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8272B1 -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8272B1
KR101108272B1 KR1020090048643A KR20090048643A KR101108272B1 KR 101108272 B1 KR101108272 B1 KR 101108272B1 KR 1020090048643 A KR1020090048643 A KR 1020090048643A KR 20090048643 A KR20090048643 A KR 20090048643A KR 101108272 B1 KR101108272 B1 KR 101108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pole
stage
ratchet
head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001A (ko
Inventor
정해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우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우보테크
Priority to KR102009004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8272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8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8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09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 B60N2/812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vertically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ir locking devices
    • B60N2/815Release mechanisms, e.g. but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06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 B60N2/865Head-rests movable or adjustable providing a fore-and-aft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occupant's h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상기 상하부링크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와,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헤드레스트를 상하부 및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헤드레스트, 상하, 전후

Description

헤드레스트 이동장치{Headrest Moving Device}
본 발명은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상기 상하부링크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와,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는 평상시에는 탑승자의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는 베개의 역할을 하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에는 머리가 급격히 뒤로 젖혀지지 않게 받쳐줌으로써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시트의 등받이 상단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서, 종래의 헤드레스트들 중에는 머리를 받쳐주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탑승자의 편의에 따라 전후로 이동시켜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있었다.
종래의 헤드레스트는 한국등록특허 제59279호, 제510152호, 제592791호, 제577413호, 한국특허출원 제2006-0037364호, 제2006-0039473호, 제2006-0065589호에 제시된 것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헤드레스트의 위치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줄 때에는 시트에 앉은 탑승자가 한 손 또는 양손을 뒤로 젖혀서 잡아당겨 필요한 만큼 전진이동시켜 준 다음 놓아주면 그 위치에서 정지되어 있도록 하였으며, 전진되어 있는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완전히 이동시킨 다음 놓아주어 당기던 힘을 제거하면 내부에 장착된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작용하여 후방으로 완전히 이동된 후 정지하므로 그 상태에서 다시 필요한 만큼 전방으로 이동시켜 위치를 조절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헤드레스트는 리턴스프링의 반발력이 헤드레스트를 항상 후방으로 밀어주는 힘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를 조절할 때에는 리턴스프링의 반발력보다 큰 힘을 주어서 헤드레스트를 잡아당겨야 하므로 조절하는 것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런 점에 의해 헤드레스트가 탑승자에게 적합한 위치에 있지 않아도 그대로 두는 경우가 허다하여 평상시에는 머리를 편안하게 받쳐주지 못하게 되었음은 물론 특히 충돌 또는 추돌사고의 발생시에는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급격하게 젖혀지는 것을 방지할 수 없게 되어 심각한 목 부상 등이 유발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헤드레스트를 상하부 및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상기 상하부링크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와,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한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래칫의 기어이가 홀수단이면 1단과 2단 사이 거리가 2단과 상기 2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3단 사이 거리보다 넓으며, 상기 래칫의 기어이가 짝수단이면 1단과 2단 사이 거리가 상기 2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3단과 4단 사이의 거리보다 넓을 수 있으며,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상하부링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폴은 상기 상부링크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래칫은 상기 전방링크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하부링크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링크는 스테이로드 에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는 상기 상하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링크에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링크에 타단이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래칫에 치합되는 폴과, 상기 상하부링크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이동부와, 일단은 상기 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스프링을 포함하여, 헤드레스트를 상하부 및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전술한 구성에서 상기 래칫의 기어이가 홀수단이면 1단과 2단 사이 거리가 2단과 상기 2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3단 사이 거리보다 넓으며, 상기 래칫의 기어이가 짝수단이면 1단과 2단 사이 거리가 상기 2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3단과 4단 사이의 거리보다 넓을 수 있으며, 최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초반에 후반보다 더 많이 이동되어 비상상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상하부링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폴은 상기 