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34306B1 -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34306B1
KR101034306B1 KR1020080092527A KR20080092527A KR101034306B1 KR 101034306 B1 KR101034306 B1 KR 101034306B1 KR 1020080092527 A KR1020080092527 A KR 1020080092527A KR 20080092527 A KR20080092527 A KR 20080092527A KR 101034306 B1 KR101034306 B1 KR 1010343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base frame
pad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582A (ko
Inventor
강정남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10200800925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3430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5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5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343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343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224Non-manual adjustments, e.g. with electrical operation
    • B60N2/02246Electric moto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the back-rest having two or mor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에 관한 것으로, 상호 힌지(h1,h2) 연결된 쿠션베이스프레임(10),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으로 이루어진 베이스프레임에 시트쿠션과 시트백이 각각 장착되되, 상기 시트백의 어퍼패드프레임(70)과 로워패드프레임(80)이 상호 힌지(h3) 연결되고 각각 폼패드를 구비하며, 어퍼패드프레임(70)의 걸림고리(102)가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에 걸려지고, 어퍼패드프레임(70)과 로워패드프레임(80)의 힌지로드(82)가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서포트브라켓(24)에 걸려진다.
따라서, 시트쿠션부 전진 이동시 시트백이 상하로 구분되어 구부러짐으로써 탑승자의 허리 및 등 부위를 보다 적절한 각도로 편안히 지지해 줄 수 있게 되어 안락감이 향상된다.
또한, 베이스프레임과 시트쿠션과 시트백을 개별적으로 이동시켜 간단한 방식으로 조립할 수 있으므로 중량에 대한 부담감이 감소하여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된다.
파워시트, 전동시트, 시트백

Description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rear power seat for a car}
본 발명은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진 상태에서의 착좌감이 향상되고,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 시 작업자의 근골격계 상해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에 관한 것이다.
고급 차종에서는 프론트시트와 마찬가지로 리어시트 역시 파워시트 즉, 모터 구동에 의한 전후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한 시트로 장착하고 있다.
도 1과 도 2에서와 같이, 리어파워시트도 기본적으로 시트쿠션(1)과 시트백(2)으로 이루어지며, 시트쿠션(1)과 시트백(2)의 프레임(1a,2a)은 상호 힌지 연결되어 상대 회동 가능하고, 상기 시트쿠션(1)의 프레임(1a)은 트랙(3)을 매개로 플로어(4)에 장착되며, 상기 시트백(2)의 프레임(2a)은 트렁크룸을 형성하는 백패널(5)에 고정된 가이드브라켓(6)에 장착된다.
따라서, 탑승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구동모터의 작동방향에 따라서 상기 트랙(3)을 따라 시트쿠션(1)이 전진 및 후진 이동할 수 있으며, 이에 탑승자는 자신이 원하는 각도로 시트백(2)에 기댈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리어파워시트는 시트백(2)의 프레임(2a)이 시트백(2) 전체에 걸쳐 일체형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시트쿠션(1)이 전진 이동할 때 시트백(2) 전체가 일정한 각도로 뒤로 기울어진 상태가 되므로 탑승자의 상체가 마치 눕는 것과 같이 젖혀지게 되고 시야도 루프 쪽을 향하게 되어 착좌감이 좋지 못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프레임(1a,2a)들을 포함하여 시트쿠션(1)과 시트백(2)이 모두 조립된 완성 상태의 시트를 작업자가 들어 옮겨서 플로어(4) 및 백패널(5)에 장착하여야 했기 때문에 그 중량이 과도하여 조립 작업이 어려움은 물론 이를 반복 수행하는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시트쿠션 전진 이동시 시트백에 보다 편안한 자세로 기댈 수 있게 되고, 시트 탑재시 과도 중량에 의한 부담이 해소되어 작업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근골격계 질환의 발생을 예방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트랙을 매개로 플로어에 장착된 쿠션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 힌지 연결된 로워백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의 상단에 힌지 연결되고, 백패널에 고정된 가이드브라켓을 통해 승강되도록 설치된 어퍼백베이스프레임;
을 포함한다.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에 시트쿠션이 장착되고,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과 어퍼백베이스프레임에 시트백이 장착된다.
