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2201A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2201A
KR20120032201A KR1020100093711A KR20100093711A KR20120032201A KR 20120032201 A KR20120032201 A KR 20120032201A KR 1020100093711 A KR1020100093711 A KR 1020100093711A KR 20100093711 A KR20100093711 A KR 20100093711A KR 20120032201 A KR20120032201 A KR 20120032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fixing member
main cover
groove
cur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3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해일
정희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100093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32201A/ko
Publication of KR20120032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2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커버에는 기어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본 발명은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베개의 역할을 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줌으로써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헤드레스트 중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줄 때에는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한 손 또는 양손을 뒤로 젖혀서 잡아당겨 필요한 만큼 전진이동시킨 다음 놓아주면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도록 하였으며, 전진한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다음 놓아주어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내부에 장착된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후 정지하므로 그 상태에서 다시 필요한 만큼 전방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전방으로의 이동거리가 길어질수록 헤드레스트의 부피가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592790호, 제510152호, 제592791호, 제577413호, 제79221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7-105210호, 제2007-107247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헤드레스트의 부피를 최소화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커버에는 기어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홈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에 설치된 제1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설치된 제2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을 결합하는 결합핀을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을 연결하는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더 포함하며, 메인커버는, 헤드레스트의 상하이동 시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재의 기어이는 상기 고정부재의 기어이는 곡선 R1과 곡선 R2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 R1의 곡률반경과 상기 곡선 R2의 곡률반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기어이는 곡선 R1과 곡선 R2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 R1의 곡률반경은 상기 곡선 R2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커버와, 상기 메인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커버에는 기어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헤드레스트의 이동을 위해 헤드레스트 전체를 위로 들어서 lock을 해제하므로, 별도의 해제구간이 필요하지 않아 헤드레스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리도.
도 3은 도 2의 전방 이동 시 작동도.
도 4는 도 2의 후방 이동 시 작동도.
도 5는 도 2의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리도.
도 7은 도 6의 전방 이동 시 작동도.
도 8은 도 6의 후방 이동 시 작동도.
도 9는 도 6의 고정부재의 단면도.
도 10은 도 1의 메인커버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1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리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전방 이동 시 작동도이고, 도 4는 도 2의 후방 이동 시 작동도이고, 도 5는 도 2의 고정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2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분리도이고, 도 7은 도 6의 전방 이동 시 작동도이고, 도 8은 도 6의 후방 이동 시 작동도이고, 도 9는 도 6의 고정부재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메인커버의 사시도이다.
[ 실시예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스테이로드(3)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와, 상기 고정부재(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5)와, 상기 고정부재(4)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커버(2)와, 상기 메인커버(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7)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4)와 상기 메인커버(2)에는 기어이(40,25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4)는, 스테이로드(3)에 설치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30)과, 상기 고정홈(30)의 상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슬라이더(500)가 관통하는 관통홈(400)과, 상기 관통홈(400)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이(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30)은 상기 스테이로드(3)와 딱 맞게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400)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형태이며, 후술할 슬라이더(500)가 전후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관통홈(400)은 비스듬하게 형성되며, 전방이 후방보다 높게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400)의 상부에는 기어이(40)와 기어이홈(45)이 다수개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이(40)는 좌측평면(4a)과, 우측평면(4b)과, 곡선(R1,R2)을 포함한다.
곡선 R1은 상기 좌측평면(4a)에 연결된다.
상기 곡선 R1은 상기 좌측평면(4a)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곡선 R2는 상기 우측평면(4b)에 연결된다.
상기 곡선 R2는 상기 우측평면(4b)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곡선 R1과 곡선 R2는 서로 연결되며, R1의 곡률반경과 R2의 곡률반경이 동일한 것이 특징이다.
상기 기어이(40)와 상기 기어이홈(45)은 후술할 메인커버(2)의 기어이홈(255)과 기어이(250)와 맞물려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슬라이딩 부재(5)는 상기 고정부재(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슬라이딩 부재(5)는 상기 고정부재(4)에 형성된 관통홈(400)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500)와, 상기 슬라이더(500)의 전방에 설치된 제1지지판(51)과, 상기 슬라이더(500)의 후방에 설치된 제2지지판(52)과, 상기 슬라이더(500)와 상기 제1지지판(51)과 상기 제2지지판(52)을 결합하는 결합핀(8)을 포함한다.
