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3349B1 -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 Google Patents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3349B1
KR102193349B1 KR1020180141053A KR20180141053A KR102193349B1 KR 102193349 B1 KR102193349 B1 KR 102193349B1 KR 1020180141053 A KR1020180141053 A KR 1020180141053A KR 20180141053 A KR20180141053 A KR 20180141053A KR 102193349 B1 KR102193349 B1 KR 1021933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rame
sub
frames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0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6843A (ko
Inventor
염기완
Original Assignee
기성에이알씨(주)
염기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성에이알씨(주), 염기완 filed Critical 기성에이알씨(주)
Priority to KR10201801410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334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6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6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33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33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and til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1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height-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8Seat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0Upholstery springs ; Upholstery
    • B60N2/7094Upholstery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
상기 후열 좌석은,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위에 전,후 방향을 향해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과;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전방에 각각 개별적으로 상,하 승강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명이다.

Description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Rear seat frame for SUV vehicle}
본 발명은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을 각각 좌,우로 분할하고, 그 분할된 좌,우측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 각각을 개별적으로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SUV 차량의 후열 죄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은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트백쿠션은 기울기의 각도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편안한 자세로 탑승할 수 있도록 구성된 SUV 차량의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를 비롯하여 RV(Recreation Vehicle) 차량이나 SUV(Sports Utility Vehicle) 차량 등에는 2열 이상의 시트가 장착되고 있다.
통상 SUV 차량의 경우, 운전석 및 조수석의 앞부분 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운전자 등)은 프런트 도어를 통하여 승하차하게 되며, 뒷부분 후열 좌석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은 리어 도어(승합차의 경우에는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승하차를 하게 된다.
차량의 시트는 운전자 또는 탑승자 모두가 편안한 자세로 앉아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에도 피로를 덜 느끼도록 배려하고 있다.
그런데, SUV 차량의 경우, 운전자 등이 앉는 앞부분의 전열 좌석은 시트쿠션이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반해, 뒷부분의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고정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후열 좌석의 시트백쿠션은 폴링(folding) 작동만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SUV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 여행시 전열 좌석의 운전석 및 조수석에 탑승한 운전자 등은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을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을 수행하여 편안한 자세로 여행을 즐길 수 있겠지만, 뒷부분 후열 좌석에 탑승한 사람들은 시트쿠션이나 시트백쿠션을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장거리 여행시 후열 좌석에 탑승한 사람들은 여행을 시작할 때 앉은 자세를 처음부터 끝까지 유지하여야 하므로 불편을 느낄 수밖에 없었다.
또한 승합차와 같이 3열 이상의 좌석이 배열되어 있는 경우, 슬라이딩식 도어를 이용하여 탑승하게 될 때 후열에 배열되어 있는 2,3번 좌석은 시트백쿠션을 폴딩시킨 상태에서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슬라이드 이동조절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는 하지만, 후열 2,3번 좌석의 시트쿠션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없을 뿐 아니라 시트백쿠션의 기울기 각도를 조절할 수 없기 때문에 후열 좌석에 앉은 사람들은 장거리 여행시 항시 같은 자세로 앉아 있어야 하므로, 이로 인해 장거리 여행에 많은 불편을 느끼게 된다는 것이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등록특허 제10-1864253호(2018. 07. 04. 공고) 등록특허 제10-0805414호(2008. 02. 20.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나타나는 제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전,후로 이동조절하는 한편, 시트백쿠션은 기울기를 각도조절하는 수단으로 장거리 여행시 편안한 자세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 여행 중 수시로 앉아있는 자세를 바꿀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거리 여행시 지루함과 피로감을 덜 느낄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고 발명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추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
상기 후열 좌석은,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위에 전,후 방향을 향해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과;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전방에 각각 개별적으로 상,하 승강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의 전,후방 고정바에 양단이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레일프레임과 상기 하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레일은 메인시트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전,후방 가동바에 양단이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레일은 상기 복수의 하부레일에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위에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은 좌,우측 무단락장치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가동봉체에 연결된 전방 연결브라켓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전방 가동바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고정몸체에 연결된 후방 연결브라켓은 메인시트프레임의 후방 고정바에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수동조절부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바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상기 수동레바의 풀림작동이나 당김작동에 의하여 