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3900B1 -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 Google Patents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3900B1
KR102453900B1 KR1020210048195A KR20210048195A KR102453900B1 KR 102453900 B1 KR102453900 B1 KR 102453900B1 KR 1020210048195 A KR1020210048195 A KR 1020210048195A KR 20210048195 A KR20210048195 A KR 20210048195A KR 102453900 B1 KR102453900 B1 KR 1024539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back
seat cushion
pip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8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기성
문윤호
조민규
한봉천
박수현
박승용
정도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오스템
주식회사 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오스템, 주식회사 마노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81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39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39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39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원용 승합차와 같이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ㄷ'자형 시트쿠션 메인파이프와 일자형 시트쿠션 후단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시트쿠션 프레임과; 기립되게 세워지는 'ㄷ'자형 시트백 메인파이프와 일자형 시트백 하단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엘보우 아암과; 상기 한 쌍의 엘보우 아암의 내측에 결합하여 전단부를 통해서는 상기 시트쿠션 후단파이프에 접촉 지지되고 상단부를 통해서는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보강 이음쇠; 및 전방으로 형성된 제1 함입요홈부에 상기 시트쿠션 후단파이프가 수용 및 용접되는 'ㄷ'자 단면의 내측이음쇠와, 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입요홈부에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가 용접되는 'ㄷ'자 단면의 외측이음쇠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이음쇠가 상기 외측이음쇠에 수용되어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3점식 안전벨트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엘보우 아암의 전방 꺾임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 또한 시트백 메인파이프 및 시트백 하단파이프에 의한 보강구조를 통해 전방 꺾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REAR SIDE SEAT FRAME FOR KIDS SAFETY CAR}
본 발명은 학원용 승합차와 같이 어린이들이 탑승하는 차량에 적용되는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어린이들이 주로 탑승하는 승합차에서 1열의 운전석과 보조석을 제외한 2열 또는 3열 이하의 시트(즉, 벤치시트)는 도 1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2점식 안전벨트(10)가 적용된 것이 일반적이었으나, 사고발생 시 탑승한 어린이들이 심각한 부상을 입는 경우가 상당수 발생함에 따라 이에 대한 개선책으로 어린이용 승합차량 등의 안전기준이 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르면, 승합차량의 벤치시트에 적용되는 안전벨트 사양의 경우, 기존의 허리 부분만 고정하는 2점식 안전벨트에서 허리와 어깨, 가슴을 동시에 고정하는 3점식 안전벨트(도 1의 (b) 20)로의 변경이 요구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벤치시트에 적용되던 시트프레임(1)은 2점식 안전벨트의 안전조건에 맞게 설계된 구성이므로, 2점식 안전벨트(도 1의 10)의 좌우 양측단부가 쿠션프레임(2)에만 부착되기만 하면, 벨트(10)측에 대한 테스트 하중과 시트프레임(1)측에 대한 테스트 관성하중 하에서도 벨트(10)가 해제되거나 시트프레임의 파괴가 발생하지 않을 조건을 만족하였다.
그러나, 강화된 안전기준의 적용으로 3점식 안전벨트(도 1의 20)가 부착되어야 하는 경우에는 어깨벨트(21)의 상단부는 시트백프레임(3)측에 부착될 수밖에 없는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쿠션프레임(2)과 시트백프레임(3) 간에 좌우 'L'자형 브래킷(4)을 매개로 연결되는 취약한 구조에서 상기 테스트 조건을 부여한다면 시트백프레임(3)의 관성하중으로 인해 상기 브래킷(4)이 전방으로 꺾이는 소성변형이 발생할 수 밖에 없고, 시트백프레임(3) 자체의 취약한 구조로 인해서도 어깨벨트(21)의 전방 관성하중 발생 시 꺾임 변형이 발생할 수 밖에 없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은 물론 3점식 안전벨트를 채용하기 위한 종래의 시트프레임(1)의 전반적인 개선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3점식 안전벨트의 부착에 적합한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에 있어서, 수평으로 눕혀지는 'ㄷ'자형 시트쿠션 메인파이프와 일자형 시트쿠션 후단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시트쿠션 프레임과; 기립되게 세워지는 'ㄷ'자형 시트백 메인파이프와 일자형 시트백 하단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단부를 연결하는 요소로서 수평연장부를 통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결합하고 기립연장부를 통해서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하는 한 쌍의 엘보우 아암과; 