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0156B1 -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0156B1
KR102060156B1 KR1020180105670A KR20180105670A KR102060156B1 KR 102060156 B1 KR102060156 B1 KR 102060156B1 KR 1020180105670 A KR1020180105670 A KR 1020180105670A KR 20180105670 A KR20180105670 A KR 20180105670A KR 102060156 B1 KR102060156 B1 KR 1020601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r
link
button
headrest
support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80105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01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0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01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4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38Tiltable
    • B60N2/841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47Tilt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with stepwise pos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10)와, 상기 스테이(110)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받침편(122)이 마련된 하부브라켓(120)과, 제1회전핀(121)을 통해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 사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30)와, 상기 제2링크(14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제2회전핀(23)을 통해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 사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톱니형태로 다단지게 치형부(142)가 형성된 제2링크(140)와,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C)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의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라켓(150)과, 상기 제2링크(140)의 하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치형부(142)와 치합될 수 있는 록킹핀(161)이 구비된 슬라이더(160)와, 상기 한 쌍의 받침편(122)과 상기 슬라이더(16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6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버튼(170)과, 상기 상부브라켓(150)과 상기 제1링크(130)를 결합하는 제3회전핀(124)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상부브라켓(150)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130)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는 리턴스프링(180)을 포함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head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차량의 급정거 또는 후방 충돌시 헤드레스트가 자중에 의해 록킹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는 헤드레스트(head rest)가 장착되고 있다.
헤드레스트는 쿠션 등을 통해 탑승자의 두부나 목 등을 지지하는 것으로, 탑승자의 승차감 증대 및 차량 충돌시 탑승자의 목 손상 등을 방지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통상의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시트 백의 상단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종래에는 헤드레스트의 편의성을 부여하여 힌지점을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틸팅 구조에 의하여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단순 힌지 타입에 의한 헤드레스트는 별도의 록킹장치가 존재하나, 이는 헤드레스트를 최전방으로 이동시키면 자동으로 록킹이 해제되어 초기 위치(후방)로 이동되는 구조로서, 사용자가 평소 원하는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고정시킨 후 사용중 차량을 급정거하거나 후방충돌시 헤드레스트의 자중에 의해 헤드레스트 자체가 최전방으로 이동되면서 록킹이 해제되어 탑승자의 목 상해를 가중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앞서 전술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를 최전방으로 이동시켜야만 후방으로 이동됨으로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즉,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의 이동은 단순히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당기는 행위만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후방으로의 이동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야만 후방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조작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일측에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는 버튼을 설치하여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쉽고 간편하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버튼의 조작없이는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한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와, 상기 스테이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받침편이 마련된 하부브라켓과, 제1회전핀을 통해 상기 받침편과 받침편 사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와, 상기 제2링크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제2회전핀을 통해 상기 받침편과 받침편 사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톱니형태로 다단지게 치형부가 형성된 제2링크와,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와 제2링크의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2링크의 하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치형부와 치합될 수 있는 록킹핀이 구비된 슬라이더와, 상기 한 쌍의 받침편과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버튼과, 상기 상부브라켓과 상기 제1링크를 결합하는 제3회전핀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상부브라켓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는 리턴스프링을 포함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버튼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쉽고 간편하게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등 헤드레스트의 후방이동에 따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헤드레스트의 전방 이동은 버튼의 조작없이도 가능하지만 후방이동은 버튼의 조작 없이는 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급정거나 후방충돌시에도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를 분해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배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버튼과 슬라이더가 결합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버튼 및 슬라이더가 작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링크가 회전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버튼(170)을 가압하는 동작만으로 쉽고 간편하게 헤드레스트(100)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헤드레스트(100)의 전방 이동은 버튼(170)의 조작없이도 가능하지만 후방이동은 버튼(170)의 조작 없이는 불가하므로 급정거나 후방충돌시에도 