록킹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의 일면에 돌출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안내돌기 사이에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가동패널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장공은 상기 고정패널의 중심에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고정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고정걸고리와 가동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가동걸고리가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를 붙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도록 구성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고리가 고정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고정걸고리를 향해 진입하게 될 때에는 가동패널이 탄력적으로 상승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이 상기 가동패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고리가 가동패널을 상승이동시키면서 고정패널의 결속용 고정걸고리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가동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가동걸고리가 상기 결속용 고정걸고리에 진입된 결속고리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패널을 탄력적으로 하강시키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좌측 서브시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의 작동레바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연결박스와, 상기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되는 복수의 서브와이어 각각의 인출단이 가동패널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돌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레바의 당김 및 해제 작동시 메인와이어가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된 복수의 서브와이어를 당기거나 놓아주는 작동으로 상기 가동패널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은 차체바닥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기점으로 하는 회전작동으로 기립 및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은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채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고정돌출브라켓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힌지브라켓 각각에는 하향을 향해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경사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복수의 힌지돌기는 복수의 힌지브라켓 각각의 경사장공에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진 채 경사장공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상기 후열 좌석의 시트쿠션은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조절하는 동시에 시트백쿠션은 기울기의 각도조절을 할 수 있으므로 편안한 자세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은 좌,우측 시트쿠션에 탑승하는 사람들끼리 각기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시트쿠션의 이동조절 및 시트백쿠션의 각도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SUV 차량을 이용하여 장거리 여행을 하고자 할 때에는 후열 좌석에 탑승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을 전,후로 이동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트백쿠션의 기울기를 각도조절할 수 있으므로 장거리 여행시 지루함이나 피로감을 덜 느끼면서 편안한 자세로 여행을 즐길 수 있도록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SUV차량의 후열 좌석 설치상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SUV차량의 후열 좌석을 구성하는 메인시트프레임과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및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을 일부 분리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메인시트백프레임에 고정 형성되는 힌지브라켓과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에 고정 형성되는 힌지돌기의 조립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 4의 (A)(B)는 본 발명의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에 형성된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의 작동상태도이고,
도 5의 (A)(B)는 본 발명의 후열 좌석의 메인시트프레임과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및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의 기립 및 폴딩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SUV차량의 후열 좌석 좌,우측 시트쿠션 및 시트백쿠션의 배열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후열 좌석의 좌측 시트쿠션 및 좌측 시트백쿠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후열 좌석의 우측 시트쿠션 및 우측 시트백쿠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9의 (A)(B)는 본 발명의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과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의 도시는SUV 차량의 후열 좌석 배열 및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후열 좌석(1)은 좌측 후열 좌석(1a)과 우측 후열 좌석(1b)이 분리된 상태로 분할 형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 각각은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 및 머리받침(1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 각각의 시트쿠션(11)은 차체바닥(14)에 고정 설치되는 프런트레그(16)와 리어레그(1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18)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2)과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 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 각각의 시트쿠션(11)은 메인시트프레임(2) 위에 전,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과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의 시트백쿠션(12)은 차체뒷면(15)에 돌출된 상태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에 착탈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3)과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전방에 상,하 방향으로 승강조절이 가능하고 기울기의 각도조절이 가능한 상태로 연결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트백쿠션(12)은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과 함께 승강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구로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후열 좌석(1)에서 좌,우로 분할 형성된 좌,우측 후열 좌석(1a)(1b) 각각의 시트쿠션(11)은 전,후 방향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 각각의 시트백쿠션(12)은 상,하로 승강이동하면서 기울기의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의 전,후방 고정바(21)(22) 각각에 양단이 고정 연결되는 복수의 하부레일프레임(23) 각각의 상면에 하부레일(24)이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 각각의 전,후방 가동바(21a)(22a)에 양단이 고정 연결되는 상부레일프레임(23a)(23b) 각각의 저면에 고정 설치되는 상부레일(24a)(24b)은 하부레일(24) 위에서 전,후 방향을 향해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조립되어 있다.
