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7353A -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7353A
KR20180137353A KR1020170076931A KR20170076931A KR20180137353A KR 20180137353 A KR20180137353 A KR 20180137353A KR 1020170076931 A KR1020170076931 A KR 1020170076931A KR 20170076931 A KR20170076931 A KR 20170076931A KR 20180137353 A KR20180137353 A KR 201801373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bracket
cable
pi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2907B1 (ko
Inventor
변장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7007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2907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3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2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2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스파이럴스프링(280)에 의해 숄더부를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래치기어(210)와, 래치기어(210)를 구속하는 섹터기어(220)와, 섹터기어(220)에 연결된 케이블(300)을 당겨 래치기어(210)의 구속상태를 해제하는 레버(110)를 포함한다. 이에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수동으로 숄더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진동 및 소음이 방지되고, 중량 및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Adjuster of seat back shoulder of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 숄더의 전후 각도를 수동 방식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는 탑승자의 편의를 위해 전후 위치 및 시트백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에 더하여 근래에는 럼버 서포트나 가변 숄더 등을 구비하여 허리 및 어깨 부위를 탑승자의 체형이나 취향에 맞게 조절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된 보다 편안한 시트가 제공되고 있다.
가변 숄더는 시트백의 상단이 그 하부 부분에 대해 독립적으로 전후 회동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탑승자의 어깨를 보다 편안하게 지지해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숄더부의 상단에 헤드레스트가 구비되므로 숄더부의 각도 조절을 통해 헤드레스트의 전후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고 발생시 탑승자의 목 상해 감소에도 효과가 있는 장치이다.
가변 숄더의 전후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숄더 조절장치가 필요하다. 종래 기술에 따른 숄더 조절장치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5-0109570호(2015.10.02. 공개, 이하 선행문헌이라 칭함)가 있다.
상기 선행문헌의 숄더 조절장치는 모터에 리드스크류가 연결되고, 리드스크류의 샤프트 일단에 아치형 브라켓이 연결되며, 아치형 브라켓의 타단에 숄더부를 구성하는 시트 상부프레임(이동프레임)이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모터를 구동하여 시트 상부프레임을 회동시켜 숄더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숄더 조절장치는 모터를 이용하므로 숄더부 각도 조절시 모터 작동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고, 모터 중량에 의해 시트 및 차량 중량이 증가되며, 모터와 함께 와이어링, 스위치 어셈블리 등이 사용되므로 제조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9570호(2015.10.02.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숄더부의 각도 조절시 모터 구동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고, 중량 및 제조 원가가 감소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의 쿠션 일측부에 설치된 레버조작부와, 시트백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조작부의 조작력을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아 작동되어 시트백 상단의 숄더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숄더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조작부는 시트의 쿠션 외측으로 노출된 레버와, 상기 레버가 일단부에 장착되고 쿠션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와이어가 연결된 레버브라켓과, 상기 쿠션프레임에 복수의 고정핀으로 회동 불가하게 고정되고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케이블홀더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레버브라켓의 상단과 상기 복수의 고정핀 중 하나의 고정핀에 레버브라켓을 조작위치에서 원위치로 당겨주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된다.
상기 숄더구동부는, 하부가 시트백 내부의 고정프레임 상단에 제1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가 제3핀과 제4핀으로 숄더부 내부의 회동프레임에 고정 상태로 장착되며 하단면에 치형이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제2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 래치기어의 치형에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된 섹터기어와, 상기 제1핀과 제3핀의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기어를 차량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스파이럴스프링과, 상기 제2핀에 설치되어 섹터기어를 래치기어쪽으로 회동시키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섹터기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와이어가 연결된 케이블연결브라켓을 포함한다.
