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50626A -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50626A
KR20200050626A KR1020180133436A KR20180133436A KR20200050626A KR 20200050626 A KR20200050626 A KR 20200050626A KR 1020180133436 A KR1020180133436 A KR 1020180133436A KR 20180133436 A KR20180133436 A KR 20180133436A KR 20200050626 A KR20200050626 A KR 20200050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sub
main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기완
Original Assignee
기성에이알씨(주)
염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성에이알씨(주), 염기완 filed Critical 기성에이알씨(주)
Priority to KR102018013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50626A/ko
Publication of KR20200050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06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60N2/168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characterised by a l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과;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 전방에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서브시트프레임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Seat seat frame for SUV vehicle}
본 발명은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며, 시트백쿠션은 상,하 방향으로 승강조절됨과 동시에 각조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를 비롯하여 RV(Recreation Vehicle) 차량이나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 등에는 2열 이상의 시트가 장착되고 있다.
통상 SUV 차량의 경우, 운전석 및 조수석의 앞부분 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운전자 등)은 프런트도어를 통하여 승하차를 하게 되며, 뒷부분 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리어도어(승합차의 경우에는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승하차를 하게 된다.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 모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 시에도 피로를 덜 느끼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런데 SUV 차량의 경우, 운전자 등이 앉는 앞부분 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한 전열 좌석의 시트백쿠션(등받이 쿠션)은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반면에, 뒷부분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고정되어 있고, 후열 좌석의 시트백큐션은 전방을 향해 접을 수 있는 폴딩작동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을 뿐 상기한 시트쿠션은 전,후 방향을 향해 이동조절을 할 수 없으며, 시트백쿠션은 승강조절 및 각도조절을 할 수 없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SUV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 여행 시 앞부분 전열 좌석의 운전석에 탑승한 운전자 및 조수석에 탑승한 사람은 시트쿠션이나 시트백쿠션을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을 수행하여 편안한 자세로 앉을 수 있겠지만, 뒷부분 후열 좌석에 탑승한 사람들은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을 전,후로의 이동조절 및 시트백쿠션의 각도조절을 할 수 없기 때문에 장거리 여행 시에는 항시 같은 자세로 앉아 있을 수밖에 없기 때문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또한 승합차와 같이 3열 이상의 좌석이 장착되어 있는 경우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탑승하게 될 때 후열 2,3번 좌석은 백쿠션을 폴딩시킨 상태에서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후열 2,3번 좌석에 앉게 되는 사람이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시트백쿠션의 각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후열 좌석에 앉은 사람들은 장거리 여행 시에는 항시 같은 자세로 앉아 있어야 하며, 이로 인해 장거리 여행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
등록특허 제10-1864253호(2018. 07. 04. 공고) 등록특허 제 10-0805414호(2008. 02. 2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나는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탑승자는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을 전,후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하는 수단으로 장거리 여행시 편안한 자세로 여행을 즐길 수 있을 뿐 아니라 여행 중 수시로 앉은 자세를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 지루함를 덜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
상기 후열 좌석은,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과;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 전방에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서브시트프레임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에는 전,후방 고정바에 양단이 고정 연결되는 하부레일프레임 상면에 하부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은 전,후방 가동바에 양단이 고정 연결되는 상부레일프레임 저면에 상부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에 형성된 하부레일에는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에 형성된 상부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과 서브시트프레임은 무단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무단락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단락장치의 일단은 서브시트프레임의 전방가동바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무단락장치의 타단은 메인시트프레임의 후방고정바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브라켓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단락장치는 서브시트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동조절부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바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당김작동 및 풀림작동에 의하여 해제 및 록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프레임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일측 및 타측 안내돌기 사이에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가동패널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장공이 