상기 한 쌍의 엘보우 아암의 내측에서 상기 수평연장부와 상기 기립연장부의 연결부위에 결합하여 전단부를 통해서는 상기 시트쿠션 후단파이프에 접촉 지지되고 상단부를 통해서는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보강 이음쇠; 및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연결하는 요소로서, 전방으로 형성된 제1 함입요홈부에 상기 시트쿠션 후단파이프가 수용 및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하는 'ㄷ'자 단면의 내측이음쇠와, 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입요홈부에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가 수용 및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하는 'ㄷ'자 단면의 외측이음쇠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이음쇠가 상기 외측이음쇠에 수용되어 서로 핀결합부 및 볼트체결부를 매개로 하여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백 메인파이프는 상단의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좌우양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단기립부, 상기 상단기립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의 하단기립부로 순차 형성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의 양측단부를 상기 경사부 및 상기 하단기립부와 함께 배면에서 접촉 지지하는 보강판면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상단부가 상기 시트백 메인파이프의 수평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센터보강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보강 브래킷은 전방으로 개방된 채널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채널부를 통해 3점식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를 지지해주며, 이때 상기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는 상기 복수의 센터보강 브래킷과 상하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은 전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메인파이프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후단파이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보강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보강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와 전후 일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에 의하면 시트쿠션 프레임과 시트백 프레임을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엘보우 아암을 각각 측면보강 이음쇠로 보강하고 나아가 시트쿠션 후단파이프와 시트백 하단파이프 간을 연결하는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로 보강하는 구성을 취함으로써 이러한 후열 시트프레임에 3점식 안전벨트를 적용하는 경우에도 상기 엘보우 아암의 전방 꺾임 변형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 또한 시트백 메인파이프 및 시트백 하단파이프에 의한 보강구조를 통해 전방 꺾임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차량용 시트의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의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도 3의 정면도 및 배면도,
도 6은 도 3의 주요부에 대한 확대된 부분절개도,
도 7은 도 3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1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눕혀지는 시트쿠션 프레임(110), 기립되게 세워지는 시트백 프레임(120), 시트쿠션 프레임(110)과 시트백 프레임(120) 간을 연결하는 좌우 한 쌍의 엘보우 아암(131, 132)과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140, 150)를 포함한다.
시트쿠션 프레임(110)은 'ㄷ'자형 시트쿠션 메인파이프(도 7의 111)와 일자형 시트쿠션 후단파이프(112)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며, 내측에는 복수의 보강파이프(113)의 각 전단부가 시트쿠션 메인파이프(111)에 각 후단부가 시트쿠션 후단파이프(112)에 용접되어 일체로 연결된다(도 7 참조).
시트백 프레임(120)은 수직에 가까운 일정한 각도로 기립되게 세워지는 대체로 'ㄷ'자형인 시트백 메인파이프(121)와 일자형 시트백 하단파이프(122)가 서로 용접으로 연결된다.
시트쿠션 프레임(110)과 시트백 프레임(120)의 양측단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엘보우 아암(131, 132)은 전방으로 연장되는 수평연장부(131a)가 매개아암(133)을 통해 시트쿠션 메인파이프(111)와 볼트체결로 연결되고, 기립되게 연장되는 기립연장부(131b)를 통해서는 시트백 프레임(120)측에 용접으로 연결된다. 엘보우 아암(131, 132)은 전방으로의 굽힘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ㄷ'자 단면으로 형성된다(도 4 참조).
나아가, 엘보우 아암(131, 132)에서의 전방 굽힘강도의 보강을 위해 그 내측으로 측면보강 이음쇠(도 7의 161, 162)가 결합한다. 구체적으로 측면보강 이음쇠(161, 162)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연장부(131a)와 기립연장부(131b)의 연결부위에 결합하며, 그 전단부(161a)를 통해서는 시트쿠션 후단파이프(112)에 접촉 지지되고 그 상단부(161b)를 통해서는 시트백 하단파이프(122)를 접촉 지지한다.
이에 더해, 측면보강 이음쇠(161, 162)는 엘보우 아암(131, 132)측에 상하로 적층되게 면접하도록 포개어지는 적층면부(161c)가 형성됨으로써 엘보우 아암(131, 132)에서의 굽힘강도를 더 보강해준다.
