ko) 1997-01-21
KR0127067B1 true KR0127067B1 (ko) 1998-04-07

Family

ID=19419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944A KR0127067B1 (ko) 1995-06-30 1995-06-30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70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424B1 (ko) * 2011-11-21 2013-08-0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4787B1 (ko) * 2000-06-16 2004-01-13 홍정명 자동차시트의 람버 서포트 제어장치
KR100494550B1 (ko) * 2002-11-15 2005-06-1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424B1 (ko) * 2011-11-21 2013-08-01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0802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60921B1 (en) Lumbar support adjustment mechanism
TW503194B (en) Convexity adjustable support, in particular, lumbar support for seats and stretchers of all kinds
US4641885A (en) Work chair having a vertically adjustable chair support
EP1377190B1 (en) Lumbar support device
EP0618774B1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seat arrangements providing adjustable lumbar support
US5911477A (en) Lumbar support structure for automotive vehicle
US4768829A (en) Adjustable chair
US6871913B2 (en) Head rest adjustment device
EP1733649A1 (en) Guiding element,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JPH0775608A (ja) 車両用シート
EP1762155B1 (en) Support assembly and corresponding seat structure
KR0127067B1 (ko) 자동차 시트의 럼버서포트 장치
CN107625323B (zh) 一种用于办公椅底盘的托架驱动机构
AU659862B2 (en) A pressure balanced torsion system for a backrest and the like
EP1918156B1 (en) Support assembly for a seat
JPH10179313A (ja) 椅子における背もたれの支持構造
US3441311A (en) Chair control
KR20000030074A (ko) 의자용 허리받이
US20070216207A1 (en) Lumbar Support
JP3393209B2 (ja) 椅 子
KR200172221Y1 (ko) 의자용 허리받이
KR102472402B1 (ko) 의자의 요추지지 기구
KR102366702B1 (ko) 머리받침부가 틸팅되는 의자
JPS5840928Y2 (ja) シ−トのクツシヨン圧調節機構
KR940006741Y1 (ko) 의자용 목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9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