상기 고정패널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고정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결속용 고정걸고리와 가동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결속용 가동걸고리가 서브시트프레임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프레임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된 결속고리가 고정패널에 형성된 결속용 고정걸고리를 향해 진입하게 될 때 가동패널이 상승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결속고리가 가동패널을 상승이동시키면서 고정패널의 결속용 고정걸고리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가동패널이 탄력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토션스프링을 구비하고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백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의 작동레바에 일단이 연결되는 메인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박스와, 상기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되는 서브와이어의 인출단이 가동패널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돌기에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작동레바의 당김 및 해제 작동시 메인와이어가 서브와이어를 당김 및 해제 작동으로 상기 가동패널이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에 고정 부착된 수동레치작동부의 작동레바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박스에는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에 설치된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가동패널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키기 위한 서브와이어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연결박스에는 메인시트백프레임에 설치되어 차체뒷면에 고정 돌출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에 착탈되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에 연결되는 와이어가 인출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작동레바의 당김 및 해제 작동시 메인와이어가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가동패널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와이어와 메인프레임의 착탈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동시에 당김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 및 서브시트백프레임은 차체바닥 양측에 대칭상으로 고정 부착되는 양측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고정돌출브라켓에는 하향을 향해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경사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힌지돌기는 힌지브라켓의 경사장공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채 상기 경사장공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상기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전,후로 이동조절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시트백쿠션은 상,하로 승강조절 및 각도조절을 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 이동시 편안한 자세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나아가 차량을 이용한 장거리 여행시에는 후열 좌석에 앉은 자세를 수시로 바꿀 수 있도록 하여 지루함이나 파로함을 덜 느끼게 하면서 편안한 자세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SUV차량의 후열 좌석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SUV차량의 후열 좌석을 구성하는 메인시트프레임과 서브시트프레임 및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서브시트백프레임의 측면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시트프레임과 서브시트프레임의 분리상태 및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서브시트백프레임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후열 좌석의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서브시트백프레임을 폴딩시킨 상태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서브시트백프레임의 힌지돌기와 메인시트백프레임의 힌지브라켓의 결합구성을 나타내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의 (A)(B)는 본 발명의 서브시트백프레임에 형성된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의 (A)(B)는 본 발명의 시트쿠션 이동조절 및 시트백쿠션 각도조절하기 위한 서브시트프레임과 서브시트백프레임 및 무단락장치의 작동상태도이며,
도 8의 (A)(B)는 본 발명의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의 작동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도시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후열 좌석(1)은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 및 머리받침(1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쿠션(11)은 차체바닥(15)에 고정 설치되는 프런트레그(16)와 리어레그(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8)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2a)과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a) 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2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쿠션(11)은 메인시트프레임(2a) 위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2b)과 함께 이동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시트백쿠션(12)은 차체뒷면(19)에서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a)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3a)과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a)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3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시트백쿠션(12)은 서브시트백프레임(3b)과 함께 승강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머리받침(13)은 서브시트백프레임(3b)의 상단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복수의 끼움부(30)에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후열 좌석(1)의 시트쿠션(11)은 전,후 방향을 향해 이동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되어 있으며, 시트백쿠션(12)은 상,하 승강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조로 구성한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a)의 전,후방 고정바(21a)(22a) 각각의 