또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2)과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되,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의 일단(도면상 앞부분 참조) 각각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의 전방 가동바(21a)(21b)에 고정 부착되는 전방연결브라켓(25a)(25b)에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의 타단(도면상 뒤부분 참조)은 메인시트프레임(2)의 후방 고정바(22)에 고정 부착되는 후방연결브라켓(26a)(26b)에 각각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 각각의 후방 가동바(22a)(22b) 양측에는 상향을 돌출하도록 구성되는 한 쌍씩의 결속고리(27a)(27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은 양단이 ∩자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그 절곡된 양단 각각에는 연결브라켓(31)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31)에는 하나의 회전축(32)의 양단이 관통하는 상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양측 연결브라켓(31)을 관통하는 회전축(32)의 양단은 고정브라켓(18)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상부에는 복수의 고정돌출브라켓(33)이 일정간격으로 하나씩 하향으로 각각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고정돌출브라켓(33) 각각에는 단면이 ㄱ자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힌지브라켓(34)이 하나씩 볼트와 너트 등으로 부착되어 있다. 즉,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힌지브라켓(34) 각각은 고정돌출브라켓(33)에 볼트(35a)와 너트(35b)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부착 조립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힌지브라켓(34) 각각에 수직방향으로 하나씩 형성되어 있는 경사장공(34a) 각각에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 각각의 상측 양단 이면에 하나씩 고정 부착되어 있는 복수의 힌지돌기(36)가 하나씩 끼워지는 상태로 조립되며, 상기 복수의 힌지돌기(36) 각각은 경사장공(34a)에 회전 및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은 메인시트백프레임(3)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된 복수의 힌지브레켓(34)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경사장공(34a)에 조립되는 힌지돌기(36)를 회전기점으로 하여 회전하는 작동으로 각도조절이 가능하게 되며, 아울러 상기 힌지돌기(34)가 경사장공(34a)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함에 따라 승강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3)은 ∩자형으로 절곡된 양측 절곡부에 형성되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의하여 차체뒷면(15)에 돌출 형성된 양측 스트라이커(19)에 착탈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양측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는 기존의 SUV 차량의 시트백쿠션을 일정각도 경사지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이러한 구성은 이미 SUV 차량에 적용되고 있는 공지기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공기기술인 양측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는 차체뒷면(15)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양측 스트라이커(19)를 붙잡아주거나 놓아주기 위한 록킹레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록킹장치는 후술하는 수동레치작동부(7)에 형성되어 있는 작동레바(71)의 당김작동으로 록킹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의 록킹레치(미도시)는 시트백쿠션(12)이 폴딩(folding)된 상태에서 기립상태로 회전시킬 때 자동으로 양측 스트라이커(19)에 결속되는 록킹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 각각의 하부 양측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가 각각 일정간격으로 한쌍씩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 각각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 각각의 후방 가동바(22a)(22b)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7a)(27b)에 결속되게 하거나 또는 해제되게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는바,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고정패널(61)과 가동패널(62)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62)이 이동가능하게 조립되는 고정패널(61)의 일면 양측에는 가동패널(62)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복수의 일측 및 타측 안내돌기(63a)(6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패널(61)의 중심에는 하나의 고정돌기(64)가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패널(61)의 하부에는 측방(도면상 좌측방향 참조)을 향해 개구된 ⊃자형의 결속용 고정걸고리(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패널(61)의 상단에는 상방을 향해 개구되도록 ∪자형으로 형성된 안내홈(66)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동패널(62)의 중심에는 고정돌기(64)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끼워지도록 감싸는 상태로 형성되는 수직장공(6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72)의 하부에는 상기 고정패널(61)의 결속용 고정걸고리(65)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측을 향해 개구된 ∩자형의 결속용 가동걸고리(68)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패널(62)의 결속용 가동걸고리(68)의 일측에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 각각의 후방 가동바(22a)(22b)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7a)(27b)가 결속용 고정걸고리(65)를 향해 진입하게 될 때 가동패널(62)이 자체적으로 상승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안내경사면(68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동패널(62)은 고정패널(61)의 상단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부(611)에 설치되는 토션스프링(69)에 의하여 탄력적으로 상,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의 토션스프링(69)은 그 일단(69a)이 고정패널(61)의 일측 상단에 걸림되고, 타단(69b)은 가동패널(62)의 상단에 형성된 돌봉(621)에 걸림되도록 형성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결속고리(27a)(27b)가 고정패널(61)의 결속용 고정걸고리(65)에 진입하기 위해 가동패널(62)의 안내경사면(68a)을 상향으로 밀어올리게 될 때에는 상기 가동패널(62)이 토션스프링(69)의 타단(69b)을 탄력적으로 밀어올리면서 상향으로 상승이동하게 되며, 상기한 결속고리(27a)(27b)가 안내경사면(68a)을 벗어나 결속용 고정걸고리(65) 속으로 진입하게 될 때에는 상기 가동패널(62)은 토션스프링(6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순간적으로 하강이동하게 되므로 결속용 가동걸고리(68)가 결속용 고정걸고리(65)를 폐쇄하게 되며, 이로 인해 결속고리(27a)(27b)는 결속용 고정걸고리(65) 및 결속용 가동걸고리(68)에 의해 구속되는 상태로 결속된다.
