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9022Y1 -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9022Y1
KR200479022Y1 KR2020140005789U KR20140005789U KR200479022Y1 KR 200479022 Y1 KR200479022 Y1 KR 200479022Y1 KR 2020140005789 U KR2020140005789 U KR 2020140005789U KR 20140005789 U KR20140005789 U KR 20140005789U KR 200479022 Y1 KR200479022 Y1 KR 20047902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ker
plate
guide slit
seat
vehic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57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한경
Original Assignee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다이모스(주) filed Critical 현대다이모스(주)
Priority to KR20201400057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902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902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902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40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 A47C7/4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back with special, e.g. adjustable, lumbar region support profile; "Ackerblom" profile chai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체에 결합되며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차체측에서 덮는 덮개형상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차체측에 결합되어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된 브라켓;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의 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결합공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스트라이커; 및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공에 스트라이커의 삽입 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트라이커를 브라켓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ANGLE CONTROLLING APPARATUS OF SEAT-BACK}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 중 특히 후석시트의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하여 탑승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의 후석시트는 고정적으로 설치되어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이나 틸팅, 시트쿠션의 전후방 슬라이딩이 가능하지 않다. 후석 탑승자의 경우 등을 뉘이거나 바로 세우는 등의 기본적인 편의도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후석시트에 비해 전석시트에는 리클라이닝, 틸팅, 슬라이딩 등 각종의 승객 편의용 메카니즘이 구비된다. 전석 이용율이 높고 후석은 공간적 제약이 있다는 한계가 있기는 하지만, 후석에 주요 인사가 앉게 됨에도 시트 편의는 지나치게 전석에만 집중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탑승자에게 편의성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후석시트 시트백의 각도 조절장치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고안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04-0033909 A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간단한 구조를 통해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하여 탑승자에게 편의성 및 안락감을 제공하는 후석시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는 차체에 결합되며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차체측에서 덮는 덮개형상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차체측에 결합되어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된 브라켓;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의 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결합공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스트라이커; 및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공에 스트라이커의 삽입 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트라이커를 브라켓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슬릿은 차량의 전후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가이드슬릿의 형상을 따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복수의 결합공 중에 선택적으로 두개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스트라이커의 위치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상기 스트라이커에는 상기 돌출부와 탄성부재 사이에 지지부재가 마련되어 탄성부재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에 따르면, 종래의 래치-스트라이커 구조에서 래치가 체결되는 스트라이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탑승자가 후석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리클라이너 매커니즘을 제거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시트가 전방측에 위치할 때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실내측 확대도.
도 5는 시트의 후방측에 위치할 때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B부분의 실내측 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는 차체(100)에 결합되며 가이드슬릿(310)이 형성된 플레이트(300); 상기 플레이트(300)를 차체측에서 덮는 덮개형상으로써, 상기 플레이트(300)의 차체측에 결합되어 플레이트(300)와의 사이에 공간부(410)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3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430)이 형성된 브라켓(400);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510)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200)의 래치(미도시)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슬릿(310)을 관통하여 결합공(430)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스트라이커(500); 및 일단은 상기 돌출부(510)에 지지되고, 타단은 플레이트(300)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공(430)에 스트라이커(500)의 삽입 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트라이커(500)를 브라켓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600);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400)은 플레이트(300)의 차체측에 플랜지를 통해 결합되며, 플랜지(450)에서 차체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후 다시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다시 플레이트측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어 "⊂" 단면에 상하측으로 플랜지(450)가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체측으로 연장된 후 절곡되기 때문에 플레이트(300)와 차체측 최후면 사이에는 공간부(410)가 형성되어 상기 스트라이커(500)가 결합공(430)에 삽입 또는 인출될 수 있도록 여유 공간이 마련되는 것이다. 혹은 상기 브라켓(400)은 상기 플레이트(300)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공간부(410)를 형성하는 판넬 형상으로써, 결합공(430)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는 브라켓(400)은 플레이트(300) 결합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300)와 평행한 측면에 결합공(430)이 형성되되, 결합공(430)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결합공(430)이 일렬을 형성하며 3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합공(430) 중 2개에 선택적으로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시트백의 래치가 스트라이커(500)에 결합된 후에도 시트백의 전후방향으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 가이드슬릿(310)은 차량의 전후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형성되되, 시트의 시트백과 시트쿠션의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가이드슬릿(310)의 후방측이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가이드슬릿(310)이 하방으로 기울기를 갖고, 결합공(430)이 3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내용은 설계나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함을 밝힌다.
