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0000A -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0000A
KR20100130000A KR1020090048642A KR20090048642A KR20100130000A KR 20100130000 A KR20100130000 A KR 20100130000A KR 1020090048642 A KR1020090048642 A KR 1020090048642A KR 20090048642 A KR20090048642 A KR 20090048642A KR 20100130000 A KR20100130000 A KR 201001300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ole
ratchet
shaft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44870B1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9004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4870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0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4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4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헤드레스트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원터치로 용이하게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바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Apparatus for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car headrests}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베개의 역할을 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줌으로써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헤드레스트들 중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한국등록특허 제59279호, 제510152호, 제592791호, 제577413호, 한국특허출원 제2006-0037364호, 제2006-0039473호, 제2006-0065589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줄 때에는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한 손 또는 양손을 뒤로 젖혀서 잡아당겨 필요한 만큼 전진이동시켜 준 다음 놓아주면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도록 하였으며, 전진되어 있는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다음 놓아주어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내부에 장착된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후 정지하므로 그 상태에서 다시 필요한 만큼 전방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헤드레스트를 항상 후방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리턴스프링의 반발력보다 큰 힘을 주어서 헤드레스트를 잡아당겨야 하므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런 점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에게 적합한 위치에 있지 않아도 그대로 두는 경우가 허다하여 평상시에는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지 못하게 되었음은 물론 특히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추돌사고시에 헤드레스트가 순간적으로 앞으로 이동된 후 고정되어 목부상을 방지하며, 헤드레스트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원터치로 용이하게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바로 조절할 수 있는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는,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폴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확경부가 형성되거나, 상기 샤프트는 상기 폴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칫은 제1래칫과 제2래칫을 포함하고, 상기 폴은 상기 제1래칫에 치합되는 제1폴과 상기 제2래칫에 치합되는 제2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래칫은 상기 연결링크가 상기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 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연결링크가 상기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링크에 타측이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폴에는 상기 제1폴의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또는 타측과 상기 걸림돌기는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과,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헤드레스트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원터치로 용이하게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바로 조절할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폴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확경부가 형성되어, 폴이 두개 이상일 경우에 여러개의 폴을 동시에 치합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는 상기 폴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단순한 구성으로 상기 폴의 치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래칫은 제1래칫과 제2래칫을 포함하고, 상기 폴은 상기 제1래칫에 치합되는 제1폴과 상기 제2래칫에 치합되는 제2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래칫은 상기 연결링크가 상기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연결링크가 상기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링크에 타측이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폴에는 상기 제1폴의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또는 타측과 상기 걸림돌기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후방충돌과 같은 비상시 제1폴과 제1래칫의 치합이 해제되어 헤드레스트가 자동으로 전방으로 이동된 뒤 제2폴과 제2래칫이 치합되어,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졌을 때 헤드레스트에 강하게 부딪혀도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어 목이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1의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사시도이며, 도 3은 샤프트 비 작동시 폴과 래칫 부분 개략도이고, 도 4는 샤프트 작동시 폴과 래칫 부분 부분 개략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제2폴과 제2래칫 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도 4에서 제1폴과 제1래칫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보다 상부링크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9는 평상시 제1폴과 제1래칫이 치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0은 비상시 팽팽해진 와이어로 인해 제1폴과 제1래칫의 치합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는, 상부링크(400)와 상기 상부링크(4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100)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400) 및 상기 하부링크(10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800)과,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샤프트(500)를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하부링크는 상부링크(400)와 상기 상부링크(4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100)를 포함한다.
하부링크(100)는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측판(110, 130)과 양쪽의 측판(110, 130) 하부를 연결하는 연결판(120)을 포함한다.
양쪽의 측판(110, 130)에는 상기 연결링크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축이 삽입되는 제1축공(101)과 제2축공(102)이 전방과 후방에 각각 형성된다.
연결판(120)의 하부에는 스테이로드와 같은 타 부재가 용이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안착홈(121)이 좌우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연결판(120)의 안착홈(121)에는 스테이로드(미도시)가 고정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테이로드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단에 서로 평행하게 하향연장되는 양 수직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테이로드는 전기를 공급하는 케이블 또는 와이어(1000)를 외부에서 내부로 배선할 수 있도록 파이프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수평부는 헤드레스트(미도시)의 내부에 수용되는 반면에 양 수직부는 헤드레스트의 저면 양쪽에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는 장공을 관통하여 헤드레스트의 하부로 노출되게 한다.