한편, 상기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일측에는 메인시트백프레임(3)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및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를 해제작동시키기 위한 수동레치작동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수동레치작동부(7)에는 작동레바(7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에는 메인와이어(72)의 일단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메인와이어(72)의 타단은 와이어연결박스(73)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타측으로는 6가닥으로 분리되어 있는 서브와이어(74a∼74f)가 인출되도록 형성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와이어연결박스(73)의 내부에는 1가닥으로 형성된 메인와이어(72)와 6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f)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이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한 와이어연결구조물은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조작으로 1가닥으로 된 메인와이어(72)를 당겨주게 되면, 상기 1가닥의 메인와이어(72)가 6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f)를 동시에 당겨주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와이어연결박스(73)의 타측으로 인출되는 6가닥의 서브와이어들 중 일부의 2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b)는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에 연결되어 있으며, 다른 2가닥의 서브와이어(74c)(74d)는 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b)의 하부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b)에 연결되어 있으며, 나머지 2가닥의 서브와이어(74e)(74f)는 메인시트백프레임(3) 양측에 장착되어 있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연결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 각각에 연결되는 4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b)(74c,74d) 각각은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의 가동패널(62) 각각의 상단에 형성되어 있는 돌봉(621)에 연결되어 각 가동패널(62)을 상향으로 잡아당기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나머지 2가닥의 서브와이어(74e,74f)는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레치(부호 생략)에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조작하게 되면 메인와이어(72)가 와이어연결박스(73)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에 연결되어 잇는 6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f)를 동시에 잡아당기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에 형성되어 있는 록킹레치(부호 생략)를 잡아당기게 되므로 상기의 록킹레치가 스트라이커(19)에서 벗어나도록 해제작동되며, 이와 동시에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 각각은 서브시트프레임(2a)(2b)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7a)(27b)에 붙잡고 있는 록킹상태에서 놓아주는 해제상태로 작동하게 된다.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 각각의 시트쿠션(11)에 장착되어 있는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는 후방 연결부라켓(26a)(26b)에 연결되어 있는 고정몸체(41a)(41b)와 전방연결브라켓(25a)(25b)에 연결되는 가동봉체(42a)(42b) 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본체(41a)(41b) 내부에는 가동봉체(42a)(42b)의 슬라이드 이동을 제어하기 위한 스프링 제어장치(미도시)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는 현재 여러 장치에 사용되고 있는 기성품과 동일 유사한 구조로 구성된 것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조절부(8)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바(81)를 당기거나 또는 놓아주는 작동으로 고정몸체(41a)(41b)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어 있는 가동봉체(42a)(42b)의 이동 및 정지 상태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 각각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 각각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는 좌,우측 수동조절부(8a)(8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바(81)를 눌러주거나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가동봉체(42a)(42b)를 전,후로 슬라이드 이동작동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수동조절부(8a)(8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바(81)에는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에 연결되는 와이어(82a)(82b)가 각각 연결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 수동조절부(8a)(8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바(81)를 눌러주거나 회전시키는 작동이 가해지면 와이어(82a)(82b)가 좌,우측 무단락장치(4a)(4b) 각각의 고정몸체(41a)(41b)에 장착되어 있는 스프링 제어장치(미도시)에 탄력적인 해제작동을 가해 가동봉체(42a)(42b)의 록킹상태를 해제하게 되며, 이때에는 시트쿠션(1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 각각의 상부에는 머리받침(13)의 승강조절봉을 