헤드레스트(100)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미도시)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10)와, 상기 스테이(110)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받침편(122)이 마련된 하부브라켓(120)과, 제1회전핀(121)을 통해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 사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30)와, 상기 제2링크(14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제2회전핀(23)을 통해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 사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톱니형태로 다단지게 치형부(142)가 형성된 제2링크(140)와,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C)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의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라켓(150)과, 상기 제2링크(140)의 하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치형부(142)와 치합될 수 있는 록킹핀(161)이 구비된 슬라이더(160)와, 상기 한 쌍의 받침편(122)과 상기 슬라이더(16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6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버튼(170)과, 상기 상부브라켓(150)과 상기 제1링크(130)를 결합하는 제3회전핀(124)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상부브라켓(150)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130)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는 리턴스프링(18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고하면, 스테이(110)는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양 끝단이 탑승자가 앉을 수 있도록 한 시트(미도시) 상단에 삽입되는 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테이(110)는 소정의 강성을 갖도록 형성되며 후술하는 구성요소와 결합되어 탑승자의 머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스테이(110)에 고정결합되는 하부브라켓(120)은 한 쌍의 받침편(122)이 기립한 상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측면 일측이 연결편을 통해 상호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하부브라켓(120)의 양 받침편(122) 상측에는 각각 제1회전핀(121) 및 제2회전핀(123)에 의해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가 서로 마주보도록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1링크(130)는 상기 하부브라켓(120)의 전방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을 관통하는 제1회전핀(121)에 의해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링크(140)는 상기 하부브라켓(120)의 후방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을 관통하는 제2회전핀(123)에 의해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하단에는 복수개의 나사산이 다단으로 이루어진 치형부(142)가 측면 양측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치형부(142)는 다단으로 형성되되, 후술하는 록킹핀(161)과의 치합시 록킹핀(161)이 일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2링크(140)가 전방으로 회전시에는 록킹핀(161)이 상기 치형부(142)에 형성된 나사산틀 타고 넘을 수 있도록 형성하고, 후방으로 회전시는 상기 나사산에 록킹핀(161)이 걸려 이동되지 않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부브라켓(150)은 일측이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쿠션부재(C)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의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브라켓(150)은 "ㄴ"자 형상으로 절곡된 한 쌍의 결합부재(152)와, 상기 한 쌍의 결합부재(152)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54)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기 결합부재(152)의 일측은 상기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의 상부가 제3회전핀(124) 및 제4회전핀(125)에 의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절곡된 결합부재(152)의 타측은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쿠션부재(C)와 결합되는 구조이다.
따라서, 스테이(110)에 고정된 하부브라켓(120)에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의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부브라켓(150)에 상기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의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 상태에서 상부브라켓(150)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밀게 되면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가 각각 하부브라켓(120) 및 상부브라켓(150)에 대해 회전되면서 상부브라켓(150)이 전후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링크(140)의 하측에는 슬라이더(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160)는 후술하는 버튼(170)을 통해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 사이에 측면 양측이 관통되도록 설치되어 상하방향으로의 승하강에 따라 전후방향으로 회전되는 상기 제2링크(140)의 회전을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헤드레스트(100)의 전후 방향 이동을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슬라이더(160)의 측면 양측에 한 쌍의 플랜지(162)를 돌출되게 형성하고, 상기 돌출된 플랜지(162)에 수직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장공(163)을 갖도록 하여 후술하는 버튼(170)이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더(160)의 상측에는 상기 플랜지(162)와 플랜지(162)를 연결하는 록킹핀(161)이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록킹핀(161)은 상기 제2링크(140)의 회전을 실질적으로 제한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제2링크(140)의 하부에 형성된 치형부(142)와 치합 또는 해제될 수 있도록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더(160)의 하강시에 치형부(142)와 치합이 해제되면서 제2링크(140)가 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록킹핀(161)은 슬라이더(160)를 관통한 상태에서 양단이 각각 탄성부재(164)에 의해 제2회전핀(123)에 탄성지지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더(160)는 받침편(122)의 내측에 위치되되, 후술하는 버튼(170)이 상기 한 쌍의 받침편(122)과, 슬라이더(160)에 형성된 장공(163)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슬라이더(160)의 상측에 위치되는 록킹핀(161)은 상기 한 쌍의 받침편(122)을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받침편(122)에는 상기 록킹핀(161)의 양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게 승강공(122a)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더(160)의 승하강시 상기 받침편(12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받침편(122) 및 슬라이더(160)를 관통한 록킹핀(161)은 양단이 각각 탄성부재(164)를 통해 제2회전핀(123)과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160)가 하강시에는 상기 록킹핀(161)이 승강공(163)을 따라 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성부재(164)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구조이다.
