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4253B1 -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4253B1
KR101864253B1 KR1020160139872A KR20160139872A KR101864253B1 KR 101864253 B1 KR101864253 B1 KR 101864253B1 KR 1020160139872 A KR1020160139872 A KR 1020160139872A KR 20160139872 A KR20160139872 A KR 20160139872A KR 101864253 B1 KR101864253 B1 KR 101864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link
locking
frame
lock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8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478A (ko
Inventor
김성중
김동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스
Priority to KR10201601398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2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45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2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54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백프레임의 워크인 상태에서 폴딩이 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는 시트백프레임에 구비된 워크인레버가 동작하면 리클라이너의 고정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회전되되 일정 각도 회전 후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워크인 동작되고, 쿠션프레임에 구비된 폴딩레버가 동작하면 시트백프레임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폴딩 동작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시트백프레임의 워크인 상태에서 폴딩이 바로 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WALK-IN AND FOLDING APPARATUS OF VEHICLE SEA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시트백프레임의 워크인 상태에서 폴딩이 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느끼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이러한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앞뒤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시트쿠션과, 이 시트쿠션에 대하여 일정 각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으로 크게 구성된다.
한편, 차량의 탑승공간에는 다양한 신체사이즈의 사람들이 탑승하게 되고 또한 물품을 싣기 위해 다양한 공간이 요구될 수 있다.
이러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서 종래에는 시트백을 폴딩하고 그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3도어 차량, 승합 차량, SUV 또는 RV 차량의 경우 후석 탑승자의 탑승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전방시트를 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도어의 개방면적을 넓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슬라이딩과 함께 시트백이 시트쿠션쪽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는 리클라이닝 기능이 추가되어 공간의 확장을 극대화하고 있다.
한편, 차량용 시트의 시트쿠션을 슬라이딩 이동시키는 것을 워크인 기능이라고 하며, 승합 차량, SUV 또는 RV 차량의 경우 후석에 탑승하는 탑승자의 승하차 시의 편의를 위해 2열 또는 3열에 위치한 출입도어 쪽 시트에 워크인 장치가 구비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 차량용 시트에 구비되는 워크인 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프레임에 장착된 워크인레버를 탑승자가 작동시키면, 워크인 케이블이 당겨지면서 리클라이너의 고정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을 일정 각도 회전 시키게 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회전하면서 로킹 케이블을 당기게 되어 시트레일과 시트 사이를 고정하는 로킹수단의 구속을 해제하여 시트를 차량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워크인 동작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워크인 동작에 의해 시트백프레임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폴딩 동작을 하기 위해서는 시트백프레임을 원 상태로 복귀시킨 뒤 쿠션프레임에 구비된 폴딩레버를 작동시켜야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된다.
따라서, 워크인 동작에서 폴딩 동작이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없고, 시트백프레임을 원 상태로 복귀시킨 후 다시 폴딩 동작을 수행하여야 하므로 탑승자의 조작 불편함이 있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6222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시트백프레임의 워크인 상태에서 폴딩이 될 수 있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는, 시트백프레임에 구비된 워크인레버가 동작하면 리클라이너의 고정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회전되되 일정 각도 회전 후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워크인 동작되고, 시트백프레임이 일정 각도만 회전된 워크인 동작 상태에서 쿠션프레임에 구비된 폴딩레버가 동작하면 시트백프레임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폴딩 동작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는, 상기 쿠션프레임에 체결되는 베이스 브라켓;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돌출 형성된 스톱퍼; 시트백프레임의 폴딩시 시트백프레임에 가압되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로킹수단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스톱퍼에 구속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로킹링크; 및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전되게 체결되되 상기 스톱퍼에 의해 제1 방향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로킹링크가 회전되게 체결되며, 폴딩레버의 조작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백프레임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폴딩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킹링크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부가 상기 폴딩링크에 구비된 로킹링크 회전축에 탄성 회전되게 체결된 로킹링크 몸체; 로킹수단과 연결된 로킹케이블이 체결되게 상기 로킹링크 몸체의 일측단에 형성된 로킹케이블 체결홀; 및 시트백프레임에 가압되게 상기 로킹링크 몸체의 타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킹링크는, 상기 로킹링크 몸체의 타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한쌍으로 마련되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탄성 지지부; 및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로킹링크 회전축에 삽입 배치되고, 양측단이 상기 탄성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되는 로킹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폴딩링크는,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구비된 폴딩링크 회전축에 탄성 회전되게 체결되고, 중심측에 상기 로킹링크 회전축이 구비된 상기 폴딩링크 몸체; 폴딩레버와 연결된 폴딩케이블이 체결되게 상기 폴딩링크 몸체의 타측단에 형성된 폴딩케이블 체결홀; 상기 폴딩링크 몸체에서 상기 로킹링크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킹링크의 회전시 상기 로킹 탄성부재의 양측단이 지지되게 마련된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폴딩링크 회전축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폴딩링크 몸체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체결되어 상기 폴딩링크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폴딩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워크인 동작은, 워크인레버가 동작하면 리클라이너가 고정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회전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회전하면 상기 로킹링크의 돌기부가 시트백프레임에 가압되어 상기 로킹링크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수단의 고정이 해제되며, 상기 로킹링크는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스톱퍼에 회전 구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폴딩 동작은, 폴딩레버가 동작하면 상기 폴딩링크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로킹링크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로킹링크의 돌기부가 시트백프레임과 접촉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에 따르면, 시트백프레임의 워크인 상태에서 폴딩이 바로 될 수 있어 조작이 간편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가 차량용 시트에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의 워크인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의 폴딩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의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가 차량용 시트에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2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사시도 및 분리 사시도이다.