상기 숄더구동부는 래치기어에 일단부가 제5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브라켓과, 제1링크브라켓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제7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제6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브라켓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링크브라켓과 제2링크브라켓에는 래치기어가 차량 전방으로 회동될 때 서로 맞대어져 걸려지는 상부플랜지와 상부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숄더부가 숙여지는 하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링크브라켓과 제2링크브라켓에는 래치기어가 차량 후방으로 회동될 때 서로 맞대어져 걸려지는 하부플랜지와 하부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숄더부가 젖혀지는 상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가 사용되지 않고 수동으로 작동되는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모터 작동으로 인한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어 숄더부의 각도 조절시 작동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중량물인 모터가 사용되지 않으므로 시트의 중량이 감소되고, 이는 차량의 중량 감소에 도움이 된다.
또한, 모터와 함께 전원 공급을 위한 와이어링, 전원 제어를 위한 스위치 등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가 적용된 자동차 시트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레버조작부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숄더구동부의 구성도.
도 5는 상기 숄더구동부의 작동상태도로서, 섹터기어 분리 상태에서 숄더부가 전방으로 회동된 상태의 도면.
도 6은 도 5의 상태에서 섹터기어가 래칫기어에 치합된 상태의 도면.
도 7은 도 4 상태의 숄더구동부를 내측에서 도시한 도면(고정프레임 및 회동프레임 제외 상태).
도 8은 도 6 상태의 숄더구동부를 내측에서 도시한 도면(고정프레임 및 회동프레임 제외 상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가 적용된 자동차 시트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우측면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는, 시트의 쿠션 일측부에 설치된 레버조작부(100)와, 시트백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레버조작부(100)의 조작력을 케이블(300)을 매개로 전달받아 작동되는 숄더구동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레버조작부(100)는 탑승자가 손으로 직접 조작하는 부분으로서 쿠션의 일측 외부로 노출된 레버(110)를 구비한다. 레버(110)는 쿠션프레임에 힌지핀(141)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레버브라켓(120)의 단부에 장착된다. 레버브라켓(120)과 쿠션프레임의 사이에는 케이블홀더브라켓(130)이 설치되는데, 케이블홀더브라켓(130)은 2개의 고정핀(142,143)으로 쿠션프레임에 고정 상태로 장착된다.
상기 케이블홀더브라켓(130)의 일측 단부에는 플랜지(131)가 형성되고, 그 플랜지(131)에 케이블(300)의 일단부가 고정되며, 케이블(300)의 일단부로부터 돌출된 케이블와이어(310)의 일단부는 상기 레버브라켓(120)의 하단 일측부에 연결된다.
상기 레버브라켓(120)의 상단부는 상기 두 고정핀 중 위쪽의 고정핀(142)에 리턴스프링(150)으로 연결되어 있다. 두 고정핀 중 아래쪽의 고정핀(143)은 리턴스프링(150)에 의한 레버브라켓(120) 리턴시 레버브라켓(120)의 회동을 정지시키는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레버조작부(100)는 탑승자가 상기 레버(110)를 상방으로 당기면 레버브라켓(120)이 상방(도 3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케이블와이어(310)를 당겨주고, 탑승자가 레버(110)를 놓으면 리턴스프링(150)에 의해 레버브라켓(120)이 하방 즉,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원위치로 복귀됨으로써 케이블와이어(310)의 당김 상태가 해제되는 작동이 이루어진다.
상기 숄더구동부(200)는 시트백 프레임을 구성하는 하측의 고정프레임(10)과 상측의 회동프레임(20) 사이에 설치된다. 고정프레임(10)과 회동프레임(20)은 서로 분리된 별도의 부품이지만 상기 숄더구동부(200)에 의해 고정프레임(10)에 대해서 회동프레임(20)의 전후 각도가 조절될 수 있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회동프레임(20)을 포함한 시트의 상단부가 탑승자의 어깨를 지지하는 숄더부가 된다. 회동프레임(20)의 상단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30)가 설치된다.
상기 숄더구동부(200)는 래치기어(210), 섹터기어(220), 케이블연결브라켓(230), 케이블홀더브라켓(240), 제1링크브라켓(250), 제2링크브라켓(260), 제1 내지 제7 핀(271~277), 스파이럴스프링(280) 및 토션스프링(290)을 포함한다.