한 쌍의 엘보우 아암(131, 132)의 내측에서 시트쿠션 프레임(110)과 시트백 프레임(120)을 연결하는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140, 150)는 'ㄷ'자 단면의 내측이음쇠(도 7의 141)와 역시 'ㄷ'자 단면의 외측이음쇠(142)가 서로 전후로 대향하여 포개어지듯이 결합하여 핀결합부(143)와 볼트체결부(144)를 매개로 하여 서로 고정적으로 결합한 구성이다(도 6 참조).
내측이음쇠(141)는 전방으로 형성된 제1 함입요홈부(141a)에 시트쿠션 후단파이프(112)가 수용 및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하고, 외측이음쇠(142)는 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입요홈부(142a)에 시트백 하단파이프(122)가 수용 및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한다.
이상과 같이, 시트쿠션 프레임(110)과 시트백 프레임(120)은 좌우 한 쌍의 엘보우 아암(131, 132)과 측면보강 이음쇠(161, 162)의 결합구조 및 내측의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140, 150)를 통한 연결구조를 통해 서로 견고한 고정결합구조를 달성할 수 있다.
시트백 프레임(120)의 강도보강을 위한 구조를 달성하기 위해 도 4(전방) 및 도 5(후방)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메인파이프(121)는 상단의 수평부(121a), 이의 좌우 양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단기립부(121b), 이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된 경사부(121c) 및 이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의 하단기립부(121d)로 순차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부(121c), 하단기립부(121d) 및 이 하단기립부(12d)와 용접되는 시트백 하단파이프(122)의 양측단부를 배면에서 용접되어 접촉 지지하는 보강판면부(123)가 추가 형성됨으로써 강도보강의 안정적 구조를 달성한다.
도 3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 프레임(120)은 시트백 메인파이프(121)와 시트백 하단파이프(122)의 내측에 복수의 센터보강 브래킷(124, 125)을 포함하한다.
센터보강 브래킷(124, 125)은 상단부가 시트백 메인파이프(121)의 수평부(121a)에 용접으로 연결되고 하단부가 시트백 하단파이프(122)에 용접으로 연결된다.
특히, 센터보강 브래킷(124, 125)은 전방으로 개방된 채널부(124a)가 형성됨으로써 이를 통해 3점식 안전벨트(도 1의 20 참조)의 높이조절장치(22)가 볼트체결로 설치 및 지지해준다.
이때, 앞서 설명된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140, 150)는 상기 복수의 센터보강 브래킷(124, 125)과 상하 일치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높이조절장치(22)에서의 전방 관성하중을 더욱 견고하게 지탱할 수 있게 해준다.
마찬가지로, 앞서 설명된 시트쿠션 프레임(110) 내의 복수의 보강파이프(113)도 상기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140, 150)와 복수의 센터보강 브래킷(124, 125)에 전후 및 상하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100)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지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110: 시트쿠션 프레임 111: 시트쿠션 메인파이프
112: 시트쿠션 후단파이프 113: 보강파이프
120: 시트백 프레임 121: 시트백 메인파이프
121a: 수평부 121b: 상단기립부
121c: 경사부 121d: 하단기립부
122: 시트백 하단파이프 123: 보강판면부
124, 125: 센터보강 브래킷 124a: 채널부
131, 132: 엘보우 아암 131a: 수평연장부
131b: 기립연장부 140, 150: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
141: 내측이음쇠 141a: 제1 함입요홈부
142: 외측이음쇠 142a: 제2 함입요홈부
143: 핀결합부 144: 볼트체결부
161, 162: 측면보강 이음쇠 161a: 전단부
161b: 상단부

Claims (4)

  1.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에 있어서,
    수평으로 눕혀지는 'ㄷ'자형 시트쿠션 메인파이프와 일자형 시트쿠션 후단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시트쿠션 프레임과;
    기립되게 세워지는 'ㄷ'자형 시트백 메인파이프와 일자형 시트백 하단파이프가 서로 연결되어 형성되는 시트백 프레임과;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의 양측단부를 연결하는 요소로서 수평연장부를 통해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결합하고 기립연장부를 통해서는 상기 시트백 프레임과 결합하는 한 쌍의 엘보우 아암과;
    상기 한 쌍의 엘보우 아암의 내측에서 상기 수평연장부와 상기 기립연장부의 연결부위에 결합하여 전단부를 통해서는 상기 시트쿠션 후단파이프에 접촉 지지되고 상단부를 통해서는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를 접촉 지지하는 한 쌍의 측면보강 이음쇠; 및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과 상기 시트백 프레임을 연결하는 요소로서, 전방으로 형성된 제1 함입요홈부에 상기 시트쿠션 후단파이프가 수용 및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하는 'ㄷ'자 단면의 내측이음쇠와, 상방향으로 형성된 제2 함입요홈부에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가 수용 및 용접되어 일체로 결합하는 'ㄷ'자 단면의 외측이음쇠를 구비하여, 상기 내측이음쇠가 상기 외측이음쇠에 수용되어 서로 핀결합부 및 볼트체결부를 매개로 하여 고정적으로 결합하는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메인파이프는