나아가, 도 5는 상기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의 워크인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의 폴딩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상기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의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해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100)는 시트백프레임(10)에 구비된 워크인레버(11)가 동작하면 리클라이너(12)의 고정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10)이 회전되되 일정 각도 회전 후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워크인 동작되고, 쿠션프레임(20)에 구비된 폴딩레버(21)가 동작하면 시트백프레임(10)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10)이 폴딩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탑승자가 워크인 동작을 위하여 시트백프레임(10)의 상단에 구비된 워크인레버(11)를 동작시키면 워크인레버(11)와 리클라이너(12) 간을 연결하는 케이블(13)이 당겨져 리클라이너(12)의 고정을 해제하게 되어 시트백프레임(10)이 회전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시트백프레임(1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각도만 회전되게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백프레임(10)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폴딩레버(21)를 동작시키면 일정 각도만 회전되게 구속되어 있는 시트백프레임(10)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0)이 더 회전할 수 있게 되고, 최종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프레임(10)이 폴딩된다.
즉, 워크인 동작에서 시트백프레임(10)은 일정 각도만 회전되게 마련되지만 시트백프레임(10)을 완전히 접는 폴딩 동작이 필요한 경우 탑승자가 폴딩레버(21)를 동작시켜 시트백프레임(10)이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바로 폴딩되게 동작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100)는 상기 쿠션프레임(20)에 체결되는 베이스 브라켓(200)과,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에 돌출 형성된 스톱퍼(300)와, 시트백프레임(10)의 폴딩시 시트백프레임(10)에 가압되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로킹수단(미도시)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스톱퍼(300)에 구속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로킹링크(400),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에 회전되게 체결되되 상기 스톱퍼(300)에 제1 방향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로킹링크(400)가 회전되게 체결되며 폴딩레버(21)의 조작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킹링크(40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폴딩링크(50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은 상기 쿠션프레임(20)에 체결되고, 상기 폴딩링크(500)가 회전되게 체결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에는 폴딩링크 회전축(210)이 마련되고, 상기 폴딩링크 회전축(210)에 상기 폴딩링크(500)가 회전되게 체결된다.
상기 스톱퍼(300)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체결되고,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에서 상기 폴딩링크 회전축(2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폴딩링크(500)의 제1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의 회전을 구속한다.
그리고, 상기 스톱퍼(300)는 상기 로킹링크(400)의 일측이 시트백프레임(10)에 가압되어 제2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상기 로킹링크(400)의 타측이 접촉하여 회전이 구속한다. 즉, 상기 스톱퍼(300)는 상기 로킹링크(400)가 일정 각도 범위에서만 회전되게 구속한다.
상기 로킹링크(400)는 시트백프레임(10)의 폴딩시 시트백프레임(10)에 가압되어 제2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시트레일(30)과 쿠션프레임(20) 사이에 구비되는 로킹수단(미도시)을 동작시켜 쿠션프레임(20)의 고정을 해제한다. 따라서, 쿠션프레임(20)을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워크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로킹링크(400)는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스톱퍼(300)에 구속되어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시트백프레임(10)은 약 30° 정도의 각도를 가지도록 앞으로 기울어 지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로킹링크(400)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부(411)가 상기 폴딩링크(500)에 구비된 로킹링크 회전축(511)에 탄성 회전되게 체결된 로킹링크 몸체(410)와, 로킹수단과 연결된 로킹케이블(22)이 체결되게 상기 로킹링크 몸체(410)의 일측단에 형성된 로킹케이블 체결홀(420)과, 시트백프레임(10)에 가압되게 상기 로킹링크 몸체(410)의 타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43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탑승자가 워크인레버(11)를 동작하여 리클라이너(12)가 고정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10)이 회전하게 되고, 이때 시트백프레임(10)의 단부(14)가 상기 로킹링크의 돌기부(430)와 접촉하여 상기 돌기부(430)를 가압하여 상기 로킹링크(400)를 제2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고, 상기 로킹링크(400)에 체결된 로킹케이블(22)이 당겨지게 되어 로킹수단의 구속을 해제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로킹링크(400)는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스톱퍼(300)에 회전이 구속된다.