버튼(170)은 상기 슬라이더(160)의 양 플랜지(162)와, 상기 슬라이더(160)를 감싸도록 위치된 한 쌍의 받침편(12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길이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60)를 상기 받침편(12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상기 버튼(170)은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 누름부(172)와, 상기 누름부(172)의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74)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더(160)와 상기 한 쌍의 받침편(122)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버튼(170)이 삽입되는 받침편(122)에는 결합공(126)이 형성되도록 하고, 슬라이더(160)는 플랜지(162)에 형성된 장공(163)을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또한, 마주보게 위치된 상기 슬라이더(160)의 플랜지(162)와 플랜지(162) 사이에는 상기 버튼(17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가압돌기(16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60) 내로 삽입되는 상기 버튼(170)의 슬라이딩부(174)에는 상기 가압돌기(165)가 삽입될 수 있는 승강홈(175)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홈(175)에 가압돌기(165)의 삽입 유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60)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즉,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70)에 형성되는 승강홈(175)에 가압돌기(165)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록킹핀(161)을 탄성지지하고 있는 탄성부재(164)에 의해 상기 슬라이더(160)가 상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록킹핀(161)이 제2링크(140)에 형성된 치형부(142)에 맞물리게 되고,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버튼(170)의 전진시에는 상기 승강홈(175)에 형성된 경사면을 따라 상기 가압돌기(165)가 상기 슬라이딩부(174)를 타고 이동되면서 승강홈(175)에서 이격되어 결과적으로 슬라이더(160)가 하방향으로 하강하면서 록킹핀(161)이 치형부(142)와 이격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2링크(140)의 치형부(142)와 맞물리게 위치되는 상기 록킹핀(161)은 탄성부재(164)에 의해 탄성지지되도록 설치되어 항상 상기 치형부(142)가 위치된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것으로, 상기 탄성부재(164)는 일단이 상기 록킹핀(161)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링크(140)를 상기 받침편(122)과 연결되도록 한 제2회전핀(123)에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버튼(170)은 스프링(176)에 의해 탄성지지되는 것으로, 사용자가 상기 버튼(170)을 가압하게 되면 승강홈(175)에서 상기 가압돌기(165)가 경사면을 따라 인출되고, 가압력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176)에 의해 상기 버튼(170)이 후진되면서 가압돌기(165)가 상기 버튼(170)의 승강홈(175)에 삽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스프링(176)에 의해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는 버튼(170)의 승강홈(175)은 일측이 경사지게 형성하고, 타측은 직각 형태로 단턱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승강홈(175)에 삽입되는 상기 가압돌기(165)는 상기 버튼(170)이 삽입되는 방향은 경사지게 형성하고 타측은 직각형태로 단턱이지도록 형성하여 단턱진 면이 상호 접촉되면서 버튼(170)의 후진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편(122) 및 상기 슬라이더(160)를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설치되는 상기 버튼(170)의 슬라이딩부(17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홈(17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60)에는 가이드돌기(166)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버튼(170)의 전후진시 상기 가이드돌기(166)가 상기 가이드레일홈(177)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진 또는 후진 되도록 함으로써, 버튼(170)의 전후진을 안내할 수 있다.