이동가능하게 끼워주기 위한 복수의 끼움봉(13a)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SUV 차량의 후열 좌석(1)에 탑승하는 사람은 좌,우측 후열 좌석(1a)(1b)을 선택하여 시트쿠션(11)은 전,후로 이동조절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시트백쿠션(12)은 기울기의 각도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에 탑승하는 사람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 각각을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SUV 차량을 이용하여 단거리 및 장거리 여행을 하고자 할 때 후열 좌석(1)에 탑승하고자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좌,우측 후열 좌석(1a)(1b)의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 각각의 전,후 이동조절 및 기울기의 각도조절하는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후열 좌석(1)을 구성하는 좌,우측 후열 좌석(1a)(1b)의 시트쿠션(11)과 시트백쿠션(12) 각각은 도 5의 (A) 도시와 같이 설치되는데, 상기 시트쿠션(11)의 경우는 메인시트프레임(2)에 일치하는 위치로 이동조절된 상태로서, 상기 시트쿠션(11)을 구성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의 후방 가동바(22a)(22b)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고리(27a)(27b)가 좌,우측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의 고정패널(61) 및 가동패널(62)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고정걸고리(65)와 결속용 가동걸고리(68)에 결속되도록 조립된 상태이고, 시트백쿠션(13)의 경우는 메인시트백쿠션(3)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는 양측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가 차체뒷면(15)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스트라이커(19)에 결속되어 있도록 조립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스트라이커(19)에 결속되는 상태로 조립되어 있는 좌,우측 후열 좌석(1a)(1b)의 시트백쿠션(13)은 도 5의 (A) 도시와 같이 일정각도 기울어진 상태로 기립시킬 수 있으며 또한 도 5의 (B) 도시와 같이 시트쿠션(11) 쪽으로 폴딩(folding)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좌,우측 후열 좌석(1a)(1b)의 시트백쿠션(13)을 폴딩시키고자 할 때에는 도면상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당김조작하게 되면, 상기 메인와이어(72)가 와이어연결박스(73)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와이어연결구조물(미도시)를 통해 6가닥으로 형성되어 서브와이어(74a∼74f)를 동시에 잡아당기는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양측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는 스트라이커(19)에서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가 되며, 이와 동시에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3b)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는 결속고리(27a)(27b)에서 록킹이 해제되는 상태가 된다.(도 4 참조)
즉,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의 후방 가동바(22a)(22b)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7a)(27b)에 결속될 때에는 토션스프링(69)의 탄력작용으로 가동패널(62)이 탄력적으로 상승이동한 후 하강이동하는 작동으로 상기 결속고리(27a)(27b)를 구속하게 되며(도 4의 'A' 부분 참조), 상기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일측에 형성된 수동레치작동부(7)의 작동레바(71)를 조작하여 메인와이어(72)를 잡아당기게 되면 와이어연결박스(73)의 타측으로 인출되어 있는 6가닥으로 이루어진 서브와이어(74a∼74d)에 당김작동이 전달되며, 이에 따라 6가닥의 서브와이어(74a∼74f)들이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가동패널(62)을 도 4의 (B)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을 향해 탄력적으로 상승시키게 되면 상기 가동패널(62)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가동걸고리(68)가 고정패널(61)에 형성된 결속용 고정걸고리(65)를 개방시키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 각각의 후방 가동바(22a)(22b)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7a)(27b)는 도 4의 (B) 도시와 같이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에서 빠져나오게 된다(해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양측 메인프레임 착탈장치(5a)(5b)가 스트라이커(19)에서 록킹이 해제된 상태가 되는 동시에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6b)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과 분리된 상태가 되면 상기 시트백쿠션(13)은 회전축(32)을 회전기점으로 하여 도 5의 (B)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방법으로 폴딩작동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 각각에 형성되어 있는 시트쿠션(11)을 전,후로 이동조절하는 작동과 시트백쿠션(13)의 기울기를 각도조절하는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 각각의 시트쿠션(11)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과 함께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2a)(2b)은 서로 분리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따로따로 이동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좌,우측 후열 시트(1a)(1b)는 도 7 및 도 8의 도시와 같이 개별적으로 이동조절할 수 있다.
