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1246B1 -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 Google Patents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1246B1
KR102411246B1 KR1020200113930A KR20200113930A KR102411246B1 KR 102411246 B1 KR102411246 B1 KR 102411246B1 KR 1020200113930 A KR1020200113930 A KR 1020200113930A KR 20200113930 A KR20200113930 A KR 20200113930A KR 102411246 B1 KR102411246 B1 KR 1024112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oulder
shaft
frame
hinge
wa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39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2304A (ko
Inventor
김태헌
Original Assignee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케이엠앤아이 filed Critical (주)케이엠앤아이
Priority to KR10202001139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1246B1/ko
Publication of KR20220032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2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12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12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and provided with brak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백의 숄더부 조절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를 이용한 힌지구조와 샤프트를 이용한 록킹 구조를 통해 수동으로 시트 백의 숄더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Seat-back having Shoulder Adjuster}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 백의 숄더부 조절을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를 이용한 힌지구조와 샤프트를 이용한 록킹 구조를 통해 수동으로 시트 백의 숄더부 각도 조절이 가능한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탑승자의 엉덩이와 허벅지를 지지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과 허리를 지지하는 시트 백(seat back)으로 구성되어 탑승자의 탑승 자세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한사람만 착석할 수 있도록 한 세퍼레이터 타입(separator type) 시트와 여러 명이 동시에 착석할 수 있도록 한 벤치타입(bench type) 시트로 구분된다.
세퍼레이터 타입의 시트는 운전석 및 조수석에 구비되며, 운전에 적합한 자세를 유지하고, 운행 시 편안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 및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이 가능하다. 이를 위해 시트쿠션에는, 차량 전후방을 따라 이동 가능한 레일 트랙 장치가 구비되고, 시트 백에는 경사 조절을 위한 리클라이닝 장치가 구비된다.
위와 같은 레일 트랙 및 리클라이닝 장치를 포함하는 차량용 시트는 시트 쿠션의 위치와 시트 백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운전자나 동승자가 안정되면서도 편안한 상태로 착좌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차량용 시트는 시트 백의 각도만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정밀한 조절이 불가하여 다양한 체형(일예로 앉은키나 팔 길이)을 갖는 탑승자의 편의성이나 안락성을 제공하기에는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31027호(2017.11.29.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시트 백과 상부 시트 백 사이에 힌지 결합부가 구비되어 시트 백의 상부에 위치한 숄더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한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상기 숄더 조절 장치는, 숄더부의 힌지 회동을 위한 링크부와, 링크부의 힌지 회동을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제어를 위한 록킹부를 수동 조작할 수 있도록 하여 숄더 조절 장치의 구동에 따른 소음이나 진동을 최소화한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은, 착좌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에 결합되어 착좌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시트 백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은, 시트 백의 하측을 형성하며,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웨이스트부; 상기 웨이스트부와 분리되어 시트 백의 상측을 형성하며,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숄더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숄더 프레임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숄더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측과 상기 제1 및 제2 숄더 프레임의 하측을 각각 힌지 결합하고, 상기 숄더부의 힌지 회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상기 웨이스트부와 숄더부 사이에 구비되는, 숄더 조절부; 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숄더 조절부는, 상기 시트 백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측과 제1 숄더 프레임의 하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숄더 프레임을 힌지 회동시키기 위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여 상기 제1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을 제어하는 록킹부; 상기 샤프트의 직선 운동을 상기 제1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 및 상기 록킹부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제어하도록 일단이 상기 록킹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숄더 조절 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제1 웨이스트 프레임 상에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의 상하 직선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가이드 튜브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로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튜브에 끼워져 직선 운동하는 샤프트; 하단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상기 링크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샤프트 링크홀이 형성된 샤프트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일측 단부에 제1-1 링크 힌지홀이 형성되어 제1 숄더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2 링크 힌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링크홀에 힌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샤프트 상의 상기 하측 가이드 튜브의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갖는 와셔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록킹부의 샤프트 언록킹 시 상기 제1 숄더 프레임의 상측이 차량 전방을 향해 힌지 회동하도록 상기 샤프트 브래킷과 상기 상측 가이드 튜브 사이에 구비되어 인장력을 가하는 제1 코일 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되, 한 쌍의 가이드 튜브 사이에 노출되는 샤프트 상에 위치하며, 타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은 힌지 회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밀착되어 샤프트를 록킹하거나, 상기 샤프트에서 이격되어 샤프트를 언록킹하는, 로크 플레이트; 상기 로크 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로크 플레이트에 탄성을 가하는 로크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숄더 조절 레버의 조작을 통해 상기 로크 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숄더 조절 레버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를 연결한다.
