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6123B1 - 차량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6123B1
KR101806123B1 KR1020170116128A KR20170116128A KR101806123B1 KR 101806123 B1 KR101806123 B1 KR 101806123B1 KR 1020170116128 A KR1020170116128 A KR 1020170116128A KR 20170116128 A KR20170116128 A KR 20170116128A KR 101806123 B1 KR101806123 B1 KR 101806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ector
link
headres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61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림
남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161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612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6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6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60N2/486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8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lateral movement parallel to the occupant's shoulder line
    • B60N2/481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시트(미도시)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410)와, 상기 스테이(4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432)가 형성된 섹터(430)와, 하부가 상기 섹터(430)의 전방을 감싸도록 상기 섹터(430)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440)와, 조절샤프트(450)를 통해 상기 제1링크(440)의 상측에 관통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쿠션부재(미도시)와 고정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부재(460)와, 상기 조절샤프트(450)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섹터(430)의 치형부(432)와 치합될 수 있는 한 쌍의 록킹부재(470)와,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4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454)와, 하부가 상기 섹터(430)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회전핀(482)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4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480)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480)의 후방측 하부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440)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리턴스프링(490)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head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차량의 급정거 또는 후방 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는 헤드레스트(head rest)가 장착되고 있다.
헤드레스트는 쿠션 등을 통해 탑승자의 두부나 목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승차감 증대 및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목 손상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시트 백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헤드레스트의 편의성을 부여하여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틸팅 구조에 의하여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순 힌지 타입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별도의 록킹장치가 존재하나, 이는 헤드레스트를 최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자동으로 록킹이 해제되어 초기 위치(후방)로 이동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평소 원하는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고정시킨 후 사용중 차량을 급정거하거나 후방충돌시 헤드레스트의 자중에 의해 헤드레스트 자체가 최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록킹이 해제되어 탑승자의 목 상해를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최전방으로 이동시켜야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의 이동은 단순히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당기는 행위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후방으로의 이동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야만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일측에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록킹해제레버를 설치하여 헤드레스트가 최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록킹해제레버의 조작없이는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여 급정거시나 후방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최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고, 또한, 사용위치 어디에서나 헤드레스트의 록킹을 해제하여 원하는 위치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하여 사용자의 안전성과 편의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와, 상기 스테이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가 형성된 섹터와, 하부가 상기 섹터의 전방을 감싸도록 상기 섹터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조절샤프트를 통해 상기 제1링크의 상측에 관통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쿠션부재와 고정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부재와, 상기 조절샤프트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섹터의 치형부와 치합될 수 있는 한 쌍의 록킹부재와,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와, 하부가 상기 섹터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회전핀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의 후방측 하부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헤드레스트의 전방 이동은 록킹해제레버의 조작없이도 가능하지만 후방이동은 록킹해제레버의 조작 없이는 불가하므로 급정거나 후방충돌시에도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섹터 및 록킹부를 양측으로 어긋나게 형성하여 조절스텝을 증가시키고 사용위치 어디에서나 록킹을 해제할 수 있어 헤드레스트의 후방이동이 쉽고 간편해지는 등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분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제1링크와 결합부재를 분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록킹부재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400)는 차량의 급정거시나 후방충돌시 자중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최전방으로 이동되더라도 록킹이 해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충격에 의한 탑승자의 목 상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사용중 어느 위치에서건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특징으로 한다.
한편,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400)는 시트(미도시)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410)와, 상기 스테이(410)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측면 양측에 플랜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브라켓(420)과, 상기 브라켓(420)의 플랜지와 플랜지를 연결하는 한 쌍의 고정핀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432)가 형성된 섹터(430)와, 하부가 상기 섹터(430)의 전방을 감싸도록 상기 섹터(430)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440)와, 조절샤프트(450)를 통해 상기 제1링크(440)의 상측에 관통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쿠션부재(미도시)와 고정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부재(460)와, 상기 조절샤프트(450)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섹터(430)의 치형부(432)와 치합될 수 있는 한 쌍의 록킹부재(470)와,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4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454)와, 하부가 상기 섹터(430)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회전핀(482)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4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480)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480)의 후방측 하부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440)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리턴스프링(49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테이(4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단이 상기 시트(미도시) 상단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410)는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구성요소와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테이(410)에 고정결합되는 브라켓(42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측면 양측이 상방향으로 절곡되어 플랜지를 이룬다.