래치기어(210)는 하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10)의 상단부에 제1핀(271)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는 2개의 고정핀인 제3핀(273)과 제4핀(274)으로 회동프레임(20)의 하단부에 고정된다. 이와 같은 래치기어(210)에 의하여 회동프레임(20)은 고정프레임(10)의 상단에 연결되고, 차량 전후 방향으로의 회동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래치기어(210)의 하단 외주면에는 치형(211)이 형성되어 있다.
래치기어(210)에는 측면에는 상기 스파이럴스프링(280)이 설치되어 래치기어(220)를 제1핀(271)을 중심으로 항상 시계 반대 방향(도 4 기준)으로 회동시키는 힘을 가한다. 스파이럴스프링(280)이 가하는 회전력에 의해 회동프레임(20)은 시트의 전방으로 회동된다. 즉, 숄더부가 탑승자의 어깨쪽으로 숙여진다.
이와 같은 작동을 위해 스파이럴스프링(280)은 제1핀(271)에 감겨진 형태로 설치된다. 즉, 스파이럴스프링(280)의 내측 단부가 제1핀(271)에 결합되고, 외측 단부는 상기 제3핀(273)에 연결된다.
섹터기어(220)는 고정프레임(10)에서 상기 래치기어(210)보다 아래쪽에 제2핀(272)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래치기어(210)에 맞닿는 상단부에 래치기어(210)의 치형(211)에 치합되는 치형(221)이 형성된다.
섹터기어(220)를 고정프레임(10)에 장착시키는 상기 제2핀(272)에는 토션스프링(290)이 설치된다. 토션스프링(290)의 일측 단부는 제2핀(272)에 결합되며, 타측 단부는 섹터기어(220)의 하단면에 걸려진다. 이와 같은 설치 상태에서 토션스프링(290)은 섹터기어(220)를 항상 제2핀(272)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도 4 기준)으로 회전시키는 힘을 가한다. 즉, 토션스프링(290)은 섹터기어(220)를 래치기어(210)쪽으로 회전시켜 래치기어(210)의 치형(211)과 섹터기어(220)의 치형(221)이 치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케이블홀더브라켓(240)은 고정프레임(10)에서 섹터기어(220)보다 아래쪽에 고정 상태로 설치된다.
케이블홀더브라켓(240)의 플랜지에는 상기 케이블(300)의 타측 단부가 연결되며, 케이블(300)의 타측 단부를 통해 돌출된 케이블와이어(310)의 타측 단부는 상기 케이블연결브라켓(230)의 일단부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연결브라켓(230)의 타단부는 상기 섹터기어(220)에 연결된다.
한편, 래치기어(210)와 고정프레임(10)의 상단부 사이에는 상기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이 설치된다.
상기 제1링크브라켓(250)은 일단부가 제5핀(275)으로 래치기어(2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링크브라켓(260)은 일단부가 제6핀(276)을 매개로 고정프레임(10)의 상단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제1링크브라켓(250)의 타단부와 제2링크브라켓(260)의 타단부가 제7핀(277)으로 상호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은 래치기어(210) 및 고정프레임(10)과 함께 4절 링크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래치기어(210)의 회동 작동이 보다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조한다.
또한, 제1링크브라켓(250)의 하면에는 시트의 내측 방향으로 절곡 돌출된 하부플랜지(251)가 형성되고, 상면에는 하부플랜지(251)와 동일한 방향으로 절곡 돌출된 상부플랜지(252)가 형성된다(도 4 및 도 7, 도 8 참조).
그리고, 제2링크브라켓(260)의 일측면(상기 하부플랜지(251)에 인접한 면)에는 상기 하부플랜지(251)에 걸려지는 하부걸림턱(261)이 돌출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상기 상부플랜지(252)에 걸려지는 상부걸림턱(262)이 돌출 형성된다. 제2링크브라켓(260)은 제1링크브라켓(250)의 내측면(시트의 안쪽을 향하는 면)에 밀착되어 설치되는 것이므로 상기 하부플랜지(251) 및 상부플랜지(252)와는 달리 상기 하부걸림턱(261)과 상부걸림턱(262)은 제2링크브라켓(260)으로부터 절곡되지 않고 동일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된다(도 4 및 도 7, 도 8 참조).