양단에 고정 연결되는 하부레일프레임(23a)(24a) 상면에 하부레일(25a)(26a)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프레임(2b)의 전,후방 가동바(21b(22b) 각각의 양단에 고정 연결되는 상부레일프레임(23b)(24b)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레일(25b)(26b)은 하부레일(25a)(26a) 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a)과 서브시트프레임(2b)은 무단락장치(4a)(4b)에 의하여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되, 상기 무단락장치(4a)(4b)의 일단(도면상 전방측 참조)은 서브시트프레임(2b)의 전방 가동바(21b))에 고정되는 전방연결브라켓(27a)(27b)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무단락장치(4a)(4b)의 타단(도면상 후방측 참조)은 메인시트프레임(2a)의 후방 고정바(22a)에 고정되는 후방연결브라켓(28a)(28b)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서브시트프레임(2b)의 후방 가동바(22b) 양측에는 상향으로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결속고리(29a)(2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a)은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양단 각각에는 연결브라켓(31)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31)에는 회전축(32)의 양단이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31)을 관통하는 회전축(32)의 양단은 고정브레켓(1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a)의 상부 양측에는 고정돌출브라켓(33)가 하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고정돌출브라켓(33)에는 ㄱ자형으로 형성된 힌지브라켓(34)이 볼트 등으로 고정 부착된다. 즉,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브라켓(34)은 고정돌출브라켓(33)에 볼트(35a)와 너트(35b)에 의해 착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a)에 고정 부착되는 힌지브라켓(34)에 수직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경사장공(34a)에는 서브시트백프레임(3b)의 상부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힌지돌기(36)가 회전 및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조립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b)은 힌지브라켓(34)의 경사장공(34a)에 끼워진 힌지돌기(36)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작동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또한 상기 힌지돌기(36)가 경사장공(34a)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b)의 상,하 승강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a)은 ∩자형으로 절곡된 절곡부 양측에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의하여 차체뒷면(19)의 상부에서 돌출 형성된 양측 스트라이커(19a)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는 기존의 SUV 차량의 시트백쿠션을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은 이미 SUV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기기술에 대하여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공지기술인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는 차체뒷면(19)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a)를 붙잡아주거나 놓아주기 위한 록킹레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록킹레치는 후술하는 수동레치작동부(7)에 장착되어 있는 작동레바(71)의 당김조작으로 록킹이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록킹레치는 시트백쿠션(19)을 폴딩상태에서 기립상태로 회전시킬 때 스트라이커(19a)를 붙잡아주는 록킹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b)의 하부 양측에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 각각은 서브시크프레임(2b)의 후방 가동바(22b)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9a)(29b)에 결속 또는 해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패널(61)과 가동패널(62)로 분할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62)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패널(61)의 일면 양측에는 가동패널(6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일측 및 타측 안내돌기(63a)(63b)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패널(61)의 중심에는 하나의 고정돌기(64)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패널(61)의 하부에는 측방을 향해 개구된 ⊃자형의 결속용 고정걸고리(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61)의 상단에는 상방을 향해 개구된 ∪자형으로 형성된 안내홈(6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패널(62)의 중심에는 고정돌기(64)를 감싸는 상태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수직장공(67)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가동패널(62)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패널(61)의 결속용 고정걸고리(6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측 향해 개구된 ∩자형의 결속용 가동걸고리(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패널(62)의 결속용 가동걸고리(68)의 일측에는 서브시트프레임(2b)의 후방 가동바(22b)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9a)(29b)가 결속용 고정걸고리(65)를 향해 진입하게 될 때 상기 가동패널(62)이 상승이동하게 하는 경사면(6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패널(62)은 고정패널(6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611)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69)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한 토션스프링(69)의 일단(69a)은 고정패널(61)의 일측 상단에 걸림되고, 타단(69b)은 가동패널(62)의 상단에 형성된 돌봉(621)에 걸림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고리(29a)(29b)가 고정패널(61)의 결속용 고정걸고리(65)에 진입하기 위해 가동패널(62)의 경사면(68a)에 접촉하면서 상기 경사면(68a)을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될 때에는 상기 가동패널(62)이 토션스프링(69)의 타단(69b)을 탄력적으로 밀어올리면서 상향으로 상승이동하게 되며, 상기한 결속고리(29a)(29b)가 경사면(68a)을 벗어나 결속용 고정걸고리(65) 속으로 진입하게 될 때에는 상기 가동패널(62)은 토션스프링(6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하강이동하게 되므로 결속용 가동걸고리(68)가 결속용 고정걸고리(65)를 폐쇄하는 상태로 결속고리(29a)(29b)를 구속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b)의 일측에는 