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47749B1 -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47749B1
KR101447749B1 KR1020070140242A KR20070140242A KR101447749B1 KR 101447749 B1 KR101447749 B1 KR 101447749B1 KR 1020070140242 A KR1020070140242 A KR 1020070140242A KR 20070140242 A KR20070140242 A KR 20070140242A KR 101447749 B1 KR101447749 B1 KR 101447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knob
stopper
seat back
mounting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402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2202A (ko
Inventor
정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0701402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47749B1/ko
Publication of KR200900722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22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47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477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폴딩 조작을 차실내에서 전후방향 어디에서도 가능하게 하고 시트백의 폴딩 조작에 대한 제한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치 않는 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10)을 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리클라이닝 기구(30)와,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30)의 작동을 조절하도록 마운팅 브라켓(16)에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폴딩 노브(12) 및, 상기 폴딩 노브(1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폴딩 노브(12)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 노브(20)와, 상기 스토퍼 노브(20)에 형성된 로크바아(20a) 및, 상기 로크바아(20a)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에 형성된 체결구멍(16a)을 구비한다.
시트백, 폴딩, 노브, 제한, 리클라이닝

Description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seat back folding}
본 발명은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의 폴딩을 전후방향에서 자유롭게 조작할 수 있음과 더불어 시트백의 폴딩을 선택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하는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승합차량의 보조 시트에는 차실내의 전후방향으로 폴딩되는 시트백(50)이 구비되는 바, 상기 시트백(50)은 상측 선단에 폴딩 조작을 위한 폴딩 노브(52)를 갖추고 있어, 사용자가 상기 폴딩 노브(52)의 조작을 통해 시트백(10)을 전후방향으로 자유롭게 폴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폴딩 노브(52)는 시트쿠션과 시트백(50) 사이를 상대 회동가능하게 해 주는 리클라이닝 기구(54)와 케이블(도시안됨)을 매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폴딩 노브(52)의 조작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54)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종래 폴딩 노브(52)는 시트백(50)에 대해 전방 내지 후방의 어느 한 군데에 국한되게 설치되고, 이의 작동 방향도 전방 내지 후방중 어느 하나의 방향으로만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차실내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 위치한 탑승자가 반대방향에 위치한 폴딩 노브(52)를 조작하는 데 불편함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 폴딩 노브(52)는 그 조작을 제한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영/유아에 의한 오조작시 시트백(50)의 원치 않는 폴딩이 수반되고, 그로 인해 각종 사고의 발생에 대한 위험이 존재하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폴딩 조작을 차실내에서 전후방향 어디에서도 가능하게 하고 시트백의 폴딩 조작에 대한 제한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함으로써, 원치 않는 폴딩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을 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리클라이닝 기구와,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의 작동을 조절하는 폴딩 노브 및, 상기 폴딩 노브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기구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폴딩 노브는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에 대해 지지축을 매개로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폴딩 노브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 노브와, 상기 스토퍼 노브에 형성된 로크바아 및, 상기 로크바아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폴딩 노브는 상기 스토퍼 노브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을 갖추고,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폴딩 노브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때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되며, 상기 폴딩 노브의 내측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을 향해 이격된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에 의하면, 시트백의 폴딩 조작을 위한 폴딩 노브가 시트백의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시트백의 폴딩 조작에 대한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 증진에 따른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폴딩을 선택적으로 제한 가능하게 하여 영/유아에 의한 폴딩 노브의 오조작시 시트백의 폴딩으로부터 기인하는 각종 안전 사고의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는 차실내의 보조시트의 시트쿠션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폴딩되는 시트백(10)과, 상기 시트백(10)의 폴딩을 조절하는 폴딩 노브(12) 및, 상기 시트백(10)의 폴딩을 제한하는 스토퍼 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시트백(10)은 시트쿠션에 대해 리클라이닝 기구(30)를 매개로 차실내의 전후방향으로 폴딩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폴딩 노브(12)는 상기 시트백(10)의 프레임(1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30)의 작동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폴딩 노브(12)에 구비되어 상기 폴딩 노브(12)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폴딩 노브(12)는 상기 시트백(10)의 프레임(14)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16)에 대해 지지축(18)을 매개로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데, 이때,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은 상기 시트백(10)의 프레임(14)에 대해 연결 브라켓(17)을 매개로 고정된다.