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39609B1 -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39609B1
KR102039609B1 KR1020130032711A KR20130032711A KR102039609B1 KR 102039609 B1 KR102039609 B1 KR 102039609B1 KR 1020130032711 A KR1020130032711 A KR 1020130032711A KR 20130032711 A KR20130032711 A KR 20130032711A KR 102039609 B1 KR102039609 B1 KR 1020396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groove
housing
electric actuator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7865A (ko
Inventor
김지훈
김민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30032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9609B1/ko
Publication of KR201401178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78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96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96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60N2/02253Electric mot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between the electric motor and the seat or se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seat adjustment
    • B60N2/0228Hand-activated mechanical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전동모터가 구비되며 외주면 일측에 장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장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견인하는 동력전달 브라켓을 포함하는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ELECTRIC ACTUATOR FOR FOLDING SEAT}
본 발명은 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객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 상체를 지지하는 시트백(seat back), 머리 및 목을 지지하는 헤드레스트(headrest)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통 3열 시트가 장착된 RV(Recreation Vehicle) 차량에서 2열 시트는 시트백의 전후방향 각도 조절이 가능한 리클라이닝 동작과,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시켜 완전히 접히도록 하는 폴딩 동작과, 3열 시트 탑승자의 승하차를 위해 2열 시트 자체를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워크인 동작을 함께 구비하고 있어야 한다.
여기서, 폴딩 동작은 2열 내지 3열 리어시트에 탑승객이 탑승하지 않고, 짐을 적재하기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할 때 이루어진다.
이때, 시트백이 전방으로 폴딩되는 동시에 시트쿠션 상에 밀착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후면, 즉, 폴딩된 상태의 시트백 상면은 트렁크 공간과 하나로 이어지는 적재공간이 된다.
종래의 시트백 폴딩 방법으로는 먼저, 수동식 폴딩레버를 조작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고, 반대로 폴딩된 시트백을 다시 본래의 원위치(언폴딩된 위치)로 세울 때에는 사용자의 수조작에 의해 시트백을 들어 올리는 수동폴딩/수동복원 방식이 있다.
이러한 수동폴딩/수동복원 방식은 시트백의 상단 또는 러기지(트렁크 룸)의 측벽에 장착된 수동식 폴딩레버를 조작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기 때문에 큰 어려움은 없으나, 다시 시트백을 본래 위치로 복원시키기 위해서는 고중량의 시트백을 러기지 쪽에서 직접 당겨주거나 리어도어를 열고 밀어주는 등의 복원 조작을 수동식으로 직접 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전술한 시트백 폴딩 방법과 다른 방법으로는, 시트백을 폴딩시킬 때에는 러기지 측벽에 마련된 파워 스위치 버튼을 조작하여 시트백을 폴딩시키고, 폴딩된 시트백을 다시 본래의 원위치로 세울 때에도 파워 스위치 버튼을 조작하여 시트백을 들어 올리는 전동폴딩/전동복원 방식이 있다.
이러한 전동폴딩/전동복원 방식은 파워 스위치 버튼 조작에 의해, 시트백에 설치된 폴딩장치가 연동하여 시트백의 폴딩 및 언폴딩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므로, 작동 편의성 면에서는 편리한 장점이 있으나, 폴딩 및 복원 조작을 위한 파워 스위치 버튼을 별도로 설치해야 함에 따라 원가상승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고, 시트백의 폴딩 및 언폴딩 속도가 전동식 구동에 따라 느린 단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전동폴딩/전동복원 방식의 경우, 파워 스위치 버튼에 의해 작동하는 전동 액츄에이터와 시트백의 일측에 구비되는 폴딩장치가 단일 케이블로 연결되었다.