상기 시트쿠션은 패드프레임과 이를 둘러싸는 쿠션폼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패드프레임의 후단에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삽입단이 구비되고 전단에 하방으로 절곡 돌출된 전방삽입단이 구비되며,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후방삽입단이 삽입되고, 전단에 부착된 브라켓에 그로멧이 구비되어 상기 전방삽입단이 삽입된다.
상기 시트백은 힌지로드를 매개로 상호 힌지 연결된 어퍼패드프레임과 로워패드프레임 및 이들을 둘러싸는 시트백폼패드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패드프레임에 하향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고리가 구비되어 그 걸림고리가 상기 어퍼백베이스프레임의 상단에 걸려지며,
상기 힌지로드가 로워백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된 서포트브라켓의 상향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려진다.
상기 로워패드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시트백마운팅브라켓이 형성되어 상호 볼트 결합된다.
상기 시트백폼패드는 어퍼패드프레임을 둘러싸는 어퍼시트백폼패드와, 로워패드프레임을 둘러싸는 로워시트백폼패드로 분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쿠션 전진 이동시 시트백의 상부와 하부가 상호 절곡되어 탑승자의 허리와 등을 알맞은 각도로 지지해줌으로써 착좌감이 향상되고 전방을 주시하기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절한 중량으로 분할된 시트를 차례로 조립하며, 조립과정이 단순히 걸거나 끼우는 조립 방식 위주로 이루어져 있어 조립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근골격계 질환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 베이스프레임의 사시도로서, 베이스프 레임은 쿠션베이스프레임(10)과, 이의 후단에 힌지(h1) 연결되는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과, 이의 상단에 힌지(h2) 연결되는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베이스프레임들은 대략 4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10)의 후단과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하단에는 힌지(h1) 연결을 위한 연결브라켓(21,11)들이 돌출 형성되고,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상단 양측과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의 하단 양측에도 힌지(h2) 연결을 위한 연결브라켓(22,31)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10)은 트랙(40;상,하 슬라이딩 레일과 그 사이의 베어링 등으로 구성됨)을 매개로 플로어에 고정된 마운팅브라켓(41)에 장착되어 차량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또한, 상기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의 양측 수직로드에는 그 수직로드 상에서 상하 이동 가능한 가이드브라켓(42)이 설치되는데, 상기 가이드브라켓(42)이 백패널(5 ; 도 2참조)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은 백패널(5)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에는 허리 부분의 하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23)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10)의 후단 중앙에는 상방으로 돌출된 사각형의 고리(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10)의 전단 양측에는 전방으로 브라켓(13)이 부착되고, 그 브라켓(13)에 형성된 구멍에 그로멧(grommet ; 14)이 삽입 설치된다.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상단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걸림홈이 형성된 서포트브라켓(24) 한 쌍이 소정 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하단에는 전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되다가 하방으로 절곡단부가 형성되며 그 절곡단부에 볼트공(25a)이 형성된 시트백마운팅브라켓(25)이 소정 간격을 두고 한 쌍 설치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은 전체적인 형상을 이루고 필요 강성을 유지하기 위한 패드프레임(50)과, 이 패드프레임(50)을 둘러싸는 쿠션폼패드(60)로 이루어진다.
상기 패드프레임(50)은 다수의 횡방향 와이어로드와 종방향 와이어로드가 소정 형상으로 절곡되고 상호 용접되어 이루어지며, 엉덩이 받침 부분에는 탑승자의 체중을 탄력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부재(51)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패드프레임(50)의 후단 중앙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삽입단(52)이 구비되고, 전단 양측부에는 하방으로 절곡 돌출된 전방삽입단(53)이 구비된다. 이들 후방삽입단(52)과 전방삽입단(53)은 패드프레임(50)을 구성하는 와이어로드와 동일한 와이어로드로 제작되고, 용접 등의 방법으로 부착된다.
상기 후방삽입단(52)과 전방삽입단(53)은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10)의 후단과 전단에 구비된 고리(12)와 그로멧(14)의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동수로 형성된다.
상기 후방삽입단(52)의 일측 사이드부에는 중간 부분이 폭이 넓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절곡부(52a)가 형성된다.