리턴스프링(180)은 제1,제2링크(130,1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브라켓(150)이 전방으로 이동되었을 경우 후방측으로 이동될 수 있게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버튼(170)의 가압에 따라 록킹핀(161)이 상기 치형부(142)에서 이격될 경우 제1링크(130) 및 제2링크(140)가 후방측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1링크(130)와 상부브라켓(150)을 회전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제3회전핀(124)을 감싸도록 설치하되, 일단은 상기 상부브라켓(150)에 지지되도록 하고, 타단은 제1링크(130)에 탄성지지되도록 하여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링크(130)가 후방측으로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a)와 같이 록킹핀(161)이 상기 제2링크(140)의 하단에 형성된 치형부(142)의 최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쿠션부재(C)는 시트의 최후방에 위치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쿠션부재(C)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면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61)이 치형부(142)의 나사산을 타고 넘으면서 점차 치형부(142)의 전방측으로 이동되면서 쿠션부재(C)가 시트의 전방측으로 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록킹핀(161)은 상기 슬라이더(160)의 양 플랜지(162)에 형성되는 제2장공(167)과 받침편(122)에 형성되는 승강공(122a)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기 때문에 록킹핀(161)이 상기 치형부(142)를 따라 원활히 이동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64)에 의해 상기 록킹핀(161)이 항상 치형부(142)가 위치된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치형부(142)와 맞물린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161)이 치형부(142)의 최전방에 위치되면, 쿠션부재(C)는 시트의 최전방에 위치되면서 전진을 마무리 하게 된다.
한편, 쿠션부재(C)를 시트의 후방으로 이동시고자 할 경우에는 버튼(170)의 누름부(172)를 가압하여 슬라이더(160)의 가압돌기(165)가 버튼(170)의 승강홈(175)에서 인출되도록 함으로써, 가압돌기(165)가 버튼(170)의 슬라이딩부(174) 하측에 위치되도록 하여 결과적으로 슬라이더(160)가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160)가 하강하게 되고 그로 인해, 록킹핀(161) 역시 하강되면서 상기 치형부(142)와 이격되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쿠션부재(C)를 후방으로 밀게 되면 상기 제1링크(130)와 상기 상부브라켓(150)에 탄성지지되고 있는 리턴스프링(180)에 의해 원활하게 후방으로 이동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100)는 전방 이동은 버튼(170)의 조작 없이도 가능하지만 후방이동은 버튼(170)의 조작 없이는 불가하므로 급정거나 후방충돌시에도 헤드레스트(100)가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버튼(170)을 누르는 단순한 동작으로 헤드레스트(100), 즉, 쿠션부재(C)를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헤드레스트 110 : 스테이
120 : 하부브라켓 121 : 제1회전핀
122 : 받침편 122a : 승강공
123 : 제2회전핀 124 : 제3회전핀
125 : 제4회전핀 126 : 결합공
130 : 제1링크 140 : 제2링크
142 : 치형부 150 : 상부브라켓
152 : 결합부재 154 : 연결부재
160 : 슬라이더 161 : 록킹핀
162 : 플랜지 163 : 장공
164 : 탄성부재 165 : 가압돌기
166 : 가이드돌기 170 : 버튼
172 : 누름부 174 : 슬라이딩부
175 : 승강홈 176 : 스프링
177 : 가이드레일홈 180 : 리턴스프링
C : 쿠션부재

Claims (5)

  1. 시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스테이(110)와,
    상기 스테이(110)에 고정결합되는 것으로 서로 마주보게 위치되는 한 쌍의 받침편(122)이 마련된 하부브라켓(120)과,
    제1회전핀(121)을 통해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 사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링크(130)와,
    상기 제1링크(130)와 마주보게 위치되는 것으로 제2회전핀(23)을 통해 상기 받침편(122)과 받침편(122) 사이에 하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하단에 톱니형태로 다단지게 치형부(142)가 형성된 제2링크(140)와,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는 쿠션부재(C)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링크(130)와 제2링크(140)의 상부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브라켓(150)과,
    상기 제2링크(140)의 하측에 승하강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치형부(142)와 치합될 수 있는 록킹핀(161)이 구비된 슬라이더(160)와,
    상기 한 쌍의 받침편(122)과 상기 슬라이더(160)를 관통하도록 결합되되 전후진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60)를 상하방향으로 승하강시킬 수 있는 버튼(170)과,
    상기 상부브라켓(150)과 상기 제1링크(130)를 결합하는 제3회전핀(124)을 감싸도록 위치되되, 일단은 상기 상부브라켓(150)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130)에 탄성지지되도록 위치되는 리턴스프링(180)을 포함하되,
    상기 슬라이더(160)는 상기 받침편(122)의 내측에 위치되되, 상기 버튼(170)이 상기 받침편(122)과, 상기 슬라이더(160)에 형성되는 장공(163)을 관통하도록 위치되며,