상기 하부플랜지(251)와 하부걸림턱(261) 및 상기 상부플랜지(252)와 상부걸림턱(262)은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의 회동 상태에 따라 상호 맞대지거나 분리되는데, 래치기어(210)가 전방(차량 전방)으로 회동될 때(숄더부가 전방으로 숙여질 때)는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의 사이가 벌어지면서 상부플랜지(252)와 상부걸림턱(262)이 맞대어져 걸려지고, 래치기어(210)가 후방(차량 후방)으로 회동될 때(숄더부가 원위치로 복귀할 때) 는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이 오므려지면서 하부플랜지(251)와 하부걸림턱(261)이 맞대어져 걸려지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작동을 설명한다.
도 4의 상태는 숄더부가 표준위치에 있는 상태이다. 이 상태는 숄더부 즉, 회동프레임(20)이 고정프레임(10)에 대해 차량 전방으로 회동되지 않은 상태로서 숄더부가 탑승자의 어깨쪽을 향해 숙여지지 않은 상태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레버(110)가 들려지면 레버브라켓(120)이 회전되면서 케이블와이어(310)가 당겨지고, 케이블와이어(310)가 케이블연결브라켓(230)을 당겨주며, 케이블연결브라켓(230)이 섹터기어(220)를 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도 5와 같이, 섹터기어(220)와 래치기어(210)의 치형(211,221)이 상호 분리되어 래치기어(210)의 고정 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스파이럴스프링(280)의 작용에 의해 래치기어(210)가 시계 방향(도 4 기준)으로 회동되며, 이에 회동프레임(20)이 전방으로 회동되어 숄더부가 탑승자의 어깨쪽으로 숙여지게 된다.
이와 같이 래치기어(210)가 전방으로 회동(도 8 참조)될 때 제1링크브라켓(250)은 래치기어(210)에 의해 당겨지고, 이에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의 사이 각도가 벌어지면서 상부플랜지(252)와 상부걸림턱(262)이 서로 걸려짐으로써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의 상호 벌어지는 방향으로의 회동이 정지되어 제1링크브라켓(250)에 연결된 래치기어(210)의 회동이 억제된다. 이와 같은 작동에 의해 숄더부가 표준위치에서 전방으로 숙여질 때 일정한 각도까지만 숙여질 수 있게 된다.
이후, 탑승자가 레버(110)를 놓으면 리턴스프링(150)의 수축 작용에 의해 레버브라켓(120)이 원위치되면서 케이블와이어(310)를 당기는 힘이 사라지고, 이에 토션스프링(290)의 복원력에 의해 섹터기어(220)가 원위치되면서 래치기어(210)와 섹터기어(220)의 치형(211,221)이 다시 치합되어 래치기어(210)가 회동 불가한 상태로 고정됨으로써 전방으로 각도 조절된 숄더부에 어깨를 기대도 숄더부가 뒤로 젖혀지지 않고 각도 조절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도 6, 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숄더부가 전방으로 숙여진 상태에서 숄더부를 도 4의 표준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해서 탑승자는 레버(110)를 들어 섹터기어(220)와 래치기어(210)를 분리시킨 뒤 그 상태에서 어깨로 숄더부를 뒤로 밀어 주면 된다.
이때는 래치기어(210)가 후방으로 회동하면서 제1링크브라켓(250)을 밀어주어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의 사이 각도가 오므려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부플랜지(252)와 상부걸림턱(262)은 서로 분리되어 멀어지고 하부플랜지(251)와 하부걸림턱(261)이 서로 맞대어져 걸려진다.(도 7 참조)
따라서,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이 서로 오므려지는 방향으로 더 이상 회동되지 못하므로 제1링크브라켓(250)에 연결된 래치기어(210)의 회동이 억제됨으로써 숄더부의 복귀 회동이 정지된다.