그리고, 상기 로킹링크(400)는 상기 로킹링크 몸체(410)의 타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한쌍으로 마련되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탄성 지지부(440)와,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로킹링크 회전축(511)에 삽입 배치되고 양측단이 상기 탄성 지지부(440)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되는 로킹 탄성부재(450)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상기 로킹 탄성부재(450)는 상기 로킹링크(400)의 돌기부(430)가 시트백프레임(10)의 구속에서 해제되면 상기 로킹링크(400)를 제1 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력을 인가하여 상기 로킹링크(400)의 원 위치로 복귀시킨다.
상기 폴딩링크(500)는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에 구비된 폴딩링크 회전축(210)에 일측이 회전되게 체결되되 상기 스톱퍼(300)에 의해 제1 방향 회전이 구속되고, 중심측에 상기 로킹링크(400)가 회전되게 체결되며, 폴딩레버(21)의 조작으로 폴딩케이블(23)이 당겨지게 되어 상기 폴딩링크(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로킹링크(400)를 함께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로킹링크(400)의 돌기부(430)가 시트백프레임(10)의 단부와 이격되어 시트백프레임(10)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딩링크(500)는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에 구비된 폴딩링크 회전축(210)에 탄성 회전되게 체결되고 중심측에 상기 로킹링크 회전축(511)이 구비된 상기 폴딩링크 몸체(510)와, 폴딩레버(21)와 연결된 폴딩케이블(23)이 체결되게 상기 폴딩링크 몸체(510)의 타측단에 형성된 폴딩케이블 체결홀(520)과, 상기 폴딩링크 몸체(510)에서 상기 로킹링크(400)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킹링크(400)의 회전시 상기 로킹 탄성부재(450)의 양측단이 지지되게 마련된 회전 지지부(530), 그리고 상기 폴딩링크 회전축(210)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폴딩링크 몸체(510)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200)에 체결되어 상기 폴딩링크(500)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폴딩 탄성부재(54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워크인 동작 후 시트백프레임(10)이 일정 각도 회전된 상태에서, 탑승자가 폴딩레버(21)를 동작하면 폴딩케이블(23)이 당겨지게 되어 상기 폴딩링크(500)를 제2 방향으로 회전 시키고, 상기 폴딩링크(500)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폴딩링크(500)에 체결된 상기 로킹링크(400)가 함께 제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로킹링크(400)의 돌기부(430)가 시트백프레임(10)의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시트백프레임(10)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10)을 폴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100)는 워크인레버(11)를 동작시켜 시트백프레임(10)이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에서 워크인 동작을 하게 되고, 이때 폴딩레버(21)를 동작시키면 폴딩링크(500)가 회전하면서 시트백프레임(10)의 회전을 구속하고 있던 로킹링크(400)를 함께 회전시켜 시트를 폴딩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시트백프레임 11 : 워크인레버
12 : 리클라이너 13 : 케이블
14 : 단부 20 : 쿠션프레임
21 : 폴딩레버 22 : 로킹케이블
23 : 폴딩케이블 30 : 시트레일
100 :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200 : 베이스 브라켓 210 : 폴딩링크 회전축
300 : 스톱퍼 400 : 로킹링크
410 : 로킹링크 몸체 420 : 로킹케이블 체결홀
430 : 돌기부 440 : 탄성 지지부
450 : 로킹 탄성부재 500 : 폴딩링크
510 : 폴딩링크 몸체 520 : 폴딩케이블 체결홀
530 : 회전 지지부 540 : 폴딩 탄성부재

Claims (7)

  1. 시트백프레임에 구비된 워크인레버가 동작하면 리클라이너의 고정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회전되되 일정 각도 회전 후 회전이 구속된 상태에서 워크인 동작되고,
    시트백프레임이 일정 각도만 회전된 워크인 동작 상태에서 쿠션프레임에 구비된 폴딩레버가 동작하면 시트백프레임의 회전 구속이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폴딩 동작되게 구성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프레임에 체결되는 베이스 브라켓;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돌출 형성된 스톱퍼;
    시트백프레임의 폴딩시 시트백프레임에 가압되어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며 로킹수단의 고정을 해제하고, 상기 스톱퍼에 구속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되는 로킹링크; 및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회전되게 체결되되 상기 스톱퍼에 의해 제1 방향 회전이 구속되고, 상기 로킹링크가 회전되게 체결되며, 폴딩레버의 조작으로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시트백프레임의 회전 구속을 해제하는 폴딩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링크는,
    ㄴ자 형태로 절곡된 절곡부가 상기 폴딩링크에 구비된 로킹링크 회전축에 탄성 회전되게 체결된 로킹링크 몸체;
    로킹수단과 연결된 로킹케이블이 체결되게 상기 로킹링크 몸체의 일측단에 형성된 로킹케이블 체결홀; 및
    시트백프레임에 가압되게 상기 로킹링크 몸체의 타측단에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돌기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로킹링크는,
    상기 로킹링크 몸체의 타측단에서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한쌍으로 마련되어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된 탄성 지지부; 및
    U자 형태로 마련되어 상기 로킹링크 회전축에 삽입 배치되고, 양측단이 상기 탄성 지지부 사이에 배치되어 지지되는 로킹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링크는,
    일측단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구비된 폴딩링크 회전축에 탄성 회전되게 체결되고, 중심측에 상기 로킹링크 회전축이 구비된 폴딩링크 몸체;
