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42568B1 - 차량의 시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42568B1
KR102542568B1 KR1020210094419A KR20210094419A KR102542568B1 KR 102542568 B1 KR102542568 B1 KR 102542568B1 KR 1020210094419 A KR1020210094419 A KR 1020210094419A KR 20210094419 A KR20210094419 A KR 20210094419A KR 102542568 B1 KR102542568 B1 KR 1025425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walk
folding
seat
rele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13544A (ko
Inventor
이정빈
강호성
복권화
임성일
김동현
Original Assignee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94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2568B1/ko
Priority to EP22846176.0A priority patent/EP4324692A1/en
Priority to PCT/KR2022/010471 priority patent/WO2023003306A1/ko
Priority to CN202280037815.XA priority patent/CN117377588A/zh
Publication of KR20230013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13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25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25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internal pa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3Reducing we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쿠션프레임에 대한 백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클라이너; 워크인 조작력에 의해 초기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워크인레버; 폴딩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폴딩레버;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클라이너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에 의해 회전되어,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제2워크인레버; 상기 폴딩레버가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제2워크인레버가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제2워크인레버를 상기 폴딩레버와 연동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연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SEA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시트의 워크인 기능 및 폴딩 기능에 관한 기술이다.
RV(Recreational Vehicle)차량이나, 3도어 타입의 차량에는 후석 시트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전석 시트는 워크인 기능을 갖추고 있다.
시트의 워크인(Walk-In) 기능이란 초기 상태에서 후석 시트의 승객이 전석 시트의 워크인레버 또는 워크인스위치를 조작하면, 시트백이 소정 각도 전방으로 폴딩되면서 동시에 전석 시트가 전방으로 소정 거리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기능이며, 이를 통해 전석 시트와 후석 시트 사이의 공간을 확보해서 후석 시트의 승객이 용이하게 승하차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말한다.
상기 워크인 기능과 구별되는 기능으로서, 시트의 폴딩(Folding) 기능이 있는데, 폴딩 기능은 시트의 시트백이 상기 워크인 기능에서 보다 더 큰 각도로 전방으로 폴딩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대체로 시트백이 시트쿠션과 접촉하는 위치까지 폴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시트백의 폴딩 각도는 리클라이너에 의해 고정되게 된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70056744 A
본 발명은 시트의 폴딩 기능과 워크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을 시트의 어느 일측에만 설치하고도, 폴딩 기능과 워크인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소요 부품수와 중량을 저감시키며, 다수의 시트로 구성되는 시트어셈블리의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차량의 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의 시트는,
쿠션프레임에 대한 백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클라이너;
워크인 조작력에 의해 초기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워크인레버;
폴딩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폴딩레버;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클라이너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에 의해 회전되어,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제2워크인레버;
상기 폴딩레버가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제2워크인레버가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제2워크인레버를 상기 폴딩레버와 연동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연동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워크인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인풋샤프트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폴딩레버는 상기 제1워크인레버와 동심축을 이루도록 상기 인풋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폴딩레버에는 폴딩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워크인레버를 향해 돌출된 해제구동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워크인레버에는 상기 해제구동돌기가 전달하는 회전변위를 전달받도록 상기 폴딩레버를 향해 돌출된 해제피동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워크인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제한돌기에 걸리도록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워크인돌기를 구비하고;
당겨서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워크인레버는 상기 제1워크인레버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워크인돌기는 상기 제2워크인레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연동기구는,
양단이 상기 폴딩레버와 상기 제2워크인레버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링크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폴딩레버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해제구동돌기가 구비된 반대쪽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워크인레버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된 반대쪽에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워크인레버는,