이렇게 노출되는 상기 양 수직부는 시트 등받이의 상단부에 결합하여 헤드레스트의 높낮이를 수직으로 조절할때 사용하며, 조절된 위치는 등받이의 상단내부에 장착되어 수직부에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노치를 선택적으로 걸어주는 스토퍼(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연결판(120) 하부에는 아래로 절곡된 절곡부가 형성되어 'ㄱ'자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140)가 설치된다. 이러한 지지부(140)는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판(120)과 별도로 구비되어 연결판(120)에 부착되거나 연결판(12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부(140)에는 상기 절곡부의 하부에 위로 오목한 형상의 안내홈(14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링크는 하부링크(100)의 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후방링크(200)와, 하부링크(100)의 전방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전방링크(300)를 포함한다.
후방링크(200)는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측판(210, 230)과 양쪽의 측판(210, 230) 후단을 연결하는 후판(220)을 포함한다.
양쪽의 측판(210, 230)은 중간부분에 절개부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절개부가 형성되어 타 부재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되고 전체 중량도 감소된다.
양쪽의 측판(210, 230)의 상부 및 하부에는 타부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축공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축공은 상기 절개부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다. 하부에 있는 상기 축공은 하부링크(100)의 제1축공(101)에 연통된다. 따라서, 하부에 있는 축공과 제1축공(101)에 회동축이 삽입되어 후방링크(200)는 하부링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후판(220)의 상부에는 상기 축공보다 상부에 배치되도록 지지부(221)가 전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지지부(221)에는 측부에서 절개되어 안내홈(222)이 형성된다.
전방링크(300)는 양측에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측판(310, 330)과 양쪽의 측판(310, 330) 전단을 연결하는 전판(320)을 포함한다.
전판(320) 양측에는 회전시 타 부재와 간섭되지 않도록 관통공이 형성된다.
측판(310, 330)은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연결축공(301)이 각각 형성된다.
하부에 있는 연결축공(301)은 하부링크(100)의 제2축공(102)에 연통된다. 따라서, 하부에 있는 연결축공(301)과 제2축공(102)에 회동축이 삽입되어, 전방링크(300)는 하부링크(1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측판(310, 330)에는 전방으로 돌출되고, 상부에 있는 연결축공(301)과 하부에 있는 연결축공(301) 사이에 배치되는 돌출부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에 샤프트축공(302)이 형성되고, 샤프트축공(302) 하부 양측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설치공(303), 폴축공(304)이 각각 형성된다.
스프링설치공(303)은 폴축공(304)보다 전방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한편, 전방링크(300)의 양쪽의 측판(310, 330) 사이간격은 하부링크(100)의 양쪽의 측판(110, 130) 사이간격보다 크도록 형성되며, 하부링크(100)의 양쪽의 측판(110, 130) 사이간격은 후방링크(200)의 양쪽의 측판(210, 230) 사이간격보다 크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해 전후 회동시 간섭없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부링크(400)는 상기 후방링크(200)와 상기 전방링크(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링크(400)는 분리된 두개의 판으로 구비되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상부링크(400)는 한개의 판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부링크(400)는 판의 중간과 후방에 제1축공(402)과 제2축공(403)이 각각 형성된다.
제1축공(402)은 후방링크(200)의 상부 축공과 연통되며, 제2축공(403)은 전방링크(200)의 상부 연결축공(301)과 연통된다. 따라서, 제1축공(402)과 상부 축공 에 회동축이 삽입되어, 후방링크(200)는 상부링크(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제2축공(403)과 상부 연결축공(301)에 회동축이 삽입되어, 전방링크(300)는 상부링크(4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부링크(400)는 상단에 파이프 등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안착홈(401)이 형성된다.
이러한 상부링크(400)가 헤드레스트에 고정되고, 상기 헤드레스트는 내부공간에 발포체가 주입되어 서로 한 몸체로 결속되기 때문에 상기 헤드레스트는 상부링크(400)와 함께 평형상태로 전·후 이동하게 된다.