상부링크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래칫은 상기 전방링크에 설치되고,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 기 하부링크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링크는 스테이로드에 설치되고, 헤드레스트는 상기 상하이동부에 설치되며, 상기 상부링크에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링크에 타단이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을 더 포함하여, 장치가 컴팩트해지며 상하이동 및 전후이동이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제2래칫은 상기 래칫을 의미하며, 제2폴은 상기 폴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배면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상하이동부 배면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에서 전방하우징을 제외시킨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정면 결합도이며,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정면 결합사시도이고, 도 6은 제1폴과 제1래칫이 치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며, 도 7은 누름부로 인해 제1폴과 제1래칫의 치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이며, 도 9는 도 8보다 상하이동부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0은 도 9보다 상하이동부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도 11은 도 10보다 상하이동부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2는 도 1의 전후이동부 배면 분리사시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후방하우징을 제외시킨 배면 결합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의 배면 결합사시도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하부링크가 최후방에 배치된 상태에 있을 때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고, 도 16은 도 15보다 하부링크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을 때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하부링크가 최전방에 배치된 상태에 있을 때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상부링크(210)와 상기 상부링크(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220)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210) 및 상기 하부링크(2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2래칫(260)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래칫(260)에 치합되는 제2폴(270)과, 일단은 상기 제2폴(270)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2폴(270)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80)을 포함하는 전후이동부(200)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래칫(113)과, 상기 제1래칫(113)에 치합되는 제1폴(120)과, 상기 제1폴(120)을 누르는 누름부(130)와, 일단은 상기 제1폴(120)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폴(120)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150)을 포함하며, 상기 제1래칫(113)와 제1폴 (120) 중 하나는 헤드레스트(미도시)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시트(미도시)에 연결되고, 상기 상하부링크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상하이동부(100)를 포함한다.
상하이동부(100)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상하로 이동시켜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상하이동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래칫(113)과, 상기 제1래칫(113)에 치합되는 제1폴(120)과, 상기 제1폴(120)을 누르는 누름부(130)와, 일단은 상기 제1폴(120)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폴(120)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150)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하이동부(100)는 부품이 보호되는 동시에 각 부품이 설치되도록 하우징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은 전방하우징(110)과, 전방하우징(110)의 후방에 설치되는 후방하우징(170)을 포함한다.
전방하우징(110)은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배면에 보강리브가 형성된다.
또한, 전방하우징(110)은 가장자리에 볼트가 삽입될 수 있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전방하우징(110)은 배면에 체결후크(111)가 가장자리를 따라 여러개 형성된다.
나아가, 전방하우징(110)은 배면에 체결돌기(112)가 봉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래칫(113)은 전방하우징(110) 배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제1래칫(113)은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또한, 제1래칫(113)의 기어이는 제1래칫(113)이 제1폴(120)에 대해 상승하는 것은 허용하고 하강하는 것은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전방하우징(110)의 배면에 제1래칫(113)의 측부에 배치되도록 스프링안착부(114)가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된다.
나아가, 전방하우징(110)의 배면 상하부에 형성된 스프링안착부(114)의 상부 및 하부에 가이드홈(115)이 각각 형성된다.
스프링안착부(114) 및 가이드홈(115)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전방하우징(110)의 배면에는 스프링안착부(114)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가이드돌기가 형성되고, 가이드돌기 끝단에는 스토퍼편이 형성된다.
또한, 전방하우징(110) 및 후방하우징(170)에는 누름부(130)를 둘러싸도록 원통형상으로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누름부(130)를 지지한다.
지지부(118)에는 체결홈(116)이 형성된다.
양측의 지지부(118)에는 양측의 지지부(118)가 서로 결합되도록 체결후크와 체결후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된다.
지지부(118) 내부에는 스프링지지부(117)가 형성된다. 스프링지지부(117)에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제1폴(120)은 중심부에 회전축(121)이 형성되며, 회전축(121) 상부에 배치되도록 제1돌출부(122)가 형성되고, 회전축(121) 하부에 배치되도록 제2돌출부(123)가 형성된다.
제1돌출부(122)는 제1래칫(113)에 치합된다.
제2돌출부(123)에는 제1스프링(150)의 일단이 설치되는 설치공이 형성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폴(120)은 판형상의 브라켓(160)을 통해 타 부재에 설치된다.
제1폴(120)은 브라켓(160)에 회동가능하도록 회전축(121)을 통해 설치된다.
브라켓(160)에는 제1스프링(150)의 타단이 설치되는 설치공이 회전축(121)이 설치되는 부분의 상부에 형성된다.
브라켓(160)은 연결프레임(140)에 설치된다.
연결프레임(140)은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의 양측 하부에 형성되어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단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는 절곡부를 포함한다.