    상기 슬라이더(160)의 상측에 위치되는 록킹핀(161)은 상기 한 쌍의 받침편(122)을 관통하도록 위치되고, 상기 받침편(122)에는 상기 록킹핀(161)의 양단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게 승강공(122a)을 형성하여 상기 슬라이더(160)의 승하강시 상기 받침편(122)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받침편(122) 및 슬라이더(160)를 관통한 록킹핀(161)은 양단이 각각 탄성부재(164)를 통해 제2회전핀(123)과 연결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170)은 사용자가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 누름부(172)와, 상기 누름부(172)의 일측으로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딩부(174)로 이루어져, 상기 슬라이더(160)와 상기 한 쌍의 받침편(122)을 관통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버튼(170)이 삽입되는 받침편(122)에는 결합공(126)이 형성되도록 하고, 슬라이더(160)는 측면 양측에 형성되는 플랜지(162)에 장공(163)을 형성하여 상기 버튼(170) 관통 결합될 수 있도록 한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160)의 플랜지(162)와 플랜지(162) 사이에는 상기 버튼(17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소정의 경사각을 갖는 가압돌기(165)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더(160) 내로 삽입되는 상기 버튼(170)의 슬라이딩부(174)에는 상기 가압돌기(165)가 삽입될 수 있는 승강홈(175)을 형성하여, 상기 승강홈(175)에 가압돌기(165)의 삽입 유무에 따라 상기 슬라이더(160)가 상하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180105670A 2018-09-05 2018-09-05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060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70A KR102060156B1 (ko) 2018-09-05 2018-09-05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670A KR102060156B1 (ko) 2018-09-05 2018-09-05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0156B1 true KR102060156B1 (ko) 2019-12-27

Family

ID=69062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670A KR102060156B1 (ko) 2018-09-05 2018-09-05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015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000A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1746109B1 (ko) * 2017-01-20 2017-06-1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가동장치
KR101837428B1 (ko) * 2017-09-11 2018-03-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837425B1 (ko) * 2017-09-11 2018-03-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30000A (ko) * 2009-06-02 2010-12-1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1746109B1 (ko) * 2017-01-20 2017-06-13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가동장치
KR101837428B1 (ko) * 2017-09-11 2018-03-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837425B1 (ko) * 2017-09-11 2018-03-12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헤드레스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7880B2 (en) Vehicle seat
US8348340B2 (en) Seat structure
CA3020679C (en) Baby car seat allowing position change
US10106057B2 (en) Seat for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comprising such a seat
BR112013009518B1 (pt) conjunto de trilho de assento, e, conjunto de assento preso a um piso em um veículo automotivo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JPS5914530A (ja) シ−トのヘツドレスト装置
KR102060156B1 (ko)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JP2017195942A (ja) ソファーベッド装置
JPS6338842Y2 (ko)
JP3977515B2 (ja) シートのテーブル構造
JP6242637B2 (ja) 子供補助シート
KR20120032201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263917B2 (ja) チャイルドシート
KR102670565B1 (ko) 차량의 시트 쿠션용 볼스터 승하강 장치
US20230014359A1 (en) Child safety seat and telescopic structure thereof
CN214414520U (zh) 转椅座垫的前后移动机构
JP2012126153A (ja) 車両用シート
JPH0125057Y2 (ko)
KR20100048783A (ko) 각도와 높이 조절 기능을 구비한 시트 팔걸이 장치
KR100747876B1 (ko) 차량 시트의 리클라이닝 해제 방지구조
JP2007282746A (ja) 車両用シート
JPH0143316Y2 (ko)
JPH0736516Y2 (ja) 自動車用シートのアームレス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