상기 연동기구를 통해 상기 폴딩레버와 연결되는 연동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와 동심축을 이루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동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와 작동레버 사이의 상대회전 가능 범위는, 상기 연동레버와 작동레버 상호간에 구비되는 원호형 조정홈과 상기 조정홈에 삽입되는 조정핀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와 작동레버 사이에는 상기 조정홈과 조정핀의 상대 위치를 일정한 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제한돌기에 걸리도록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워크인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워크인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동레버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레버에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된 반대쪽에서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상기 폴딩레버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폴딩레버가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워크인레버의 워크인돌기가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제한돌기의 회전반경에서 벗어나고, 상기 워크인케이블이 당겨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워크인레버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폴딩레버와 연동레버를 연결시키는 링크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시트의 폴딩 기능과 워크인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부품들을 시트의 어느 일측에만 설치하고도, 폴딩 기능과 워크인 기능을 모두 구현할 수 있도록 하고, 간단하고 컴팩트한 구성으로 소요 부품수와 중량을 저감시키며, 다수의 시트로 구성되는 시트어셈블리의 구성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의 구조를 설명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반대쪽에서 관측한 도면,
도 3 내지 도 5는 도 1의 시트 구조 중, 본 발명이 적용된 부분의 구성들을 각각 다른 시각에서 도시한 것으로서, 쿠션프레임과 백프레임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과 도 7은 도 3 내지 도 5의 구성 중, 본 발명의 주요 구성들을 각각 서로 다른 시각에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의 분해사시도,
도 9는 도 7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차량의 시트는 사용자가 착좌하는 시트쿠션에 대해 사용자의 등을 기댈 수 있는 시트백이 상기 시트쿠션에 대해 전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시트백의 회전 각도는 리클라이너에 의해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시트쿠션을 형성하는 쿠션프레임(1)과 상기 시트백을 형성하는 백프레임(3)이 리클라이너(5)에 의해 회전 각도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해 백프레임(3)이 리클라이너(5)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부위에 구현되는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 시트의 실시예는, 쿠션프레임(1)에 대한 백프레임(3)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클라이너(5); 워크인 조작력에 의해 초기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리클라이너(5)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워크인레버(7); 폴딩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7)를 회전시켜, 상기 리클라이너(5)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폴딩레버(9); 상기 쿠션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클라이너(5)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3)에 의해 회전되어,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백프레임(3)의 폴딩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제2워크인레버(11); 상기 폴딩레버(9)가 상기 리클라이너(5)를 해제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제2워크인레버(11)가 상기 백프레임(3)의 폴딩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를 상기 폴딩레버(9)와 연동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연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워크인 조작력을 상기 제1워크인레버(7)에 인가하면, 상기 제1워크인레버(7)가 회전되면서 상기 리클라이너(5)가 해제되어 상기 백프레임(3)은 리클라이너스프링(13)이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약간 폴딩된 후, 상기 제2워크인레버(11)에 의해 멈춰지고,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는 상기 백프레임(3)에 의해 회전되면서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여, 시트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승객의 용이한 승하차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폴딩 조작력을 상기 폴딩레버(9)에 인가하면, 상기 폴딩레버(9)가 상기 제1워크인레버(7)를 회전시켜서 상기 리클라이너(5)를 해제시키고, 이와 동시에 상기 연동기구를 통해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를 회전시켜서, 상기 백프레임(3)이 폴딩될 때 상기 제2워크인레버(11)가 백프레임(3)의 폴딩을 제한하지 않도록 하여, 상기 백프레임(3)이 워크인 상태를 넘어서까지 폴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워크인 상태'란 상기 백프레임(3)이 전방으로 폴딩되다가 상기 제2워크인레버(11)에 의해 멈춰진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워크인 조작력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 또는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직선 변위를 워크인작동케이블(15)을 통해 상기 제1워크인레버(7)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폴딩 조작력도 사용자가 조작하는 레버나 액츄에이터 등에 의해 발생되는 직선 변위를 폴딩작동케이블(17)을 통해 상기 폴딩레버(9)로 전달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7)는 상기 리클라이너(5)의 인풋샤프트(19)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폴딩레버(9)는 상기 제1워크인레버(7)와 동심축을 이루도록 상기 인풋샤프트(19)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폴딩레버(9)에는 폴딩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7)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워크인레버(7)를 향해 돌출된 해제구동돌기(21)가 구비된다.
즉, 상기 제1워크인레버(7)는 상기 리클라이너(5)의 인풋샤프트(19)에 스플라인 등으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결합되어, 상기 제1워크인레버(7)를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회전시키면, 상기 리클라이너(5)가 해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초기위치는 상기 제1워크인레버(7)에 워크인 조작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의 위치로서, 상기 리클라이너(5)가 잠금상태이어서,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한 백프레임(3)의 각도가 고정된 상태를 형성하는 위치이며, 상기 작동위치는 상기 워크인 조작력이 인가되어 상기 제1워크인레버(7)가 상기 리클라이너(5)의 인풋샤프트(19)를 회전시켜서 상기 리클라이너(5)가 해제되도록 하는 위치로서, 상기 쿠션프레임(1)에 대한 백프레임(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를 말한다.