상기 스트라이커(500)는 바 형상이되 차체측에서 부터 실내측으로 연장된 후 실내측에 위치하는 중심측이 소정의 길이만큼이 절곡되고 다시 차체측으로 절곡된 후 연장되어 "⊃" 형상을 갖는다. 따라서 스트라이커(500)의 일측은 2개의 단부를 갖게되고, 상기 2개의 단부가 모두 결합공(430)에 삽입되어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트라이커(500)는 상기 복수의 결합공(430) 중에서 선택적으로 두개의 결합공(430)에 삽입되어 스트라이커(500)의 위치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3개의 결합공(430) 중 전방에서부터 2개의 결합공(430)에 스트라이커(500)가 결합되었을 때와는 달리 후방에서부터 2개의 결합공(430)에 스트라이커(500)가 결합되었을 때는 시트백의 각도가 더 커지게 되어 탑승자가 보다 편안하게 신체를 시트백에 기댈 수 있게 된다.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일측에는 스트라이커(500)의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5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소정의 간격으로 2개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며, 돌출부(510)는 탄성부재(600)의 일단이 지지됨과 동시에 탄성부재(600)가 스트라이커(500)를 브라켓측으로 가압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상기 탄성부재(600)가 일단은 돌출부(510)에 지지되고, 타단은 플레이트(300)에 지지되어 인장력에 의해 양단부측을 가압함으로써, 스트라이커(500)가 결합공(4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충격이나 진동으로 인해 결합공(43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삽입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스트라이커(500)의 일측에 형성된 돌출부(510)와 탄성부재(600)의 사이에는 지지부재(700)가 마련되어 탄성부재(600)의 이탈이 방지되게 되며, 지지부재(700)는 부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는 브라켓(400)-지지부재(700)-탄성부재(600)-플레이트(300)의 순으로 결합되고, 스트라이커(500)가 플레이트(300)의 가이드슬릿(310)을 관통하여 브라켓(400)의 결합공(430)에 삽입되어 시트백이 차체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시트백의 각도 조절장치의 동작 도면의 의거해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시트백이 도 5 대비 전방측에 위치할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부분의 실내측 확대도이다. 도 4를 보면, 상기 스트라이커가 상기 브라켓의 전방으로부터 순서대로 2개의 결합공(430) 삽입되어 지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과 도 4의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도 5와 도 6을 보면, 상기 스트라이커(500)는 후방측으로부터 순서대로 2개의 결합공(430)에 삽입되어 지지된 상태로써, 시트백이 도 3의 상태보다는 시트(100)의 결합부(210)를 중심으로 시트백이 후방측으로 더 이동된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탑승자가 시트백의 각도 조절을 위해서는 시트백을 시트쿠션측으로 폴딩한 후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를 노출시키고, 스트라이커(500)를 차량의 실내측을 당기면, 인장되어 가압하고 있던 탄성부재(600)가 스트라이커(500)의 이동으로 압착되게 된다. 상기 탄성부재(600)의 압착으로 인해서 스트라이커(500)를 브라켓측으로 가압하던 힘이 제거되어 브라켓(400)의 결합공(430)으로부터 스트라이커(500)의 단부가 이탈되게 된다. 그 후 스트라이커(500)를 플레이트(300)의 가이드슬릿(310) 내에서 이동한 후 원하는 결합공(430)에 스트라이커(500)를 삽입하면, 탄성부재(600)의 탄성력에 의해 스트라이커(500)가 브라켓(400)의 결합공(430)에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유지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시트백의 각도 조절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래치-스트라이커 구조에서 래치가 체결되는 스트라이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한 구성만으로도 탑승자가 후석 시트백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되어 탑승자의 편의성이 증대되며, 리클라이너 매커니즘을 제거할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고안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차체 200 : 시트
210 : 결합부 300 : 플레이트
310 : 가이드슬릿 400 : 브라켓
410 : 공간부 430 : 결합공
450 : 플랜지 500 : 스트라이커
510 : 돌출부 600 : 탄성부재
700 : 지지부재

Claims (4)

  1. 차체에 결합되며 가이드슬릿이 형성된 플레이트;
    상기 플레이트를 차체측에서 덮는 덮개형상으로써, 상기 플레이트의 차체측에 결합되어 플레이트와의 사이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에 대응되는 위치에 결합공이 형성된 브라켓;
    일측에는 외주면을 따라 돌출된 돌출부가 형성되고, 타측은 시트의 래치와 결합 또는 해제 가능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슬릿을 관통하여 결합공에 삽입 또는 인출되는 스트라이커; 및