    폴딩레버와 연결된 폴딩케이블이 체결되게 상기 폴딩링크 몸체의 타측단에 형성된 폴딩케이블 체결홀;
    상기 폴딩링크 몸체에서 상기 로킹링크 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로킹링크의 회전시 상기 로킹 탄성부재의 양측단이 지지되게 마련된 회전 지지부; 및
    상기 폴딩링크 회전축에 삽입되며, 일측이 상기 폴딩링크 몸체의 일측단에 체결되고 타측이 상기 베이스 브라켓에 체결되어 상기 폴딩링크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되게 탄성력을 인가하는 폴딩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워크인 동작은,
    워크인레버가 동작하면 리클라이너가 고정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회전되고, 시트백프레임이 회전하면 상기 로킹링크의 돌기부가 시트백프레임에 가압되어 상기 로킹링크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여 로킹수단의 고정이 해제되며, 상기 로킹링크는 일정 각도 회전 후 상기 스톱퍼에 회전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동작은,
    폴딩레버가 동작하면 상기 폴딩링크가 제2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로킹링크가 함께 회전하여 상기 로킹링크의 돌기부가 시트백프레임과 접촉 해제되어 시트백프레임이 폴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20160139872A 2016-10-26 2016-10-26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864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72A KR101864253B1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872A KR101864253B1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78A KR20180045478A (ko) 2018-05-04
KR101864253B1 true KR101864253B1 (ko) 2018-07-04

Family

ID=6219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872A KR101864253B1 (ko) 2016-10-26 2016-10-26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25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626A (ko) 2018-11-02 2020-05-12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110797B1 (ko) 2019-09-20 2020-05-14 염기완 리어시트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백 연동 슬라이딩 시트
KR102111597B1 (ko) 2018-12-06 2020-05-18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6843A (ko) 2018-11-15 2020-05-25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73611A (ko) 2018-12-14 2020-06-24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30013544A (ko) * 2021-07-19 2023-01-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626A (ko) 2018-11-02 2020-05-12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6843A (ko) 2018-11-15 2020-05-25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111597B1 (ko) 2018-12-06 2020-05-18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73611A (ko) 2018-12-14 2020-06-24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110797B1 (ko) 2019-09-20 2020-05-14 염기완 리어시트 연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시트백 연동 슬라이딩 시트
KR20230013544A (ko) * 2021-07-19 2023-01-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WO2023003306A1 (ko) * 2021-07-19 2023-01-2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KR102542568B1 (ko) 2021-07-19 2023-06-12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478A (ko) 2018-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42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EP2261078B1 (en) Erroneous operation preventing device and stowable seat for vehicle
KR101013905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 록킹 어셈블리
US10737603B2 (en) Headrest assembly
US20150298586A1 (en) Adjustable vehicle seat
JP2009090806A (ja) 誤操作防止機構及び車両用格納シート
KR20090065725A (ko) 차량용 폴딩 헤드레스트 록킹장치
JP5109543B2 (ja) 乗物用シート
KR101752240B1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장치
KR101586947B1 (ko) 시트백 폴딩 장치
KR101752242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US20160039316A1 (en) Easy-entry system for a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US10081271B2 (en) Vehicle slide rail device
KR102570786B1 (ko) 차량용 플랫시트
JPS6325977B2 (ko)
KR101897405B1 (ko) 차량 시트의 듀얼 모션 워크인
US10315540B2 (en) Inertia stop link for stadium style seat cushion stowed positioning
JP5153640B2 (ja) 自動車の座席のレールをロックするための機構
KR101926066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작동장치
KR101876464B1 (ko) 차량용 더블폴딩시트의 록킹어셈블리
KR101143984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리클라이너 작동장치
KR101610726B1 (ko) 시트용 워크인장치
US10675995B2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latching device and an additional control device
KR101785309B1 (ko) 차량용 워크인 시트의 시트백 록킹 구조
KR101869057B1 (ko) 자동차용 시트의 스트라이커 회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