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05106A -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05106A
KR19990005106A KR1019970029267A KR19970029267A KR19990005106A KR 19990005106 A KR19990005106 A KR 19990005106A KR 1019970029267 A KR1019970029267 A KR 1019970029267A KR 19970029267 A KR19970029267 A KR 19970029267A KR 19990005106 A KR19990005106 A KR 1999000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ack
locking
locking plate
seat
sea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92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규호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292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05106A/ko
Publication of KR1999000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5106A/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는 자동차 플로어판넬(1)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쿠션(10)과, 상기 시트쿠션(10)의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시트쿠션(10)상에 접히도록 된 시트백(20)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20)과 함께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원호상의 하단부에 제 1톱니부(32)가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30)과, 상기 시트백(20)을 항상 시트쿠션(10)상에 접혀지도록 하는 회전수단과,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1톱니부(32)와 간섭하여 상기 시트백(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 플레이트(40)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40)가 브래킷(30)과 간섭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코일 스프링(50)과, 상기 록킹 플레이트(40)를 록킹해제위치로 회전시키는 록킹해제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트렁크룸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만으로도 리어시트백을 접을 수 있도록하여 시트백을 수동으로 접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에는 크고 작은 화물들을 보관할 수 있는 곳이 여러군데 마련되어 있다. 즉, 비교적 큰 화물들을 보관할 수 있고 자동차의 외부에서 화물을 인출할 수 있는 트렁크룸과 비교적 작고, 가벼운 화물들을 보관하며, 자동차의 실내에서 운전자와 승객이 자주 사용하는 물건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글러브박스가 있다. 또한, 화물의 크기가 크거나 길이가 길어 트렁크에 보관하지 못할 경우에는 루프캐리어를 설치하여 보관하거나 자동차의 리어시트를 접이식으로 함으로써, 자동차의 실내와 트렁크룸을 연통하게하여 길이가 긴 화물을 보관토록 하였다.
본 발명은 접이식 리어시트에 관한 것으로 도 1을 참고로하여 종래의 접이식 리어시트의 구성을 살펴보면, 자동차 뒷좌석의 시트쿠션(10)은 자동차 플로어판넬(1)에 고정되어 있으며, 시트백(20)은 시트쿠션(10)의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시트쿠션(10)상에 접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 시트백(20)과 백판넬 셀프(3)에는 버튼(22)에 의해 작동하는 로커와 스트라이커로 구성된 록킹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는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의 사용방법을 살펴보면 우선, 사용자가 자동차의 실내에 들어가 버튼(22)을 작동시켜 시트백(20)을 시트쿠션(10)상에 접어 자동차 실내와 트렁크룸을 연통시킨 후, 자동차 외부로나와 트렁크룸에서 화물(H)을 적재하면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접이식 리어시트는 길이가 긴 화물의 적재시에는 자동차의 실내에서 록킹해제장치를 작동시켜 시트백을 수동으로 접은 후에 자동차의 외부로나와 화물을 적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트렁크룸에서 리어시트를 접을 수 있도록하여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켜 주기위한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자동차 후부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의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자동차 후부의 측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의 요부 구성을 나타내는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브래킷 32: 제 1톱니부
40: 록킹 플레이트 42: 제 2톱니부
50: 코일 스프링 52: 걸림핀
60: 태엽 스프링 62: 힌지축
64: 돌기 70: 레버
72: 돌출편 74: 케이블
80: 손잡이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플로어판넬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쿠션과, 상기 시트쿠션의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시트쿠션상에 접히도록 되어있는 시트백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과 함께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원호상의 하단부에 제 1톱니부가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과, 상기 시트백을 항상 시트쿠션상에 접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수단과,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1톱니부와 간섭하여 상기 시트백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 플레이트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브래킷과 간섭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코일 스프링과, 상기 록킹 플레이트를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회전시키는 록킹해제수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자동차 후부의 측단면도로서, 자동차 뒷좌석의 시트쿠션(10)은 플로어판넬(1)에 고정설치되어 있고, 시트백(20)은 시트쿠션(10)의 일측에 힌지결합되어 있으며, 힌지부에는 트렁크룸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70)의 작동에 의해 시트백(20)을 록킹시키고 또한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 및 록킹해제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도 3을 참고로하여 본 실시예의 전체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면, 먼저, 시트백(20)에는 시트백(20)과 함께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브래킷(30)이 고정되어 있다. 브래킷(30)의 하단부는 원호상(圓弧狀)이며, 제 1톱니부(32)가 형성되어 있고, 힌지축(62)에 인접하여 소정의 위치에 돌기(6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축(64)에는 태엽스프링(60)이 설치되어 있다. 태엽스프링(60)은 브래킷(30)을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 힌지축(62)에 끼워지며, 일단이 브래킷(30)에 형성된 돌기(64)에 지지되며, 타단은 힌지축(62)에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브래킷(30)에 형성된 제 1톱니부(32)와 치합되는 제 2톱니부(42)가 형성되어 있으며, 일측에 돌출편(72)이 형성되어 있는 록킹 플레이트(40)가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록킹 플레이트(40)는 제 1톱니부(32)와 제 2톱니부(42)가 치합되는 록킹위치와, 제 1톱니부(32)에서 제 2톱니부가(42)가 서로 이격되어 록킹이 해제되는 록킹해제위치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제 1톱니부(32)와 제 2톱니부(42)는 래칫기어 형상을하여 브래킷(30)이 일측방향 즉, 시트백(20)이 시트쿠션(10)에 접히는 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록킹 플레이트(40)와 브래킷(30)에는 걸림핀(52)들이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걸림핀(52)들에 양단이 지지된 코일스프링(50)이 설치되어 있어서 항상 제 1톱니부(32)와 제 2톱니부(42)가 치합되도록 하였다.