상기 섹터(430)는 상부가 부채꼴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는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치형부(432)가 마련된다. 이때, 상기 치형부(432)는 상기 섹터(430)를 중심으로 구획되는 제1치형부(432a)와 제2치형부(432b)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치형부(432a)와 상기 제2치형부(432b)는 서로 엇갈리게 나사산과 골이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는 상기 섹터(430)를 상기 스테이(410)에 직접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섹터(430)와 스테이(410) 사이에 브라켓(420)을 설치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덧붙여 상기 제1치형부(432a)와 제2치형부(432b)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후술하는 록킹부재(470)와의 치합시 록킹부재(470)가 일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전방으로 이동시에는 상기 제1치형부(432a) 및 제2치형부(432b)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하고, 후방으로는 상기 나사산에 록킹부재(470)가 걸려 이동되지 않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제1링크(440)는 "ㄷ"자 형상으로 상기 섹터(430)의 전방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섹터(430)의 전방측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핀(422)을 통해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측은 조절샤프트(450)를 통해 일측에 쿠션부재(미도시)가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부재(4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460)는 각각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링크(440)의 측면 양측에 각각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440)를 관통하는 조절샤프트(450)를 통해 제1링크(440)와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460)를 관통하도록 위치되는 조절샤프트(450)는 일단에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한 록킹해제레버(452)가 마련되며, 상기 록킹해제레버(452)는 쿠션부재 외부에 노출되도록 위치되어 있어, 상기 록킹해제레버(452)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조절샤프트(450) 역시 회전될 수 있도록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링크(440) 및 한 쌍의 결합부재(46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는 상기 조절샤프트(1450) 상에는 한 쌍의 록킹부재(470)가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는 상기 섹터(430)의 제1치형부(432a)와 일단이 치합될 수 있는 제1록킹부재(470a)와, 상기 섹터(430)의 제2치형부(432b)와 일단이 치합될 수 있는 제2록킹부재(470b)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는 상기 제1링크(44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샤프트(4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록킹부재(470a)와 상기 제2록킹부재(470b)가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상기 섹터(430)의 치형부(432)와 치합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수직방향으로 장공(47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 사이에는 가압부재(454)가 설치된다.
상기 가압부재(454)는 상기 조절샤프트(45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샤프트(4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454)가 회전되어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구성으로서, 측면 양측에는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472)에 삽입될 수 있는 가압돌기(454)가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가압부재(454)가 조절샤프트(450)와 고정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조절샤프트(450)가 회전되면 가압부재(454) 역시 회전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가압부재(454)가 회전되면 가압부재(454)의 측면 양측에 돌출된 가압돌기(455)가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의 장공(472) 내에서 이동되면서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를 일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치형부(432)와 치합된 일단이 분리되면서 록킹이 해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한 쌍으로 이루어진 록킹부재(470) 즉, 제1록킹부재(470a)와 제2록킹부재(470b)는 각각 탄성부재(47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474)는 일단이 상기 제1록킹부재(470a) 또는 제2록킹부재(470b)에 마련되는 지지돌기(476)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440)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하여 상기 제1록킹부재(470a)와 상기 제2록킹부재(470b)에 각각 탄성복원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1록킹부재(470a)와 상기 제2록킹부재(470b)는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는 구조로서, 상기 섹터(430)에 형성된 제1치형부(432a)와 제2치형부(432b)가 서로 어긋나게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치합되는 제1록킹부재(470a) 및 제2록킹부재(470b)가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나사산이 증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어 결과적으로 헤드레스트(400)의 전후진에 따른 조절스텝이 증가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록킹부재(470)를 위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헤드레스트(400)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킬 수 있다.