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폴딩 노브(12)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 노브(20)와, 상기 스토퍼 노브(20)에 형성된 로크바아(20a) 및, 상기 로크바아(20a)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에 형성된 체결구멍(16a)을 구비하는 데, 상기 로크바아(20a)는 상기 스토퍼 노브(20)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체결구멍(16a)은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의 상부에 형성되며, 특히 상기 체결구멍(16a)은 마운팅 브라켓(16)에 대해 상기 스토퍼 노브(20)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되지 않은 상태, 즉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30)의 작동이 해제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로크바아(20a)를 수용할 수 있는 위치로 형성된다.
상기 폴딩 노브(12)는 상기 스토퍼 노브(20)를 이동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가이드홈(12a)을 형성하고 있는 바, 상기 가이드홈(12a)은 상기 폴딩 노브(12)의 하부에 일체로 형성된 로크바아(20a)를 수용하여 상기 로크바아(20a)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의 체결구멍(16a)에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지지축(18)에는 상기 폴딩 노브(12)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때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22)이 설치되는 바, 상기 리턴 스프링(22)은 토션 스프링의 형태로서 일단이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에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폴딩 노브(12)에 지지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폴딩 노브(12)는 상기 지지축(18)에 설치된 리턴 스프링(22)을 매개로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때 중립의 상태로 복귀할 수 있는 복원력을 제공받게 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딩 노브(12)의 내측에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을 향해 이격된 돌출부(1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돌출부(12b)는 상기 폴딩 노브(12)가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에 접촉되어 상기 폴딩 노브(12)의 회동 스트로크에 대한 한계를 부여하게 된다.
한편,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에 설치된 고정 브라켓(32)에 대해 결합된 로어투스부(32a)와, 상기 시트백(10)의 프레임(14)에 설치된 가동 브라켓(34)에 대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로어투스부(32a)에 치합 가능하게 설치된 어퍼투스부(34a), 상기 어퍼투스부(34a)를 가압하여 상기 로어투스부(32a)와의 치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가동 브라켓(32)에 힌지결 합되는 작동레버(36) 및, 상기 폴딩 노브(12)로부터 제공되는 조작력을 상기 작동레버(36)에 전달하도록 설치된 케이블(38)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폴딩 노브(12)에는 상기 케이블(38)의 일단부를 결합시키기 위한 고정 브라켓(12c)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폴딩 노브(12)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에 대해 지지축(18)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고정 브라켓(12c)은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케이블(38)의 일단부를 당기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38)의 타단부는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30)의 작동레버(36)를 당겨 상기 고정 브라켓(32)의 로어투스부(32a)와 상기 가동 브라켓(34)의 어퍼투스부(34a) 사이의 치합을 해제시켜 시트쿠션에 대한 상기 시트백(10)의 전후방향으로의 폴딩을 가능하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40은 상기 고정 브라켓(32)의 로어투스부(32a)와 상기 가동 브라켓(34) 사이를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지지축이다.
따라서, 상기 폴딩 노브(12)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에 대해 지지축(18)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케이블(38)이 당겨지면서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30)를 해제상태로 전환시키게 되므로,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10)의 전후방향으로의 폴딩이 가능하게 된다.
이 결과, 차실내에서 사용자가 시트백(10)의 전방 및 후방의 어느 위치에서도 상기 폴딩 노브(12)를 간편하게 조작하여 시트백(10)의 폴딩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 노브(20)를 동작시켜 상기 로 크바아(20a)가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의 체결구멍(16a)에 삽입되면, 상기 마운팅 브라켓(16)에 대한 상기 폴딩 노브(12)의 전후방향으로의 회동이 강제적으로 구속되므로, 상기 폴딩 노브(12)의 조작에 따른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30)의 원치 않는 해제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즉, 차실내에 탑승한 영/유아가 상기 폴딩 노브(12)를 조작하여 리클라이닝 기구(30)의 해제에 따른 시트백(10)의 원치않는 폴딩을 상기 스토퍼 노브(20)의 작동을 매개로 원천적으로 제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시트백(10)의 원치 않는 폴딩에 따른 각종 안전 사고의 발생을 배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는 보조시트에 구비된 시트백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일반 시트에 있어 리클라이닝 기구를 매개로 폴딩될 수 있도록 설치된 시트백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에 대한 설치상태를 전/후방에서 각각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폴딩 노브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와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폴딩 노브의 작동 전/후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3에 도시된 폴딩 노브의 전후방향으로 동작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리클라이닝 기구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종래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시트백 12-폴딩 노브
14-프레임 16-마운팅 브라켓
18-지지축 20-스토퍼 노브
22-리턴 스프링 30-리클라이닝 기구

