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7425B1 - 차량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7425B1
KR101837425B1 KR1020170116027A KR20170116027A KR101837425B1 KR 101837425 B1 KR101837425 B1 KR 101837425B1 KR 1020170116027 A KR1020170116027 A KR 1020170116027A KR 20170116027 A KR20170116027 A KR 20170116027A KR 101837425 B1 KR101837425 B1 KR 101837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or
link
pair
headrest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림
남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16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7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7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7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10)와, 상기 스테이(11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132)가 형성된 섹터(130)와, 일측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100a)와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일측 끝단에 상기 쿠션부재(1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록킹해제레버(152)가 마련된 조절샤프트(15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전방측에 고정핀(12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조절샤프트(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60a)와, 상기 조절샤프트(150)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60a)에 의해 감싸지도록 위치되는 캠(170)과, 일단이 상기 섹터(130)의 치형부(132)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캠(1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형부(132)와 치합된 일단이 치형부(132)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록킹부재(18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후방측에 고정핀(12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핀(162)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60b)와, 상기 회전핀(162)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2링크(160b)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 중 어느 하나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90)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head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차량의 급정거 또는 후방 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는 헤드레스트(head rest)가 장착되고 있다.
헤드레스트는 쿠션 등을 통해 탑승자의 두부나 목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승차감 증대 및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목 손상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시트 백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헤드레스트의 편의성을 부여하여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틸팅 구조에 의하여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순 힌지 타입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별도의 록킹장치가 존재하나, 이는 헤드레스트를 최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자동으로 록킹이 해제되어 초기 위치(후방)로 이동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평소 원하는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고정시킨 후 사용중 차량을 급정거하거나 후방충돌시 헤드레스트의 자중에 의해 헤드레스트 자체가 최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록킹이 해제되어 탑승자의 목 상해를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최전방으로 이동시켜야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의 이동은 단순히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당기는 행위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후방으로의 이동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야만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일측에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록킹해제레버를 설치하여 헤드레스트가 최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록킹해제레버의 조작없이는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급정거시나 후방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최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사용위치 어디에서나 헤드레스트의 록킹을 해제하여 원하는 위치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와, 상기 스테이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가 형성된 섹터와, 일측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와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일측 끝단에 상기 쿠션부재의 외부로 노출되는 록킹해제레버가 마련된 조절샤프트와, 일측이 상기 섹터의 전방측에 고정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조절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조절샤프트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에 의해 감싸지도록 위치되는 캠과, 일단이 상기 섹터의 치형부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캠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형부와 치합된 일단이 치형부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록킹부재와, 일측이 상기 섹터의 후방측에 고정핀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와, 상기 회전핀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2링크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 중 어느 하나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헤드레스트의 전방 이동은 록킹해제레버의 조작없이도 가능하지만 후방이동은 록킹해제레버의 조작 없이는 불가하므로 급정거나 후방충돌시에도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섹터 및 록킹부를 양측으로 어긋나게 형성하여 조절스텝을 증가시키고 사용위치 어디에서나 록킹을 해제할 수 있어 헤드레스트의 후방이동이 쉽고 간편해지는 등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분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제1링크 및 제2링크를 분리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록킹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링크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차량의 급정거시나 후방충돌시 자중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최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록킹이 해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탑승자의 목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중 어느 위치에서건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시트(미도시)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10)와, 상기 스테이(110)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양측에 플랜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브라켓(120)과, 상기 브라켓(120)의 플랜지와 플랜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핀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132)가 형성된 섹터(130)와, 일측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100a)와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일측 끝단에 상기 쿠션부재(1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록킹해제레버(152)가 마련된 조절샤프트(150)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전방측에 결합되는 고정핀(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조절샤프트(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60)와, 상기 조절샤프트(150)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60)에 의해 감싸지도록 위치되는 캠(170)과,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치형부(132)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캠(1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형부(132)와 치합된 일측이 치형부(132)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록킹부재(18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고정핀(1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핀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1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60b)와, 상기 회전핀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2링크(160b)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 중 어느 하나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9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스테이(1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시트(미도시) 상단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110)는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구성요소와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테이(110)에 고정결합되는 브라켓(12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양측이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이룬다.