메인시트백프레임(3a)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및 서브시트백프레임(3b)에 장착되어 있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를 해제작동시키기 위한 수동레치작동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레치작동부(7)에는 작동레바(71)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작동레바(71)에는 메인와이어(7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와이어(72)의 타단은 와이어연결박스(73)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타측에는 4가닥으로 분리된 서브와이어(74a)(74b)(74c)(74d)가 연결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 내부에는 한가닥으로 형성된 메인와이어(72)와 4가닥으로 형성된 서브와어어(74a∼74d)가 연결된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와이어연결구조물은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조작하여 메인와이어(72)를 당겨주게 되면, 이에 따라 4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d)를 동시에 당겨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타측으로 인출되는 4가닥의 서브와이어들 중 2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b)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에 연결되어 이TT으며, 나머지 2가닥의 서브와이어(74c)(74d)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각각 연결되어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에 연결되는 2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b) 각각은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 각각의 가동패널(62)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봉(621)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2가닥의 서브와이어(74c)(74d)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레치(부호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조작하게 되면 메인와이어(72)가 와이어연결박스(73)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에 연결되어 있는 4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d)를 동시에 잡아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레치(부호 생략)가 스트라이커(19a)에 록킹되어 상태에서 해제작동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가 서브시트프레임(2b)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9a)(29b)에 록킹되어 있는 상태에서 해제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시트쿠션(11)에 장착되어 있는 무단락장치(4a)(4b)는 후방 연결브라켓(28a)(28b)에 연결되는 고정몸체(41a)(41b)와 전방 연결브라켓(27a)(27b)에 연결되는 가동봉체(42a)(42b)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본체(41a)(41b)에는 가동봉체(42a)(42b)의 이동작동을 제어하거나 이동작동을 허용하는 스프링 제어장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무단락장치(4a)(4b)는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기성품을 적용한 것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무단락장치(4a)(4b)는 서브시트프레임(2b)의 일측에 형성된 수동조절부(8)에 설치되어 있는 수동레바(81)의 당김작동에 의해 가동봉체(42a)(42b)의 이동작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수동레바(81)에는 2가닥의 연결와이어(82a)(82b)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연결와이어(82a)(82b)의 타단은 고정몸체(41a)(41b)에 연결되어 가동봉체(42a)(42b)의 이동작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11)의 서브시트프레임(2b)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전,후방 가동바(21b)(22b)에 연결되는 쿠션스프링(20)이 일정간격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서브시트프레임(2b)의 전방 가동바(21b)에는 시트쿠션(11)을 지지하기 위한 울타리부재(20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SUV 차량을 이용하여 단거리 및 중,장거리 여행을 하고자 할 때 후열 좌석(1)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 등을 조절함으로써 편안한 자세로 상기 후열 좌석(1)에 앉아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먼저, 상기 후열 좌석(1)의 시트쿠션(11) 및 시트백쿠션(12)을 조절하기 전에 상기 시트백쿠션(12)을 폴딩(folding)시키고자 할 때에는 시트백쿠션(12)의 일측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조작하거나 또는 회전조작하여 메인와이어(72)를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메인와이어(72)가 와이어연결박스(73)에서 4가닥으로 인출되는 서브와이어(74a∼74d)를 동시에 잡아당기게 되는데, 이때 상기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연결되는 2가닥의 서브와이어(74c)(74d)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록킹레치(미도시)를 해제작동시키게 되므로 상기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는 스트라이커(19a)에서 분리되며, 이와 동시에 나머지 2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b)가 연결되어 있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의 가동패널(62)이 해제작동을 하게 되므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는 서브시트프레임(2b)의 후방 가동바(22b)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9a)(29b)에서 분리되는 상태가 된다.(도 6의 (B) 참조)
상기와 같이 시트백쿠션(12)의 일측 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 또는 회전 조작하여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및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를 해제작동시키게 되면 상기 시트백큐션(12)을 구성하는 메인서트백프레임(3a)은 차체뒷면(19)에 돌출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a)에서 분리된 상태가 되는 동시에 서브시트백프레임(3b)은 시트쿠션(11)을 구성하는 서브시트프레임(2b)에서 분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백쿠션(12)은 회전축(32)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시트백쿠션(12)을 도 4의 도시와 같이 폴딩(folding)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 후열 좌석(1)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쿠션(11)을 이동조절하는 작동과 시트백쿠션(12)을 각도조절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후열 좌석(1)의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은 도 7의 (가)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시트쿠션(11)은 시트백쿠션(12) 쪽으로 이동된 상태이고, 