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109570A -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09570A
KR20150109570A KR1020140032476A KR20140032476A KR20150109570A KR 20150109570 A KR20150109570 A KR 20150109570A KR 1020140032476 A KR1020140032476 A KR 1020140032476A KR 20140032476 A KR20140032476 A KR 20140032476A KR 20150109570 A KR20150109570 A KR 20150109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xed frame
motor
shoulder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2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훈복
박상도
이태훈
권미선
이상학
김동환
김명섭
서진호
안성철
김윤호
박찬욱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2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109570A/ko
Publication of KR2015010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95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후석의 시트백 상단부인 숄더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기존의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 및 브라켓 등의 부품수를 절감하는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경량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키면서 후석의 시트백 상단부인 숄더부의 전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Device for adjusting shoulder part of rear seat}
본 발명은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후석의 시트백 상단부인 숄더부의 전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고급화 추세에 따라, 리어시트의 시트백 전체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탑승자의 상체 중 어깨 부분에 대한 자세 조절을 위하여 시트백의 상단부만을 경사각 조절 가능하도록 한 숄더 어드져스터 즉,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가 적용되고 있다.
첨부한 도 1은 종래의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그 작동 흐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서, 도면부호 10은 리어시트의 시트백내에 내장되는 파이프 형태의 시트프레임을 나타낸다.
상기 시트프레임(10)은 시트백내에 고정 장착되는 하부프레임(16)과, 하부프레임(16)의 상단에서 후방으로 경사지게 일체로 형성된 지지프레임(14)과, 전후 경사각 조절 가능하도록 하부프레임(16)과 힌지 연결되는 상부프레임(12)으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2)에 고정 장착된 상단브라켓(18)에 모터(20)의 몸체부가 연결되고, 지지프레임(14)에 힌지 체결된 하단브라켓(24)에 모터(20)의 출력축인 리드 스크류축(22)이 분리 가능하게 삽입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모터(20)의 구동에 따라, 리드 스크류축(22)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면, 리드 스크류축(22)이 하단브라켓(24)으로부터 분리되며 모터(20)와 함께 승강하게 되고, 동시에 모터(20)의 몸체부와 연결된 상단브라켓(18)이 상부프레임(12)을 밀어 올리게 되는데, 이때 밀어 올리는 힘은 상부프레임(12)을 전방으로 회동시키는 힘으로 작용하게 된다.
연이어, 상기 상부프레임(12)이 하부프레임(16)과의 힌지 체결점을 중심으로 전방으로 각회전함으로써, 리어시트의 시트백 상단부가 앞쪽으로 돌출되면서 탑승자의 어깨 및 그 주위의 등 부분을 전방으로 밀어주며 받쳐주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숄더 어드져스터 조절시, 상부프레임에 상단브라켓을 매개로 장착된 모터가 전/후/상/하로 진동하면서 회전하므로, 소음 및 진동 현상이 심한 문제점이 있고, 더욱이 모터가 장착된 위치가 탑승객의 귀와 가까운 거리에 있기 때문에 탑승객이 모터 소음을 보다 크게 인지하여 불편함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모터가 시트백 내에서 이동해야 하므로, 시트백의 내부 패키지가 과다하여 조립 공수 증가 및 조립 작업성 저하를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셋째,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 간의 힌지점 이외에 하부프레임과 하단브라켓 간의 힌지점과, 모터와 상단브라켓 간의 연결점 등 회전축이 3개 이상 구비되어야 하므로, 부품수 증가 및 중량 증가, 그리고 제조 비용 증가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하부프레임과 상부프레임을 연결하는 힌지점과, 하단프레임과 하단브라켓을 연결하는 힌지점 간의 각도가 작을 경우, 모터에 수직방향의 힘이 가해지므로 모터에 부하가 걸리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기존의 파이프 형태의 프레임 및 브라켓 등의 부품수를 절감하는 간단한 구성을 통하여, 경량화를 실현하는 동시에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키면서 후석의 시트백 상단부인 숄더부의 전후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이동프레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양측벽 하단부 간을 연결하는 지지봉과; 상기 고정프레임의 일측 벽면에 고정 장착되는 모터와; 상단은 지지봉에 연결되고, 하단은 모터의 리드 스크류축과 힌지 연결되는 아치형 브라켓;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는 각도제한핀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부에는 각도제한핀이 삽입되는 슬롯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의 상단부에서 가장 앞쪽 부분과 상기 이동프레임의 하단부에서 가장 앞쪽 부분에는 서로 접철되어 힌지핀으로 체결되는 힌지단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프레임과 이동프레임은 패널 타입 구조로 제작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기존에는 파이프 형태의 상부 및 하부프레임, 지지프레임을 비롯하여, 모터 장착을 위한 2개 이상의 브라켓 등 여러가지 부품이 소모되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지지봉을 갖는 상부프레임 만이 하부프레임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간단한 구성을 가지므로, 부품수 절감 및 경량화를 실현할 수 있다.