슬라이더(500)는 U자형의 형태이며, 상부 끝단이 내측으로 절곡된 형태이다.
상기 슬라이더(500)가 고정부재(4)의 관통홈(400)을 통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시, 슬라이더(500)의 각 모서리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그 안에 볼이나 롤러를 설치하면 상기 슬라이더(500)의 전후방향 이동 시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어 좋다.
상기 슬라이더(500)의 전후방향을 지지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500)의 전방에는 제1지지판(51)이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더(500)의 후방에는 제2지지판(52)이 설치된다.
상기 제1지지판(51)은 슬라이더(500)의 전방에 설치되며, 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1돌출부(510)와, 상기 제1지지판(51)의 양측에 형성된 제1결합홈(515)을 포함한다.
상기 제1돌출부(510)는 후방으로 파인 제1안착홈(517)과, 상기 제1안착홈(517)의 후방에 형성된 중공형태의 제1관통구(519)를 포함하며, 상기 제1안착홈(517)의 직경은 상기 제1관통구(519)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제1결합홈(515)은 반원통형태의 홈이며, 후술할 제1연결판(53)과 후술할 제2연결판(54)을 연결한다.
상기 제2지지판(52)은 슬라이더(500)의 후방에 설치되며, 전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제2돌출부(520)와, 상기 제2지지판(52)의 양측에 형성된 제2결합홈(525)을 포함한다.
상기 제2돌출부(520)는 중공형태의 제2삽입홈(527)과, 상기 제2삽입홈(527)의 전방에 형성되어 상기 제1돌출부(510)가 안착되는 제2안착홈을 포함하며, 상기 제2안착홈의 직경은 상기 제2삽입홈(527)의 직경보다 크다.
상기 제2결합홈(525)은 반원통형태의 홈이며, 후술할 제1연결판(53)과 후술할 제2연결판(54)을 연결한다.
이러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5)는, 슬라이더(500)가 제2돌출부(520)의 외주면에 끼워지고, 제1지지판(51)의 제1돌출부(510)가 제2지지판(52)의 제2안착홈에 끼워지도록 결합한다. 결합핀(8)을 제1안착홈(517)에 끼운 후, 제1관통구(519)를 관통하여 제2삽입홈(527)에 삽입하여, 제1지지판(51)과 제2지지판(52)을 결합한다. 이때, 제2돌출부(520)의 길이는 슬라이더(500)의 길이와 같은 것이 바람직하다.
슬라이딩 부재(5)는 제1지지판(51)과 제2지지판(52)을 연결하는 제1연결판(53)과 제2연결판(5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연결판(53)은 사각의 판 형상이며, 양측에는 원통 형태의 제1돌기(5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연결판(54)은 사각의 판 형상이며, 양측에는 원통 형태의 제2돌기(540)가 형성된다.
상기 제1돌기(530)는 제1지지판(51)의 결합홈(515)의 일측과 제2지지판(52)의 결합홈(525)의 일측에 삽입되어, 후술할 메인커버(2)의 전방 가이드부(21)의 결합홈(210) 일측과 후방 가이드부(22)의 결합홈(220) 일측에 삽입된다.
상기 제2돌기(540)는 제1지지판(51)의 결합홈(515)의 타측과 제2지지판(52)의 결합홈(525)의 타측에 삽입되어, 후술할 메인커버(2)의 전방 가이드부(21)의 결합홈(210) 타측과 후방 가이드부(22)의 결합홈(220) 타측에 삽입된다.
상기 제1연결판(53)과 상기 제2연결판(54)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시, 상기 제1돌기(530)와 상기 제2돌기(540) 각각의 사이에 관통공을 형성하여, 그 안에 볼이나 롤러를 설치하면 상하방향 이동 시 매끄럽게 움직일 수 있어 좋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커버(2)는, 헤드레스트의 상하이동 시 제1연결판(53)과 제2연결판(54)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0)를 포함하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상기 가이드부(20)는 상기 메인커버(2)의 내측 전면에 형성된 전방 가이드부(21)와, 내측 후면에 형성된 후방 가이드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가이드부(21)는 상기 메인커버(2)의 내측 전면에서 중앙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에 제1연결판(53)의 제1돌기(530) 및 제2연결판(54)의 제2돌기(540)가 결합되는 가이드부(20)의 결합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10)은 반원통형태이다.