즉, 종래에는 동력전달 루트가 한 방향으로서, 전동 액츄에이터로부터 시트백 일측의 폴딩장치까지 하나의 케이블만이 연결되었으며 따라서, 시트백 양측에 폴딩장치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이들 각각에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별도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설치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런데, 이처럼 한 쌍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설치하는 것은 제작비용과 시간의 증대를 초래할 뿐만 아니라, 양측의 폴딩장치에 각각 전달되는 동력이 서로 균일하지 않은 경우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을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또한, 종래의 전동 액츄에이터는 하우징 내에 복수의 기어가 설치되어 그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KR 10-0520775 B1 (2005.10.05 등록) KR 10-2009-0072202 A (2009.07.02 공개) KR 10-2007-0007835 A (2007.01.16 공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시트백 양측의 폴딩장치에 동력을 균일하게 전달하여 분배할 수 있는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에 전동모터가 구비되며 외주면 일측에 장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장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견인하는 동력전달 브라켓을 포함하는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동력전달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견인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장홈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결합부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 헤드가 삽입되는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헤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축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심선에 대한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제1 가이드홈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심선에 대한 인출 방향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을 더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하우징은,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 사이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에 의해 타측이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 결합되는 끼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에 의하면, 시트백의 폴딩 작동은 파워 스위치 버튼 조작에 의해 전동 액츄에이터와 폴딩장치가 연동하여 이루어지고, 시트백을 원위치로 세우기 위한 언폴딩 작동은 수동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종래의 수동조작 방식에 비하여는 작동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종래의 자동조작 방식에 비하여는 부품수 감축에 따른 원가절감이 실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하나의 전동 액츄에이터를 사용하여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에 구비되는 폴딩장치에 동력을 균일하게 분배하여 전달할 수 있으므로, 제작비용과 시간이 절감되고 고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에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재와 케이블의 상세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브라켓과 케이블의 결합 상세도.
이하, 본 발명인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에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이하, '전동 액츄에이터')(100)는, 시트백 프레임(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된다.
이때, 시트백 프레임(10)의 전면부 일측에 한 쌍의 고정돌기(20)가 형성되며, 고정돌기(20)의 하부에 이격하여 지지브라켓(30)이 돌출 형성된다. 고정돌기(20)와 지지브라켓(30)은 전동 액츄에이터(100)를 시트백 프레임(10)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고정돌기(20)는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하여 대향하는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전동 액츄에이터(100)는 하단이 지지브라켓(30)에 지지된 상태로 상단부가 한 쌍의 고정돌기(20) 사이로 삽입된다. 이때, 한 쌍의 고정돌기(20)는 전동 액츄에이터(100)의 상단부를 양측에서 탄성 지지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고정돌기(20)에서 서로 대향하는 내측면은 전동 액츄에이터(100)의 하우징(200) 외관과 대응되는 형태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동 액츄에이터(100)는 시트백 프레임(10)의 일 측면 또는 양 측면에 설치되는 폴딩 장치(40)와 케이블(50)로 연결된다. 이때, 전동 액츄에이터(100)가 케이블(50)을 당겨서 견인하는 경우, 폴딩 장치(40)의 리턴 스프링(41)이 록킹(locking) 해제되면서 리턴 스프링(41)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시트백이 시트쿠션 방향으로 접혀지게 된다. 이처럼 리턴 스프링의 록킹 해제에 의해 시트백이 시트 쿠션에 대하여 폴딩 또는 언폴딩되는 폴딩 장치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09282호(2011.01.28 공개) 등 다수의 문헌에 의해 이미 공지되어 있으므로, 이하 폴딩 장치(40)의 상세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지지브라켓(30)의 상단에는 끼움홈(31)이 형성되며, 케이블(50)의 단부에는 끼움홈(31)에 대응 결합되는 끼움부재(60)가 구비된다. 즉, 폴딩 장치(40)와 연결된 케이블(50)은 끼움부재(60)가 지지브라켓(30) 상단의 끼움홈(31)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그 위치가 고정된다. 이때, 케이블(50)의 심선(51)은 끼움홈(3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절개홈(32)을 통해 전동 액츄에이터(100) 방향으로 연장되며, 심선(51)의 끝단에는 심선(51)과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케이블 헤드(52)가 구비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액츄에이터(100)는, 전동 액츄에이터(100)의 외관을 구성하는 하우징(200)과, 하우징(200)에 장착되어 케이블(50)을 견인하는 동력전달 브라켓(300)을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200)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폭에 비해 길이가 길게 형성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진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도 2에는 일 예로서 원기둥 형태의 하우징(200)을 도시하고 있다.