또한, 상기 로크 플레이트에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가 샤프트에 밀착 시 상기 샤프트 상에 형성된 투스 홈에 맞물리는 투스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숄더 조절부는, 시트 백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측과 제2 숄더 프레임의 하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제2 숄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어퍼링크; 상기 제2 웨이스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로워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링크와 로워링크의 힌지 결합을 통해 상기 제2 웨이스트 프레임과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을 안내하되, 제2 숄더 프레임의 상측이 차량 전방 측으로 힌지 회동하도록 상기 어퍼링크 또는 상기 로워링크에 탄성을 가하는, 제2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숄더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부 차량 전방 측과,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하부 차량 전방 측에는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을 위해 형성된 힌지점; 상기 제1 또는 제2 웨이스트 프레임과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결합을 위해 상기 힌지점에 체결되는, 제1 체결수단; 상기 제1 또는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부 차량 후방 측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을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볼트 고정홀; 상기 볼트 고정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하부 차량 후방 측에 형성되되, 상기 힌지점에서 등거리로 호를 이루어 형성된 볼트 힌지 회동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 시 상기 볼트 힌지 회동홀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볼트 힌지 회동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고정홀에 결합되는 제2 체결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은, 시트 백의 상측 숄더부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체형을 갖는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하고 안락한 착좌감을 제공한 효과가 있다.
숄더부의 각도 조절을 위한 록킹부가 수동으로 조작 가능하도록 구현함에 따라 구성이 단순하여 조립 공수 및 제조 단가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구동에 따른 소음이나 진동이 줄어들어 탑승자의 감성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SB)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S)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전체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폭 방향 일측 내측면도
도 3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폭 방향 타측 내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작동상태 측면도(도 4a는 작동 전, 도 4b는 작동 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조절부(300)가 도시된 시트 백(1000)의 일측 내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조절부(300)가 도시된 시트 백(1000)의 일측 내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록킹부(320)의 일측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록킹부(320)의 타측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조절부(400)가 도시된 시트 백(1000)의 타측 내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조절부(3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내측면도(도 10a는 숄더부 이동 가능 시, 도 10b는 숄더부 고정 시)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조절부(300)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내측면도(도 11a는 숄더부 후방 측 틸팅 시, 도 11b는 숄더부 전방 측 틸팅 시)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이하, "시트 백")을 설명하기에 앞서 상기 숄더 조절 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시트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SB)이 구비된 차량용 시트(S)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S)는, 착좌자의 둔부 및 허벅지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SC)과, 착좌자의 어깨 및 허리를 지지하는 시트 백(SB)으로 구성되며, 시트 백(SB)은 시트 쿠션(SC)과의 경사 조절이 가능하도록 시트 쿠션(SC)과 힌지 결합된다. 이때 시트(S)는 상기 힌지 결합부에 시트 백(SB)의 경사조절을 수행하기 위한 리클라이너(R)가 구비된다. 또한, 시트(S)는 차량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시트 슬라이더(SS)를 통해 차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은 시트 백의 상부 측인 숄더부와, 하부 측인 웨이스트부를 힌지 결합하여 숄더부의 경사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는바 이하,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트 백(SB)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전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3a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폭 방향 일측 내측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3b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폭 방향 타측 내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작동상태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는 작동 전, 도 4b는 작동 후)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 백(1000)은, 웨이스트부(100)와 웨이스트부(100)의 상측에 힌지 결합되는 숄더부(200)로 구성되며, 웨이스트부(100)의 하측은 시트 쿠션에 고정되는 한 쌍의 쿠션 프레임(900)과 리클라이너(미도시)를 통해 힌지 결합된다. 또한, 시트 백(1000)은 숄더부(200)의 힌지 회동 제어를 위해 웨이스트부(100)와 숄더부(200)의 힌지 결합부에 구비되는, 숄더 조절부(300, 400)를 포함한다.