레버(70)는 트렁크 룸에 설치되며, 록킹 플레이트(4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72)과 케이블(74)의 와이어(76)로 연결되어 있어서 레버(70)의 작동에따라 록킹 플레이트(40)가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회전된다.
한편, 리어 시트백(20)은 좌,우측으로 양분되어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를 좌,우측 시트백(20)에 각각 설치하여 좌측 시트백과 우측 시트백이 각기 따로 록킹되며 또는 록킹이 해제되도록 하였다.
지금부터는, 도 4를 참고로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의 상술한 구성에 의거한 작동을 설명한다.
도 4는 시트백(20)이 시트쿠션(10)에 접혀지는 상태로서, 록킹 플레이트(40)에 형성되어 있는 제 2톱니부(42)가 브래킷(30)에 형성되어 있는 제 1톱니부(32)에서 이격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자동차용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먼저, 트렁크 룸을 개방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레버(70)을 잡아 당기면 돌출편(72)과 연결된 케이블(74)의 와이어(76)가 당겨지고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래킷(30)의 제 1톱니부(32)에 치합되어 있는 록킹 플레이트(40)의 제 2톱니부(42)가 제 1톱니부(32)로부터 이탈한다. 이에따라, 브래킷(30)은 록킹이 해제되므로 태엽스프링(60)의 탄성력에 의하여 시트백(20)과 함께 시트쿠션상으로 접히게 된다. 그 후, 사용자는 길이가 긴 화물(H)을 트렁크 룸에서 자동차의 실내로 관통하여 보관하는 것이다.
화물 하역후, 시트백(20)을 세울 때에는 상기 시트백(20)의 후면에 형성되어 있는 손잡이(80)를 잡아당기면 브래킷(30)의 제 1톱니부(32)가 록킹 플레이트(40)의 제 2톱니부(42)상면을 미끄러짐에따라 시트백(20)이 세워지며, 시트백(20)의 후면이 백판넬 셀프(3)에 닿으면, 제 1톱니부(32)와 제 2톱니부(42)가 치합되어 록킹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는 트렁크룸에 설치된 레버의 작동만으로도 리어시트백을 접을 수 있도록하여 시트백을 수동으로 접어야하는 불편함을 해소하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증대시켜 주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자동차 플로어판넬(1)에 고정되어 있는 시트쿠션(10)과, 상기 시트쿠션(10)의 일측에 힌지로 연결되어 시트쿠션(10)상에 접히도록 되어있는 시트백(20)으로 구성된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20)과 함께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하며, 원호상의 하단부에 제 1톱니부(32)가 형성되어 있는 브래킷(30)과;
    상기 시트백(20)을 항상 시트쿠션(10)상에 접혀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수단과;
    힌지축(6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 1톱니부(32)와 간섭하여 상기 시트백(20)의 회전을 제한하는 록킹 플레이트(40)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40)가 브래킷(30)과 간섭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하는 코일 스프링(50)과;
    상기 록킹 플레이트(40)를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회전시키는 록킹해제수단으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일단은 힌지축(62)에 지지되며, 타단은 브래킷(30)에 형성된 돌기(64)에 지지되는 태엽스프링(60)으로 된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40)에는 상기 제 1톱니부(32)와 치합될 수 있도록 제 2톱니부(42)가 형성되어 있는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톱니부(32)와 제 2톱니부(42)가 래칫기어 형상을 하여 상기 시트백(20)이 시트쿠션(10)상으로 접히는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해제수단은 트렁크룸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70)와, 일단은 레버(70)와 연결되며 타단은 록킹 플레이트(40)에 연결되어 상기 레버(70)의 작동에 따라 록킹 플레이트(40)를 록킹위치에서 록킹해제위치로 회전시키는 케이블(74)로 이루어진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백(20)의 후면에 손잡이(80)가 형성된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KR1019970029267A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KR199900051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267A KR19990005106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9267A KR19990005106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5106A true KR19990005106A (ko) 1999-01-25

Family

ID=659881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9267A KR19990005106A (ko) 1997-06-30 1997-06-30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0510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353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353A (ko) * 2017-06-16 2018-12-27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의 시트백 숄더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94186B2 (en) Folding recliner of seat for vehicles
JP4755823B2 (ja) ダブルフォールディングシート
CN112776573A (zh) 用于车辆的滑动/转动复合门及车辆
JPH11348626A (ja) トランクスルー装置
JP456615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KR19990005106A (ko) 자동차용 접이식 리어시트백의 록킹해제장치
KR101143984B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리클라이너 작동장치
CN107985209B (zh) 用于车辆的扶手箱
KR100398102B1 (ko) 자동차용 시트 폴딩 구조
US20030122394A1 (en) Lock structure for a door panel between cargo and passenger compartments
KR20000012179U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KR100371710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KR1004227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폴딩장치
JP3656422B2 (ja) 巻取式間仕切り装置
CN113123687B (zh) 两级开启式背门
KR970002183Y1 (ko)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KR100461323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리어시트의 안전 잠금 장치
JPS6310348Y2 (ko)
JP2000229527A (ja) 自動車用シート構造
KR100424883B1 (ko) 자동차용 테일 게이트 아웃사이드 핸들장치
KR200216013Y1 (ko) 자동차의 리어시트 폴딩 브래킷구조물
JP2006062385A (ja) 乗物用シート
JP3913960B2 (ja) シートのタンブルロック機構
JPH11227564A (ja) 可倒式バックレストに組み込むベルト格納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