하우징(200)의 내부에는 전동모터(미도시)가 고정 설치되고, 하우징(200)의 외주면 일측에는 소정의 폭을 가지고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홈(210)이 형성된다.
동력전달 브라켓(300)은 하우징(200) 내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부재(미도시)와, 이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 결합부(350)가 형성되는 견인부재(320)를 포함한다.
이때, 이동부재는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양측이 하우징(20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전동모터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리드스크류(미도시)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동모터의 정/역회전에 의해 리드스크류가 정/역회전하면, 리드스크류와 나사결합된 이동부재가 하우징(200) 내에서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전동모터의 구동은 시트백 프레임(10)의 일측에 구비되는 파워 스위치 버튼(미도시)에 의해 이루어지며, 전동모터에는 전원공급 케이블(50)이 연결된다.
견인부재(320)는 이동부재의 일측에서 장홈(210)을 관통하여 하우징(200)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330)와, 연장부(33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340)를 포함한다. 즉, 견인부재(320)를 구성하는 연장부(330)와 연결부(340)는 전체적으로 'T'자 형상을 이룬다.
연장부(330)는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태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가진 기둥 형태의 연장부(330)를 일 예로서 도시하고 있다. 이때, 연장부(330)는 하우징(200)의 장홈(21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장홈(210)의 폭 보다 약간 작은 폭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340)는 연장부(33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 형태의 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원형 단면을 가진 기둥 형태의 연결부(340)를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견인부재(320)는 복수 개의 케이블(50)을 견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부(340)에는 서로 이격하여 복수 개의 케이블 결합부(35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340)의 양단에 각각 하나씩, 한 쌍의 케이블 결합부(350)가 형성된 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케이블 결합부(35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케이블 결합부(350)는 케이블 헤드(52)가 삽입되는 삽입홈(351)과, 삽입홈(351)의 일측에서 연결부(3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어 케이블 헤드(52)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352)를 포함한다. 여기서, 삽입홈(351)은 예컨대 연결부(34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352)는 삽입홈(351)으로 삽입된 케이블 헤드(52)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삽입홈(351)으로 삽입된 케이블 헤드(52)의 외주면 일측을 감싸도록 삽입홈(351)의 일측에서 연결부(3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폭과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걸림부(352)의 끝단은 소정의 폭과 길이로 절개되어, 연결부(340)와 걸림부(352) 사이에 제1 가이드홈(353)이 형성된다. 이 제1 가이드홈(353)은 걸림부(352)의 일측에서 연결부(340)의 축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블 헤드(52)를 삽입홈(351)에 삽입할 때, 케이블(50)의 심선(51)이 걸림부(352)에 걸리지 않도록 그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제1 가이드홈(353)의 일측, 더욱 상세하게는 걸림부(352)의 내측에 제1 가이드홈(353)과 수직 방향으로 제2 가이드홈(354)이 절개 형성된다. 이 제2 가이드홈(354)은 제1 가이드홈(353)의 일측에서 연결부(340)의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는 것으로, 케이블 헤드(52)가 삽입홈(351)에 완전히 삽입되었을 때, 케이블(50)의 심선(51)이 연결부(340)로부터 인출되는 방향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케이블(50)의 단부에는 지지브라켓(30)의 끼움홈(31)에 결합되는 끼움부재(60)가 구비되는데, 이 끼움부재(60)는 삽입편(61)과 걸림편(62)이 소정 간격 서로 이격하여 연결편(63)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 클립 형태를 하고 있으며, 끼움홈(31)에 삽입편(61)이 삽입되면 지지브라켓(30)의 하단에 걸림편(62)이 밀착 지지된다. 이때, 걸림편(62)은 삽입편(61) 보다 길이가 길고, 걸림편(62)의 하단에는 공차 흡수를 위한 걸림돌기가 돌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재와 케이블의 상세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견인부재(320)는 장홈(210)을 통해 연장되는 연장부(330)와, 연장부(330)의 상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340)를 포함한다. 