웨이스트부(100)는 차량 폭 방향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110, 120)과,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110, 120)의 하측을 연결하며, 시트 백(1000)의 하부를 형성하는 하부 프레임(130)을 포함하여 다른 실시 예로,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110, 120)의 상측을 연결하는 중간 프레임(미도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숄더부(200)는, 차량 폭 방향 양측면을 형성하는 한 쌍의 제1 및 제2 숄더 프레임(210, 220)과, 제1 및 제2 숄더 프레임(210, 220)의 상측을 연결하며, 시트 백(1000)의 상부를 형성하는 상부 프레임(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웨이스트부(100)와 숄더부(200)가 결합된 시트 백(1000)은 전체적으로 사각 틀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숄더 조절부(300, 400)는, 웨이스트부(1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과, 숄더부(200)의 일측에 형성된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힌지 결합부에 구비되는, 제1 조절부(300)와, 웨이스트부(1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과, 숄더부(200)의 타측에 형성된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힌지 결합부에 구비되는, 제2 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제1 조절부(300)는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숄더부(200)의 일측 힌지 회동을 안내하고, 힌지 회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구성되며, 제2 조절부(400)는 숄더부(200)의 타측 힌지 회동을 안내하며, 제1 조절부(300) 언록킹 시 탄성에 의해 숄더부(200)의 상측이 차량 전방 측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위와 같은 구성의 시트 백(1000)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숄더부(200)가 힌지점(HP)을 기준으로 상측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틸팅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위와 같은 구성을 구현하기 위한 시트 백(1000)의 숄더 조절부(300, 400)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조절부(300)가 도시된 시트 백(1000)의 일측 내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조절부(300)가 도시된 시트 백(1000)의 일측 내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조절부(300)는, 시트 백(1000)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의 상측과,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하측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조절부(300)는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제1 숄더 프레임(210)을 힌지 회동시키기 위한 샤프트(310)와, 샤프트(310)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여 숄더부(200)의 힌지 회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는 록킹부(320)와, 샤프트(310)의 직선운동을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힌지 회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샤프트(310) 언록킹 시 숄더부(200)의 상측이 전방으로 힌지 회동하도록 샤프트(310)에 탄성을 가하는 제1 코일스프링(340)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에 고정되며, 샤프트(310)와 록킹부(320)가 결합되는 베이스 플레이트(390)를 더 포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의 상부 차량 전방 측과,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하부 차량 전방 측에는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힌지 회동을 위한 제1 힌지점(HP1)이 형성되고, 제1 숄더 프레임(210)이 제1 힌지점(HP1)을 기준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 상의 제1 힌지점(HP1) 대응부에는 제1-1 힌지홀(111)이 형성되고, 제1 숄더 프레임(210) 상의 제1 힌지점(HP1) 대응부에는 제1-2 힌지홀(211)이 형성되어 제1-1 체결수단(B11)을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의 상부 차량 후방 측에는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힌지 회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1 볼트 고정홀(112)이 형성되고,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하부 차량 후방 측에는 제1 볼트 고정홀(112)에 대응되는, 제1 볼트 힌지 회동홀(215)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 볼트 고정홀(112)에는 제1-2 체결수단(B12)이 고정되며, 제1-2 체결수단(B12)은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힌지 회동 시 제1 볼트 힌지 회동홀(215)을 따라 이동되고,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힌지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의 내측에는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 상에 구비되는 제1 조절부(300)의 결합을 위한 베이스 플레이트(390)가 결합된다. 베이스 플레이트(390)는 제1 웨이스트 프레임(110) 상에 용접 고정되는 볼트에 끼워져 너트를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90)는,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샤프트(310)의 상하 직선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가이드 튜브(391, 392)가 형성된다. 가이드 튜브(391, 392)는 내부가 중공된 관상으로 베이스 플레이트(390)에 고정되며, 내부에 샤프트(310)가 끼워져 직선 운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샤프트(310)는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로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베이스 플레이트(390) 상에 고정된 가이드 튜브(391, 392)에 끼워져 상하 직선 운동하도록 구성된다. 샤프트(310)의 상측에는 샤프트 브래킷(315)이 결합되고, 샤프트(310)의 하측에는 이탈 방지를 위한 와셔(311)가 구비된다. 샤프트 브래킷(315)은 하단이 샤프트(310)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링크부(33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샤프트 링크홀(315a)이 형성된다.