도 5는 시트백의 구성도로서, 시트백은 상호 힌지(h3) 연결된 어퍼패드프레임(70)과 로워패드프레임(80) 및 이들을 둘러싸는 시트백폼패드(90)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백폼패드(90)는 어퍼패드프레임(70)과 로워패드프레임(80) 각각의 것으로 분리된 어퍼시트백폼패드(91)와 로워시트백폼패드(9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어퍼패드프레임(70)은 양측에 종방향으로 배치된 사이드프레임(71)과, 양측 사이드프레임(71)을 연결하는 횡방향의 와이어로드(72)로 이루어지며, 어퍼시트백폼패드(91)의 상측 사이드부 형상을 유지하는 와이어로드(7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횡방향 와이어로드(72)들에 걸쳐 헤드레스트폴가이드(100)가 장착되는 폴가이드마운팅브라켓(101)이 설치되며, 그 폴가이드마운팅브라켓(101)의 양측 단부에 하방으로 걸림홈이 형성된 걸림고리(102)가 구비된다. 그리고 또 다른 횡방향 와이어로드(72)와 상기 폴가이드마운팅브라켓(101)이나 걸림고리(102)를 연결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이들의 설치 강도를 향상시켜 주는 보강부재(103)가 구비된다.
상기 로워패드프레임(80)은 양측부의 종방향 사이드프레임(81)과, 이들 사이드프레임(81)의 상단을 연결하는 힌지로드(82) 및 하단을 연결하는 하단로드(83)로 이루어진다.
상기 힌지로드(82)의 양단은 사이드프레임(81)을 관통하여 상기 어퍼패드프레임(70)의 사이드프레임(71) 하단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힌지(h3)를 이룬다.
그리고, 상기 하단로드(83)에는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시트백마운팅브라 켓(25)이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동일한 위치에 볼트공(83aa)이 형성된 시트백마운팅브라켓(83a)이 형성된다.
로워패드프레임(80)은 또한 로워시트백폼패드(92)의 사이드부 형상을 유지하는 와이어로드(8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장착은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이루어진다.
시트백의 장착은 도 6과 도 7의 (A), (B), (C)의 3 개소에서 이루어진다.
시트백의 상단은 (A)와 같이 어퍼패드프레임(70)의 두 걸림고리(102)가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의 상단에 걸려지는 구조로 장착된다.
이와 동시에 시트백의 중단 즉, 힌지 h3 부위는 (B)와 같이 상기 힌지로드(82)가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상단에 마련된 서포트브라켓(24)의 홈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구조로 장착된다.
그리고, 시트백의 하단은 (C)와 같이 로워패드프레임(80)의 하단로드(83)에 형성된 시트백마운팅브라켓(83a)과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시트백마운팅브라켓(25)을 일치시키고 볼트공(83aa, 25a)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너트로 체결 완료한다.
한편, 시트쿠션의 장착은 도 6,7 (D), (E)의 2개소에서 이루어지는데, 시트쿠션의 후단은 (D)와 같이 시트쿠션 패드프레임(50)의 후방삽입단(52)이 쿠션베이스프레임(10)의 후단에 형성된 고리(12)에 삽입됨으로써 쿠션베이스프레임(1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후방삽입단(52)이 고리(12)의 내부로 삽입된 것에 의해 시트쿠션 후단의 상방 및 좌우 방향으로의 거동이 제한되고, 후방삽입단(52)의 절곡부(52a)가 상기 고리(12)의 일측 사이드부에 걸려지는 것에 의해 후방 거동이 제한된다.
상기와 같이 후방삽입단(52)을 고리(12)에 삽입하면서 쿠션베이스프레임(10)에 시트쿠션을 내려놓으면 (E)와 같이 패드프레임(50) 전단에 구비된 전방삽입단(53)이 쿠션베이스프레임(10) 전단에 마련된 브라켓(13)의 그로멧(14) 내부로 삽입되어 걸려진다.
따라서 그로멧(14)의 체결력에 의해 시트쿠션의 전단이 상방으로 들려지지 않게 되고, 또한 전방삽입단(53)이 그로멧(14)의 상부에서 하방으로 삽입된 것이므로 수평방향으로의 거동도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시트쿠션의 후방삽입단(52)과 전방삽입단(53)이 쿠션베이스프레임(10)의 고리(12)와 그로멧(14)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플로어(4; 백패널 포함)에 장착된 베이스프레임에 시트쿠션이 견고하게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시트백과 시트쿠션이 장착 완료되면 도 8과 같은 상태(폼패드 미도시)가 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가 플로어(4) 및 백패널(5)에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고, 도 10은 그의 작동 상태도이다.
