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183Y1 -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183Y1
KR970002183Y1 KR2019940025804U KR19940025804U KR970002183Y1 KR 970002183 Y1 KR970002183 Y1 KR 970002183Y1 KR 2019940025804 U KR2019940025804 U KR 2019940025804U KR 19940025804 U KR19940025804 U KR 19940025804U KR 970002183 Y1 KR970002183 Y1 KR 97000218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bracket
seatback
hole
seat b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58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0525U (ko
Inventor
박호종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58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183Y1/ko
Publication of KR96001052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52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18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183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4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provided with a lock mechanism on the upper part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칫과 스트라이커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록 레버 사용상태도.
제5도는 본 고안의 후크가 해제되는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리어시트 1a : 시트 쿳션
1b : 시트백 2 : 차체
10 : 래칫 11 : 브라켓
12 : 후크 12a : 통공
13 : 노브 ·14 : 록 레버
14a : 걸부 14b : 손잡이부
20 : 스트라이커 21 : 브라켓
22 : 와이어
본 고안은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히는 트렁크를 넓게 사용하고자 할 때 리어시트의 시트백 부위를 차쳬로부터 이격,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승용차에는 운전석 및 조수석으로 사용하는 프론트시트와, 승객선으로 사용하는 리어시트가 있는 바, 여기에서 프론트시트는 슬라이딩될 수 있는 구조로 차실바닥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리어시트는 시트쿳션과 시트백 부위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시킬 수 있으나, 리어시트는 시트쿳션과 시트백 부위가 차체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전·후방향으로의 이동이 불가하다.
한편, 승용차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리어시트의 후방에 트렁크가 마련되어 있으나, 승차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트렁크의 크기가 제한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피가 작은 화물은 용이하게 트렁크에 실을 수가 있으나, 부피가 큰 화물은 트렁크에 싣기 곤란한 경우가 많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리어시트에 탑승자가 없고 트렁크에 적재해야 할 화물의 크기가 큰 경우에 리어시트 부분의 공간을 활용하여 트렁크의 용적을 늘림으로써 부피가 큰 화물도 차량에 적재할 수 있는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를 제공하며, 위와 같은 것을 달성하면서도 2중의 해제구조를 제공하여 부주의에 의한 사고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시트백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힌지 고정된 후크, 상기 후크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이 후크에 일단이 연결된 노브로 이루어진 래킷과, 차체에 고정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양단이 고정된 와이어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칫의 후크가 걸림 또는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시트백을 차체에 고정 또는 차체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스트라이커를 포함하는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에 일측에 대략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통공과, 상기 브라켓의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그 일단의 걸부가 상기 통공에 이동가능하게 걸림되고, 그 타단의 손잡이부가 상기 시트백 외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손잡이부를 회동조작함에 의하여 상기 걸부가 상기 통공을 이동하면서 상기 노브의 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록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래칫과 스트라이커의 사시도이고, 제2도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승용차 리어시트백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는, 시트백(1b)에 고정되는 브라켓(11)과, 상기 브라켓(11)에 힌지 고정된 후크(12)와, 상기 후크(1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이 후크(12)에 일단이 연결된 노브(13)로 이루어진 래칫(10)을 포함하고, 차체(2)에 고정되는 브라켓(21), 상기 브라켓(21)에 양단이 고정된 와이어(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칫(10)의 후크(12)가 걸림 또는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시트백(1b)을 차체(2)에 고정 또는 차체(2)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스트라이커(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은 상기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12)의 일측에 대략 ㄴ자 형으로 형성되는 통공(12a)과, 이 통공(12)에 걸림되어 상기 후크(12)를 잠금하거나 해제하는 록 레버(1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록 레버(14)는 상기 브라켓(11)의 일측에 힌지 고정되며, 그 일단의 걸부(14a)가 상기 통공(12a)에 삽설되어 이동가능하게 걸림되고, 그 타단의 손잡이부(14b)가 상기 시트백(1b) 외측으로 돌설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손잡이부(14b) 를 회동조작함에 의하여 상기 걸부(14a)가 상기 통공(12a) 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통공(12a)의 수직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후크(12)와 노브(13)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걸부(14a)가 상기 통공(12a)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면 상기 통공(12a)의 수평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후크(12)의 회동을 잠금과 아울러 상기 노브(13)를 잠그도록 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은 트렁크이고, 4는 트렁크(3)와 차실내를 가로막는 칸막이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브(13)가 시트백(1b)상단으로 현출되게 하고, 후크(12)의 선단이 시트백(1b)의 후방으로 현출되게 하며, 록 레버(14)의 걸부(14a)를 후크(12)의 통공(12a)에 삽설하고, 록 레버(14)의 손잡이부(14b) 선단이 시트맥(1b)의 후방으로 현출되게 래칫(10)을 시트백(1b)의 후면 중앙에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래칫(10)에 대응되는 위치에 그 와이어(22)가 상기 후크(12)와 대향되도록 스트라이커(20)를 차체(2)에 설치하면 된다.
첨부도면 제3도는 본 고안의 작동상태 단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록 레버 사용상태도이며, 제5도는 본 고안의 후크가 해제되는 사용상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부피가 큰 화물을 트렁크(3)에 실을 경우에 본 고안에 따른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를 작동시켜 트렁크(3)의 용적을 넓게 확보하도록 함과 아울러 그 해제가 2중 작동되도록 하여 탑승자의 안전을 모도한 것으로, 리어시트(1)의 시트백(1b)을 해제하기 위한 동작으로 첨부도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선상으로 도시된 록 레버(14)의 걸부(14a)가 후크(12) 통공(12)의 수평부분 우측으로 치우쳐 위치하여 후크(12) 및 노브(13)를 잠그고 있는 설치상태에서 상기 록 레버(14)의 손잡이(14b)를 상향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걸부(14a)가 좌측으로 회동하여 통공(12a)의 수직부분에 위치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후크(12)가 해제됨과 아울러 상기 노브(13)의 작동이 가능하게 되는 바, 이에 첨부도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노브(13)를 하향으로 누르면 와이어(22)에 걸려 있는 후크(12)의 선단이 상향으로 회전 및 해제되어 래칫(10)과 스트라이커(20)를 분리함으로 시트백(1b)을 체제(2)로부터 분리하여 앞쪽으로 접을 수 있게 된다.