누름부(130)는 제1폴(120) 및 제1래칫(113)의 측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설치된다.
누름부(130)는 버튼부(137)와, 상기 버튼부(137)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137)의 눌림을 상기 제1폴(120)에 전달하는 전달부(131)와, 누름부(130)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제3스프링(135, 136)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누름부(130)가 구비되어 누름부(130)의 작동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버튼부(137)는 한쪽이 막힌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다른쪽에는 스프링지지부(117)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되는 연결편이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연결편은 수평하게 형성되며, 상기 연결편의 끝단에는 끼움홈(138)이 형성된다.
버튼부(137)의 둘레에는 체결홈(116)에 삽입되는 체결돌기(132)가 후크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체결돌기(132) 둘레에는 절개부가 형성된다.
전달부(131)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며, 버튼부(137)와 마주보는 면에 연결편이 형성된다.
전달부(131)의 연결편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버튼부(137)의 연결편이 삽입되는 끼움홈(138)이 형성된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달부(131)의 연결편은 버튼부(137)의 끼움홈(133)에 삽입되어, 전달부(131)의 연결편과 버튼부(137)의 연결편은 열십자(+) 형상으로 결합된다.
상기 하우징에는 열십자(+) 형상으로 결합된 전달부(131)의 연결편과 버튼부(137)의 연결편이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다.
전달부(131)의 상단과 하단에는 가이드홈(115)에 삽입되는 돌출부(134)가 두개씩 형성된다.
돌출부(134)의 전면에는 가이드돌기(139)가 각각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돌기(139)로 인해 전달부(131)가 슬라이딩될 때 전달부(131)와 전방하우징(110) 사이의 마찰력이 작아져서 슬라이딩이 원활하게 된다.
나아가, 전달부(131)에는 전방하우징(110)의 가이드돌기가 삽입되는 가이드홈이 전면에 형성된다.
또한, 전달부(131)의 전면에는 상부 및 하부에 제3스프링(135)과 접촉하며, 스프링안착부(114)에 삽입되는 돌출편이 형성된다.
제3스프링(135, 136)은 버튼부(137)를 복귀시키는 스프링과, 전달부(131)를 복귀시키는 스프링이 별도로 구비된다.
버튼부(137)를 복귀시키는 제3스프링(136)은 버튼부(137)의 안착홈에 안착된다.
전달부(131)를 복귀시키는 제3스프링(135)은 스프링안착부(114)에 안착된다.
상기 제1래칫(113)와 제1폴(120) 중 하나는 헤드레스트(미도시)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시트(미도시)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래칫(113)은 상기 하우징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헤드레스트에 연결된다. 제1폴(120)은 브라켓(160)에 설치되어 상기 시트에 연결된다.
이러한, 상하이동부(100)는 아래와 같은 방법을 통해 조립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40)의 수평부에 브라켓(160)을 설치하고, 브라켓(160)에 제1폴(120)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제1폴(120)과 브라켓(160)에 제1스프링(150)의 양단을 설치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폴(120)의 제1돌출부(122)가 제1래칫(113)에 치합되도록 연결프레임(140), 브라켓(160), 제1폴(120)을 전방하우징(110)과 후방하우징(170) 사이에 배치시킨다.
스프링안착부(114)에 제3스프링(135)을 삽입하고, 전달부(131)의 돌출편을 스프링안착부(114)에 삽입한다.
버튼부(137)의 연결편을 제3스프링(136)에 끼우고, 제3스프링(136)의 끝단이 스프링지지부(117)에 지지되도록 버튼부(137)를 지지부(118)에 삽입한다.
이때, 전달부(131)의 연결편과 버튼부(137)의 연결편은 열십자(+) 형상으로 결합시킨다.
전방하우징(110)의 체결후크(111)를 후방하우징(170)의 체결공(171)에 삽입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방하우징(110)과 후방하우징(170)을 볼팅체결하여 서로 결합시킨다.