한편, 양단이 상기 연결링크의 전방링크(300)와 상기 상하부링크의 하부링크(100)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스프링(9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스프링(900)은 코일스프링으로 구비되어 전방링크(300)와 하부링크(100)를 연결하는 회전축을 둘러싸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메인스프링(900)는 전방링크(300)가 전방에 배치된 상태가 평형상태가 되도록 설치되어 전방링크(300)가 전방으로부터 후방측으로 이동하게 되면 메인스프링(900)이 탄성변형되어 전방링크(300)에 전방으로 밀어주는 힘을 가하게 된다.
상기 연결링크의 전방링크(300)와 하부링크(100) 중 하나에는 상기 래칫이 설치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상기 폴이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래칫은 상기 하부링크(100)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폴은 전방링크(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래칫은 하부링크(100)의 일측 측판(13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1래칫(131)과 타측 측판(11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2래칫(111)을 포함한다.
제1래칫(131)과 제2래칫(111)은 다수개의 기어치가 구비되며, 다수개의 기어치는 원호형상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어치는 후방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지도록 형성된다.
나아가, 제1래칫(131)의 기어치는 상기 연결링크가 상기 상부링크(400) 또는 하부링크(10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고, 제2래칫(111)의 기어치는 상기 연결링크가 상기 상부링크(400) 또는 하부링크(1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래칫(131)의 기어치는 상기 연결링크가 하부링크(10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고, 제2래칫(111)의 기어치는 상기 연결링크가 하부링크(1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된다.
즉, 제1래칫(131)의 기어치는 상기 연결링크가 하부링크(10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되고, 제2래칫(111)의 기어치는 상기 연결링크가 하부링크(10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폴은 제1래칫(131)에 치합되는 제1폴(700)과 상기 제2래칫(111)에 치합되는 제2폴(600)을 포함한다.
상기 폴은 축공이 형성되며, 상기 축공은 폴축공(304)에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폴축공(304)과 상기 축공에 회동축이 삽입되어 상기 폴은 상기 전방링크(30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폴은 축공의 전방 또는 후방에 스프링설치공(701, 601)이 형성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폴(700)은 축공 상부에 삼각형상의 제1돌출부(710)가 형성되고, 축공 하부에 삼각형상의 제2돌출부(720)가 형성되고, 축공의 전방 하부에는 제1폴(700)의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걸림돌기(730)가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걸림돌기(730)는 축공과 일직선상에 배치되지 않고 축공보다 하부에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제1폴(700)과 제1래칫(131)이 치합시 제2돌출부(720)는 제1래칫(131)의 기어치에 삽입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폴(600)은 축공 하부 전방에 제2돌출부(620)가 형성되고, 축공 상부에 제1돌출부(610)가 형성된다. 제2폴(600)과 제2래칫(111)이 치합시 제2돌출부(620)는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삽입된다.
제2폴(600)은 정회전(반시계방향)시키면 제2돌출부(620)이 상승하여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서 벗어나므로 상기 연결링크가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역회전(시계방향)시켜서 제2돌출부(620)가 하강하여 어느 하나의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걸어지게 하면 더 이상 역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연결링크가 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제1폴(700)은 역회전(시계방향)시키면 제2돌출부(720)가 상승하여 제1래칫(131)의 기어치에서 벗어나므로 상기 연결링크가 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하는 반면에, 정회전시켜서 제2돌출부(720)가 하강하여 어느 하나의 제1래칫(131)의 기어치에 걸어지게 하면 더 이상 정회전하지 않게 되므로 상기 연결링크가 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제1폴(700) 및 제2폴(600)의 제2돌출부(720, 620)가 각각 제1래칫(131) 및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걸어지면 상기 연결링크는 전후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하지 않게 되며, 제1폴(700)의 제2돌출부(720)는 벗어나고 제2폴(600)의 제2돌출부(620)가 걸어지면 상기 연결링크는 전방으로만 회동시킬 수 있게 되는 반면에, 제2폴(600)의 제2돌출부(620)는 벗어나고 제1폴(700)의 제1돌출부(720)가 걸어지면 상기 연결링크는 후방으로만 회동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스프링(800)은 일단이 상기 폴의 삽입공(601, 701)에 각각 설치되고, 타단이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인 상기 연결링크의 전방링크(300)의 스프링설치공(303)에 설치된다.
