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1131B1 -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1131B1
KR101491131B1 KR20130130756A KR20130130756A KR101491131B1 KR 101491131 B1 KR101491131 B1 KR 101491131B1 KR 20130130756 A KR20130130756 A KR 20130130756A KR 20130130756 A KR20130130756 A KR 20130130756A KR 101491131 B1 KR101491131 B1 KR 101491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groove
height adjusting
locking
groov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3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해림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3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1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1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1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트백의 상방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봉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의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홈부와 상기 외주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홈부를 구비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시트백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1 홈부에 끼워지고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기 가이드부에서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상기 제2 홈부에 끼워지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HEADREST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고, 높이 조절 조작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시트백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시트는 앉을 수 있는 시트와, 등을 기댈 수 있는 시트백과, 목을 받치며 기댈 수 있는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헤드레스트는 사용자의 체형(신장)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높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특히 후방 추돌 시 탑승자의 목의 상해를 저감하기 위한 주요 안전수단이며, 최근 차량의 충돌 안전 법규의 강화추세에 따라 2008. 9. 1부터 강제 적용 예정인 미 연방 자동차 안전 규정(Federal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FMVSS) 202(Head Restrains) 등에는 헤드레스트 백셋(Head Rest Backset) 거리규정 신설, 높낮이 유지 장치 강도 요건 등이 추가되었는 바, 상기 추가사항 중의 하나인 헤드레스트 제거(분리) 요건은 헤드레스트 높낮이 조절용 버튼과 헤드레스트 제거용 버튼은 동일한 버튼으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차량용 헤드레스트는 한국공개실용신안 공개번호 제20-1998-0029728호(특허문헌 1) 및 일본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994-046551호(특허문헌 2)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특허문헌 1의 기술은 사용자가 헤드 레스트의 높낮이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원통형의 몸체로 상단 일측에 손잡이가 구비된 스토퍼와, 세로면을 따라 복수개의 걸림홈을 형성하고 있는 봉형의 슬라이드 지지봉과, 시이트 백의 내부에 통공으로 이루어진 가이드 봉을 내설하며, 상기 슬라이드 지지봉의 끝단에 스프링 체결구를 형성하고, 이 체결구에 스프링을 연결하여 상기 가이드 봉 내부 저면에 구비된 스프링 체결구와 결합하여 이루어져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2의 기술은 부품수를 삭감해 조립성을 향상할 수 있도록 헤드레스트 샤프트는 헤드레스트의 스테이가 삽입되는 서포트 본체와, 그 본체의 두부에 소정의 이동량을 가지고 슬라이드 가능하게 짜넣어진 락 플레이트와, 락 플레이트를 누락 방향으로 부세 하는 스프링과, 락 플레이트에 형성 되어 한편 스프링의 부세를 가지고 스테이의 위치 결정도랑과 계합되는 계합부를 갖추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100)는 시트백의 상방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의 하측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봉형상의 높이조절부(미도시)와, 높이조절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시트백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110) 및 가이드부(110)에 결합되어 높이조절부가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락킹부(120)를 포함한다.
여기서, 락킹부(120)는 가이드부(110)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삽입 가능하게 결합된다. 락킹부(120)는 높이조절부가 관통하도록 중심에 관통부(121)를 포함한다. 락킹부(120)는 가이드부(110)에 삽입되는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려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22)를 포함한다.
높이조절부는 외주면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홈부를 구비한다. 높이조절부는 홈부가 락킹부(120)에 걸림으로써 헤드레스트의 하향 이동이 제한되고, 락킹부(120)를 가이드부(110)에 삽입된 방향으로 누름으로써 홈부와 락킹부(120)의 걸림이 해제되어 헤드레스트가 하향 이동 가능하게 한다.
높이조절부는 헤드레스트를 상향 이동하기 위해 헤드레스트를 들어 올린다. 이때, 높이조절부의 홈부는 락킹부(120)에 걸리지 않고 높이조절부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도록 한다.