    일단은 상기 돌출부에 지지되고, 타단은 플레이트에 지지되어 상기 결합공에 스트라이커의 삽입 시 삽입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스트라이커를 브라켓측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슬릿은 차량의 전후방향이 길이방향이 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결합공은 가이드슬릿의 형상을 따라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복수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는 상기 복수의 결합공 중에 선택적으로 두개의 결합공에 삽입되어 스트라이커의 위치가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트라이커에는 상기 돌출부와 탄성부재 사이에 지지부재가 마련되어 탄성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KR2020140005789U 2014-08-01 2014-08-01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KR20047902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89U KR200479022Y1 (ko) 2014-08-01 2014-08-01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5789U KR200479022Y1 (ko) 2014-08-01 2014-08-01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9022Y1 true KR200479022Y1 (ko) 2015-12-22

Family

ID=551709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5789U KR200479022Y1 (ko) 2014-08-01 2014-08-01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9022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336U (ja) * 1984-03-24 1985-10-19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座席のロック装置
JPH076021Y2 (ja) * 1989-03-28 1995-02-1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ストライカー取付用ブラケット
JPH09202194A (ja) * 1996-01-30 1997-08-05 Suzuki Motor Corp シートストライカ配設部のトリム構造
KR20040033909A (ko) 2002-10-16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백 리클라이닝 장치
KR20120067364A (ko) * 2009-10-05 2012-06-25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신축형 스트라이커 및 신축형 스트라이커를 구비한 의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7336U (ja) * 1984-03-24 1985-10-19 スズキ株式会社 自動車用座席のロック装置
JPH076021Y2 (ja) * 1989-03-28 1995-02-15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バックストライカー取付用ブラケット
JPH09202194A (ja) * 1996-01-30 1997-08-05 Suzuki Motor Corp シートストライカ配設部のトリム構造
KR20040033909A (ko) 2002-10-16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시트의 시트백 리클라이닝 장치
KR20120067364A (ko) * 2009-10-05 2012-06-25 존슨 컨트롤스 테크놀러지 컴퍼니 신축형 스트라이커 및 신축형 스트라이커를 구비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6831B1 (ko) 전동식 헤드레스트
US9789789B2 (en) Vehicular seat
US20160250952A1 (en) Headrest device
US20080116731A1 (en) Seat, in Particular Aircraft Passenger Seat
JP2015209062A (ja) 乗物用シート
EP2261075B1 (en) Cushion mat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seat
KR101620231B1 (ko) 차량용 후석 리클라이닝 장치
KR200479022Y1 (ko) 시트백 각도 조절장치
CN106965724B (zh) 机械手动腿部倾斜装置
KR20200021041A (ko) 시트쿠션 길이 조절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자동차용 시트
JP2016097702A (ja) 車両用シート
JPWO2016046903A1 (ja) 車両用シート
US20110168841A1 (en) Air passenger seat with a fastening device for fastening a child seat
KR10149113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JP2009035093A (ja) 車両のシート装置
CN108928269B (zh) 儿童座椅
JP6527555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00041330A (ko) 자동차용 오토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JP2007106292A (ja) ヘッドレストの自動収納構造付きシート装置
JP6366446B2 (ja) シートのハーネス支持構造
JP6377986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取付構造
JP2014100936A (ja) 乗物用シート
JP2019010905A (ja) 車両用シート
JP5984735B2 (ja) 車両用シート
KR20120032201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