둘째, 기존에는 모터 자체가 상하로 움직이는 동시에 전후로 진동하여, 진동 및 소음 발생이 과한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에서는 모터를 탑승객의 귀로부터 최대한 먼 하부프레임에 고정 장착하여 작동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나타낸 조립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의 작동 전후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숄더 각도 조절 장치에 비하여 부품수를 절감하는 등 보다 간단한 구조를 이루고, 모터의 작동시 진동 및 소음을 최소화시킬 수 있는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첨부한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및 조립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100은 시트백 즉, 리어시트의 시트백내에 내장되면서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100)을 지시하고, 도면부호 102는 고정프레임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면서 리어시트의 시트백내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내장되는 이동프레임을 나타낸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은 "U"자형 골격을 이루고, 상기 이동프레임(102)은 역"U"자형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서, 기존의 파이프 타입과 달리 얇은 판체인 패널 타입으로 성형 제작되어 경량화에 유리한 장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이동프레임(102)의 양측벽 하단부 간에는 지지봉(104)이 일체로 연결되는데, 이 지지봉(104)은 모터(110) 작동에 의하여 전방으로 회동하는 아치형 브라켓(106)이 밀어올리는 부분이 된다.
특히,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에서 가장 앞쪽 부분과 상기 이동프레임(102)의 하단부에서 가장 앞쪽 부분에는 서로 접철되어 힌지핀(118)으로 체결되는 힌지단(116)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렇게 힌지단(116)이 고정프레임(100)과 이동프레임(102)의 앞쪽 부분에 형성된 이유는 이동프레임(102)이 전방으로 각회전하는 힌지포인트를 앞쪽에 두어서 뒤에서 이동프레임을 밀어 올렸을 때 이동프레임(102)이 손쉽게 힘을 받으며 앞쪽을 향해 각회전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일측 벽면에는 모터(110)가 고정 장착되며, 이 모터(110)의 출력축인 리드 스크류축(112)은 정역회전에 따라 승강 또는 하강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102)의 하단부에 연결된 지지봉(104)과 상기 모터(110)의 리드 스크류축(112)은 도 5에서 잘 볼 수 있듯이 아치형 브라켓(106)에 의하여 연결된다.
즉, 상기 아치형 브라켓(106)의 하단부는 모터(110)의 리드 스크류축(112)에 힌지 연결되고, 하단부 보다 전방을 향하며 휘어진 상단부는 지지봉(104)에 연결된다.
한편,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힌지단 뒤쪽 부분)에는 각도제한핀(108)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02)의 하단부에는 각도제한핀(108)이 삽입되는 상하로 길다른 슬롯(114)이 관통 형성됨으로써, 이동프레임(102)의 전후 이동 각도가 슬롯(114)내에서 움직이는 각도제한핀(108)에 의하여 제한되며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에 대한 작동 흐름을 첨부한 도 6을 참조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의 작동 전 상태에서, 모터(110)가 구동되는 동시에 리드 스크류축(112)이 정방향 회전을 하게 되면, 리드 스크류축(112)이 승강을 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리드 스크류축(112)이 아치형 브라켓(106)을 밀어 올리게 되고, 아치형 브라켓(106)은 지지봉(104)을 전방쪽으로 밀어주게 된다.