이러한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10)는 헤드레스트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때 헤드레스트가 가이드부(110)로부터 탈거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1998-0029728호(1998.08.17). 일본공개특허 제1994-046551호(1994.06.28).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헤드레스트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때, 락킹부에 별도의 조작을 함으로써 헤드레스트가 가이드부로부터 탈거되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높이조절부의 상방향 이동시 헤드레스트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방 충돌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시트백의 상방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봉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의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홈부와, 상기 외주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홈부를 구비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시트백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게 제2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서로 반대쪽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홈부가 상기 제1 홈부보다 하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1 홈부는 상측이 상기 락킹부에 걸리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며,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측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측이 상기 락킹부에 걸리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락킹부는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홈부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홈부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락킹부가 삽입되는 반대측에 상기 락킹부를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레스트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때, 락킹부가 가이드부에 삽입된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밀려나도록 별도의 조작을 함으로써 헤드레스트가 가이드부로부터 탈거되도록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높이조절부의 상방향 이동시 제2 홈부에 락킹부가 걸림으로써 헤드레스트가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방 충돌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도.
도 4는 도 2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의 락킹 상태 및 상향 이동 가능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2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의 헤드레스트 탈거 방지 상태와 탈거 가능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는 분해도이며, 도 4는 도 2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는 시트백(미도시)의 상방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210)의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하는 것으로, 높이조절부(211)와, 가이드부(220) 및 락킹부(230)를 포함한다.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는 시트백의 상부에 결합된 가이드부(220)에 헤드레스트(210)의 하부에 결합된 높이조절부(211)가 삽입되고, 가이드부(220) 상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된 락킹부(230)가 높이조절부(211)에 걸림으로써 헤드레스트(21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높이조절부(211)는 헤드레스트(210)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항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봉형상을 가진다. 높이조절부(211)는 외주면의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홈부(211a)와, 외주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홈부(211b)를 구비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211)는 제1 홈부(211a)와 제2 홈부(211b)가 서로 반대쪽의 위치에 형성되고, 제2 홈부(211b)까 제1 홈부(211a)보다 하측에 형성된다.
높이조절부(211)는 제1 홈부(211a)에 락킹부(230)가 걸림으로써 하방향 이동이 제한되고, 제2 홈부(211b)에 락킹부(230)가 걸림으로써 상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즉, 높이조절부(211)는 제2 홈부(211b)에 락킹부(230)가 걸림으로써 헤드레스트(210)가 가이드부(22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1 홈부(211a)는 높이조절부(211)의 외주면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제1 홈부(211a)는 상측이 락킹부(230)에 걸리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제1 홈부(211a)는 높이조절부(211)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11)의 상방향 이동에 의해 락킹부(230)가 제1 홈부(211a)에서 빠진다. 따라서, 제1 홈부(211a)는 헤드레스트(210)가 상하방향 이동 후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락킹부(230)에 지지된다.