또한, 상기 폴딩레버(9)는 상기 인풋샤프트(19)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워크인레버(7)와 동심축을 이루며, 상기 해제구동돌기(21)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폴딩 조작력에 의해 상기 폴딩레버(9)가 회전되면, 상기 해제구동돌기(21)가 상기 제1워크인레버(7)를 상기 초기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회전시켜, 상기 리클라이너(5)를 해제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상기 해제구동돌기(21)는 직접 상기 제1워크인레버(7)의 측면을 가압하도록 돌출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작동 안정성과 내구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상기 제1워크인레버(7)에 상기 해제구동돌기(21)가 전달하는 회전변위를 안정되게 전달받을 수 있도록 상기 폴딩레버(9)를 향해 돌출된 해제피동돌기(23)를 구비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워크인레버(7)에 상기 해제피동돌기(23)가 일체로 구비되어, 상기 해제구동돌기(21)와 면접촉하는 상태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는, 상기 리클라이너(5)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3)의 폴딩제한돌기(25)에 걸리도록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워크인돌기(27)를 구비하고, 당겨서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워크인케이블(29)이 연결된다.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는 상기 제1워크인레버(7)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워크인돌기(27)는 상기 제2워크인레버(11)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구성이다.
따라서, 상기 백프레임(3)에 일체로 설치된 상기 폴딩제한돌기(25)는 상기 백프레임(3)이 폴딩되면서 회전할 때, 상기 리클라이너(5)의 인풋샤프트(19)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 궤적을 그리면서 이동하고, 상기 제2워크인레버(11)의 워크인돌기(27)는 상기 폴딩제한돌기(25)의 원호 궤적 상으로 돌출되어, 워크인 조작에 의해 상기 백프레임(3)이 폴딩되면, 상기 폴딩제한돌기(25)가 상기 워크인돌기(27)에 의해 걸려서 상기 백프레임(3)은 폴딩이 중단된다.
또한, 상기 백프레임(3)이 상기와 같이 폴딩이 중단되면서 상기 워크인돌기(27)에 작용하는 힘에 의해, 상기 제2워크인레버(11)가 회전되면, 상기 워크인케이블(29)이 당겨지면서,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가 해제되어, 별도로 구비된 워크인스프링 등에 의해 시트가 이동하여 사용자의 용이한 승하차가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동기구는, 양단이 상기 폴딩레버(9)와 상기 제2워크인레버(11)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링크부재(31)로 구성된다.
상기 링크부재(31)는, 상기 폴딩레버(9)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해제구동돌기(21)가 구비된 반대쪽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워크인레버(11)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워크인케이블(29)이 연결된 반대쪽에 타단이 연결된 구성이다.
상기 폴딩레버(9)가 폴딩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 상기 제1워크인레버(7)가 함께 회전되면서 상기 리클라이너(5)가 해제되어, 백프레임(3)의 폴딩이 개시되고, 상기 폴딩레버(9)의 회전과 동시에 상기 링크부재(31)는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를 회전시켜서, 상기 제2워크인레버(11)의 워크인돌기(27)는 상기 백프레임(3)의 폴딩제한돌기(25)의 원호 궤적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므로, 상기 백프레임(3)은 상기 워크인 상태를 넘어서 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워크인케이블(29)은 당겨지지 않는다.
즉, 백프레임(3)만 시트의 전방으로 폴딩되는 폴딩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는, 상기 연동기구를 통해 상기 폴딩레버(9)와 연결되는 연동레버(33)와; 상기 연동레버(33)와 동심축을 이루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백프레임(3)의 폴딩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동레버(3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는 하나의 단일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상기 연동레버(33)와 작동레버(35)로 나뉘어서 구성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연동레버(33)와 작동레버(35) 사이의 상대회전 가능 범위는, 상기 연동레버(33)와 작동레버(35) 상호간에 구비되는 원호형 조정홈(37)과 상기 조정홈(37)에 삽입되는 조정핀(39)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조정홈(37)이 상기 작동레버(35)에 구비되고 상기 조정핀(39)은 상기 연동레버(33)에 구비되도록 하였으나, 그 반대도 가능할 것이다.
