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80642A -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 Google Patents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80642A
KR20140080642A KR1020120144948A KR20120144948A KR20140080642A KR 20140080642 A KR20140080642 A KR 20140080642A KR 1020120144948 A KR1020120144948 A KR 1020120144948A KR 20120144948 A KR20120144948 A KR 20120144948A KR 20140080642 A KR20140080642 A KR 20140080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module
link
carrier
st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44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8285B1 (ko
Inventor
권미선
허준열
차주현
유정상
나선채
김학균
정찬호
박찬욱
서진호
김윤호
김명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다이모스(주)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다이모스(주),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44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8285B1/ko
Priority to DE102013208786.1A priority patent/DE102013208786B4/de
Priority to US13/894,639 priority patent/US9096154B2/en
Priority to CN201310209311.4A priority patent/CN103863161B/zh
Publication of KR2014008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8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8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8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53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adjusting mechanisms, e.g. electric mo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리어시트(80)를 구성하는 헤드레스트(43)의 각도조절을 통해 리어시트(80) 승객의 머리를 항상 편안하게 지지하여 줄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RECLINING APPARATUS OF HEADREST FOR REAR SEAT IN VEHICLE}
본 발명은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리어시트에 구비된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인 승용 차량의 리어시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1a)과 시트쿠션(1b)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고정된 구조가 대부분으로, 장시간 탑승시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단점을 줄이기 위해 일부 고급 차량에는 도 2와 같이 필요시 시트쿠션(2b)을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고, 시트쿠션(2b)의 이동에 연동하여 시트백(2a)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기능이 구비된 리어시트(2)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리어시트(2)는 헤드레스트(2c)의 업(up) 또는 다운(down) 동작만 가능할 뿐 전후방향으로 각도조절이 불가능한 구조인 바, 이에 따라 시트백(2a)의 리클라이닝 동작 후 승객의 머리와 헤드레스트(2c)사이에 공간(C1)이 발생하고, 헤드레스트(2c)가 승객의 머리를 충분히 지지하여 주지 못함에 따라 승객이 여전히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다.
시트백(2a)의 리클라이닝 동작 후 헤드레스트(2c)에 승객이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서는 승객이 머리를 후방으로 완전히 눕혀야 하는데, 이럴 경우 전방 주시, 독서, 모니터 시청 등 릴렉스 모드 구현에 불편함이 수반된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10-2009-0055904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시트백의 리클라이닝 동작에 상관없이 승객의 머리를 항상 편안하게 지지하여 줄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승객의 편의성 향상 및 상품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리클라이닝 모터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캐리어 및 링크모듈을 포함하고;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모듈이 상기 캐리어 및 링크모듈의 작동력을 전달받아서 전후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백프레임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를 일체로 구비한 리클라이닝 모터; 상기 리드스크루와 나사 결합되어 설치되고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의 이동력을 헤드레스트 모듈에 전달할 수 있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캐리어가 승하강 이동할 때에 헤드레스트 모듈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헤드레스트 모듈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은 상기 링크모듈과 연결된 스테이가이드; 상기 스테이가이드를 관통해서 스테이가이드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레스트 스테이; 및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헤드레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모듈은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돌출된 링크브라켓; 상기 캐리어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위가 상기 링크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 하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링크브라켓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 상부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트백프레임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시트백프레임의 전방으로 타단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가 내측의 공간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에는 헤드레스트 모듈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스토퍼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프레임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일단이 결합된 부위가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후방스토퍼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의하면, 헤드레스트의 각도조절을 통해 리어시트 승객의 머리를 항상 편안하게 지지하여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과 도 2는 종래 리어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로서 작동 전 상태의 도면,
도 4는 도 3의 배면 사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작동 후 상태의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클라이닝 헤드레스트를 사용하고 있는 승객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닝 모터(20)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캐리어(30) 및 링크모듈(50)을 포함하고;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모듈(40)이 상기 캐리어(30) 및 링크모듈(50)의 작동력을 전달받아서 전후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시트백프레임(11)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21)를 일체로 구비한 리클라이닝 모터(20); 상기 리드스크루(21)와 나사 결합되어 설치되고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2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30); 및 상기 캐리어(30)의 이동력을 헤드레스트 모듈(40)에 전달할 수 있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캐리어(30)가 승하강 이동할 때에 헤드레스트 모듈(4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헤드레스트 모듈(4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모듈(50)을 포함한 구성이다.