상기 전방 가이드부(21)는 메인커버(2)의 내측 전면에 2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홈(210)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한다.
상기 후방 가이드부(22)는 상기 메인커버(2)의 내측 후면에서 중앙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에 제1연결판(53)의 제1돌기(530) 및 제2연결판(54)의 제2돌기(540)가 삽입되는 가이드부(20)의 결합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20)은 반원통형태이다.
상기 후방 가이드부(22)는 메인커버(2)의 내측 후면에 2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홈(220)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한다.
전방 가이드부(21)의 중앙과 후방 가이드부(22)의 중앙을 가로질러 걸림판(2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판(25)의 하부에는 기어이(250) 및 기어이홈(255)이 형성된다.
기어이(250) 및 기어이홈(255)은 상기 고정부재(4)의 기어이(40) 및 기어이홈(45)과 동일한 형태이며,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커버(2)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시, 고정부재(4)의 관통홈(400)이 전방이 후방보다 높도록 형성되므로, 전방으로 이동 시 원래 위치보다 더 높은 곳에 있게 된다.
전방 및 후방 가이드부(22)와 메인커버(2)의 내측면 사이에는 스프링(7)의 일측(7a)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7)의 타측(7b)은 스테이로드(3)에 고정된다.
상기 스프링고정부(26)는 홈이 형성된 'ㅁ'자 형상이며, 메인커버(2)의 내측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메인커버(2)의 하부에는 후술할 바닥판(6)의 후킹부(60)가 삽입 고정되는 후킹삽입홈(27)이 다수개 형성된다.
메인커버(2)의 하부를 폐쇄하도록, 메인커버(2)의 하부에는 바닥판(6)이 설치된다.
상기 바닥판(6)은 상부 모서리에 형성된 후킹부(60)와 지지부(63)를 포함한다.
후킹부(60)는 수직부(62)와 상기 수직부(62)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돌출부(61)를 포함한다.
상기 후킹부(60)는 바닥판의 전방 모서리와 후방 모서리에 각각 5개씩 형성되고, 측면 모서리에 각각 1개씩 형성된다.
이러한 후킹부(60)는 메인커버(2)에 견고히 고정되도록 전방 모서리의 중앙 및 후방 모서리의 중앙 및 측면 모서리에 형성된 후킹부(60)의 크기가 다른 것들에 비해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후킹부(60)는 메인커버(2)의 후킹삽입홈(27)에 삽입되면서 고정된다.
후킹부(60)의 내측으로는 지지부(6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63)는 메인커버(2)의 상하 또는 전후방향 이동 시에도 흔들리지 않도록 메인커버(2)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지지부(63)는 중공형태의 사각막대로 형성되며, 그 높이는 상기 후킹부(60)의 수직부(62)의 높이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 실시예 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스테이로드(3)에 설치되는 고정부재(4)와, 상기 고정부재(4)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5)와, 상기 고정부재(4)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커버(2)와, 상기 메인커버(2)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7)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4)와 상기 메인커버(2)에는 기어이(4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부재(4)는, 스테이로드(3)에 설치되도록 하부에 형성된 고정홈(30)과, 상기 고정홈(30)의 상부에 형성되어 후술할 슬라이더(500)가 관통하는 관통홈(400)과, 상기 관통홈(400)의 상부에 형성된 기어이(4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홈(30)은 상기 스테이로드(3)와 딱 맞게 끼워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400)은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의 형태이며, 후술할 슬라이더(500)가 전후방향으로 관통한다.
상기 관통홈(400)의 상부에는 기어이(40')와 기어이홈(45')이 다수개 형성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어이(40')는 좌측평면(4a')과, 곡선(R1',R2')을 포함한다.
곡선 R1'은 상기 좌측평면(4a')에 연결된다.
상기 곡선 R1'은 상기 좌측평면(4a')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곡선 R2'는 상기 기어이홈(45')에 연결된다.
상기 곡선 R2'는 상기 곡선 R1'보다 상부로 돌출되지 않는다.