시트가 전진 작동 전에는 힌지 h2,h3 부분이 모두 절곡되지 않은 상태로서 시트백의 프레임들 즉,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과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 또한 로워패드프레임(80)과 어퍼패드프레임(70)이 상호 구부러지지 않은 직선 상태에 있 게 되며, 이에 탑승자의 착좌 자세는 종래의 경우와 동일하게 형성된다.
그러나 모터 작동에 의해 쿠션베이스프레임(10)이 트랙(40)을 따라 전진하면, 힌지 h1으로 연결된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하단이 따라서 전진되고, 이에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경사각(θ)이 증가되고 그 상단의 위치는 낮아진다.
이때,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상단과 힌지 h2로 연결된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은 가이드브라켓(42)을 따라 하강함으로써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의 거동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과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 사이의 각도 변화에 맞추어 이들의 전면에 장착된 상기 어퍼패드프레임(70)과 로워패드프레임(80)도 힌지 h3를 중심으로 오므려지고, 마찬가지로 어퍼시트백폼패드(91)와 로워시트백폼패드(92)도 동일한 각도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을 따라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은 전방으로 빠지고 허리는 경사진 시트백의 하부에 지지되며, 등은 시트 전진 작동 전과 경사각이 동일한(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은 가이드브라켓(42)을 따라 승강될 뿐 경사각의 변화는 일어나지 않는다.) 시트백의 상부에 지지된다.
즉, 엉덩이가 전방으로 빠지면서 자연스럽게 둥글게 굽혀지는 척추 라인을 따라 시트백의 상부와 하부가 각각 적합한 경사각으로 탑승자의 허리 및 등 부분을 받쳐 줄 수 있게 됨으로써 편안하게 기대는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등 위쪽의 어깨 부분이 과도하게 후방으로 젖혀져서 오히려 자세가 불편해지고 시야가 루프 쪽을 향하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상의 설명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의 조립 과정을 상세히 알 수 있으나, 도 11을 참조하여 그 단계를 다시 정리해 본다.
(a)와 같이 현장에서 "알프레임"이라고 지칭되는 베이스프레임이 먼저 플로어(백패널 포함)에 장착되는데,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무게는 약 10kg이다.
이어 (b)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로워백베이스프레임(20)과 어퍼백베이스프레임(30)에 시트백이 장착되며, 시트백의 무게 역시 약 10kg이다.
마지막으로 (c)와 같이 베이스프레임의 쿠션베이스프레임(10)에 시트쿠션이 장착되어 (d)와 같이 시트의 조립이 완료되며, 상기 시트쿠션의 무게는 약 9kg이다.
따라서 종래에 차량 외부에서 조립 완료된 시트 전체를 들어 옮겨서 실내에 조립하던 것에 비하여, 본 발명의 경우에는 시트를 분할하여 분할된 각 부분이 작업자가 취급하기에 부담이 되지 않을 정도의 무게를 갖도록 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해져 조립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특히 무리한 힘을 쓰지 않게 되므로 작업자에게 근골격계 질환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리어파워시트의 설치 상태 측면도 및 사시도,
도 2는 종래 리어파워시트의 작동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 베이스프레임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 시트쿠션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 시트백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의 측면도(폼패드 제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의 각 결합부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의 사시도(폼패드 제외),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의 설치 상태 측면도 및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의 작동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리어파워시트의 조립 과정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쿠션베이스프레임 12 : 고리
13 : 브라켓 14 : 그로멧
20 : 로워백베이스프레임 24 : 서포트브라켓
25 : 시트백마운팅브라켓 30 : 어퍼백베이스프레임
40 : 트랙 42 : 가이드브라켓
50 : 패드프레임 52 : 후방삽입단
53 : 전방삽입단 60 : 쿠션폼패드
70 : 어퍼패드프레임 80 : 로워패드프레임
82 : 힌지로드 83a : 시트백마운팅브라켓
90 : 시트백폼패드 91 : 어퍼시트백폼패드
92 : 로워시트백폼패드 102 : 걸림고리
h1,h2,h3 : 힌지

Claims (6)

  1. 삭제