그 일례로서, 상기 좌측 후열 좌석(1a)의 시트쿠션(1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좌측 서브시트프레임(2a)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좌측 수동조절부(8a)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바(81)를 눌러주거나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와이어(82a)를 잡아당기게 되면 좌측 무단락장치(4a)의 고정몸체(41a)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봉체(42a)는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좌측 후열 좌석(1a)의 시트쿠션(11)을 도 7의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좌측 후열 좌석(1a)의 시트쿠션(11)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될 때에는 상기 좌측 서브시트프레임(2a)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7a)를 붙잡고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는 좌측 서브시트프레임(2a)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도 9의 'B' 부분 참조). 따라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가 연결되어 있는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은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a)와 같이 좌측 서브시트프레임(2a)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만큼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의 상부 이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양측 힌지돌기(36)가 메인시트백프레임(3)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브라켓(34)의 경사장공(34a)에 회전가능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하강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좌측 서브시트프레임(2a)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3a)은 힌지브라켓(34)의 경사장공(34a)에 회전가능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경사장공(34a)를 따라 하강이동하게 되므로 시트백쿠션(13)은 더 기울어지는 상태로 각도조절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우측 후열 좌석(1b)의 시트쿠션(11)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조절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우측 서브시트프레임(2b)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는 우측 수동조절부(8b)에 형성되어 있는 수동레바(81)를 눌러주거나 회전시키는 작동으로 와이어(82b)를 잡아당기게 되면 우측 무단락장치(4b)의 고정몸체(41b)에 장착되어 있는 가동봉체(42b)는 록킹상태가 해제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동작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에 따라 우측 후열 좌석(1b)의 시트쿠션(11)을 도 8의 도시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조절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우측 후열 좌석(1b)의 시트쿠션(11)을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될 때에는 상기 우측 서브시트프레임(2b)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27b)를 붙잡고 있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b)는 우측 서브시트프레임(2b)과 같이 이동하게 된다(도 9의 'B' 부분 참조). 따라서 상기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ㅠ)가 연결되어 있는 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b)은 서브프레임 착탈장치(6b)와 같이 우측 서브시트프레임(2b)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 만큼 이동하게 되며, 이때 상기 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b)의 상부 이면에 고정 부착되어 있는 양측 힌지돌기(36)가 메인시트백프레임(3) 상부에 고정되어 있는 힌지브라켓(34)의 경사장공(34a)에 회전가능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하강이동하는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우측 서브시트프레임(2b)을 따라 이동하게 되는 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3b)은 힌지브라켓(34)의 경사장공(34a)에 회전가능하게 구속된 상태에서 경사장공(34a)를 따라 하강이동하게 되므로 시트백쿠션(13)은 더 기울어지는 상태로 각도조절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좌,우측 후열 좌석(1a)(1b)의 시트쿠션(11)의 이동조절 및 시트백쿠션(120의 각도조절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것을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엑추에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SUV 차량의 후열 좌석(1)에 분할 형성되어 있는 좌,우측 후열 좌석(1a)(1b)의 시트쿠션(11) 및 시트백쿠션(12) 각각을 이동조절 및 각도조절할 수 있으므로 SUV 차량을 이용하여 중,장거리 여행을 하기 위해 후열 좌석(1)에 탑승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취향에 맞추어 시트쿠션(11)을 이동조절하는 동시에 시트백쿠션(12)의 기울기 각도조절하는 방법으로 여행 시 상기 좌,우측 후열 좌석(1a)(1b)에 앉는 자세를 수시로 바꿀 수 있으므로 여행 중 같은 자세로 앉아있게 될 때 느낄 수 있는 지루함을 없앨 수 있을 뿐 아니라 피로감을 덜 느끼게 하는 등의 효과가 있다.