제2 홈부(211b)는 높이조절부(211)의 외주면 타측에 배치된다. 제2 홈부(211b)는 높이조절부(211)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측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높이조절부(211)의 하방향 이동에 의해 락킹부(230)가 제2 홈부(211b)에서 빠진다. 제2 홈부(211b)는 높이조절부(211)가 상방향으로 이동에 의해 가이드부(220)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측이 락킹부(230)에 걸리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제2 홈부(211b)는 높이조절부(211)가 하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락킹부(230)가 걸림으로써 헤드레스트(210)가 가이드부(22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부(220)는 높이조절부(211)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차량의 시트백의 상부에 결합된다. 가이드부(220)는 상부에 락킹부(230)가 높이조절부(211)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삽입되어 결합된다. 또한, 가이드부(220)는 락킹부(230)가 삽입되는 반대측에 락킹부(230)를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는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락킹부(230)는 가이드부(220) 상부에 높이조절부(211)의 길이방향과 수직하게 삽입되도록 배치된다. 락킹부(230)는 제1 홈부(211a)에 삽입되어 높이조절부(211)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고, 제2 홈부(211b)에 삽입되어 높이조절부(211)가 가이드부(220)로부터 상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락킹부(230)는 제1 홈부(211a)에 삽입됨으로써 높이조절부(211)의 하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여 헤드레스트(210)의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락킹부(230)는 제2 홈부(211b)에 삽입된으로써 높이조절부(211)의 상방향 슬라이딩을 방지하여 헤드레스트(210)가 가이드부(22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락킹부(230)는 가이드부(220) 상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몸체(231)와, 몸체(231)의 상부에 결합되어 제1 홈부(211a)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232) 및 몸체(231)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제2 홈부(211b)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233)를 포함한다. 또한, 락킹부(230)는 몸체(231)의 양측에 결합되어 락킹부(230)가 가이드부(220)에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1 탄성부재(234)와, 몸체(231)와 제2 걸림부재(233) 사이에 개재되어 제2 걸림부재(233)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235)를 포함한다. 이하 도 5를 통해 헤드레스트가 락킹되는 상태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의 락킹 상태 및 상향 이동 가능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는 높이조절부(211)의 상하방향의 이동에 따라 제1 홈부(211a)의 상면에 제1 걸림부재(232)가 걸림된다(a). 이때, 높이조절부(211)는 제1 홈부(211a)의 상면이 제1 걸림부재(232)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하향이동이 제한된다. 반면에, 높이조절부(211)는 제1 홈부(211a)의 하면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높이조절부(211)를 상방향으로 밀어 올리면 제1 걸림부재(232)가 제1 홈부(211a)의 하면 경사를 따라 밀려나면서 상향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211)는 락킹부(230)를 가이드부(220)에 삽입된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제1 홈부(211a)와 제1 걸림부재(232)의 걸림이 해제된다(b) 이때, 높이조절부(21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진다. 이하 도 6을 통해 헤드레스트가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는 상태를 더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도 2의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의 헤드레스트 탈거 방지 상태와 탈거 가능한 상태를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는 높이조절부(211)의 상향 이동에 따라 제1 홈부(211a)가 모두 걸림 해제된 후에 제2 홈부(211b)의 하면에 제2 걸림부재(233)가 걸림된다(c). 이때, 높이조절부(211)는 제2 홈부(211b)의 하면이 제2 걸림부재(233)에 걸려서 지지됨으로써 상향이동이 제한된다. 반면에, 높이조절부(211)는 제2 홈부(211b)의 상면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높이조절부(211)를 하방향으로 밀어내면 제2 걸림부재(233)가 제2 홈부(211b)의 상면 경사를 따라 밀려나면서 하향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높이조절부(211)는 별도의 부재로 가이드부(220)의 관통홀(221)을 통해 제2 걸림부재(233)를 몸체(231)에 삽입된 방향으로 밀어줌으로써 제2 홈부(211b)와 제2 걸림부재(233)의 걸림이 해제된다(d). 이때, 높이조절부(211)는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해지고, 가이드부(22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는 헤드레스트(210)의 높이조절부(211)를 가이드부(220)에 삽입하고, 높이조절부(211)에 락킹부(230)가 걸림으로써 헤드레스트(210)의 높낮이를 조정하여 고정한다.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는 헤드레스트(210)를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시킬때, 락킹부(230)의 제2 걸림부재(233)가 높이조절부(211)의 제2 홈부(211b)에 걸림으로써 헤드레스트(210)가 가이드부(22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때, 헤드레스트(210)를 탈거하기 위해서, 가이드부(220)의 관통홀(221)을 통해 락킹부(230)를 가이드부(220)에 삽입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밀어내면 제2 걸림부재(233)가 제2 홈부(211b)에서 걸림이 해제되어 높이조절부(211)가 상향 이동 가능해진다. 따라서, 헤드레스트(210)는 가이드부(220)로부터 탈거 될 수 있다.