록킹부(320)는 베이스 플레이트(390)에 결합되어 샤프트(310)의 직선 운동을 제어하기 위해 구성된다. 록킹부(320)의 세부 구성은 다음 도면을 통해 상세히 설명한다.
링크부(330)는 샤프트(310)의 직선 운동을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힌지 회동으로 전환시키기 위해 구성된다.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하부 중앙 측에는 링크부(33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1 힌지홀(H1)이 형성되며, 링크부(330)의 일측 단부에 제1-1 링크 힌지홀(331)이 형성되어 제1 숄더 프레임(210)과 힌지 결합된다. 또한, 링크부(330)의 타측 단부에는, 제1-2 링크 힌지홀(332)이 형성되어 샤프트 링크홀(315a)에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샤프트(310)의 상방 이동 시 제1 힌지홀(H1)을 제1 힌지점(HP1)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숄더 프레임(210)의 상측을 차량 전방 측으로 틸팅 이동 시키며, 샤프트(310)의 하방 이동 시 제1 힌지홀(H1)을 제1 힌지점(HP1)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제1 숄더 프레임(210)의 상측을 차량 후방 측으로 틸팅 이동시킨다.
샤프트 브래킷(315)과 상측 가이드 튜브(391) 사이에는 제1 코일스프링(340)이 구비된다. 제1 코일스프링(340)은 압축 스프링으로 샤프트 브래킷(315)과 상측 가이드 튜브(391)에 인장력을 가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샤프트(310) 언록킹 시 샤프트 브래킷(315)과 상측 가이드 튜브(391) 사이의 길이가 늘어나도록 탄성을 가하여 제1 숄더 프레임(210)의 상측이 차량 전방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록킹부(32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록킹부(320)의 타측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부(320)는 베이스 플레이트(390)에 구비되되, 한 쌍의 가이드 튜브(391, 392) 사이에 노출되는 샤프트(310)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록킹부(320)는 타측이 베이스 플레이트(390) 상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로크 회전축(325)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90) 상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은 힌지 회동에 의해 샤프트(310)에 밀착 또는 이격되도록 구성되는 로크 플레이트(321)를 포함한다. 록킹부(320)는 로크 플레이트(321)가 평상 시 샤프트(310)에 밀착되어 샤프트(310)의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로크 플레이트(321)에 탄성을 가하는 로크 스프링(326)을 포함한다. 또한 로크 플레이트(321)의 일측에는 로크 플레이트(321)가 샤프트(310)에 밀착 시 샤프트(310)를 록킹하도록 샤프트(310) 상에 형성된 투스 홈(312)에 맞물리는 투스(322)가 돌출 형성된다. 투스(322)는 샤프트(3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되며, 투수 홈(312) 역시 투스(322)에 대응되도록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된다. 또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케이블(C)이 당겨지면, 로크 플레이트(321)의 투스(322)가 샤프트(310)의 투스홈(312)에서 이탈하여 샤프트(310)를 언록킹 하도록 로크 플레이트(321)의 일단에는 케이블(C) 연결을 위한 케이블 고정부(323)가 형성된다. 따라서 케이블(C) 구동 시 케이블(C)의 단부가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부(323)를 통해 로크 플레이트(321)의 일단이 샤프트(310)로부터 이격되어 샤프트(310)를 언록킹하고, 케이블(C)의 구동력이 해제 시 로크 스프링(326)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321)의 일단이 샤프트(310)에 밀착되어 투스(322)가 투스홈(312)에 맞물리게 되면, 샤프트(310)가 언록킹 된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2 조절부(400)가 도시된 시트 백(1000)의 타측 