여기서,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은 상기 링크모듈(50)과 연결된 스테이가이드(41); 상기 스테이가이드(41)를 관통해서 스테이가이드(4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레스트 스테이(42); 및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42)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헤드레스트(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링크모듈(50)은 상기 시트백프레임(11)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돌출된 링크브라켓(51); 상기 캐리어(3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위가 상기 링크브라켓(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 하부링크(52); 및 상기 하부링크(52)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링크브라켓(51)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 상부링크(53)를 포함한다.
상기 하부링크(52)는 제1힌지핀(61)을 매개로 캐리어(30)의 측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힌지핀(62)을 매개로 헤드레스트 모듈(40)을 구성하는 스테이가이드(4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제3힌지핀(63)을 매개로 링크브라켓(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상부링크(53)는 제4힌지핀(64)을 매개로 링크브라켓(51)과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제5힌지핀(65)을 매개로 헤드레스트 모듈(40)을 구성하는 스테이가이드(41)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구조이다.
상기 리클라이닝 모터(20)가 구동하고 리드스크루(21)가 회전해서 캐리어(30)가 리드스크루(21)를 따라 시트백프레임(11)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부링크(53)는 제3힌지핀(63)을 중심으로 제1힌지핀(61)이 상측으로 제2힌지핀(62)이 하측으로 이동하게 회전된다.
상기 하부링크(53)가 회전하면 스테이가이드(41)를 포함한 헤드레스트 모듈(40)은 시트백프레임(11)에 대해 회전하면서 헤드레스트(4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이동을 하게 되는 바, 즉 상기 하부링크(53)는 헤드레스트 모듈(40)을 회전시켜서 헤드레스트(43)가 전방으로 돌출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하부링크(53)에 의해 헤드레스트 모듈(40)이 회전을 하면, 스테이가이드(41)와 제5힌지핀(65)를 매개로 연결된 상부링크(53)는 제4힌지핀(64)을 중심으로 회전을 하게 되는 바, 이로 인해 스테이가이드(41)를 포함한 헤드레스트 모듈(40)은 아래로 하강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즉, 하부링크(53)의 회전에 의해 헤드레스트(43)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일동을 할 때에, 동시에 상부링크(53)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43)는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아래쪽으로 하강하는 이동을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상부링크(53)의 회전력으로 헤드레스트(43)를 아래로 하강시키는 이유는 시트백(2a)의 리클라이닝 동작 후 헤드레스트(43)를 승객의 머리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함이며, 이를 통해 승객의 머리는 헤드레스트(43)에 용이하게 지지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장치는 상기 시트백프레임(11)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시트백프레임(11)의 전방으로 타단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41)가 내측의 공간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프레임(70)에는 헤드레스트 모듈(40)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스토퍼(71)가 일체로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후방스토퍼는 상기 시트백프레임(11)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70)의 일단이 결합된 부위가 된다.
이하, 본 발명 실시예의 작용에 대해 설명한다.
도 3과 도 4는 헤드레스트(43)가 전방으로 돌출되지 않은 리클라이닝 동작 전의 상태이다.
상기의 상태에서 사용자의 스위치 조작에 의해 리클라이닝 모터(20)가 구동하고 리드스크루(21)가 회전해서 캐리어(30)가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리드스크루(21)를 따라 시트백프레임(11)의 상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하부링크(53)의 회전에 의해 헤드레스트 모듈(40)을 구성하는 헤드레스트(43)는 전방으로 회전되면서 돌출되고, 동시에 하부링크(53)의 회전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43)는 아래로 하강하는 이동을 하게 된다.