상기한 상태에서는 록 레버(14)의 걸부(14a)가 후크(12)의 통공(12a) 수직부분에 걸려 있으므로 록 레버(14)를 움직일 수 없는 상태가 되며, 특히 전술한 해제 동작에 있어서 록 레버(14)를 상향회동시키지 않으면 노브(13)의 작동이 불가하므로 어린이가 장난으로 상기 노브(13)를 당겨도 시트백(1b)이 차체(2)로부터 해제될 염려가 없고, 부주의에 의해서도 마찬가지의 효과를 발생하므로 주행중 시트백(1b) 분리로 야기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트백(1b)을 앞쪽으로 접은 다음 차실과 트렁크(3)를 가로막고 있는 칸막이(4)를 해체하면 차실과 트렁크(3)가 연통되게 되므로, 부피가 큰 물품을 트렁크(3)를 포함하여 리어시트(1)가 있는 공간까지 밀어 넣어 적재할 수 있다.
한편, 리어시트(1)가 있는 차실을 사용하지 않고 통상의 사용방법대로 리어시트(1)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의 동작으로는 시트백(1b)을 원상태로 세운 다음 노브(13)를 위로 당기면 된다. 그러면 후크(12)가 제5도의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록 베러(14)의 걸부(14a)가 후크(12)의 수직 통공(12a)으로부터 해제되고 그 자중에 의하여 하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상기 후크(12) 선단이 하향으로 회전되어 와이어(22)에 걸리게 되므로 래칫(10)이 스트라이커(20)에 구속되어 리어시트(1)의 시트백(1b)이 차체(2)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리어시트의 시트백을 차체에 고정시키거나 시트쿳션측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차실의 일부를 화물을 적재하는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으므로 승용차를 이용하여 부피가 큰 화물 및 다량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한편 특히, 록 레버를 조작하지 않으면 노브를 누를 수 없어 시트백이 차체로부터 해제되지 않는 소위 안전장치와 같은 2중의 해제구조를 가지므로 어린이의 장난이나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시트백이 해제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시트백(1b)에 고정되는 브라켓(11), 상기 브라켓(11)에 힌지 고정된 후크(12), 상기 후크(12)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이 후크(12)에 일단이 연결된 노브(13)로 이루어진 래킷(10)과, 차체(2)에 고정되는 브라켓(21), 상기 브라켓(21)에 양단이 고정된 와이어(22)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킷(10)의 후크(12)가 걸림 또는 해제됨에 의하여 상기 시트백(1b)을 차체(2)에 고정 또는 차체(2)로부터 해제되도록 하는 스트라이커(20)를 포함하는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에 있어서, 상기 후크(12)의 일측에 대략 ㄴ자형으로 형성되는 통공(12a)과, 상기 브라켓(11)의 일측에 힌지 고정되어 그 일단의 걸부(14a)가 상기 통공(12a)에 이동가능하게 걸림되고, 그 타단의 손잡이부(14b)가 상기 시트백(1b) 외측으로 돌설되어, 상기 손잡이부(14b)를 회동조작함에 의하여 상기 걸부(14a)가 상기 통공(12a)을 이동하면서 상기 노브(13)의 작동을 잠금 또는 해제하도록 하는 록 레버(1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KR2019940025804U 1994-09-30 1994-09-30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KR97000218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804U KR970002183Y1 (ko) 1994-09-30 1994-09-30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5804U KR970002183Y1 (ko) 1994-09-30 1994-09-30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25U KR960010525U (ko) 1996-04-12
KR970002183Y1 true KR970002183Y1 (ko) 1997-03-20

Family

ID=19394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5804U KR970002183Y1 (ko) 1994-09-30 1994-09-30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18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525U (ko) 1996-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74840B2 (en)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EP0474368B1 (en) A vehicle and split folding backrest for a seat thereof
US6302484B1 (en) Apparatus for permitting pass-through between vehicle compartment and trunk room
US2828806A (en) Latchable tilting seat back
KR970002183Y1 (ko)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JP2547846Y2 (ja) 自動車のロールバー
JPS5821781Y2 (ja) 自動車のリヤバックレスト前倒操作機構
KR100208615B1 (ko) 자동차용 뒷좌석
JPH0412825Y2 (ko)
JP2867270B2 (ja) ハッチバック車における荷物盗難防止装置
JPH09249073A (ja) 車両のラゲージスペース規定構造
JPH0249071Y2 (ko)
KR100291935B1 (ko) 트렁크룸적재물밀림방지용리어시트구조
JPH0336434Y2 (ko)
KR0160020B1 (ko)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KR20000012179U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JPS6040338Y2 (ja) キヤブオ−バ−型自動車のシ−ト構造
JPH0143944Y2 (ko)
KR100199495B1 (ko) 버스용 시트 더블폴딩장치
JPS6310987Y2 (ko)
JPH0511074Y2 (ko)
KR19980016977U (ko) 개폐식 보조뚜껑을 가진 승용차용 시이트등받이
GB2130075A (en) Arrangement for anchoring seat belts in relation to folding seats in vehicles
KR19990027521A (ko) 해치백 타입의 자동차용 리어시트
JPH11342778A (ja) 自動車の後部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