이러한 상하이동부(100)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서 힘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폴(120)은 제1래칫(113)에 치합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제1스프링(150)은 제1폴(120)이 제1래칫(113)에 치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높이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에 힘을 가해 상기 하우징을 올리게 되면 제1래칫(113)은 제1폴(120)이 하부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므로 상기 하우징은 제1폴(120)에 대해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낮추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버튼부(137)를 누르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튼부(137) 및 전달부(131)는 제1폴(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이동된 전달부(131)는 제1폴(120)의 제2돌출부(123)를 누르게 되어 제1폴(1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로 인해, 제1폴(120)은 제1래칫(113)으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버튼부(137)를 누르는 힘을 제거하게 되면, 수축되었던 제3스프링(136, 135)가 복귀 되면서 버튼부(137) 및 전달부(131)를 원래 상태로 이동시킨다.
이로 인해, 제1폴(120)을 누르던 힘이 없어지게 되므로 제1폴(120)은 제1스프링(150)에 의해 제1래칫(113)에 치합된다.
이와 같이 상하이동부(100)를 통해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레스트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전후이동부(200)는 상기 헤드레스트를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이동부(200)는 상부링크(210)와 상기 상부링크(21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링크(220)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210) 및 상기 하부링크(220)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는 제2래칫(260)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래칫(260)에 치합되는 제2폴(270)과, 일단은 상기 제2폴(270)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2폴(270)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280)을 포함한다.
상부링크(21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측판(211, 213)과 양쪽의 측판(211, 213) 상단에 연결되는 연결판(212)을 포함한다.
양쪽 측판(211, 213)에는 상기 연결링크가 설치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일측 측판(211)에는 제2래칫(271)이 설치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또한, 일측 측판(211)에는 제2스프링(280)의 타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 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링크(210)는 스테이로드(300)의 수평프레임 하부에 설치된다.
하부링크(220)는 두개의 분할된 판으로 구비된다.
하부링크(220)의 두개의 분할판은 장공(172)에 각각 삽입된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링크(220) 전단에는 연결프레임(140)의 절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221)이 각각 형성된다.
이로 인해, 상하이동부(100)는 하부링크(220)에 설치된다.
즉, 상하이동부(100)는 상기 상하부링크의 하부링크(220)에 상하부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하부링크(220)에는 상기 연결링크가 설치되는 체결공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상하부링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링크(230)와, 상기 전방링크(230)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링크(240)를 포함한다.
전방링크(23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측판(231, 233)과 양쪽의 측판(231, 233) 전단에 연결되는 연결판(232)을 포함한다.
양쪽의 측판(231, 233)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링크(210)와 하부링크(2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다.
일측 측판(231)에는 제2래칫(260)이 설치되는 체결공(234)이 형성된다.
후방링크(240)는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쪽의 측판(241, 243)과 양쪽의 측판(241, 243) 후단에 연결되는 연결판(242)을 포함한다.
양쪽의 측판(241, 243)의 상부 및 하부에는 상부링크(210)와 하부링크(220)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도록 체결공이 형성된다.
제2폴(270)은 하부에 제1돌출부(271)가 형성되고, 상부링크(210)의 일측 측판(211)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2폴(270)에는 제2스프링(280)의 일단이 삽입되는 삽입공이 형성된다.
제2래칫(260)은 제2폴(270)의 하부에 배치되도록 전후방향으로 전방링크(230)에 설치된다.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칫(260)에서 전방링크(230)에 체결되는 체결돌기(267)는 후단보다 전단에 가깝도록 전방으로 치우치게 배치된다.
제2래칫(260)의 기어이는 제2래칫(260)에 대해 제2폴(271)이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허용하고, 제2래칫(260)에 대해 제2폴(271)이 전방으로 이동하는 것은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제2래칫(260)의 기어이가 홀수단(미도시)이면 1단과 2단 사이 거리가 2단과 상기 2단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3단 사이 거리보다 넓으며, 도 15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래칫(260)의 기어이가 짝수단이면 1단(263)과 2단(264) 사이 거리가 상기 2단(264)보다 후방에 배치되는 3단(265)과 4단(266) 사이의 거리보다 넓다. 본 실시예에서는 1단(263)과 2단(264)의 폭이 3단(265)과 4단(266)의 폭보다 넓은 것으로 예를 들었으나, 이와는 다르게 1단(263)이 2단(264),3단(265),4단(266)의 폭보다 넓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1단(263), 2단(264), 3단(265), 4단(266)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1단(263)은 상기 2단(264)보다 헤드레스트의 전방에 근접하도록 배치된다. 즉, 2단(264)은 1단(263)보다 후방에 배치되며, 3단(265)은 2단(264)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4단(266)은 3단(265)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제2래칫(260)의 기어이가 형성되어 최후방에서 전방으로 이동될 때 초반에 후반보다 더 많이 이동되어 비상상황에 더욱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제2래칫(260)은 기어이의 전방과 후방에 제1돌출부(261)와 제2돌출부(262)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링크(210)에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링크(240)에 타단이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250)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전후이동부(200)의 동작에 대해서 이하에서 설명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메인 스프링(250)의 탄성력보다 더 큰힘으로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전방으로 밀어주게 되면,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래칫(260) 및 하부링크(220)는 제2폴(270)에 대해 전방으로 이동된다.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현재상태보다 후방으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헤드레스트를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전방으로까지 밀어주게 되면, 제2폴(270)은 제2래칫(260)의 제2돌출부(262)에 의해 회전되어 제2폴(270)과 제2래칫(260)의 치합은 해제된다.