이러한 곡선 R1'과 곡선 R2'는 서로 연결되며, R1'의 곡률반경이 R2'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이 특징이다.
상기 기어이(40')와 상기 기어이홈(45')은 후술할 메인커버(2)의 기어이홈(255')과 기어이(250')와 맞물려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메인커버(2)는, 헤드레스트의 상하이동 시 제1연결판(53)과 제2연결판(54)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20)를 포함하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이다.
상기 가이드부(20)는 상기 메인커버(2)의 내측 전면에 형성된 전방 가이드부(21)와, 내측 후면에 형성된 후방 가이드부(22)를 포함한다.
상기 전방 가이드부(21)는 상기 메인커버(2)의 내측 전면에서 중앙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에 제1연결판(53)의 제1돌기(530) 및 제2연결판(54)의 제2돌기(540)가 삽입되는 가이드부(20)의 결합홈(21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10)은 반원통형태이다.
상기 전방 가이드부(21)는 메인커버(2)의 내측 전면에 2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홈(210)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한다.
상기 후방 가이드부(22)는 상기 메인커버(2)의 내측 후면에서 중앙 쪽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에 제1연결판(53)의 제1돌기(530) 및 제2연결판(54)의 제2돌기(540)가 삽입되는 가이드부(20)의 결합홈(220)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20)은 반원통형태이다.
상기 후방 가이드부(22)는 메인커버(2)의 내측 후면에 2개가 형성되며, 각각의 결합홈(220)이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한다.
전방 가이드부(21)의 중앙과 후방 가이드부(22)의 중앙을 가로질러 걸림판(25)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판(25)의 하부에는 기어이(250') 및 기어이홈(255')이 형성된다.
기어이(250') 및 기어이홈(255')은 상기 고정부재(4)의 기어이(40') 및 기어이홈(45')과 동일한 형태이며,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
이러한 메인커버(2)는, 전후방향으로 이동 시, 고정부재(4)의 관통홈(400)이 전방이 후방보다 높도록 형성되므로, 전방으로 이동 시 원래 위치보다 더 높은 곳에 있게 된다.
전방 및 후방 가이드부(22)와 메인커버(2)의 내측면 사이에는 스프링(7)의 일측이 고정되는 스프링고정부(26)가 형성된다.
상기 스프링고정부(26)는 홈이 형성된 'ㅁ'자 형상이며, 메인커버(2)의 내측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메인커버(2)의 하부에는 후술할 바닥판(6)의 후킹부(60)가 삽입 고정되는 후킹삽입홈(27)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실시예 1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는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작용을 설명한다.
[ 실시예 1]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스프링(7)의 탄성력보다 더 큰힘으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 전방으로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내려놓는다. 이때, 스프링(7)의 탄성력으로 헤드레스트는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후방에 있는 메인커버(2)의 기어이(250)와 고정부재(4)의 기어이(40)가 맞물리게 되고, 헤드레스트는 전방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프링(7)의 탄성력보다 더 큰힘으로 헤드레스트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내려놓는다. 이때, 스프링(7)의 탄성력으로 헤드레스트는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전방에 있는 메인커버(2)의 기어이(40)와 고정부재(4)의 기어이(250)가 맞물리게 되고, 헤드레스트는 후방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헤드레스트의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이동 시, 헤드레스트 전체를 위로 들어서 lock을 해제하므로, 부품이 간소화되어 헤드레스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 실시예 2]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잡아당기면, 메인커버(2)의 기어이(250')가 고정부재(4)의 기어이(40')의 곡선 R2'를 타고 올라가게 된다. 이때 스프링(7)은 늘어나게 된다.
메인커버(2)의 기어이(250')가 곡선 R2'를 올라가 곡선 R1'에 도달하게 되면,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4)의 다음 기어이홈(45')으로 메인커버(2)의 기어이(250')가 떨어지면서 기어이홈(45')에 고정되게 된다.