    상단의 수평부, 상기 수평부의 좌우양측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상단기립부, 상기 상단기립부의 하단으로부터 내측으로 굴곡된 경사부 및 상기 경사부로부터 연장되는 수직의 하단기립부로 순차 형성되고,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의 양측단부를 상기 경사부 및 상기 하단기립부와 함께 배면에서 접촉 지지하는 보강판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 프레임은
    상단부가 상기 시트백 메인파이프의 수평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시트백 하단파이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센터보강 브래킷을 포함하되,
    상기 센터보강 브래킷은 전방으로 개방된 채널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채널부를 통해 3점식 안전벨트의 높이조절장치를 지지해주며,
    이때, 상기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는 상기 복수의 센터보강 브래킷과 상하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 프레임은
    전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메인파이프에 연결되고 후단부가 상기 시트쿠션 후단파이프에 연결되는 복수의 보강파이프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보강파이프는 상기 복수의 센터보강 이음쇠 뭉치와 전후 일치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KR1020210048195A 2021-04-14 2021-04-14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KR1024539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95A KR102453900B1 (ko) 2021-04-14 2021-04-14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8195A KR102453900B1 (ko) 2021-04-14 2021-04-14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3900B1 true KR102453900B1 (ko) 2022-10-11

Family

ID=8359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8195A KR102453900B1 (ko) 2021-04-14 2021-04-14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390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626A (ko) * 2018-11-02 2020-05-12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111597B1 (ko) * 2018-12-06 2020-05-18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6843A (ko) * 2018-11-15 2020-05-25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8733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차량용 시트장치
KR20200073611A (ko) * 2018-12-14 2020-06-24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0626A (ko) * 2018-11-02 2020-05-12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6843A (ko) * 2018-11-15 2020-05-25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8733A (ko) * 2018-11-20 2020-05-28 주식회사 대유홀딩스 차량용 시트장치
KR102111597B1 (ko) * 2018-12-06 2020-05-18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73611A (ko) * 2018-12-14 2020-06-24 기성에이알씨(주)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47360A (en) Side impact seat back structure
US5501509A (en) Frame assembly for a vehicle seat
US7540563B2 (en) Seat
JP3306037B2 (ja) 自動車用シートに構成部品を固定する固定ワイヤを備えた自動車用シート
US6276754B1 (en) Child seat attachment assembly
US4706774A (en) Motorcycle rear suspension subassembly
CN102328603B (zh) 车辆座椅框架的支撑结构
US20080231080A1 (en) Structure of rear portion of car body
KR102453900B1 (ko)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JP6800088B2 (ja) 車体下部構造
JP3835208B2 (ja) パワーユニットの支持ブラケット
CN205523770U (zh) 汽车座椅安装结构和汽车座椅安装总成
JP2017165205A (ja) 車体構造
CN110167793A (zh) 车辆用座椅构造
CN115056685A (zh) 一种车辆座椅固定装置及汽车
CN206983806U (zh) 座椅靠背框架
CN109080512B (zh) 一种用于车辆的儿童座椅固定支架组件
CN209008429U (zh) 一种能提高侧向刚性的汽车座椅支架结构
US20030137159A1 (en) Sports/utility vehicle trailer
JP3519658B2 (ja) リヤフロアクロスメンバ構造
JP5534982B2 (ja) シートバックフレーム取付構造および取付方法
CN109532587B (zh) 支撑底座及儿童安全座椅
CN214215550U (zh) 一种汽车60%后排靠背骨架
CN212267639U (zh) 一种客车车架的断面结构
CN217374412U (zh) 一种重卡车前下防护粱总成及汽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