내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조절부(400)는, 시트 백(1000)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의 상측과,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하측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의 상부 차량 전방 측과,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하부 차량 전방 측에는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힌지 회동을 위한 제2 힌지점(HP2)이 형성되고, 제2 숄더 프레임(220)이 제2 힌지점(HP2)을 기준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 상의 제2 힌지점(HP2) 대응부에는 제2-1 힌지홀(121)이 형성되고, 제2 숄더 프레임(220)상의 제2 힌지점(HP2) 대응부에는 제2-2 힌지홀(221)이 형성되어 제2-1 체결수단(B21)를 통해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의 상부 차량 후방 측에는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힌지 회동을 안내하기 위한, 제2 볼트 고정홀(122)이 형성되고,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하부 차량 후방 측에는 제2 볼트 고정홀(122)에 대응되는, 제2 볼트 힌지 회동홀(225)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2 볼트 고정홀(122)에는 제2-2 체결수단(B22)가 고정되며, 제2-2 체결수단(B22)은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힌지 회동 시 제2 볼트 힌지 회동홀(225)을 따라 이동되고,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힌지 회동 범위를 제한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제2 조절부(400)는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힌지 회동을 안내 하도록 제2 숄더 프레임(220)에 힌지 결합되는 어퍼링크(410)와,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힌지 회동을 안내하고, 제2 코일스프링(450)에 의해 제2 숄더 프레임(220)의 상측을 차량 전방 측으로 이동하도록 탄성을 가하는 로워링크(42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는 제2 조절부(400)는, 제2 숄더 프레임(220)에 구비된 어퍼링크(410)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에 구비된 로워링크(420)와, 어퍼링크(410) 및 로워링크(420)의 힌지 결합을 통해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과 제2 숄더 프레임(220)을 힌지 회동을 안내한다.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하부 중앙측에는 어퍼링크(41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2 힌지홀(H2)이 형성되며, 어퍼링크(410)의 일측 단부에 제2-1 링크 힌지홀(411)이 형성되어 제2 숄더 프레임(220)과 힌지 결합된다. 또한, 어퍼링크(410)의 타측 단부에는, 제2-2 링크 힌지홀(412)이 형성된다. 또한,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의 상부 중앙측에는 로워링크(420)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제3 힌지홀(H3)이 형성되며, 로워링크(420)의 타측 단부에 제3-1 링크 힌지홀(421)이 형성되어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과 힌지 결합된다. 또한, 로워링크(420)의 일측 단부에는 제3-2 링크 힌지홀(422)이 형성되어 어퍼링크(410)의 타측 단부에 형성된 제2-2 링크 힌지홀(412)과 힌지 결합된다.
따라서 제2 숄더 프레임(220)의 차량 전방 측 틸팅 시 제2 힌지홀(H2)을 제2 힌지점(HP2)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켜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틸팅을 안내하고, 제2 숄더 프레임(220)의 차량 후방 측 틸팅 시 제2 힌지홀(H2)을 제2 힌지점(HP2)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켜 제2 숄더 프레임(220)의 틸팅을 안내한다.