  2. 플로어에 장착되고 시트쿠션을 장착한 쿠션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로워백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에 힌지 연결된 어퍼백베이스프레임으로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은 쿠션폼패드로 둘러싸인 패드프레임의 후단에 후방으로 돌출된 후방삽입단과 전단에 하방으로 절곡 돌출된 전방삽입단으로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과 결합되고;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와 상기 어퍼백베이스프레임에 결합되는 시트백은 시트백폼패드로 둘러싸이고 힌지로드를 매개로 상호 힌지 연결된 어퍼패드프레임과 로워패드프레임로 이루어지고, 상기 어퍼패드프레임이 상기 어퍼백베이스프레임에 걸려지며, 상기 힌지로드가 로워백베이스프레임에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후방삽입단에는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의 후단에 형성된 고리가 삽입되고, 상기 전방삽입단에는 상기 쿠션베이스프레임의 전단에 부착된 브라켓에 구비된 그로멧이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어퍼패드프레임은 하향 걸림홈을 형성한 걸림고리를 구비해 상기 어퍼백베이스프레임의 상단에 걸려지며, 상기 힌지로드는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에 구비된 서포트브라켓의 상향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려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워패드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로워백베이스프레임의 하단에 각각 시트백마운팅브라켓이 형성되어 상호 볼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폼패드는 어퍼패드프레임을 둘러싸는 어퍼시트백폼패드와, 로워패드프레임을 둘러싸는 로워시트백폼패드로 분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KR1020080092527A 2008-09-22 2008-09-22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KR1010343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527A KR101034306B1 (ko) 2008-09-22 2008-09-22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527A KR101034306B1 (ko) 2008-09-22 2008-09-22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582A KR20100033582A (ko) 2010-03-31
KR101034306B1 true KR101034306B1 (ko) 2011-05-16

Family

ID=421823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527A KR101034306B1 (ko) 2008-09-22 2008-09-22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343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0809A1 (fr) * 2018-05-04 2019-11-08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ege de vehic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6914A (ja) * 1991-01-18 1992-08-2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リヤシート構造
JPH04237646A (ja) * 1991-01-18 1992-08-2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リヤシート構造
JP2006123715A (ja) * 2004-10-28 2006-05-18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36914A (ja) * 1991-01-18 1992-08-25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リヤシート構造
JPH04237646A (ja) * 1991-01-18 1992-08-26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リヤシート構造
JP2006123715A (ja) * 2004-10-28 2006-05-18 Nhk Spring Co Ltd 車両用シー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80809A1 (fr) * 2018-05-04 2019-11-08 Faurecia Sieges D'automobile Siege de vehic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582A (ko) 2010-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9419B2 (en) Anthropomorphic pivotable upper seatback support
EP2873555B1 (en) Vehicle seat
US9056560B2 (en) Seat assembly having a front cushion module
US9381840B2 (en) Seat
US9061621B2 (en) Seat-cushion shell unit and shell seat for vehicle
US20080136240A1 (en) Vehicle seat
CN108528293B (zh) 用于仰卧式机动车辆座椅总成的机构
US8317266B2 (en) Vehicle seat
US9796310B1 (en) Composite one-piece cushion nose
CN107650744B (zh) 交通工具用座椅
KR101034306B1 (ko) 자동차의 리어파워시트
JP6213955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6364309B2 (ja) シート
JP5552814B2 (ja) 車両用シートクッション
JP7052693B2 (ja) 車両シート構造
JP6693378B2 (ja) 車両のシートクッション構造
US20140145482A1 (en) Adjustable seat assembly
JP2015209101A (ja) 乗物用シート
JP6634695B2 (ja) 乗物用シート
JP2022187383A (ja) 乗物用シート
JP2023152049A (ja) 乗物用シート
JP2023120968A (ja) 車両用シートバック
JPH0719308Y2 (ja) 車両用シート
JP2023141218A (ja) 車両
CN114261320A (zh) 一种靠背向后翻转与座垫齐平的座椅结构及调节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0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03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