스프링(800)은 상기 폴이 상기 래칫에 치합되어 있을 때 탄성력을 가해 상기 폴을 눌러준다.
샤프트(500)는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킨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샤프트(500)는 상기 폴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폴이 설치되는 부분인 전방링크(300)에 수평하게 설치되고, 확경부(521)가 형성된다.
샤프트(500)는 누름부(510)와, 누름부(510)에 연결되는 샤프트부(520)와, 샤프트(5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30)를 포함한다.
누름부(510)는 사용자가 용이하게 누를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바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바를 포함한다.
또한, 누름부(510)는 내구성이 향상되도록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 사이 를 연결하는 리브(511)가 한개 이상 형성된다.
누름부(510)가 축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하고, 사용자의 누르는 힘이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수평바에는 가이드공(512)이 형성된다.
가이드공(512)에는 상부링크(400)의 제2축공(403)에 설치되는 연결샤프트(540)가 삽입된다.
이로써, 누름부(510)가 축방향으로 이동할 때 연결샤프트(540)에 의해 가이드되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연결샤프트(540)는 전방링크(300)와 상부링크(400)의 결합 힌지축 역할도 동시에 한다.
연결샤프트(540)에는 복귀스프링(530)이 설치되어, 사용자가 누름부(5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탄성변형되었던 복귀스프링(530)의 복귀력에 의해 자동으로 누름부(510)는 원위치로 복귀된다.
샤프트(500)의 샤프트부(520)는 전방링크(300)의 샤프트축공(302)을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결링크에 대해 샤프트부(520)의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샤프트부(520)는 확경부(521)가 한개 이상이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폴이 두개가 구비되므로 확경부(521)는 두개 형성된다.
따라서, 샤프트부(520)에는 축경부(522)와 확경부(521)가 번갈아 형성된다. 즉, 누름부(510)와 연결되는 부분에는 확경부(521)가 형성되고, 이어서 축경부(522)가 형성되며, 확경부(521)가 다시 형성되고 축경부(522)가 다시 형성된다.
확경부(521)에서 축경부(522)와 연결되는 부분은 테이퍼지게 형성되어 테어퍼면이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샤프트부(520)가 축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폴이 샤프트부(520)의 테이퍼면을 따라 회전되어 상기 폴이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다.
샤프트부(520)는 수평하게 배치되며, 제1폴(700)과 제2폴(600)의 축공 상부에 배치되며, 제1폴(700)의 제1돌출부(710)와 제2폴(600)의 제1돌출부(610)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샤프트부(520)는 제1돌출부(610, 710)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예를 들어 누름부(510)를 헤드레스트의의 일측 외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탑승자가 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한 손을 뒤로 젖혀서 누름부(510)를 눌러주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귀스프링(530)은 수축되고 샤프트(500)는 전체적으로 누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축경부(522)와 접촉하고 있던 제1돌출부(610, 710)는 확경부(521)의 테이퍼면과 접촉하면서 정회전 및 역회전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돌출부(720, 620)는 제1래칫(131) 및 제2래칫(111)의 기어치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상기 연결링크는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킨 후에 누름부(51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530)의 복귀력에 의해 샤프트(500)는 전체적으로 누름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확경부(521)와 접촉하고 있던 제1돌출부(610, 710)는 축경부(522)와 접촉하면서 역회전 및 정회전을 하게 된다. 이로 인해, 제2돌출부(620, 720)는 제1래칫(131) 및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치합되어 헤드레스트는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조절할 때 누름부(510)를 누르면 제1폴(700)과 제2폴(600)이 동시에 회전하여 상기 연결링크를 전진이나 후진 어느 방향으로도 회동시켜 줄 수 있게 하는 것은, 전·후방향에 구애받지 않고 필요한 방향으로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메인스프링(900)을 구비한 경우에는, 누름부(510)를 눌러서 상기 연결링크의 멈춤상태를 해제시켜 주면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는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데, 이때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는 힘으로 헤드레스트를 받쳐주지 않으면 상기 헤드레스트는 즉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누름부(510)를 누르는 손 또는 양손으로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을 제어할 수 있는 정도의 힘으로 헤드레스트를 받쳐준 상태에서 누름부(510)를 눌러 전방으로 이동되는 정도를 조절하면 되고, 반대로 후방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누름부(510)를 누른 상태에서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보다 큰 힘으로 헤드레스트를 후방으로 밀어주면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헤드레스트의 전·후위치를 조절한 다음에는,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받쳐주고 있는 상태에서 누름부(510)만 놓아주어 제1폴(700)과 제2폴(600)을 역·정 회전시켜 제1돌출부(610, 710)이 해당 위치의 전진 및 후진방지 제2래칫(111) 및 제1래칫(131)의 기어치에 각각 걸어지게 하면 상기 연결링크는 전·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는 멈춤상태가 되므로 이때 헤드레스트를 놓아주면 되는 것이다.