상기 시트백쿠션(12)은 상향으로 이동된 상태로 조립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후열 좌석(1)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이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11) 및 시트백쿠션(12)을 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시트쿠션(11)의 일측에는 서브시트프레임(2b)에 형성된 수동조절부(8)가 노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운전자 또는 후열 좌석(1)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상기 시트쿠션(11) 일측으로 노출되어 있는 수동조절부(8)에 형성된 수동레바(81)를 당김(또는 회전)작동으로 연결와이어(82a)(82b)를 당겨주게 되면 무단락장치(4a)(4b)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 제어장치(미도시)가 록킹을 해제하는 해제작동으로 가동봉체(42a)(42b)의 이동작동을 허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수동조절부(8)의 수동레바(81)를 당김(또는 회전) 작동으로 무단락장치(4a)(4b)의 스프링 제어장치(미도시)의 록킹을 해제시킨 상태에서 시트쿠션(11)을 전방측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시트쿠션(11)을 형성하고 있는 서브시트프레임(2b)에 형성된 상부레일(25b)(26b)은 메인시트프레임(2a)에 형성된 하부레일(25a)(26a)을 따라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며(도 8의 (B) 참조), 이와 동시에 상기 서브시트프레임(2b)의 전방 가동바(21b)에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전방 연결브라켓(27a)(27b)이 상기 무단락장치(4a)(4b)의 가동봉체(42a)(42b)를 전방으로 잡아당기게 되므로(이때 고정몸체 '41b'는 후방 연결브라켓 '28b'에 고정되어 있다), 결국 상기 서브시트프레임(2b)은 메인시트프레임(2a)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간격으로 수평이동하게 되며(도 7의 (B) 및 도 8의 (B) 참조), 이에 따라 상기 시트쿠션(11)은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동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시트쿠션(11)을 전방으로 이동조절하게 될 때에는 서브시트프레임(2b)의 후방 가동바(22b)에 형성된 결속고리(29a)(29b) 각각에 결속되어 있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가 서브시트프레임(2b)의 후방 가동바(22b)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가 고정 부착되어 있는 서브시트백프레임(3b)은 그 상단 양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힌지돌기(36)가 메인시트백프레임(3a)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힌지브라켓(34)의 경사장공(34a)에 끼워진 상태로 회전하면서 하강 이동하게 된다.(도 7의 (나) 및 도 8의 (나) 참조)
따라서 상기와 같이 서브시트프레임(2b)이 전방으로 일정간격 이동하게 될 때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와 같이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3b)은 그 상부에 형성되어 있는 힌지돌기(36)가 메인시트백프레임(3a)의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브라켓(34)의 경사장공(34a)을 따라 하강하면서 회전함게 됨에 따라 결국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3b)은 힌지브라켓(34)의 경사장공(34a)에 끼워져 있는 힌지돌기(36)을 회전기점으로 일정각도 회전된 상태로 각도조절되는 것이다.(도 7의 (B) 및 도 8의 (B)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후열 좌석(1)의 시트쿠션(11)의 이동조절 및 시트백쿠션(12)의 각도조절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엑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SUV 차량의 후열 좌석(1)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 각각을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할 수 있으므로 단거리 및 장거리 여행시 상기 후열 시트(1)에 앉아있는 자세를 수시로 바꿀 수 있어 편안한 자세를 취할 수 있으므로 여행시 같은 자세로 앉아있게 될 때 느낄 수 있는 지루함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로를 덜 느끼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1 : 후열 좌석 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쿠션 13 : 머리받침
15 : 차체바닥 16 : 프런트레그
17 : 리어레그 18 : 고정브라켓
19 : 차체뒷면 19a : 스트라이커
2a : 메인스트프레임 2b : 서브시트프레임
20 : 쿠션스프링 20a : 울타리부재
21a,22a : 전,후방 고정바 21b,22b : 전,후방 가동바
23a,24a : 하부레일프레임 23b,24b : 상부레일프레임
25a,26a : 하부레일 25b,26b : 상부레일
27a,27b : 전방 연결브라켓 28a,28b : 후방 연결브라켓
29a,29b : 결속고리 3a : 메인시트백프레임
3b : 서브시트백프레임 30 : 끼움부
31 : 연결브라켓 32 : 회전축
33 : 고정돌출브라켓 34 : 힌지브라켓
34a : 경사장공 35a,35b : 볼트 및 너트
36 : 힌지돌기 4a,4b : 무단락장치
41a,41b : 고정몸체 42a,42b : 가동봉체
5a,5b : 메인프레임 착탈장치 6a,6b :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61 : 고정패널 62 : 가동패널
63a : 일측 안내돌기 63b : 타측 안내돌기
64 : 고정돌기 65 : 결속용 고정걸고리
66 : 안내홈 67 : 수직장공
68 : 결속용 가동걸고리 69 : 토션스프링
611 : 돌출부 621 : 돌봉
7 : 수동레치작동부 71 : 작동레바
72 : 메인와이어 73 : 와이어연결박스
74a,74b,74c,74d : 서브와이어 8 : 수동조절부
81 : 수동레바 82a,82b : 연결와이어

Claims (13)

  1.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
    상기 후열 좌석은,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프레임과;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 전방에 상,하로 승강조절이 가능함과 동시에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서브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의 하단부에 장착되어 서브시트프레임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에는 전,후방 고정바에 양단이 고정 연결되는 하부레일프레임 상면에 하부레일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은 전,후방 가동바에 양단이 고정 연결되는 상부레일프레임 저면에 상부레일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에 형성된 하부레일에는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에 형성된 상부레일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과 서브시트프레임은 무단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되는 무단락장치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락장치의 일단은 서브시트프레임의 전방가동바에 연결되는 전방연결브라켓에 연결되고, 상기 무단락장치의 타단은 메인시트프레임의 후방고정바에 연결되는 후방연결브라켓에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무단락장치는 서브시트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는 수동조절부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바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의 