덧붙여,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가압부재(454) 역시 탄성스프링(456)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샤프트(450)를 감싸도록 탄성스프링(456)이 설치되되, 상기 탄성스프링(456)의 일단은 후술하는 제2링크(480)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부재(454)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450)를 회전시킬 경우 상기 탄성스프링(456)이 압축되면서 가압부재(454)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압부재(454)와 고정결합된 조절샤프트(450)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되게 되는 구조이다.
한편, 제2링크(480)는 상기 섹터(430)의 후방을 감쌀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섹터(430)의 후방측 측면을 관통하는 고정핀(424)을 통해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상기 제2링크(480)는 상기 제1링크(440)와 마찬가지로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1링크(440)와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여 록킹부재(470) 및 캠을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섹터(430)와 연결되는 상기 제2링크(480)와 상기 제1링크(440)에는 리턴스프링(490)이 설치된다.
상기 리턴스프링(490)은 상기 제1링크(440) 및 제2링크(480)의 후방 이동시 전방으로의 이동이 원활하도록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섹터(430)와 연결되는 제2링크(480)의 하부 후방측에 연장부(482)를 형성하여 상기 리턴스프링(49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제1링크(440)에 상기 리턴스프링(490)의 타단을 탄성지지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록킹부재(470)의 일단이 상기 섹터(430)의 치형부(432) 최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탑승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470)의 일단이 치형부(432)에 형성된 나사산을 타고 넘으면서 쉽게 전방으로 이동된다.
즉, 이때, 상기 록킹부재(470)는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있는 상태로서, 전방으로의 이동은 상기 탄성부재(474)의 탄성력을 무시하면서 상기 록킹부재(470)가 상기 조절샤프트(450)를 중심으로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되면서 이동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재(470)가 상기 섹터(430)의 치형부(432) 최전방에 위치된 상태에서 조절샤프트(450) 회전시키면 조절샤프트(450)와 고정결합된 가압부재(454)가 회전되게 된다. 이에 따라 가압부재(454)의 가압돌기(455)가 상기 록킹부재(470)에 형성된 장공(472)을 따라 이동되어 장공(472)의 끝단에 가압돌기(455)가 접촉되고 이후 지속적으로 조절샤프트(450)를 회전시키게 되면 록킹부재470)가 회전되면서 치형부와 맞물린 일단이 이격되어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후, 사용자가 조절샤프트(450)를 놓게 되면 가압부재(454)를 탄성지지하고 있는 탄성스프링(4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조절샤프트(450)가 회전되면서 가압부재(454)가 회전되어 상기 록킹부재(470)를 가압하고 있는 가압돌기(455)의 가압력이 해제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록킹부재(470)는 탄성부재(474)의 탄성력에 의해 일단이 상기 섹터(430)의 치형부(432)와 맞물리면서 헤드레스트의 후방이동을 제한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400)는 전방 이동은 록킹해제레버(452) 즉, 조절샤프트(450)의 조작없이도 가능하지만 후방이동은 록킹해제레버(452)의 조작 없이는 불가하므로 급정거나 후방충돌시에도 헤드레스트(400)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헤드레스트(40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섹터(430) 및 록킹부재(470)를 양측으로 어긋나게 형성하여 조절스텝을 증가시키는 동시에 조절스텝의 증가에 따른 안전성을 배가시킬 수 있고, 사용위치 어디에서나 록킹을 해제할 수 있어 헤드레스트(400)의 후방이동이 쉽고 간편해지는 등 사용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400 : 헤드레스트 410 : 스테이
420 : 브라켓 430 : 섹터
440 : 제1링크 450 : 조절샤프트
460 : 결합부재 470 : 록킹부재
480 : 제2링크 490 : 리턴스프링

Claims (6)

  1. 시트(미도시)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410)와,
    상기 스테이(41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부에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지는 치형부(432)가 형성된 섹터(430)와,
    하부가 상기 섹터(430)의 전방을 감싸도록 상기 섹터(430)의 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440)와,
    조절샤프트(450)를 통해 상기 제1링크(440)의 상측에 관통결합되는 것으로 일측에 쿠션부재(미도시)와 고정결합될 수 있는 한 쌍의 결합부재(460)와,
    상기 조절샤프트(450) 상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일단이 상기 섹터(430)의 치형부(432)와 치합될 수 있는 한 쌍의 록킹부재(470)와,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조절샤프트(4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가압부재(454)와,
    하부가 상기 섹터(430)의 후방측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가 회전핀(482)을 통해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46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링크(480)와,