1 : 후열 좌석 1a,1b : 좌,우측 후열 좌석
11 : 시트쿠션 12 : 시트백쿠션
13 : 머리받침 14 : 차체바닥
15 : 차체뒷면 16 : 프러트레그
17 : 리어레그 18 : 고정브라켓
19 : 스트라이커 2 : 메인시트프레임
2a,2b : 좌,우측 서브시크프레임 21 : 전방 고정바
22 : 후방 고정바 23 : 하부레일프레임
24 : 하부레일 21a,21b : 전방 가동바
22a,22b : 후방 가동바 23a,23b : 상부레일프레임
24a,24b : 상부레일 25a,25b : 전방 연결브라켓
26a,26b : 후방 연결브라켓 27a,27b : 결속고리
3 : 메인시트백프레임 3a,3b :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31 : 연결브라켓 32 : 회전축
33 : 고정돌출브라켓 34 : 힌지브리켓
34a : 경사장공 35a,35b : 볼트 및 너트
36 : 힌지돌기 4a,4b : 좌,우측 무단락장치
41a,41b : 고정몸체 42a,42b : 가동봉체
5a,5b : 메인프레임 착탈장치 6a,6b : 서브프레임 착탈장치
61 : 고정패널 62 : 가동패널
63a,63b : 알측 및 타측 안내돌기 64 : 고정돌기
65 : 결속용 고정걸고리 66 : 안내홈
67 : 수직장공 68 : 결속용 가동걸고리
68a : 안내경사면 69 : 토션스프링
7 : 수동레치작동부 71 : 작동레바
72 : 메인와이어 73 : 와이어연결박스
74a∼74f : 서브와이어 8a,8b : 좌,우측 수동조절부
81 : 수동레바 82a,82b : 와이어

Claims (11)

  1. 시트쿠션과 시트백쿠션으로 구성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에 있어서,
    상기 후열 좌석은,
    차량의 차체바닥에 고정되는 프런트레그와, 상기 프런트레그에 고정 설치되는 메인시트프레임 및 차량의 차체뒷면에 고정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과, 상기 고정브라켓에 연결되는 메인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고 있으며,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위에 전,후 방향을 향해 각각 개별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과;
    좌,우로 분할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전방에 각각 개별적으로 상,하 승강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하단부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을 착탈가능하게 결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시트프레임의 전,후방 고정바에 양단이 고정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레일프레임과 상기 하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상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하부레일은 메인시트프레임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전,후방 가동바에 양단이 연결 고정되는 복수의 상부레일프레임 각각의 저면에 형성되는 복수의 상부레일은 상기 복수의 하부레일에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조립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에 고정 부착되는 고정패널과, 상기 고정 패널의 일면에 돌출되어 있는 일측 및 타측 안내돌기 사이에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끼워진 가동패널로 구분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동패널의 중심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수직장공은 상기 고정패널의 중심에 돌출되는 고정돌기가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게 조립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좌측 서브시트프레임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수동레치작동부의 작동레바에 일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메인와이어와, 상기 메인와이어의 타단이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연결박스와, 상기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되는 복수의 서브와이어 각각의 인출단이 가동패널의 상단에 형성된 연결돌기에 연결되도록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서브와이어 중 일부의 서브와이어는 좌측 서브시트백프레임에 형성된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에 연결되고, 다른 일부의 서브와이어는 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에 형성된 서브프레임 착탈장치에 연결되며, 나머지 서브와이어는 메인시트백프레임에 장착된 메인프레임 착탈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프레임 위에 슬라이드 이동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은 좌,우측 무단락장치에 의하여 개별적으로 이동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가동봉체에 연결된 전방 연결브라켓은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전방 가동바에 연결되고,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 각각의 고정몸체에 연결된 후방 연결브라켓은 메인시트프레임의 후방 고정바에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무단락장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일측에 형성되는 좌,우측 수동조절부 각각에 장착되어 있는 수동레바에 연결되어 있는 와이어를 상기 수동레바의 풀림작동이나 당김작동에 의하여 록킹되거나 해제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고정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고정걸고리와 가동패널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가동걸고리가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결속고리를 붙잡아주거나 놓아줄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브프레임 착탈장치는 좌,우측 서브시트프레임 각각의 후방 가동바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의 결속고리가 고정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고정걸고리를 향해 진입하게 될 때에는 가동패널이 탄력적으로 상승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안내경사면이 상기 가동패널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속고리가 가동패널을 