이때, 상기 브라켓의 측면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 중 어느 하나는 전방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2링크의 일면과 접촉되어 전방으로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도록 전방측 상단에 상기 제2링크와 접촉될 수 있는 회전제한턱이 돌출되게 형성되도록 하고, 후방측 상단에는 상기 제2링크의 타면과 접촉될 수 있는 회전제한편을 연장되도록 형성하여 제2링크의 후방으로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120)의 상면,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의 면에는 섹터(130)가 안착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스테이(110)와 섹터(130) 사이에 브라켓(120)을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스테(110)이의 상측에 섹터(130)를 용접이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직접 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섹터(130)는 상부가 부채꼴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치형부(13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치형부(132)는 상기 섹터(130)를 중심으로 구획되는 제1치형부(132a)와 제2치형부(132b)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치형부(132a)와 상기 제2치형부(132b)는 서로 엇갈리게 나사산과 골이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2 및 도 3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치형부(132a)의 나사산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제2치형부(132b)에는 골이 형성되도록 하고, 제2치형부(132b)의 나사산이 형성되는 위치의 제1치형부(132a)에는 골이 형성되도록 서로 나사산과 골이 어긋나게 형성되도록 한다.
덧붙여 상기 제1치형부(132a)와 제2치형부(132b)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후술하는 록킹부재(180)와의 치합시 록킹부재(180)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전방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제1치형부(132a) 및 제2치형부(132b)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하고, 후방으로는 상기 나사산에 록킹부재(180)가 걸려 이동되지 않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한편, 한 쌍의 결합부재(140)는 탑승자의 머리와 실질적으로 접촉되어 충격시 쿠션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쿠션부재(100a)와 일측이 결합된다. 즉,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는 각각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은 상기 쿠션부재(100a)와 고정결합되고, 타측에는 조절샤프트(150)가 한 쌍의 결합부재(140)을 관통하도록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는 소정거리만큼 이격되게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조절샤프트(150)는 일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록킹해제레버(15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록킹해제레버(152)는 상술한 쿠션부재(100a)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록킹해제레버(152)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조절샤프트(150) 역시 회전되도록 고정결합한다.
또한, 한 쌍의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된 조절샤프트(150)에는 제1링크(160a)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링크(160a)는 상기 브라켓(120)과 섹터(130)를 고정결합하고 있는 고정핀(122)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조절샤프트(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섹터(130)를 감싸도록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 사이에 위치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제1링크(160a)는 헤드레스트(100)의 전방에 해당되는 위치의 고정핀(122)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섹터(130)의 전면을 감쌀 수 있도록 함으로써, 후술하는 내부의 구성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조절샤프트(150) 상에는 캠(170)이 고정설치된다. 상기 캠(170)은 일단이 상기 조절샤프트(150)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타단은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측면 양측으로 가압돌기(172)가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캠(170)은 탄성스프링(17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조절샤프트(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캠(170)이 일방향으로 회전하였을 경우 탄성스프링(174)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캠(170)을 관통결합하고 있는 조절샤프트(150)를 감싸도록 탄성스프링(174)을 설치하되, 일단은 상기 캠(170)에 탄성지지되도록 하고, 타단은 제1링크(160a)에 탄성지지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조절샤프트(150)를 회전시켜 상기 캠(170)이 회전하였을 경우 상기 탄성스프링(174)에 의해 상기 캠(170)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도록 할 수 있다.
록킹부재(180)는 일단이 상기 섹터(130)의 치형부(132)와 일단이 치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제1치형부(132a)와 일단이 치합될 수 있는 제1록킹부재(180a)와, 상기 제2치형부(132b)와 일단이 치합될 수 있는 제2록킹부재(180b)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록킹부재(180)는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축(182)을 통해 각각 회전될 수 있게 상기 제1링크(160a)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록킹부재(180a)와 상기 제2록킹부재(180b)가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 구성으로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170)의 회전에 따라 일측으로 연장된 가압돌기(172)가 상기 록킹부재(180)의 일단을 가압함으로써, 상기 치형부(132)와 치합된 타단이 분리되면서 록킹이 해제되는 구조이다.