즉, 본원발명의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를 통해 헤드레스트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원터치로 용이하게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바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샤프트(500)가 상기와 같이 형성되어, 상기 폴이 두개 이상일 경우에 여러개의 폴을 동시에 치합을 해제시킬 수 있게 되어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연결링크의 후방링크(200)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링크의 하부링크(100)에 타측이 연결되는 와이어(1000)를 더 포함한다.
와이어(1000)는 일측이 후방링크(200)의 지지부(221)의 안내홈(222)에 끼워지고, 타측이 하부링크(100)의 지지부(140)의 안내홈(141)에 끼워진다.
상부링크(400)가 최전방에 있지 않을 때, 즉 상부링크(400)가 최전방 위치와 최후방 위치 사이에 배치되었을 때 와이어(1000)의 일측 또는 타측과 제1폴(700)의 걸림돌기(730)는 엇갈리게 배치된다. 와이어(1000)는 걸림돌기(730)의 후방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와이어(1000)의 일측에는 이탈방지링이 설치되어 와이어(1000)가 느슨해졌을 때나 팽팽해 졌을 때 후방링크(20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된다.
이러한 와이어(1000)의 타측은 가동수단(미도시)에 연결된다. 상기 가동수단은 와이어(1000)의 타단을 연장하여 자동차 시트의 등받이의 내부에 설치되어 구비되거나 와이어(1000)의 타단에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축이 설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와이어(1000)의 타단이 연장되어 상기 가동수단이 구비된 경우에는 충돌시 반작용에 의해 탑승자의 등이 등받이에 밀착될 때 연장된 와이어(1000)가 눌리게 되어 와이어(1000)는 팽팽해지게 된다. 이러한 가동수단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특허출원 제10-2007-126302호에 제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사항은 이를 참고하기로 한다.
와이어(1000)의 타단에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축이 연결될 경우에는 자동차에 충돌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충돌 또는 추돌 사고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밸브를 즉시 작동시켜 주도록 하거나 자동차의 전,후방 해당부위에 차간거리 감지센서를 설치하여 자동차의 전방이나 후방에서 주행하는 자동차와의 거리 및 상대속도 등을 연산하여 충돌이나 추돌사고의 가능성이 예측되면 일반적인 자동제어시스템이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를 작동시켜 주도록 함으로써, 상기 솔레노이드밸브의 작동축이 내부에 장착된 스프링을 압축시키면서 순간 적으로 하강하여 와이어(1000)를 당겨줌에 따라 와이어(1000)가 팽팽해지게 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와이어(1000)로 인해 후방충돌과 같은 비상시에는 와이어(1000)가 당겨져서 팽팽해진다. 이때, 상부링크(400) 및 상기 연결링크가 최전방에 있지 않으면 와이어(1000)의 일측 또는 타측과 제1폴(700)의 걸림돌기(730)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와이어(1000)는 제1폴(700)의 걸림돌기(73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제1폴(7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제1폴(700)과 제1래칫(131)의 치합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링크의 전진방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2폴(600)이 제2래칫(111)에 치합되어 있어도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가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회동하여 헤드레스트를 최전방 위치로 이동시켜 준다.