Claims (6)

  1.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을 폴딩 가능하게 설치하는 리클라이닝 기구와;
    상기 리클라이닝 기구의 작동을 조절하는 폴딩 노브 및;
    상기 폴딩 노브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스토퍼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폴딩 노브의 내측에는 상기 시트백의 프레임에 고정된 마운팅 브라켓을 향해 이격된 돌출부를 일체로 형성하며,
    상기 스토퍼 기구는 상기 폴딩 노브에 대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 노브와, 상기 스토퍼 노브에 형성된 로크바아 및, 상기 로크바아를 선택적으로 수용하도록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형성된 체결구멍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 노브는 상기 마운팅 브라켓에 대해 지지축을 매개로 전후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폴딩 노브는 상기 스토퍼 노브를 이동가능하게 하는 가이드홈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지지축에는 상기 폴딩 노브가 전후방향으로 회동될 때 복원력을 제공하는 리턴 스프링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6. 삭제
KR1020070140242A 2007-12-28 2007-12-28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KR101447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242A KR101447749B1 (ko) 2007-12-28 2007-12-28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40242A KR101447749B1 (ko) 2007-12-28 2007-12-28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202A KR20090072202A (ko) 2009-07-02
KR101447749B1 true KR101447749B1 (ko) 2014-10-08

Family

ID=41329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40242A KR101447749B1 (ko) 2007-12-28 2007-12-28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477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9609B1 (ko) 2013-03-27 2019-11-01 주식회사 다스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65A (ko) * 1994-08-22 1996-03-22 김태구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장치
KR20020051677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차량용 리어시트의 폴딩장치
JP2004359158A (ja) 2003-06-06 2004-12-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格納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7265A (ko) * 1994-08-22 1996-03-22 김태구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장치
KR20020051677A (ko) * 2000-12-23 2002-06-29 이계안 차량용 리어시트의 폴딩장치
JP2004359158A (ja) 2003-06-06 2004-12-2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シート格納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2202A (ko) 2009-07-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6302485B1 (en) Head rest device for vehicles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US8336955B2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vehicle seat
JP6615596B2 (ja) 自動車用シートクッションエクステンション装置
US8622468B2 (en) Seat back device
KR20060117991A (ko) 머리받침 장치
KR20090065725A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록킹장치
KR1018642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JPH0825414B2 (ja) 幼児用拘束保護シート
KR100461102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리클라이닝 장치
CA2779920C (en) In-line recliner return mechanism
JP4758779B2 (ja) シートの操作装置及びシート
KR102332907B1 (ko)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JPH0986244A (ja) 自動車の座席の折り畳み装置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JPS6325977B2 (ko)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KR101447749B1 (ko)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JP3527151B2 (ja) シートの格納式フットレスト
JP7447518B2 (ja) 乗物用シート
JP4480167B2 (ja) ウォークインシート構造
JP6613406B2 (ja) 乗物用シートにおけるシートバック又はアームレストのロック機構
JP6547505B2 (ja) 乗り物用シート
KR20120126347A (ko) 세미 록킹 구조를 갖는 차량용 시트의 폴딩 리클라이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