이때, 로워링크(420)의 타측 단부에는 제1 스프링 고정부(425)가 형성되고, 제1 스프링 고정부(425)는 차량 후방 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2 웨이스트 프레임(120) 상에는 제2 스프링 고정부(125)가 형성되고, 제2 스프링 고정부(125)는 제3 힌지홀(H3)에서 하방으로 이격 형성된다. 제2 코일스프링(450)은 인장스프링으로, 일측 단부가 제1 스프링 고정부(425)에 고정되고, 타측 단부가 제2 스프링 고정부(125)에 고정되어 제1 스프링 고정부(425)를 통해 로워링크(420)의 타측 단부가 제3 힌지홀(H3)을 기준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을 가한다. 따라서 샤프트(310)가 언록킹 시 제2 코일스프링(450)의 탄성에 의해 제2 숄더 프레임(220)이 차량 전방 측으로 틸팅하도록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조절부(3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내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0a에는, 샤프트(310)의 언록킹 시 도 10b에는 샤프트(310) 록킹 시의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C)의 구동에 의해 록킹부(320)의 로크 플레이트(321)가 샤프트(310)에서 이탈하면, 샤프트(310)가 상하 이동 가능함에 따라 제1 숄더 프레임(210)이 차량 전방 또는 후방으로 제1 힌지점(HP1)을 기준으로 틸팅 가능한 상태가 되며, 제1 코일스프링(340) 및 제2 코일스프링(450)의 탄성에 의해 차량 전방 측으로 틸팅 된다. 또한,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틸팅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 케이블(C)의 구동력을 해제하게 되면, 록킹부(320)의 로크 스프링(326)의 탄성에 의해 로크 플레이트(321)가 샤프트(310)에 맞닿게 되고, 투스(322)가 투스홈(312)에 맞물림에 따라 샤프트(310)가 언록킹 상태가 되어 제1 숄더 프레임(210)이 고정된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제1 조절부(300)의 또 다른 작동 상태를 나타낸 내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1a에는, 샤프트(310)의 하방 이동 시 제1 숄더 프레임(210)의 후방 틸팅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b에는, 샤프트(310)의 상방 이동 시 제1 숄더 프레임(210)의 전방 틸팅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10)가 하방으로 이동하면, 링크부(330)에 의해 제1 힌지홀(H1)이 제1 힌지점(HP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 숄더 프레임(210)의 상측을 차량 후방 측으로 틸팅하게 된다. 또한,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310)가 상방으로 이동하면, 링크부(330)에 의해 제1 힌지홀(H1)이 제1힌지점(HP1)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제1 숄더 프레임(210)의 상측을 차량 전방 측으로 틸팅하게 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시트 백(1000)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사용자가 케이블(C)을 구동하게 되면, 샤프트(310)가 언록킹 상태가 되며, 제1 코일스프링(340) 및 제2 코일스프링(450)의 탄성에 의해 숄더부(200)가 전방 측으로 틸딩되며, 사용자는 숄더부(200)에 차량 후방 측으로 적절한 하중을 가하여 숄더부(200)를 원하는 각도에 위치시킨 후 케이블(C) 구동력을 제거하여 숄더부(200)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 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000 : 시트 백
100 : 웨이스트부
110 : 제1 웨이스트 프레임 111 : 제1-1 힌지홀
112 : 제1 볼트 고정홀
120 : 제2 웨이스트 프레임 121 : 제2-1 힌지홀
122 : 제2 볼트 고정홀 125 : 제2 스프링 고정부
130 : 하부 프레임
200 : 숄더부
210 : 제1 숄더 프레임 211 : 제1-2 힌지홀
215 : 제1 볼트 힌지 회동홀
220 : 제2 숄더 프레임 221 : 제2-2 힌지홀
225 : 제2 볼트 힌지 회동홀
230 : 상부 프레임
300 : 제1 조절부
310 : 샤프트 311 : 와셔
312 : 투스홈 315 : 샤프트 브래킷
315a : 샤프트 링크홀
320 : 록킹부 321 : 로크 플레이트
322 : 투스 323 : 케이블 고정부
325 : 로크 회전축 326 : 로크 스프링
330 : 링크부 331 : 제1-1 링크 힌지홀
332 : 제1-2 링크 힌지홀
340 : 제1 코일스프링
390 : 베이스 플레이트 391 : 상측 가이드튜브
392 : 하측 가이드튜브
400 : 제2 조절부
410 : 어퍼링크 411 : 제2-1 링크 힌지홀
412 : 제2-2 링크 힌지홀
420 : 로워링크 421 : 제3-1 링크 힌지홀
422 : 제3-2 링크 힌지홀 425 : 제1 스프링 고정부
450 : 제2 코일스프링
900 :쿠션 프레임
HP : 힌지점
HP1 : 제1 힌지점 HP2 : 제2 힌지점
H1 : 제1 힌지홀 H2 : 제2 힌지홀
H3 : 제3 힌지홀
C : 케이블

Claims (9)

  1. 착좌자의 둔부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에 결합되어 착좌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시트 백에 있어서,
    상기 시트 백은,
    시트 백의 하측을 형성하며,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하측을 연결하는 하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웨이스트부;