즉, 도 7과 같이 작동 전 P1의 상태로 존재하고 있던 헤드레스트(43)는 링크모듈(50)의 회전에 의해 작동 후 P2의 상태와 같이 전방으로 회전 돌출되면서 아래로 하강 이동된 상태가 되는 것이다.(화살표 M1)
상기와 같이 하부링크(52)에 의해 전방으로 회전해서 돌출되고 동시에 상부링크(53)에 의해 아래로 하강 이동한 헤드레스크(43)는, 도 8과 같이 리어시트(80)를 구성하는 시트쿠션(81)이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하고 시트쿠션(81)의 이동에 연동해서 시트백(82)이 후방으로 젖혀진 상태일 때, 승객의 머리를 향해 이동한 상태가 됨으로써 리클라이닝 동작 후의 헤드레스크(43)는 리어시트(80) 승객의 머리를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장치는 헤드레스트(43)의 각도조절을 통해 리어시트(80) 승객의 머리를 항상 편안하게 지지하여 줄 수 있게 됨으로써 승객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차량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1 - 시트백프레임 20 - 리클라이닝 모터
21 - 리드스크루 30 - 캐리어
40 - 헤드레스트 모듈 50 - 링크모듈
70 - 가이드프레임

Claims (6)

  1. 리클라이닝 모터(20)의 동력으로 작동하는 캐리어(30) 및 링크모듈(50)을 포함하고;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 모듈(40)이 상기 캐리어(30) 및 링크모듈(50)의 작동력을 전달받아서 전후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시트백프레임(11)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21)를 일체로 구비한 리클라이닝 모터(20);
    상기 리드스크루(21)와 나사 결합되어 설치되고 축회전하는 리드스크루(21)를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캐리어(30); 및
    상기 캐리어(30)의 이동력을 헤드레스트 모듈(40)에 전달할 수 있게 설치된 것으로 상기 캐리어(30)가 승하강 이동할 때에 헤드레스트 모듈(40)의 각도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헤드레스트 모듈(40)을 전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링크모듈(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은 상기 링크모듈(50)과 연결된 스테이가이드(41);
    상기 스테이가이드(41)를 관통해서 스테이가이드(41)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헤드레스트 스테이(42); 및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42)의 상부에 일체로 결합된 헤드레스트(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링크모듈(50)은 상기 시트백프레임(11)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타단이 하측으로 돌출된 링크브라켓(51);
    상기 캐리어(3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중간부위가 상기 링크브라켓(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 하부링크(52); 및
    상기 하부링크(52)의 위쪽에 위치하고 상기 링크브라켓(52)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설치된 상부링크(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11)의 상부에 일단이 고정 결합되고 시트백프레임(11)의 전방으로 타단이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헤드레스트 스테이(42)가 내측의 공간을 상하로 관통하여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의 전후방향 각도조절시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7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70)에는 헤드레스트 모듈(40)의 전방이동을 제한하는 전방스토퍼(71)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프레임(11)에서 상기 가이드프레임(70)의 일단이 결합된 부위가 상기 헤드레스트 모듈(40)의 후방이동을 제한하는 후방스토퍼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20120144948A 2012-12-12 2012-12-12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428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948A KR101428285B1 (ko) 2012-12-12 2012-12-12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DE102013208786.1A DE102013208786B4 (de) 2012-12-12 2013-05-14 Neigungs-verstellvorrichtung einer kopfstütze für einen rücksitz in einem fahrzeug
US13/894,639 US9096154B2 (en) 2012-12-12 2013-05-15 Reclining apparatus of headrest for rear seat in vehicle
CN201310209311.4A CN103863161B (zh) 2012-12-12 2013-05-30 用于车辆中的后座的头枕的斜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44948A KR101428285B1 (ko) 2012-12-12 2012-12-12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80642A true KR20140080642A (ko) 2014-07-01
KR101428285B1 KR101428285B1 (ko) 2014-08-08

Family

ID=5077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44948A KR101428285B1 (ko) 2012-12-12 2012-12-12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096154B2 (ko)
KR (1) KR101428285B1 (ko)
CN (1) CN103863161B (ko)
DE (1) DE102013208786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976B1 (ko) * 2015-12-15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27B1 (ko) * 2014-03-17 2015-09-17 현대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
CN104175915A (zh) * 2014-08-29 2014-12-03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座椅和汽车