또한, 상기 제1록킹부재(180a)와 상기 제2록킹부재(180b)는 각각 탄성부재(18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184)의 일단은 상기 제1록킹부재(180a) 또는 제2록킹부재(180b)에 마련되는 지지돌기(186)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제1링크(160a)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록킹부재(180a)와 상기 제2록킹부재(180b)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또한,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상기 제1록킹부재(10a)와 상기 제2록킹부재(180b)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섹터(130)에 형성된 제1치형부(132a)와 제2치형부(132b)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치합되는 제1록킹부재(180a) 및 제2록킹부재(180b)가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나사산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결과적으로 헤드레스트(100)의 전후진에 따른 조절스텝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록킹부재(18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10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한편, 제2링크(160b)는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고정핀(124)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핀(162)을 통해 상기 결합부재(1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링크(160b)는 상기 제1링크(160a)와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링크(160a)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록킹부재(180) 및 캠(170)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링크(160b)를 상기 결합부재(140)와 결합될 수 있도록 한 회전핀(162)에는 리턴스프링(190)이 설치된다.
상기 리턴스프링(190)은 헤드레스트(100)의 최전방 이동시 후방으로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것으로, 상기 회전핀(162)이 감싸지도록 설치되되, 일단은 상기 제2링크(160b)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160a)와 제2링크(160b)를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한 쌍의 결합부재(140) 중 어느 하나에 탄성지지하도록 설치하여 상기 제2링크(160b)가 항상 헤드레스트(100)의 후방측을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180)의 일단이 상기 섹터(130)의 치형부(132) 최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100)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170)의 일단이 치형부(132)에 형성된 나사산틀 타고 넘으면서 쉽게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때, 록킹부재(180)는 탄성부재(184)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상태로서 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탄성부재(184)의 탄성력을 무시하면서 록킹부재(180)가 상기 회전축(182)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캠(170)은 탄성스프링(174)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록킹부재(180)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후 록킹부재(180)가 섹터(130)의 최전방으로 이동되면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160b))의 일측이 상기 브라켓(120)의 전방 상측에 형성되는 회전제한턱(120a)에 접촉되면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멈추게 된다.
한편, 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록킹부재(180)의 일단이 상기 섹터(130)의 치형부(132)에서 이격되어야만 후방으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탑승자가 록킹해제레버(152)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와 결합된 조절샤프트(150)가 회전되면서 캠(17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180)의 일단을 하방향으로 가압하여 타단이 상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섹터(130)의 치형부(132)와 록킹부재(180)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에 따라 헤드레스트(100)의 후방 이동을 제한하고 있는 록킹부재(180)의 구속이 풀리면서 헤드레스트(100) 즉, 쿠션부재(100a)를 결합하고 있는 결합부재(140)가 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결합부재(140)를 결합하고 있는 제2링크(160b)의 회전핀(162)에 감기도록 위치된 리턴스프링(19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헤드레스트(100)를 사용자가 쉽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이후, 록킹부재(180)가 섹터(130)의 최후방으로 위치되면 결합부재(140) 즉 쿠션부재(100a)가 최후방으로 이동되고 이때,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링크(160b)의 일측이 상기 브라켓(120)의 회전제한편(120b)과 접촉되면서 회전을 멈추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록킹해제레버(152)를 놓게 되면 록킹해제레버(152)는 캠(170)을 탄성지지하고 있는 탄성스프링(174)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회전되면서 헤드레스트(100)의 이동을 마무리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전방 이동은 록킹해제레버(152)의 조작없이도 가능하지만 후방이동은 록킹해제레버(152)의 조작 없이는 불가하므로 급정거나 후방충돌시에도 헤드레스트(100)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1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섹터(130) 및 록킹부재(180)를 양측으로 어긋나게 형성하여 조절스텝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조절스텝의 증가에 따른 안전성을 배가시킬 수 있고, 사용위치 어디에서나 록킹을 해제할 수 있어 헤드레스트(100)의 후방이동이 쉽고 간편해지는 등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2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200)는 앞서 전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리턴스프링(290)의 지지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즉, 제2링크(260b)를 결합부재(240)와 결합하도록 하는 상기 회전핀(262)을 감싸도록 설치되며, 일단은 상기 제2링크(260b)와 연결되고 타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링크(260a)의 