    상기 웨이스트부와 분리되어 시트 백의 상측을 형성하며,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 한 쌍의 제1 및 제2 숄더 프레임과, 상기 제1 및 제2 숄더 프레임의 상측을 연결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는, 숄더부; 및
    상기 제1 및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측과 상기 제1 및 제2 숄더 프레임의 하측을 각각 힌지 결합하고, 상기 숄더부의 힌지 회동을 록킹 또는 언록킹하도록 상기 웨이스트부와 숄더부 사이에 구비되는, 숄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숄더 조절부는,
    상기 시트 백의 일측에 구비된, 제1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측과 제1 숄더 프레임의 하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절부는,
    직선 왕복 운동에 의해 상기 제1 숄더 프레임을 힌지 회동시키기 위한 샤프트;
    상기 샤프트를 록킹 또는 언록킹하여 상기 제1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을 제어하는 록킹부;
    상기 샤프트의 직선 운동을 상기 제1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으로 전환하는 링크부; 및
    상기 록킹부의 록킹 또는 언록킹을 제어하도록 일단이 상기 록킹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숄더 조절 레버에 연결되는, 케이블;
    을 포함하는,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제1 웨이스트 프레임 상에 상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결합되되, 상기 샤프트의 상하 직선 운동을 안내하도록 상측과 하측에 각각 가이드 튜브가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
    상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로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튜브에 끼워져 직선 운동하는 샤프트;
    하단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고, 상단에는 상기 링크부와의 힌지 결합을 위한 샤프트 링크홀이 형성된 샤프트 브래킷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는,
    일측 단부에 제1-1 링크 힌지홀이 형성되어 제1 숄더 프레임과 힌지 결합되고, 타측 단부에는, 제1-2 링크 힌지홀이 형성되어 상기 샤프트 링크홀에 힌지 결합되는,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 상의 상기 하측 가이드 튜브의 하측에는,
    상기 샤프트의 이탈 방지를 위해 상기 샤프트의 직경보다 긴 직경을 갖는 와셔가 결합되는,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절부는,
    상기 록킹부의 샤프트 언록킹 시 상기 제1 숄더 프레임의 상측이 차량 전방을 향해 힌지 회동하도록 상기 샤프트 브래킷과 상기 상측 가이드 튜브 사이에 구비되어 인장력을 가하는 제1 코일 스프링;
    을 더 포함하는,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에 구비되되, 한 쌍의 가이드 튜브 사이에 노출되는 샤프트 상에 위치하며, 타측이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서 힌지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힌지 결합되며, 일측은 힌지 회동에 의해 상기 샤프트에 밀착되어 샤프트를 록킹하거나, 상기 샤프트에서 이격되어 샤프트를 언록킹하는, 로크 플레이트;
    상기 로크 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에 밀착되도록 상기 로크 플레이트에 탄성을 가하는 로크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블은,
    숄더 조절 레버의 조작을 통해 상기 로크 플레이트가 상기 샤프트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숄더 조절 레버와 상기 로크 플레이트를 연결하는,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플레이트에는,
    상기 로크 플레이트가 샤프트에 밀착 시 상기 샤프트 상에 형성된 투스 홈에 맞물리는 투스가 돌출 형성되는,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조절부는,
    시트 백의 타측에 구비된,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측과 제2 숄더 프레임의 하측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조절부는,
    상기 제2 숄더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어퍼링크;
    상기 제2 웨이스트 프레임에 힌지 결합되는, 로워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어퍼링크와 로워링크의 힌지 결합을 통해 상기 제2 웨이스트 프레임과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을 안내하되,
    제2 숄더 프레임의 상측이 차량 전방 측으로 힌지 회동하도록 상기 어퍼링크 또는 상기 로워링크에 탄성을 가하는, 제2 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숄더 조절 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부 차량 전방 측과,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하부 차량 전방 측에는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을 위해 형성된 힌지점;
    상기 제1 또는 제2 웨이스트 프레임과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결합을 위해 상기 힌지점에 체결되는, 제1 체결수단;
    상기 제1 또는 제2 웨이스트 프레임의 상부 차량 후방 측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을 안내하기 위해 형성된 볼트 고정홀;