DE102016220880A1 (de) * 2016-10-24 2018-04-26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Coburg Kopfstützenanordnung mit ersten und zweiten verschwenkbaren Hebelelementen für die Verstellung eines Kopfstützenkörpers
FR3079464B1 (fr) * 2018-03-30 2020-08-21 Faurecia Sieges D'automobile Dispositif de reglage de haut d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dossier et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dispositif de reglage de haut de dossier
CN110877557B (zh) * 2018-09-05 2021-07-20 宝沃汽车(中国)有限公司 车辆座椅、车辆座椅控制系统和车辆
FR3103750B1 (fr) * 2019-11-29 2021-12-24 Faurecia Sieges Dautomobile Dossier de siege de vehicule, siege de vehicule comportant un tel dossier et procede de fabrication d’un tel dossier de siege
KR20220050443A (ko) * 2020-10-16 2022-04-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방 틸팅 메커니즘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6379B2 (ja) 1988-08-24 1997-08-27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フトチェンジ連動のヘッドレスト制御方法およびヘッドレスト制御装置
US5011225A (en) * 1990-03-16 1991-04-30 Tachi-S Co. Ltd. Structure of a movable headrest
KR0131029B1 (ko) * 1995-04-06 1998-04-21 전성원 각도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머리받침대
JPH115479A (ja) * 1997-06-18 1999-01-12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DE10012973B4 (de) 2000-03-16 2004-02-26 Daimlerchrysler Ag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KR100455530B1 (ko) 2002-01-08 2004-11-06 주식회사 대동오토사운드 헤드레스트 틸팅장치
DE20302464U1 (de) * 2003-02-15 2004-07-01 Friedr. Fingscheidt Gmbh Kopfstütze mit Verstellmechanik
JP4436238B2 (ja) * 2004-11-26 2010-03-24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ヘッドレスト
JP4517882B2 (ja) 2005-02-21 2010-08-0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JP4957416B2 (ja) * 2007-07-05 2012-06-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0917115B1 (ko) 2007-11-29 2009-09-11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의 리어시트 리클라이닝 조절장치
KR100992540B1 (ko) 2007-12-14 2010-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장치
JP5313492B2 (ja) 2007-12-26 2013-10-09 難波プレス工業株式会社 起倒式ヘッドレスト装置
JP5347635B2 (ja) * 2009-03-27 2013-11-2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シート調整装置及びそのシート調整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252199B1 (ko) * 2010-07-19 2013-04-05 현대다이모스(주) 프리크래쉬용 헤드레스트 자동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976B1 (ko) * 2015-12-15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전동식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63161B (zh) 2017-07-04
DE102013208786B4 (de) 2019-02-07
US9096154B2 (en) 2015-08-04
DE102013208786A1 (de) 2014-06-12
CN103863161A (zh) 2014-06-18
KR101428285B1 (ko) 2014-08-08
US20140159459A1 (en) 201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8285B1 (ko) 리어시트용 헤드레스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736831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KR101592723B1 (ko) 레그 레스트 장치
KR20190066673A (ko) 차량용 릴렉스 시트
US20150258914A1 (en) Seat cushion extension apparatus
US20090152925A1 (en) Electromotive headrest folding apparatus for vehicles
KR101576377B1 (ko) 헤드레스트 리클라이닝 모듈
KR101470213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101372960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KR101724915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200475988Y1 (ko) 차량용 리어시트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200476827Y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470215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440147B1 (ko) 차량의 시트 사이드 볼스터 장치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4702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20180137353A (ko)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KR101593848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74645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KR101510391B1 (ko) 차량용 좌석
KR101393995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KR101559182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101470218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