상측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제1링크(260a) 및 제2링크(260b)가 후방으로 회전시 상기 리턴스프링(290)이 압축되면서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8은 본 발명의 3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3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차량용 헤드레스트(300)는 상술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록킹부재(180a) 및 제2록킹부재(180b)를 상기 제1링크(160a)에 회전가능하게 결합하고 있는 회전축(182)의 일단에 상기 리턴스프링(190)이 연결되고, 상기 리턴스프링(190)의 타단은 상기 제2링크(160b)의 하측 후방에 대각선 방향으로 탄성지지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제2링크(160b)를 앞서 설명한 1실시예 및 2실시예와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하되, 상기 섹터(130)와 연결되는 하부를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부(161)를 형성한 후 상기 연장부(161)에 지지핀(163)을 설치하여 리턴스프링(190)의 일단을 상기 지지핀(163)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160a)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함으로써, 상기 제1링크(160a) 및 제2링크(160b)의 후방으로의 회전시 탄성복원력이 제공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헤드레스트 100a : 쿠션부재
110 : 스테이 120 : 브라켓
122 : 고정핀 124 : 고정핀
130 : 섹터 132 : 치형부
132a : 제1치형부 132b : 제2치형부
140 : 결합부재 146 : 결합핀
150 : 조절샤프트 152 : 록킹해제레버
160a : 제1링크 160b : 제2링크
162 : 회전핀 170 : 캠
172 : 가압돌기 174 : 탄성스프링
180 : 록킹부재 180a : 제1록킹부재
180b :제2록킹부재 182 : 회전축
184 : 탄성부재 186 : 지지돌기
190 : 리턴스프링

Claims (12)

  1.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10)와,
    상기 스테이(11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132)가 형성된 섹터(130)와,
    일측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100a)와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일측 끝단에 상기 쿠션부재(1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록킹해제레버(152)가 마련된 조절샤프트(15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전방측에 고정핀(12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조절샤프트(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60a)와,
    상기 조절샤프트(150)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60a)에 의해 감싸지도록 위치되는 캠(170)과,
    일단이 상기 섹터(130)의 치형부(132)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캠(1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형부(132)와 치합된 일단이 치형부(132)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록킹부재(18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후방측에 고정핀(12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핀(162)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60b)와,
    상기 회전핀(162)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2링크(160b)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 중 어느 하나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90)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2.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10)와,
    상기 스테이(11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132)가 형성된 섹터(130)와,
    일측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100a)와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일측 끝단에 상기 쿠션부재(1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록킹해제레버(152)가 마련된 조절샤프트(15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전방측에 고정핀(12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조절샤프트(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60a)와,
    상기 조절샤프트(150)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60a)에 의해 감싸지도록 위치되는 캠(170)과,
    일단이 상기 섹터(130)의 치형부(132)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캠(1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형부(132)와 치합된 일단이 치형부(132)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록킹부재(18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후방측에 고정핀(12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핀(162)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60b)와,
    상기 회전핀(162)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2링크(160b)에 탄성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160a)의 상측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리턴스프링(190)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3.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10)와,
    상기 스테이(110)의 상측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132)가 형성된 섹터(130)와,
    일측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100a)와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와,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일측 끝단에 상기 쿠션부재(100a)의 외부로 노출되는 록킹해제레버(152)가 마련된 조절샤프트(15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전방측에 고정핀(122)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조절샤프트(1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60a)와,
    상기 조절샤프트(150) 상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60a)에 의해 감싸지도록 위치되는 캠(170)과,