이러한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는 사용자의 별도 조작에 의해 헤드레스트(210)를 시트백으로부터 탈거하는 것 외의, 일반적인 높이 조절 작동 또는 차량의 진동 등과 같은 외부 요인에 의해 헤드레스트(210)가 시트백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200)는 높이조절부(211)의 상방향 이동시 제2 홈부(211b)에 락킹부(230)가 걸림으로써 헤드레스트(210)가 가이드부(220)로부터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여, 후방 충돌에 의한 탑승자의 상해를 저감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00 :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210 : 헤드레스트
211 : 높이조절부 211a :제1 홈부
211b : 제2 홈부 220 : 가이드부
221 : 관통홀 230 : 락킹부
231 : 몸체 232 : 제1 걸림부재
233 : 제2 걸림부재 234 : 제1 탄성부재
235 : 제2 탄성부재

Claims (6)

  1. 시트백의 상방에 배치되는 헤드레스트의 상하방향으로의 위치를 조절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봉형상을 가지고, 외주면의 일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제1 홈부와, 상기 외주면의 타측에 배치된 제2 홈부를 구비하는 높이조절부;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삽입되고, 상기 시트백의 상부에 결합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게 제2 홈부에 삽입되어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상방향으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하는 락킹부;
    를 포함하고,
    상기 락킹부는
    상기 가이드부 상부에 탄력적으로 삽입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홈부에 걸리는 제1 걸림부재 및
    상기 몸체의 하부에 탄력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제2 홈부에 걸리는 제2 걸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는
    상기 제1 홈부와 상기 제2 홈부가 서로 반대쪽의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 홈부가 상기 제1 홈부보다 하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홈부는
    상측이 상기 락킹부에 걸리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하측이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홈부는
    상기 높이조절부가 하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상측이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높이조절부가 상방향으로 상기 가이드부로부터 탈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측이 상기 락킹부에 걸리도록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락킹부가 삽입되는 반대측에 상기 락킹부를 삽입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밀어줄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20130130756A 2013-10-31 2013-10-31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1491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756A KR101491131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30756A KR101491131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1131B1 true KR101491131B1 (ko) 2015-02-10

Family

ID=52591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30756A KR101491131B1 (ko) 2013-10-31 2013-10-31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113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336B1 (ko) 2018-12-21 2020-06-1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2144971B1 (ko) 2019-02-14 2020-08-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제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082Y1 (ko) * 2006-07-27 2006-10-17 주식회사 월드솔루션 차량용 헤드레스트 고정 장치
KR100651662B1 (ko) * 2005-06-30 2006-12-01 한일이화주식회사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662B1 (ko) * 2005-06-30 2006-12-01 한일이화주식회사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KR200429082Y1 (ko) * 2006-07-27 2006-10-17 주식회사 월드솔루션 차량용 헤드레스트 고정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336B1 (ko) 2018-12-21 2020-06-16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102144971B1 (ko) 2019-02-14 2020-08-14 현대트랜시스 주식회사 자동차 시트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4558B2 (en) Automobile headrest
US7255401B2 (en) Automobile headrest
US6616235B1 (en) Seat assembly with integral head/neck rest
US10882425B2 (en) Longitudinal adjuster and vehicle seat
US9004602B2 (en) Latching device for a head restraint
US10576860B2 (en) Vertically adjustable head restraint
KR101353959B1 (ko) 자동차용 시트쿠션의 전방 이송장치
KR200417425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전후방향 직선이동 장치
CN106994922B (zh) 儿童座椅
EP3521112A1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device
KR101491131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KR20120082740A (ko) 자동차 시트의 시트레일 록킹 장치
US20100060056A1 (en) Safety device for a child seat in a vehicle
CN107985151B (zh) 车辆座椅和用于车辆座椅的头枕
KR101372955B1 (ko) 헤드레스트의 높이 조절장치
KR101033881B1 (ko) 자동차용 오토 슬라이딩 헤드레스트
JP2001163101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構造
KR102118015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웨빙가이드
CN108928269B (zh) 儿童座椅
JPH0537611U (ja) シートベルトの調節装置
TWM530555U (zh) 安全帶之織帶調整器
US20170158099A1 (en) Motor vehicle seat
GB2407030A (en) Child seat located on rear face of passenger seat of vehicle
KR0136399Y1 (ko) 자동차 리어시트의 헤드레스트
KR102123336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