당김작동 및 풀림작동에 의하여 해제 및 록킹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프레임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패널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일측 및 타측 안내돌기 사이에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가동패널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장공이 상기 고정패널의 중심에 돌출 형성된 고정돌기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고정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결속용 고정걸고리와 가동패널의 하부에 형성된 결속용 가동걸고리가 서브시트프레임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를 착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프레임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된 결속고리가 고정패널에 형성된 결속용 고정걸고리를 향해 진입하게 될 때 가동패널이 상승이동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경사면과 상기 결속고리가 가동패널을 상승이동시키면서 고정패널의 결속용 고정걸고리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가동패널이 탄력적으로 하강할 수 있도록 하는 토션스프링이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10. 제 1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서브시트백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의 작동레바에 일단이 연결되는 메인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박스와, 상기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되는 서브와이어의 인출단이 가동패널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돌기에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작동레바의 당김 및 해제 작동시 메인와이어가 서브와이어를 당김 및 해제 작동으로 상기 가동패널이 상,하로 승강작동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에 고정 부착된 수동레치작동부의 작동레바에 일단이 연결된 메인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는 와이어연결박스에는 상기 서브시트프레임에 설치된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가동패널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키기 위한 서브와이어와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에 설치되어 차체뒷면에 고정 돌출되어 있는 스트라이커에 착탈되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에 연결되는 서브와이어가 인출되어 있는 구조로서, 상기 작동레바의 당김 및 해제 작동시 메인와이어가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가동패널에 연결되어 있는 서브와이어와 메인프레임의 착탈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동시에 당김 및 해제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 및 서브시트백프레임은 차체바닥 양측에 대칭상으로 고정 부착되는 양측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축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부착되어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고정돌출브라켓에는 하향을 향해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경사장공이 형성되어 있는 힌지브라켓이 고정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서브시트백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힌지돌기는 힌지브라켓의 경사장공에 회전가능하게 끼워진 채 상기 경사장공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0180133436A 2018-11-02 2018-11-02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062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436A KR20200050626A (ko) 2018-11-02 2018-11-02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3436A KR20200050626A (ko) 2018-11-02 2018-11-02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0626A true KR20200050626A (ko) 2020-05-12

Family

ID=70679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3436A KR20200050626A (ko) 2018-11-02 2018-11-02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5062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900B1 (ko) * 2021-04-1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14B1 (ko) 2006-12-14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864253B1 (ko) 2016-10-26 2018-07-0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14B1 (ko) 2006-12-14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864253B1 (ko) 2016-10-26 2018-07-0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3900B1 (ko) * 2021-04-1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42322B2 (en) Easy-entry vehicle seat
EP2873555B1 (en) Vehicle seat
US10065535B1 (en) Seatback lift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US20090273211A1 (en) Vehicle seating system
KR102193349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US10569674B2 (en)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US9315130B2 (en) Articulating head restraint
US10596927B2 (en)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166887B2 (en) Seatback lift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CN110356289B (zh) 一种一键式座椅调节装置
KR102201315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20200050626A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111597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20060010948A (ko)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20200021041A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KR1009171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리클라이닝 조절장치
JPH05301560A (ja) シートベルトのスルーガイド構造
CN215552678U (zh) 车辆座椅总成
CN114889505B (zh) 车辆后排座椅及车辆
KR20230042807A (ko) 자동차용 시트 포지션 조절 장치
CN216659684U (zh) 用于座椅的头枕总成和用于车辆的座椅
CN212637232U (zh) 一种可换向的座椅装置
JP5984735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