상기 연동레버(33)와 작동레버(35) 사이에는 상기 조정홈(37)과 조정핀(39)의 상대 위치를 일정한 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41)이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제2워크인레버(11)를 연동레버(33)와 작동레버(35)로 나누어서 구성하고, 상기 조정홈(37)과 조정핀(39) 및 지지스프링(41)으로 조립하는 이유는, 상기 링크부재(31)로 상기 폴딩레버(9)와 연결되는 위치와 상기 워크인돌기(27)가 형성된 위치 사이의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제2워크인레버(11)는 상기 링크부재(31)에 의해 상기 폴딩레버(9)에 연동되는데, 상기 제2워크인레버(11)에 상기 링크부재(31)가 연결된 위치와 상기 워크인돌기(27)의 위치가 부적절하면, 폴딩레버(9)의 작동에 의해 백프레임(3)이 폴딩될 때 상기 워크인돌기(27)가 상기 폴딩제한돌기(25)의 원호 궤적으로부터 충분히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현상은 시트를 구성하는 각종 부품들의 공차나 조립상태 등에 따라 영향을 받을 수 있어서,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면, 이를 보다 용이하게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예컨대, 상기 조정홈(37)의 크기나 위치가 다른 작동레버(35)로 교체하거나, 상기 조정핀(39)의 위치가 다른 연동레버(33)로 교체하는 등 어느 한쪽을 교체하여, 상기 제2워크인레버(11) 상에서, 상기 링크부재(31)가 상기 폴딩레버(9)와 연결되는 위치와 상기 워크인돌기(27)가 형성된 위치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도록 함으로써, 시트백의 폴딩 작동 시, 상기한 바와 같은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쿠션프레임
3; 백프레임
5; 리클라이너
7; 제1워크인레버
9; 폴딩레버
11; 제2워크인레버
13; 리클라이너스프링
15; 워크인작동케이블
17; 폴딩작동케이블
19; 인풋샤프트
21; 해제구동돌기
23; 해제피동돌기
25; 폴딩제한돌기
27; 워크인돌기
29; 워크인케이블
31; 링크부재
33; 연동레버
35; 작동레버
37; 조정홈
39; 조정핀
41; 지지스프링

Claims (13)

  1. 쿠션프레임에 대한 백프레임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설치된 리클라이너;
    워크인 조작력에 의해 초기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 회전되어,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 제1워크인레버;
    폴딩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를 회전시켜,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할 수 있도록 설치된 폴딩레버;
    상기 쿠션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리클라이너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에 의해 회전되어,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제2워크인레버;
    상기 폴딩레버가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하도록 회전될 때, 상기 제2워크인레버가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을 제한하지 않도록, 상기 제2워크인레버를 상기 폴딩레버와 연동하여 회전시키도록 구비된 연동기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인풋샤프트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폴딩레버는 상기 제1워크인레버와 동심축을 이루도록 상기 인풋샤프트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폴딩레버에는 폴딩 조작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워크인레버를 향해 돌출된 해제구동돌기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워크인레버에는 상기 해제구동돌기가 전달하는 회전변위를 전달받도록 상기 폴딩레버를 향해 돌출된 해제피동돌기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워크인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제한돌기에 걸리도록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워크인돌기를 구비하고;
    당겨서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워크인레버는 상기 제1워크인레버의 하측에 설치되고;
    상기 워크인돌기는 상기 제2워크인레버의 회전중심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양단이 상기 폴딩레버와 상기 제2워크인레버에 각각 회전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링크부재로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는,
    상기 폴딩레버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해제구동돌기가 구비된 반대쪽에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제2워크인레버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된 반대쪽에 타단이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워크인레버는,
    상기 연동기구를 통해 상기 폴딩레버와 연결되는 연동레버와;