이후, 레버(110)를 놓으면 섹터기어(220)가 래치기어(210)에 다시 치합되어 래치기어(210)가 고정됨으로써 숄더부가 완전히 복귀된 상기 표준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숄더부를 전방으로 숙일 때는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의 상부플랜지(252)와 상부걸림턱(262)의 걸림 작용에 의해 전방 숙임 각도가 제한되고, 숄더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킬 때는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의 하부플랜지(251)와 하부걸림턱(261)의 걸림 작용에 의해 후방 복귀 각도가 제한된다.
따라서, 제1링크브라켓(250)과 제2링크브라켓(260)을 연결하는 제7핀(277)을 중심으로 하는 상부플랜지(252)와 상부걸림턱(262)의 사이 각도 및 하부플랜지(251)와 하부걸림턱(261)의 사이 각도 설정을 통해서 숄더부의 각도 조절 범위를 적절히 설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래치기어(210)의 치형(211)은 섹터기어(220)의 치형(221)보다 더 넓은 구간에 형성된다. 즉, 래치기어(210)의 치형(211)은 래치기어(210)가 전방(숄더부가 숙여지는 방향)으로 최대한 숙여졌을 때 섹터기어(220)의 치형(221)과 맞닿는 부분으로부터 래치기어(210)가 후방(숄더부가 젖혀지는 방향)으로 최대한 젖혀졌을 때 섹터기어(220)의 치형(221)과 맞닿는 부분까지의 범위에 형성된다.
따라서, 숄더부가 회동되는 동안에 탑승자는 레버(110)를 놓아 섹터기어(220)를 래치기어(210)에 치합시켜 래치기어(210)를 회동 범위(각도 조절 범위)내 임의 지점에 고정시킴으로써 숄더부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레버(110)와 케이블(300)로 연결되고 간단한 링크 구조로 이루어진 숄더구동부(200)가 구비됨으로써 숄더부의 각도를 수동 방식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모터를 사용하지 않는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모터가 사용되지 않음으로써 숄더 각도 조절시 모터 작동에 따른 소음 및 진동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시트의 중량이 감소되며, 모터와 더불어 와이어링 및 스위치 등의 부품들을 사용할 필요가 없게 됨으로써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고정프레임 20 : 회동프레임
30 : 헤드레스트
100 : 레버조작부 110 : 레버
120 : 레버브라켓 130 : 케이블홀더브라켓
131 : 플랜지 141 : 힌지핀
142,143 : 고정핀 150 : 리턴스프링
200 : 숄더구동부 210 : 래치기어
220 : 섹터기어 230 : 케이블연결브라켓
240 : 케이블홀더브라켓 250 : 제1링크브라켓
251 : 하부플랜지 252 : 상부플랜지
260 : 제2링크브라켓 261 : 하부걸림턱
262 : 상부걸림턱 271 ~ 277 : 제1 ~ 7핀
280 : 스파이럴스프링 290 : 토션스프링
300 : 케이블 310 : 케이블와이어

Claims (7)

  1. 시트의 쿠션 일측부에 설치된 레버조작부와;
    시트백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레버조작부의 조작력을 케이블을 통해 전달받아 작동되어 시트백 상단의 숄더부의 각도를 조절하는 숄더구동부;
    를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조작부는 시트의 쿠션 외측으로 노출된 레버와, 상기 레버가 일단부에 장착되고 쿠션프레임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와이어가 연결된 레버브라켓과, 상기 쿠션프레임에 복수의 고정핀으로 회동 불가하게 고정되고 일단부에 상기 케이블의 일단부가 고정되는 플랜지가 형성된 케이블홀더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버브라켓의 상단과 상기 복수의 고정핀 중 하나의 고정핀에 레버브라켓을 조작위치에서 원위치로 당겨주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숄더구동부는, 하부가 시트백 내부의 고정프레임 상단에 제1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가 제3핀과 제4핀으로 숄더부 내부의 회동프레임에 고정 상태로 장착되며 하단면에 치형이 형성된 래치기어와, 상기 고정프레임에 제2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면에 래치기어의 치형에 치합되는 치형이 형성된 섹터기어와, 상기 제1핀과 제3핀의 사이에 설치되어 래치기어를 차량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스파이럴스프링과, 상기 제2핀에 설치되어 섹터기어를 래치기어쪽으로 회동시키는 토션스프링과, 상기 섹터기어에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에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와이어가 연결된 케이블연결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숄더구동부는 래치기어에 일단부가 제5핀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1링크브라켓과, 제1링크브라켓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제7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제6핀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제2링크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브라켓과 제2링크브라켓에는 래치기어가 차량 전방으로 회동될 때 서로 맞대어져 걸려지는 상부플랜지와 상부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숄더부가 숙여지는 하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브라켓과 제2링크브라켓에는 래치기어가 차량 후방으로 회동될 때 서로 맞대어져 걸려지는 하부플랜지와 하부걸림턱이 각각 형성되어 숄더부가 젖혀지는 상한 위치를 제한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KR1020170076931A 2017-06-16 2017-06-16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KR102332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31A KR102332907B1 (ko) 2017-06-16 2017-06-16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31A KR102332907B1 (ko) 2017-06-16 2017-06-16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53A true KR20180137353A (ko) 2018-12-27