이때, 메인 스프링(250)의 탄성력에 의해 제2래칫(260) 및 하부링크(220)는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헤드레스트가 최후방까지 오게 되면 제2폴(270)은 제1돌출부(261)에 의해 회전되어 제2래칫(260)에 치합되게 된다. 이때 제2스프링(280)은 제2폴(270)을 탄성력을 통해 눌러주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까지 헤드레스트를 다시 전방으로 밀어주면 된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는 전후이동부(200)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이동부(100)와 전후이동부(200)가 동시에 구비되어 헤드레스트를 상하부 및 전후방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하이동부(100)와 전후이동부(200)가 동시에 구비된 것을 예로 들었으나,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프레임(140')에 전후이동부(200)를 연결하지 않고 연결프레임(140')을 스테이로드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하이동부(100) 단독으로도 사용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는, 특히, 상하방향 및 전후방향 이동이 가능한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에 적합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배면 분리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전면 분리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상하이동부 배면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1에서 전방하우징을 제외시킨 헤드레스트 이동장치의 정면 결합도.
도 5는 도 1의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정면 결합사시도.
도 6은 제1폴과 제1래칫이 치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7은 누름부로 인해 제1폴과 제1래칫의 치합이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도 9는 도 8보다 상하이동부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0은 도 9보다 상하이동부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1은 도 10보다 상하이동부가 상부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12는 도 1의 전후이동부 배면 분리사시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에서 후방하우징을 제외시킨 배면 결합사시도.
도 14는 도 1의 배면 결합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하부링크가 최후방에 배치된 상태에 있을 때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16은 도 15보다 하부링크가 전방으로 이동된 상태에 있을 때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17은 본 발명의 하부링크가 최전방에 배치된 상태에 있을 때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측면도 및 일부 확대도.
도 1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하이동부 분리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상하이동부 110 : 전방하우징
111 : 체결후크 112 : 체결돌기
113 : 제1래칫 114 : 스프링안착부
115 : 가이드홈 116 : 체결홈
117 : 스프링지지부 118 : 지지부
120 : 제1폴
121 : 회전축 122 : 제1돌출부
123 : 제2돌출부 130 : 누름부
131 : 전달부 132 : 체결돌기
133, 138 : 끼움홈 134 : 돌출부
135, 136 : 제3스프링 137 : 버튼부
139 : 가이드돌기 140, 140' : 연결프레임
150 : 제1스프링 160 : 브라켓
170 : 후방하우징 171 : 체결공
172 : 장공 200 : 전후이동부
210 : 상부링크 211, 213 : 측판
212 : 연결판 220 : 하부링크
221 : 삽입홈 230 : 전방링크
231, 233 : 측판 234 : 래칫체결공
240 : 후방링크 241, 243 : 측판
242 : 연결판 250 : 메인스프링
260 : 제2래칫 261 : 제1돌출부
262 : 제2돌출부 263 : 1단
264 : 2단 265 : 3단
266 : 4단 270 : 제2폴
271 : 제1돌출부 280 : 제2스프링
300 : 스테이로드

Claims (3)

  1. 삭제
  2.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래칫;
    상기 제1래칫에 치합되는 제1폴;
    상기 제1폴을 누르는 누름부;
    일단은 상기 제1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제1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1스프링을 포함하는 상하이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래칫과 상기 제1폴 중 하나는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는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에 연결되고 나머지 하나는 탑승자가 앉는 시트에 연결되며,
    상기 누름부는 버튼부와 상기 버튼부에 연결되어 상기 버튼부의 눌림을 상기 제1폴에 전달하는 전달부와 상기 누름부를 원상태로 복귀시키는 제3스프링을 포함하고,
    스테이로드에 설치되는 상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폴에 연결되는 하부링크를 포함하는 상하부링크와, 상기 상부링크 및 상기 하부링크에 각각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와 상기 연결링크 중 하나에 설치되며 전후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래칫과 나머지 하나에 설치되어 상기 제2래칫에 치합되는 제2폴과, 일단은 상기 제2폴에 설치되며, 타단은 상기 상기 제2폴이 설치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제2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하이동부는 상기 하부링크에 설치되며,