이와 같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하면 제2폴(600)은 제2래칫(111)에 최전방에 상부로 돌출형성된 스토퍼에 걸려서 선단의 후진방지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걸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링크가 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정지시켜주기 때문에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강하게 부딪쳐도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목이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전술한 바와는 다르게, 와이어(1000) 대신에 전자밸브(미도시)를 구비하여 비상시에 헤드레스트가 전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전자밸브를 적용하는 것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공개특허 제2008-0079950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자밸브는 밸브본체와 상기 밸브본체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축을 포함하는 전자밸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작동축은 비상시에 상기 제1폴(700)을 회전시켜 상기 제1폴(700)과 상기 제1래칫(131)의 치합을 해제시킨다.
전자밸브는 전방링크(300)의 전판(320)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전자밸브는 걸림돌기(730) 하부에 배치되도록 설치된다.
전자밸브는 전방링크(300)의 전판(320) 내측에 고정되는 밸브본체와 작동축 사이에 복귀스프링이 배치된다. 이로 인해 전자밸브에 전원이 인가되면 복귀스프링이 수축되면서 작동축이 인출되고, 전자밸브에 전원이 인가되지 않으면 복귀스프링 의 탄성력에 의해 작동축은 원상태로 복귀된다.
전자밸브를 작동시키는 버튼을 구비하거나, 차체에는 충돌(추돌)사고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전자밸브를 작동시켜 주는 감지센서(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수동 또는 자동으로 전자밸브가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고가 발생하면 전자밸브가 작동되어 작동축은 인출된다. 이로 인해, 작동축은 걸림돌기(730)를 위방향으로 누르게 되어, 제1폴(700)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치합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결링크의 전진방지상태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2폴(600)이 후진방지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걸어져 있어도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가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회동하여 헤드레스트를 최전방 위치로 이동시켜 준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하면 제2폴(600)은 선단의 후진방지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걸어져서 상기 연결링크가 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정지시켜주기 때문에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강하게 부딪쳐도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목이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분리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결합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2에서 전방링크를 제외시킨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의 비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의 후방이동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11 내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에 의한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와 동일하며, 다만,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칫(111')이 상기 연결링크에 설치되고, 제2폴(600')이 상기 상하부링크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샤프트(50)는 상기 폴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된다.
제2래칫(111')은 상기 연결링크의 전방링크(300')에 설치되고, 제2폴(600')이 하부링크(10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다.
제2래칫(111')은 상기 연결링크가 하부링크(100')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기어이가 형성된다. 상기 기어이는 제2폴(600')이 있는 하부를 향하도록 형성된다.
제2래칫(111')은 전방링크(300')와 별도로 구비되어 전방링크(300')의 측판(310)에 고정설치된다.
제2래칫(111')은 전단과 후단에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래칫(111')과 전방링크(300')의 측판(310) 사이에 스페이서(10)를 배치시킨다.
하부링크(100')의 측판(110)의 상단에는 제2폴(600')이 설치되는 폴설치부(160)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폴설치부(160)는 수평판과 수직판을 구비하여 상기 수평판과 상기 수직판 사 이에 제2폴(600')을 배치시킨다.
폴설치부(160)의 수직판에는 제2폴(600')에 일단이 설치되는 스프링(800)의 타단이 설치되는 스프링설치공(163)과 제2폴(600')의 축이 삽입되는 폴축공(164)이 좌우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폴설치부(160)의 수직판 전단에는 좌우방향으로 돌출부(161)가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2폴(600')은 축공 상부 전방에 상부에 제2돌출부(620)가 형성되고, 축공 하부 후방에 제1돌출부(610)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610) 외측에는 수평하게 전달샤프트(630)가 형성된다.
제2폴(600')과 제2래칫(111')이 치합시 제2돌출부(620)는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서 래칫이 연결링크에 설치되고 폴이 하부링크에 설치되는 것은 한국공개특허 제2004-0089410호에 제시된 것이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샤프트(50)는 상기 폴의 축방향에 수직하게(상하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인 하부링크(100')에 설치된다.