    상기 볼트 고정홀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하부 차량 후방 측에 형성되되, 상기 힌지점에서 등거리로 호를 이루어 형성된 볼트 힌지 회동홀; 및
    상기 제1 또는 제2 숄더 프레임의 힌지 회동 시 상기 볼트 힌지 회동홀을 따라 이동하도록 상기 볼트 힌지 회동홀을 관통하여 상기 볼트 고정홀에 결합되는 제2 체결수단;
    을 포함하는,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1020200113930A 2020-09-07 2020-09-07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1024112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930A KR102411246B1 (ko) 2020-09-07 2020-09-07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3930A KR102411246B1 (ko) 2020-09-07 2020-09-07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304A KR20220032304A (ko) 2022-03-15
KR102411246B1 true KR102411246B1 (ko) 2022-06-22

Family

ID=808172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3930A KR102411246B1 (ko) 2020-09-07 2020-09-07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124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18085183U (zh) * 2022-08-31 2022-12-20 蔚来汽车科技(安徽)有限公司 一种用于车辆的座椅的肩部调节机构、座椅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1603A (ja) 2007-07-05 2009-01-2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0228602A (ja) 2009-03-27 2010-10-14 Aisin Seiki Co Ltd シート調整装置及びそのシート調整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475520Y1 (ko)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1986A (ko) * 2013-06-28 2015-01-07 주식회사다스 상부 판넬의 틸팅 기능을 갖는 시트 백 프레임
KR20150109570A (ko) * 2014-03-20 2015-10-0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KR101805410B1 (ko) 2016-05-20 2017-12-07 (주)케이엠앤아이 싱글 메모리 이지 엔트리 시스템
KR102332907B1 (ko) * 2017-06-16 2021-12-01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1603A (ja) 2007-07-05 2009-01-22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10228602A (ja) 2009-03-27 2010-10-14 Aisin Seiki Co Ltd シート調整装置及びそのシート調整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装置
KR200475520Y1 (ko) 2013-10-17 2014-12-08 현대다이모스(주)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2304A (ko) 2022-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9335B1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US10065535B1 (en) Seatback lift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US10569674B2 (en)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US20130257126A1 (en) Vehicle seat comprising a seat depth adjusting device
CN111601732A (zh) 便捷进入的车辆座椅
JPH1017546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20180251050A1 (en) Seatback lift mechanism for a supine motor vehicle seating assembly
US7044554B2 (en) Vehicle seat having a head restraint independent from its backrest
KR20230020154A (ko) 자동차용 시트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US11453314B2 (en) Seat adjustment apparatus for vehicle
US20060103211A1 (en) Seat assembly with inner seat back movable with a seat cushion
EP3626524A1 (en) Armrest and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JP3415209B2 (ja) 車両のシ−ト構造
KR102586461B1 (ko) 자동차용 피로 저감 시트
CN107009920A (zh) 具有容易进入模块的车辆座椅
KR101884744B1 (ko)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JP3137175B2 (ja) 車両用シート
KR102366118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JP7131369B2 (ja) 車両シート構造
KR101220944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어셈블리
KR101469438B1 (ko) 시트쿠션 연동식 리클라이닝 시트
JPH0220098Y2 (ko)
KR100551769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 연동형 시트 틸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