    일단이 상기 제2링크(480)의 후방측 하부에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제1링크(440)와 탄성지지되도록 결합되는 리턴스프링(490)을 포함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432)는 부채꼴 형상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치형부(432)는 상기 섹터(430)를 중심으로 구획되는 제1치형부(432a)와 제2치형부(432b)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치형부(432a)와 상기 제2치형부(432b)는 서로 엇갈리게 나사산과 골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는 상기 제1링크(440)의 내측에 위치되도록 상기 조절샤프트(450)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되, 제1록킹부재(470a)와 제2록킹부재(470b)가 각각 개별적으로 회전될 수 있게 결합되는 구성으로서, 일단은 상기 섹터(430)의 치형부(432)와 치합될 수 있게 형성되고, 타단은 수직방향으로 장공(472)이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 사이에 위치되는 상기 가압부재(454)는 상기 조절샤프트(450)에 고정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샤프트(450)의 회전에 따라 상기 가압부재(454)가 회전되어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측면 양측에는 상기 한 쌍의 록킹부재(470)에 각각 형성되는 장공(472)에 삽입될 수 있는 가압돌기(454)가 돌출되게 형성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제1록킹부재(470a)와 제2록킹부재(470b)는 각각 탄성부재(47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6. 청구항 1에 있어서, 가압부재(454)는 탄성스프링(456)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상기 조절샤프트(450)를 감싸도록 탄성스프링(456)이 설치되되, 상기 탄성스프링(456)의 일단은 상기 제2링크(480)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고, 타단은 상기 가압부재(454)에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170116128A 2017-09-11 2017-09-11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806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28A KR101806123B1 (ko) 2017-09-11 2017-09-11 차량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6128A KR101806123B1 (ko) 2017-09-11 2017-09-11 차량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6123B1 true KR101806123B1 (ko) 2018-01-10

Family

ID=60998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6128A KR101806123B1 (ko) 2017-09-11 2017-09-11 차량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61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2123A (ja) 2011-02-04 2012-08-30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の前後位置調整装置
KR101578072B1 (ko) 2014-07-11 2015-12-1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62123A (ja) 2011-02-04 2012-08-30 Ts Tech Co Ltd ヘッドレストの前後位置調整装置
KR101578072B1 (ko) 2014-07-11 2015-12-1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2702B2 (ja) 高さ調節可能領域と下降位置とを備える車両用シート
KR101356136B1 (ko) 차량용 시트 백 래치
US9409503B2 (en)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JP2005529783A (ja) ヘッド/ネックレスト一体型シートアセンブリ
US8414055B2 (en) Vehicle seat
US20070102988A1 (en) Recliner lever assembly for a front seat of a vehicle
EP2412570A2 (en) Seat back device
EP3176029A1 (en) Four-way ratcheting vehicle head restraint assembly
KR20200049060A (ko) 자동차용 시트의 링크 로킹 구조
JP3936166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6361675B2 (ja) 車両用シート
CN103465803B (zh) 座椅调整器组件
KR101806123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83742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US20220153176A1 (en) Headrest assembly with slidable ratchet mechanism
KR20150001986A (ko) 상부 판넬의 틸팅 기능을 갖는 시트 백 프레임
KR101326967B1 (ko) 차량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KR10185073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2002274240A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190057906A (ko) 차량용 시트 회전장치
KR20180045482A (ko) 시트용 암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0786894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록킹장치
EP2162314A1 (en) A seat back support mechanism
KR101447749B1 (ko)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