샤프트(50)는 상단이 전달샤프트(63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하부링크(100')의 측판(110) 외측에 설치된다.
측판(110)의 외측에는 설치판(150)이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설치판(150)에는 샤프트(50)가 삽입되는 삽입홈(151)이 형성된다.
샤프트(50)는 상단에 제1확경부(51)가 형성되며, 제1확경부(51)의 하부에 제2확경부(52), 제2확경부(52)의 하부에 제3확경부(54)가 형성된다.
제2확경부(52)와 제3확경부(53) 사이에는 샤프트(5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53)이 끼워진다.
샤프트(50)는 제2확경부(52)와 스프링사이에 설치판(150)이 배치되도록 삽입홈(151)에 끼워서 설치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는, 와이어(1000)로 인해 후방충돌과 같은 비상시에는 와이어(1000)가 당겨져서 팽팽해진다. 이때, 상부링크(400) 및 상기 연결링크가 최전방에 있지 않으면 와이어(1000)의 일측 또는 타측과 제1폴(700)의 걸림돌기(730)는 엇갈리게 배치되어, 와이어(1000)는 제1폴(700)의 걸림돌기(730)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어 제1폴(700)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로 인해 제1폴(700)과 제1래칫(131)의 치합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링크의 전진방지가 해제되기 때문에 제2폴(600)이 제2래칫(111)에 치합되어 있어도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연결링크가 즉시 전방으로 완전히 회동하여 헤드레스트를 최전방 위치로 이동시켜 준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가 최전방 위치로 이동하면 제2폴(600')은 제2래칫(111')에 최전방에 상부로 돌출형성된 돌출부에 걸려서 선단의 후진방지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걸어진다. 이로 인해 상기 연결링크가 후방으로 회동하지 못하게 정지시켜주기 때문에 뒤로 젖혀지려는 머리가 상기 헤드레스트에 강하게 부딪 쳐도 후방으로 밀리지 않게 되므로 목이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샤프트(50)가 상승되도록 샤프트(50)를 눌러주면, 복귀스프링(53)은 수축되고 샤프트(50)는 전체적으로 누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샤프트(50)의 상부에 있던 전달샤프트(630)는 샤프트(50)로 인해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제2폴(600')은 회전되어 제2폴(600')은 제2래칫(111')의 기어치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상기 연결링크는 후방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때, 제1폴(700)은 제1래칫(131)에 치합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연결링크는 전방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헤드레스트에 메인스프링(900)의 탄성력보다 더 큰 힘을 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로 헤드레스트를 이동시킨 후에 샤프트(50)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면 복귀스프링(53)의 복귀력에 의해 샤프트(50)는 전체적으로 누름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므로, 제2폴(600')를 상승시키는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스프링(800)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돌출부(620)는 제2래칫(111')의 기어치에 치합되어 헤드레스트는 조절된 위치에서 정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와 같이 샤프트(50)를 구비하면 단순한 구성으로 상기 폴의 치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는, 특히, 탑승자 목 부상 방지를 목표로 하는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1의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사시도.
도 3은 샤프트 비 작동시 폴과 래칫 부분 개략도.
도 4는 샤프트 작동시 폴과 래칫 부분 부분 개략도.
도 5는 도 4에서 제2폴과 제2래칫 부분 확대도.
도 6은 도 4에서 제1폴과 제1래칫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측면도.
도 8은 도 7보다 상부링크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9는 평상시 제1폴과 제1래칫이 치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0은 비상시 팽팽해진 와이어로 인해 제1폴과 제1래칫의 치합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분리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결합사시도.