    상기 연동레버와 동심축을 이루며 일정한 범위 내에서 상대회전 가능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고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작동레버;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와 작동레버 사이의 상대회전 가능 범위는, 상기 연동레버와 작동레버 상호간에 구비되는 원호형 조정홈과 상기 조정홈에 삽입되는 조정핀에 의해 제한되도록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와 작동레버 사이에는 상기 조정홈과 조정핀의 상대 위치를 일정한 상태로 탄성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이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리클라이너의 해제에 의해 폴딩되는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제한돌기에 걸리도록 회전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워크인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워크인돌기와 이격된 위치에, 시트의 레일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동레버는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작동레버에 워크인케이블이 연결된 반대쪽에서 상기 연동기구에 의해 상기 폴딩레버에 연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폴딩레버가 상기 리클라이너를 해제시키는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제2워크인레버의 워크인돌기가 상기 백프레임의 폴딩제한돌기의 회전반경에서 벗어나고, 상기 워크인케이블이 당겨지는 반대 방향으로 상기 제2워크인레버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폴딩레버와 연동레버를 연결시키는 링크부재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KR1020210094419A 2021-07-19 2021-07-19 차량의 시트 KR1025425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19A KR102542568B1 (ko) 2021-07-19 2021-07-19 차량의 시트
EP22846176.0A EP4324692A1 (en) 2021-07-19 2022-07-18 Vehicle seat
PCT/KR2022/010471 WO2023003306A1 (ko) 2021-07-19 2022-07-18 차량의 시트
CN202280037815.XA CN117377588A (zh) 2021-07-19 2022-07-18 车辆座椅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19A KR102542568B1 (ko) 2021-07-19 2021-07-19 차량의 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3544A KR20230013544A (ko) 2023-01-26
KR102542568B1 true KR102542568B1 (ko) 2023-06-12

Family

ID=84979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419A KR102542568B1 (ko) 2021-07-19 2021-07-19 차량의 시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24692A1 (ko)
KR (1) KR102542568B1 (ko)
CN (1) CN117377588A (ko)
WO (1) WO202300330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8610A (ja) 2011-04-11 2012-11-12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101864253B1 (ko) 2016-10-26 2018-07-0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951182B1 (ko) 2017-12-01 2019-02-25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781912C (en) * 2009-11-26 2018-01-02 Magna Seating Inc. Recliner assembly walk-in actuator
KR102263737B1 (ko) 2015-11-13 2021-06-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시트용 워크인장치
KR102293084B1 (ko) * 2019-12-16 2021-08-26 (주)케이엠앤아이 차량용 시트의 워크 인 및 폴딩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8610A (ja) 2011-04-11 2012-11-12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101864253B1 (ko) 2016-10-26 2018-07-0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951182B1 (ko) 2017-12-01 2019-02-25 대원정밀공업(주) 차량용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24692A1 (en) 2024-02-21
KR20230013544A (ko) 2023-01-26
CN117377588A (zh) 2024-01-09
WO2023003306A1 (ko) 2023-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3494B1 (en)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EP2836392B1 (en) Quick adjust continuously engaged recliner
US9085248B2 (en) Seat recliner with coaxial easy entry release
US8070231B2 (en) Locking and releasing mechanism for vehicle seat
JP2653768B2 (ja) シート構造のための関節装置
US7182196B2 (en) Two way locking rotary drive clutch assembly
US20050110322A1 (en) Continuously operable seat-reclining device for vehicles
US8720999B2 (en) Fitting for a vehicle seat
EP1511650B1 (en) Lost motion dual disc seat recliner assembly
CN101084134A (zh) 汽车座靠背倾斜器和组合件
US20060103216A1 (en) Spring-loaded headrest
KR101651296B1 (ko) 차량 시트의 폴딩 겸용 워크인 장치
WO2017214963A1 (en) Rotatable and movable seat
US20120161488A1 (en) Reclining apparatus
US7165813B2 (en) Recliner assembly for an automotive vehicle seat having a floating cam
KR102542568B1 (ko) 차량의 시트
US9176518B2 (en) Handle returning apparatus and seat lifting apparatus for vehicle
WO2006088896A1 (en) Seat recliner
WO2008130075A1 (en) Recliner assembly
KR20130072018A (ko) 워크인 기능을 갖는 차량용 리클라이너 장치
KR20050110265A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닝장치
KR101881860B1 (ko) 폴딩겸용 파워 리클라이너 유닛
CN115431850A (zh) 座椅的翻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