그리고, 연결부(340)의 양단에 각각 케이블 결합부(350)가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 결합부(350)는 삽입홈(351)과 걸림부(352) 및 제1 가이드홈(353)과 제2 가이드홈(354)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연결부(340)의 양단에서 삽입홈(351)과 제1 가이드홈(353) 및 제2 가이드홈(354)이 형성되고 남은 나머지 부분이 걸림부를 이룬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 브라켓과 케이블의 결합 상세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340) 양단의 케이블 결합부(350)에 케이블(50) 심선(51)의 단부에 구비되는 케이블 헤드(52)가 결합된다. 여기서, 케이블 헤드(52)는 연결부(340)의 양측에서 연결부(3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삽입홈(351)에 삽입되며, 이때 케이블(50)의 심선(51)은 제1 가이드홈(353)을 따라 이동한다. 케이블 헤드(52)가 삽입홈(351)에 완전히 삽입되면 심선(51)이 지지브라켓(30) 방향으로 인출되도록 케이블 헤드(52)를 회전시키며, 이때 케이블(50)의 심선(51)은 제2 가이드홈(354)을 따라 회전한다.
이후, 각 케이블(50)의 끼움부재(60)를 지지브라켓(30)의 끼움홈(31)에 결합하여 케이블(50)의 위치를 고정시키게 된다. 이때, 전동 액츄에이터(100)의 하우징(200)은 한 쌍의 고정돌기(20) 사이에 끼움 결합되며, 하우징(200) 하단이 지지브라켓(30)의 상측면에 지지된다.
파워 스위치 버튼의 조작에 의해 전동모터가 구동하면, 하우징(200) 내에서 리드스크류와 나사 결합한 이동부재는 리드스크류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2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이때, 연장부(330)는 하우징(200)의 장홈(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연장부(330)와 함께 연결부(340)가 이동하면서 케이블(50)의 심선(51)을 당기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파워 스위치 버튼의 조작에 의해 동력전달 브라켓(300)이 이동하면서 케이블(50)을 견인하여, 폴딩 장치(40)의 리턴 스프링(41)을 록킹 해제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동력전달 브라켓(300)의 연결부(340)에 복수의 케이블 결합부(350)가 구비되므로, 시트백 프레임(10)의 양측에 각각 폴딩 장치(40)가 구비되는 등 적용 사양이 변경되는 경우에도, 별도의 전동모터 또는 전동 액츄에이터(100)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없어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아울러, 하나의 전동모터에서 발생되는 구동력이 케이블 결합부(350)에 결합된 케이블(50)에 각각 균일하게 분배되므로, 구동력의 불균일한 분배에 따른 오작동이나 고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하여 제품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10 : 시트백 프레임 20 : 고정돌기
30 : 지지브라켓 40 : 폴딩 장치
41 : 리턴 스프링 50 : 케이블
51 : 심선 52 : 케이블 헤드
60 : 끼움부재
100 : 전동 액츄에이터 200 : 하우징
210 : 장홈 300 : 동력전달 브라켓
320 : 견인부재 330 : 연장부
340 : 연결부 350 : 케이블 결합부

Claims (8)

  1. 내부에 전동모터가 구비되며 외주면 일측에 장홈이 형성되는 하우징, 및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장홈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을 견인하는 동력전달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 브라켓은 상기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며 상기 전동모터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하는 이동부재, 및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 형성되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케이블 결합부가 형성되는 견인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견인부재는 상기 이동부재의 일측에서 상기 장홈을 관통하여 상기 하우징의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장부, 및 상기 연장부의 일단에서 양측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케이블 결합부가 서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결합부는,
    상기 케이블의 케이블 헤드가 삽입되는 삽입홈;
    상기 삽입홈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케이블 헤드의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부;
    상기 걸림부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축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심선에 대한 인입 방향을 안내하는 제1 가이드홈; 및