도 13은 도 12에서 전방링크를 제외시킨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의 작동전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의 비상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1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의 후방이동시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하부링크 110, 130 : 측판
111 : 제2래칫 101 : 제1축공
102 : 제2축공 131 : 제1래칫
120 : 연결판 121 : 안착홈
140 : 지지부 141 : 안내홈
150 : 설치판 160 : 폴설치부
200 : 후방링크 210, 230 : 측판
220 : 후판 221 : 지지부
222 : 안내홈 300 : 전방링크
310, 330 : 측판 320 : 전판
301 : 연결축공 302 : 샤프트축공
304 : 폴축공
400 : 상부링크 401 : 안착홈
402 : 제1축공 403 : 제2축공
500, 50 : 샤프트 510 : 누름부
511 : 리브 512 : 가이드공
520 : 샤프트부
521 : 확경부 522 : 축경부
530 : 복귀스프링 540 : 연결샤프트
600 : 제2폴 610 : 제1돌출부
620 : 제2돌출부 730 : 걸림돌기
700 : 제1폴 710 : 제1돌출부
720 : 제2돌출부 701, 601, 303 : 스프링설치공
800 : 스프링 900 : 메인 스프링
1000 : 와이어 1100 : 전자밸브

Claims (4)

  1.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
    상기 폴을 눌러서 상기 폴과 상기 래칫의 치합을 이탈시키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폴의 축방향으로 배치되도록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고, 확경부가 형성되는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폴의 축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4. 제 1항 내지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칫은 제1래칫과 제2래칫을 포함하고,
    상기 폴은 상기 제1래칫에 치합되는 제1폴과 상기 제2래칫에 치합되는 제2폴을 포함하고,
    상기 제1래칫은 상기 연결링크가 상기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연결링크가 상기 상부링크 또는 하부링크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형성되며,
    양단이 상기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에 각각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링크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링크에 타측이 연결되는 와이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폴에는 상기 제1폴의 회동축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일측 또는 타측과 상기 걸림돌기는 엇갈리게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20090048642A 2009-06-02 2009-06-02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1144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42A KR101144870B1 (ko) 2009-06-02 2009-06-02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42A KR101144870B1 (ko) 2009-06-02 2009-06-02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00A true KR20100130000A (ko) 2010-12-10
KR101144870B1 KR101144870B1 (ko) 2012-05-16

Family

ID=43506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642A KR101144870B1 (ko) 2009-06-02 2009-06-02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487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072B1 (ko) 2014-07-11 2015-12-1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WO2016006822A1 (en) * 2014-07-11 2016-01-14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KR102060156B1 (ko) * 2018-09-05 2019-12-27 주식회사 서연이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4910B1 (ko) 2015-12-23 2017-01-10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슬라이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9441B1 (ko) * 1996-12-27 1999-11-01 정몽규 자동차용 이동식 헤드레스트
JP3812742B2 (ja) 2002-08-26 2006-08-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前倒れシート
KR100868787B1 (ko) * 2006-03-28 2008-11-17 주식회사 우보테크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1071580B1 (ko) * 2007-02-28 2011-10-10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8072B1 (ko) 2014-07-11 2015-12-16 주식회사 우보테크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WO2016006822A1 (en) * 2014-07-11 2016-01-14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CN106029442A (zh) * 2014-07-11 2016-10-12 牛步科技有限公司 头枕移动装置
US10308153B2 (en) 2014-07-11 2019-06-04 Woobo Tech Co., Ltd. Headrest moving device
KR102060156B1 (ko) * 2018-09-05 2019-12-27 주식회사 서연이화 록킹수단이 구비된 차량용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44870B1 (ko) 2012-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23073B2 (en) Head restraint for a vehicle seat
US20190232830A1 (en) Vehicle Seat
US7992933B2 (en) Integrated vehicle seat with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WO2010084911A1 (ja) 乗物用シート
US20130302626A1 (en) Longitudinally adjustable vehicle seat
KR101071580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KR101081926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144870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1607103B1 (ko) 진입 간편화 기능을 갖는 차량 시트용 잠금 해제 장치 및 잠금 해제 장치의 작동 방법
JP2006182094A (ja) 車両用シート
KR20090047671A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JP5463707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KR101371868B1 (ko) 워크인 시트
JP4453901B2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
JP4544786B2 (ja) 車両用シートのスライドレール構造
KR10105386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83742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KR10110827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0842327B1 (ko)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조
JP5164274B2 (ja) 車両用シート
EP1800944A2 (en) Active head restraint apparatus for vehicle seats
JP2008074295A (ja) 車両用シート
KR100823200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 각도 조절장치
KR200420690Y1 (ko)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JP4031826B2 (ja) シート・トラックに用いるレバー・ストッ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2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