KR102332907B1 KR102332907B1 (ko) 2021-12-01

Family

ID=6495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931A KR102332907B1 (ko) 2017-06-16 2017-06-16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29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788A (ko) * 2020-03-31 2021-10-08 이성재 주방 배기장치용 회동식 후드
KR102366118B1 (ko) * 2020-08-20 2022-02-23 (주)케이엠앤아이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20220032304A (ko) * 2020-09-07 2022-03-15 (주)케이엠앤아이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106A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KR19990057955A (ko) * 1997-12-30 1999-07-15 정몽규 차량의 절첩식 프런트 시트
KR20040042388A (ko) * 2002-11-14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
KR20150001986A (ko)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다스 상부 판넬의 틸팅 기능을 갖는 시트 백 프레임
KR20150109570A (ko) 2014-03-20 2015-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JP2016133138A (ja) * 2015-01-16 2016-07-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回転止め機構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05106A (ko) * 1997-06-30 1999-01-25 양재신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KR19990057955A (ko) * 1997-12-30 1999-07-15 정몽규 차량의 절첩식 프런트 시트
KR20040042388A (ko) * 2002-11-14 2004-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백 프레임 구조
KR20150001986A (ko)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다스 상부 판넬의 틸팅 기능을 갖는 시트 백 프레임
KR20150109570A (ko) 2014-03-20 2015-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JP2016133138A (ja) * 2015-01-16 2016-07-25 トヨタ紡織株式会社 回転止め機構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1788A (ko) * 2020-03-31 2021-10-08 이성재 주방 배기장치용 회동식 후드
KR102366118B1 (ko) * 2020-08-20 2022-02-23 (주)케이엠앤아이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20220032304A (ko) * 2020-09-07 2022-03-15 (주)케이엠앤아이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2907B1 (ko) 2021-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US8336955B2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US8414055B2 (en) Vehicle seat
JPH0257923B2 (ko)
US20120025580A1 (en) Seat back device
KR20180137353A (ko)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JP5738626B2 (ja) 車両用ランバーサポート付きシートバックの構造
JP2008260326A (ja) 車両用シート
JP2010535123A5 (ko)
JP4758779B2 (ja) シートの操作装置及びシート
JP4225139B2 (ja) 車両用シート
JP2943977B2 (ja) 自動車の座席の折り畳み装置
JP6599243B2 (ja) 車両用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装置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KR100636026B1 (ko) 차량용 시트의 높이조절기구
JP3527151B2 (ja) シートの格納式フットレスト
JP2003341393A (ja) シートバーチカル装置
JP2005119506A (ja) 乗り物シートに用いるアームレスト
KR101723101B1 (ko) 세미 록킹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KR10183742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200395001Y1 (ko) 차량용 전동식 래그 레스트
JP531457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KR102522891B1 (ko)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2201204B1 (ko) 차량의 시트백 폴딩 장치
JP2005119442A (ja) アームレスト付き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