    상기 제1 가이드홈의 일측에서 상기 연결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절개 형성되어 상기 케이블의 심선에 대한 인출 방향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시트백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고정돌기 사이에 일측이 끼움 결합되고, 상기 고정돌기와 이격하여 돌출 형성되는 지지브라켓에 의해 타측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지지브라켓의 상단에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블의 일측에는 상기 끼움홈에 대응 결합되는 끼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KR1020130032711A 2013-03-27 2013-03-27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KR1020396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11A KR102039609B1 (ko) 2013-03-27 2013-03-27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11A KR102039609B1 (ko) 2013-03-27 2013-03-27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865A KR20140117865A (ko) 2014-10-08
KR102039609B1 true KR102039609B1 (ko) 2019-11-01

Family

ID=51990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11A KR102039609B1 (ko) 2013-03-27 2013-03-27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96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489A (ko) * 2020-12-02 2022-06-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구동 메커니즘 구조
EP4063188A1 (en) 2021-03-22 2022-09-28 Daechang Seat Co., Ltd.-Dongtan Actuator for reclin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7739A1 (en) * 2003-12-12 2005-06-16 Bates Jeffrey D. Integrated compensator module
KR100765206B1 (ko) * 2006-05-02 2007-10-09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등받이 람버 조절용 모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0775B1 (ko) 2003-09-30 2005-10-12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DE102004040602A1 (de) 2004-04-08 2005-10-27 Wolf, Erwin, Dipl.-Ing. Stellantrieb
KR101447749B1 (ko) 2007-12-28 2014-10-08 주식회사다스 시트백의 폴딩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127739A1 (en) * 2003-12-12 2005-06-16 Bates Jeffrey D. Integrated compensator module
KR100765206B1 (ko) * 2006-05-02 2007-10-09 대동모벨시스템 주식회사 등받이 람버 조절용 모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77489A (ko) * 2020-12-02 2022-06-0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구동 메커니즘 구조
KR102523570B1 (ko) 2020-12-02 2023-04-19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구동 메커니즘 구조
EP4063188A1 (en) 2021-03-22 2022-09-28 Daechang Seat Co., Ltd.-Dongtan Actuator for recliner
US11889923B2 (en) 2021-03-22 2024-02-06 Daechang Seat Co., Ltd-Dongtan Actuator for recl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7865A (ko) 2014-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02246B2 (en) Cable synchronizer system
CN110962705B (zh) 用于使车辆座椅旋转和倾斜的装置
US7967375B2 (en) Headrest apparatus moveable in cooperation with seat back
US8672399B2 (en) Vehicle seat having an adjustable head restraint
CA2961769C (en) Quick adjust power adjuster for a vehicle seat
US10780810B2 (en) Actuator and method of actuating a latch
JP6539776B2 (ja) シート・コンポーネント調節アクチュエータ、車両シート、および、シート・コンポーネントを調節する方法
US7484808B2 (en) Vision improving system for a head restraint
CA2735570C (en) Head restraint and seat stow flat handle
US20160250953A1 (en) Power headrest apparatus
KR101839131B1 (ko) 시트조절을 위한 액츄에이터 어셈블리와 그 방법
CN106965720B (zh) 快速分离头枕
KR101149075B1 (ko) 럼버 서포트 어셈블리
US20060163932A1 (en) Backrest for a vehicle seat
KR101428389B1 (ko) Mpv 차량의 헤드레스트 장치
KR102039609B1 (ko) 폴딩 시트용 전동 액츄에이터
JP5795397B2 (ja) 電気的手動解除シート
EP1316471A1 (en) Vehicle seat portion for moving from a use-position to a stow position
CN102555858B (zh) 座椅结构
CN112918333A (zh) 座椅总成
KR20180060396A (ko) 차량용 플랫시트
WO2015011795A1 (ja) 乗り物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9399420B2 (en) Electromechanical retractable head restraint
JP5900230B2 (ja) スライド装置
KR101716968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