연이어, 상기 지지봉(104)과 일체로 된 이동프레임(102)이 전방을 향하여 각회전을 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이동프레임(102)의 지지봉(104)을 아치형 브라켓(106)이 전방을 향해 밀어줄 때, 이동프레임(102)의 힌지단(116) 즉, 힌지포인트가 아치형 브라켓(106)과 거리를 두며 앞쪽에 위치하기 때문에 이동프레임(102)이 작은 힘에도 쉽게 전방 회동을 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에 형성된 각도제한핀(108)이 이동프레임(102)의 슬롯(114)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되어, 이동프레임(102)의 전방 각회전 각도가 제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이동프레임(102)이 전방을 향하여 각회전함으로써, 시트백의 숄더부가 탑승객의 상체 중 어깨 부분을 받쳐주며 전방으로 각도 조절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 이동프레임(102)을 후방으로 각회전시키는 작동은 모터의 역회전에 의하여 상기한 전방 각회전 작동의 역순으로 진행된다.
100 : 고정프레임
102 : 이동프레임
104 : 지지봉
106 : 아치형 브라켓
108 : 각도제한핀
110 : 모터
112 : 리드 스크류축
114 : 슬롯
116 : 힌지단
118 : 힌지핀

Claims (4)

  1. 시트백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는 고정프레임(100)과;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에 각도 조절 가능하게 힌지 연결되는 이동프레임(102)과;
    상기 이동프레임(102)의 양측벽 하단부 간을 연결하는 지지봉(104)과;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일측 벽면에 고정 장착되는 모터(110)와;
    상단은 지지봉(104)에 연결되고, 하단은 모터(110)의 리드 스크류축(112)과 힌지 연결되는 아치형 브라켓(106);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에는 각도제한핀(108)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이동프레임(102)의 하단부에는 각도제한핀(108)이 삽입되는 슬롯(114)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의 상단부에서 가장 앞쪽 부분과 상기 이동프레임(102)의 하단부에서 가장 앞쪽 부분에는 서로 접철되어 힌지핀(118)으로 체결되는 힌지단(116)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100)과 이동프레임(102)은 패널 타입 구조로 성형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KR1020140032476A 2014-03-20 2014-03-20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KR201501095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476A KR20150109570A (ko) 2014-03-20 2014-03-20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2476A KR20150109570A (ko) 2014-03-20 2014-03-20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9570A true KR20150109570A (ko) 2015-10-02

Family

ID=54340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2476A KR20150109570A (ko) 2014-03-20 2014-03-20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10957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353A (ko)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KR101950186B1 (ko) 2017-09-14 2019-02-21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숄더부 각도 조절 장치
KR20220032304A (ko) * 2020-09-07 2022-03-15 (주)케이엠앤아이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20230174942A (ko) * 2022-06-22 2023-12-29 (주)서연인테크 일체형 백레스트 리클라이닝 시트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353A (ko)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KR101950186B1 (ko) 2017-09-14 2019-02-21 주식회사 다스 자동차 시트의 숄더부 각도 조절 장치
KR20220032304A (ko) * 2020-09-07 2022-03-15 (주)케이엠앤아이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KR20230174942A (ko) * 2022-06-22 2023-12-29 (주)서연인테크 일체형 백레스트 리클라이닝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883988B2 (ja) シート傾斜調整機構、車両シート及び当該車両シートの取り付け方法
EP2019608B1 (en) Adjustable bolster assembly
US8864172B2 (en) Seatbelt buckle height adjustment mechanism
KR101326904B1 (ko) 자동차 시트용 하부 프레임
JP5314289B2 (ja) シートキャリアが2つの側面部材を有するモーター付き車両用シートのシートフレーム
KR20150109570A (ko) 자동차용 후석 숄더 각도 조절 장치
KR101553527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JP5420192B2 (ja) 車両座席
KR20150107033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WO2012118788A1 (en) Rearview device support assembly
KR20180108955A (ko) 차량의 시트 위치 조절 장치
JP2008302921A6 (ja) 車両座席
KR101904976B1 (ko) 시트의 쿠션부 틸트 익스텐션 장치
KR20210122971A (ko) 자동차용 릴렉션 컴포트 시트
KR101592758B1 (ko) 차량용 후석 시트 리클라이닝 장치
KR101593846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593848B1 (ko) 헤드레스트 장치
KR101628579B1 (ko) 시트 쿠션의 틸팅 장치
KR102332907B1 (ko)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JP4534831B2 (ja) 自動車のシート位置調整装置
KR200475520Y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숄더 어저스터
JP7157358B2 (ja) シート装置
KR102271851B1 (ko) 시트의 자세조절 장치
JP2005014670A (ja) シート装置
US20180264976A1 (en) Seat back with power shoulder pivo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