상승이동시키면서 고정패널의 결속용 고정걸고리에 진입하게 되면 상기 가동패널에 형성되어 있는 결속용 가동걸고리가 상기 결속용 고정걸고리에 진입된 결속고리를 구속할 수 있도록 상기 가동패널을 탄력적으로 하강시키는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바의 당김 및 해제 작동시 메인와이어가 와이어연결박스에서 인출된 복수의 서브와이어를 당기거나 놓아주는 작동으로 상기 가동패널을 상,하로 승강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시트백프레임과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은 차체바닥 양측에 고정 부착되는 리어레그가 형성되어 있는 고정브라켓의 상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회전축을 회전기점으로 하는 회전작동으로 기립 및 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은 메인시트백프레임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채 하향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고정돌출브라켓에 일정간격으로 고정 부착되는 복수의 힌지브라켓 각각에는 하향을 향해 일정각도 경사진 상태로 형성된 경사장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좌,우측 서브시트백프레임 각각의 상단에 고정 부착된 복수의 힌지돌기는 복수의 힌지브라켓 각각의 경사장공에 회전이 가능하게 끼워진 채 경사장공을 따라 상,하로 승강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0180141053A 2018-11-15 2018-11-15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1021933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53A KR102193349B1 (ko) 2018-11-15 2018-11-15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053A KR102193349B1 (ko) 2018-11-15 2018-11-15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843A KR20200056843A (ko) 2020-05-25
KR102193349B1 true KR102193349B1 (ko) 2020-12-21

Family

ID=70914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053A KR102193349B1 (ko) 2018-11-15 2018-11-15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33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43909A (zh) * 2021-04-01 2022-06-21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座椅及车辆
KR102453900B1 (ko) * 2021-04-14 2022-10-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어린이 보호차량용 후열 시트프레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4079A (ja) * 2006-05-26 2007-12-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526887B1 (ko) * 2014-04-30 2015-06-09 (주)티에프에스 차량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5899B1 (ko) * 2005-10-12 2007-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뒷좌석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한 2단 록킹 장치
KR100805414B1 (ko) 2006-12-14 2008-02-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KR101210155B1 (ko) * 2010-12-07 2012-12-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쿠션 연동 백 리클라이닝 장치
KR101864253B1 (ko) 2016-10-26 2018-07-04 주식회사 다스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4079A (ja) * 2006-05-26 2007-12-06 Aisin Seiki Co Ltd 車両用シート装置
KR101526887B1 (ko) * 2014-04-30 2015-06-09 (주)티에프에스 차량시트용 슬라이딩 무단록킹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6843A (ko) 2020-05-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1887B (zh) 具有单桩的可移动车辆座椅
US8573693B2 (en)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EP2873555B1 (en) Vehicle seat
US8764108B2 (en) Adjustable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US9022471B2 (en) Headrest for juvenile vehicle seat
US20090273211A1 (en) Vehicle seating system
US10596927B2 (en) Vehicle seating assembly
NZ299718A (en) Child's safety seat for a motor vehicle moveable from an upright to a first and second range of reclined positions
KR102193349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CN110356289B (zh) 一种一键式座椅调节装置
CN106627264B (zh) 一种可折叠翻转的座椅及汽车
US2018014147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at and bolster adjustment
US20080150340A1 (en) Backrest Unit for a Motor Vehicle Seat
KR102201315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US20100237218A1 (en) Vehicle seat, especially motor vehicle seat
KR102111597B1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KR20200050626A (ko) Suv 차량의 후열 좌석 시트 프레임
CN112406642A (zh) 具有方便进入后部位置的可倾斜的座椅垫的车辆座椅
KR20060010948A (ko) 자동차용 시트의 워크인 장치
KR102411246B1 (ko) 숄더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시트 백
GB2424180A (en) Reclining bench seat with storage space
CN215552678U (zh) 车辆座椅总成
KR20230042807A (ko) 자동차용 시트 포지션 조절 장치
JP6366446B2 (ja) シートのハーネス支持構造
KR101034306B1 (ko)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