    일단이 상기 섹터(130)의 치형부(132)와 치합되는 것으로 상기 캠(170)의 회전에 따라 상기 치형부(132)와 치합된 일단이 치형부(132)와 분리될 수 있도록 한 록킹부재(180)와,
    일측이 상기 섹터(130)의 후방측에 고정핀(124)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회전핀(162)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4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160b)와,
    일단이 상기 섹터(130)와 상기 제2링크(160b)의 하부를 후방측으로 연장되도록 연장부(161)를 형성하고, 상기 연장부(161)에 지지핀(163)을 통해 일단이 연결되도록 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160a)와 연결되어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스프링(190)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섹터(130)에 형성되는 치형부(132)는 상기 섹터(13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치형부(132a)와 제2치형부(132b)로 구획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치형부(132a)와 제2치형부(132b)는 서로 어긋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132)는 복수개의 나사산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다단으로 형성되어 상기 록킹부재(180)와의 치합시 일방향으로만 상기 록킹부재(180)가 이동될 수 있는 구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재(18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섹터(130)에 형성되는 제1치형부(132a)와 일측이 치합되는 제1록킹부재(180a)와,
    상기 섹터(130)에 형성되는 제2치형부(132b)와 일측이 치합되는 제2록킹부재(180b)로 이루어진 차량용 헤드레스트.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180)는 회전축(182)에 의해 상호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9.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170)는 각각 탄성부재(18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110)와 상기 섹터(130) 사이에는 측면 양측으로 돌출되는 플랜지가 구비된 브라켓(120)을 더 포함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120)의 측면 양측에 돌출된 플랜지에는 상기 제2링크(160b)의 회전을 제한할 수 회전제한턱(120a) 및 회전제한편(120b)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12.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캠(170)은 일단이 상기 조절샤프트(150)가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150)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타단은 일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되, 측면 양측으로 가압돌기(172)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회전시 상기 록킹부재(180)를 일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170116027A 2017-09-11 2017-09-11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837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027A KR101837425B1 (ko) 2017-09-11 2017-09-11 차량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027A KR101837425B1 (ko) 2017-09-11 2017-09-11 차량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7425B1 true KR101837425B1 (ko) 2018-03-12

Family

ID=617288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027A KR101837425B1 (ko) 2017-09-11 2017-09-11 차량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7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156B1 (ko) * 2018-09-05 2019-12-27 주식회사 서연이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17B1 (ko) 2009-06-05 2009-10-29 대흥산업(주)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장치
JP2012162123A (ja) 2011-02-04 2012-08-30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の前後位置調整装置
JP2016508472A (ja) 2013-12-10 2016-03-22 ウーボ テ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4217B1 (ko) 2009-06-05 2009-10-29 대흥산업(주) 차량용 시트의 헤드레스트 장치
JP2012162123A (ja) 2011-02-04 2012-08-30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の前後位置調整装置
JP2016508472A (ja) 2013-12-10 2016-03-22 ウーボ テク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ヘッドレスト移動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0156B1 (ko) * 2018-09-05 2019-12-27 주식회사 서연이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JP2005529783A (ja) ヘッド/ネックレスト一体型シートアセンブリ
JP5738626B2 (ja) 車両用ランバーサポート付きシートバックの構造
JP393616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CA2706460C (en) Manual retracting head restraint
US7168763B2 (en) Seatback reclining apparatus for a vehicle
JPH11244082A (ja) 車両用シート
KR20090054691A (ko) 차량용 엑티브 헤드레스트 어셈블리
KR10183742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332907B1 (ko)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KR101578944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US20220153176A1 (en) Headrest assembly with slidable ratchet mechanism
JP2002274240A (ja) 自動車用シート
JP2015009733A (ja) 車両用シート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80612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5456354B2 (ja) 乗物用シート
JP7447518B2 (ja) 乗物用シート
JP606492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5691774B2 (ja) 車両用シート
WO2009005414A1 (en) A seat back support mechanism
JP6329449B2 (ja) 車両用シート
WO2013094342A1 (ja) 車両用フットレスト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KR0134193Y1 (ko) 자동차 의자용 리클라이너
KR20130024624A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