이 상티에서, 다시 전방으로 잡아당기면 곡선 R2'를 올라가 곡선 R1'에 도달하게 되면, 스프링(7)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부재(4)의 다음 기어이홈(45')으로 메인커버(2)의 기어이(250')가 떨어지면서 다음 기어이홈(45')에 고정되게 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스프링(7)의 탄성력보다 더 큰힘으로 헤드레스트를 상부로 들어올린 후, 후방으로 이동시킨 후, 원하는 위치에 헤드레스트를 내려놓는다. 이때, 스프링(7)의 탄성력으로 헤드레스트는 원하는 위치에서 고정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전방에 있는 메인커버(2)의 기어이(250')와 고정부재(4)의 기어이(40')가 맞물리게 되고, 헤드레스트는 후방에서 원하는 위치에 고정된다.
이러한 또 다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헤드레스트의 전방으로 이동 시에는,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밀어줌으로써 lock을 해제하고, 헤드레스트의 후방으로 이동 시에는, 헤드레스트 전체를 위로 들어서 lock을 해제하므로, 부품이 간소화되어 헤드레스트의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특히, 차량의 헤드레스트에 사용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적합하다.
2 : 메인커버 3 : 스테이로드
4 : 고정부재 5 : 슬라이딩 부재
6 : 바닥판 20 : 가이드부
21 : 전방 가이드부 22 : 후방 가이드부
25 : 걸림판 26 : 스프링고정부
27 : 후킹삽입홈 210 : 전방 가이드부의 결합홈
220 : 후방 가이드부의 결합홈 5 : 슬라이딩 부재
51 : 제1지지판 52 : 제2지지판
53 : 제1연결판 54 : 제2연결판
500 : 슬라이더 7 : 스프링
40,40' : 고정부재의 기어이 45,45' : 고정부재의 기어이홈
250,250' : 메인커버의 기어이 255,255' : 메인커버의 기어이홈
8 : 결합핀 400 : 관통홈

Claims (5)

  1.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고정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부재;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메인커버;
    상기 메인커버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메인커버에는 기어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고정부재에 형성된 관통홈을 관통하여 전후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와, 상기 슬라이더의 전방에 설치된 제1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더의 후방에 설치된 제2지지판과, 상기 슬라이더와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을 결합하는 결합핀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부재는 상기 제1지지판과 상기 제2지지판을 연결하는 제1연결판과 제2연결판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커버는, 헤드레스트의 상하이동 시 상기 제1연결판과 상기 제2연결판의 이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기어이는 곡선 R1과 곡선 R2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 R1의 곡률반경과 상기 곡선 R2의 곡률반경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기어이는 곡선 R1과 곡선 R2를 포함하며,
    상기 곡선 R1의 곡률반경은 상기 곡선 R2의 곡률반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100093711A 2010-09-28 2010-09-2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20120032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711A KR20120032201A (ko) 2010-09-28 2010-09-2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3711A KR20120032201A (ko) 2010-09-28 2010-09-2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2201A true KR20120032201A (ko) 2012-04-05

Family

ID=461353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3711A KR20120032201A (ko) 2010-09-28 2010-09-28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3220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38B1 (ko) * 2016-01-19 2016-04-27 이원용 헤드레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0579A (ko)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6238B1 (ko) * 2016-01-19 2016-04-27 이원용 헤드레스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040579A (ko)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4755B1 (ko) 시트백 연동형 전후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장치
JP5200438B2 (ja) 車両のシート装置
KR10127445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262161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
KR101837428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0811005B1 (ko) 자동차용 슬라이드형 헤드레스트
KR101559181B1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KR20120032201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033881B1 (ko) 자동차용 오토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KR101884744B1 (ko) 스트라이커 이동형 리어시트 슬라이딩 장치
KR20200021041A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JP2013006500A (ja) ヘッドレストの支持構造
KR10116871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4651484B2 (ja) アームレストのスライド機構
JP2007106292A (ja) ヘッドレストの自動収納構造付きシート装置
KR102060156B1 (ko)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JP6377986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取付構造
KR20100062022A (ko) 자동차용 시트
US20230014359A1 (en) Child safety seat and telescopic structure thereof
JP2007062595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776875B2 (ja) 乗物用シート
KR20120001609U (ko) 등받이의 높낮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의자
KR200479022Y1 (ko)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KR20230134703A (ko) 다목적 차량의 폴딩 가능한 시트 장치
CN112440848A (zh) 一种四向调节汽车头枕骨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