    상기 제2래칫의 기어이가 홀수단이면 1단과 2단 사이 거리가 2단과 3단 사이 거리보다 넓으며, 상기 제2래칫의 기어이가 짝수단이면 1단과 2단 사이 거리가 3단과 4단 사이의 거리보다 넓으며,
    상기 1단, 2단, 3단, 4단은 순차적으로 배치되며, 상기 1단은 상기 2단보다 상기 헤드레스트의 전방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링크는 상기 상하부링크의 전방에 배치되는 전방링크와, 상기 상하부링크 후방에 배치되는 후방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제2폴은 상기 상부링크에 회동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제2래칫은 상기 전방링크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링크에 일단이 설치되고, 상기 후방링크에 타단이 설치되는 메인 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0090048643A 2009-06-02 2009-06-02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108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43A KR101108272B1 (ko) 2009-06-02 2009-06-02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643A KR101108272B1 (ko) 2009-06-02 2009-06-02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01A KR20100130001A (ko) 2010-12-10
KR101108272B1 true KR101108272B1 (ko) 2012-01-31

Family

ID=43506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643A KR101108272B1 (ko) 2009-06-02 2009-06-02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82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2816B1 (ko) * 2019-02-01 2019-02-27 주식회사 현대공업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의 전후방 위치 조절장치
EP3988389A1 (en) * 2020-10-22 2022-04-27 Windsor Machine and Stamping (2009) Ltd. Headrest assembly with slidable ratchet mechanis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838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JP2000060678A (ja) 1998-08-26 2000-02-29 Nissan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JP2001054439A (ja) * 1999-08-19 2001-02-27 Uchida Yoko Co Ltd ヘッドレスト上下動機構
KR20040089410A (ko) * 2003-04-14 2004-10-21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36838A (ko) * 1995-12-29 1997-07-22 김태구 차량의 헤드레스트 높이 조절 장치
JP2000060678A (ja) 1998-08-26 2000-02-29 Nissan Motor Co Ltd ヘッドレスト位置調整装置
JP2001054439A (ja) * 1999-08-19 2001-02-27 Uchida Yoko Co Ltd ヘッドレスト上下動機構
KR20040089410A (ko) * 2003-04-14 2004-10-21 정해일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001A (ko) 2010-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0607B2 (en) Vehicle seat
EP1697161B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floor rail for lateral seat shuttling
EP1914111B1 (en) Connection mechanism for headrest of vehicle seat
KR101796186B1 (ko) 위치 조절형 자동차 시트 받침대
US8517471B2 (en) Seat assembly having a moveable head restraint
US9045060B2 (en) Vehicular slide rail device
US9789789B2 (en) Vehicular seat
KR101081926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105386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EP2902254A1 (en) Head rest
KR10110827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KR20200000622A (ko) 차량용 시트 이동 장치
JP2011105239A (ja) 車両用シート
KR101144870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KR101834322B1 (ko) 시트레일장치 및 이를 갖춘 차량시트조립체
KR101168714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4431480B2 (ja) ヘッドレスト
KR102242928B1 (ko) 차량용 시트 리클라이너 장치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JP2021066437A (ja) 車両用シート
JP2004122919A (ja) 座席を前後左右に移動可能にする機構
KR101916916B1 (ko) 헤드레스트 폴딩장치
KR20080069200A (ko) 차량 시트 레일의 잠금 기구
KR10157807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