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0020B1 -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0020B1
KR0160020B1 KR1019950049906A KR19950049906A KR0160020B1 KR 0160020 B1 KR0160020 B1 KR 0160020B1 KR 1019950049906 A KR1019950049906 A KR 1019950049906A KR 19950049906 A KR19950049906 A KR 19950049906A KR 0160020 B1 KR0160020 B1 KR 0160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spring
locking
vehicle
mov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9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8379A (ko
Inventor
유효원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49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0020B1/ko
Publication of KR9700383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83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0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00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60N2/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to a position in which it can be used as a support for objects, e.g. as a tr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5/00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 B60R5/0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 B60R5/044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 B60R5/045Compartments within vehicle body primarily intended or sufficiently spacious for trunks, suit-cases, or the like arranged at rear of vehicle luggage covering means, e.g. parcel shelves collapsible or transform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차의 리어 시트백에 설치된 화물 침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리어 시트백(10) 뒷면에 좌우로 원통형의 록킹부(20)가 삽입설치되어 있고, 이 록킹부(20)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30)가 스프링(4)을 매개로 하여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이 이동부(30)의 상단부에 가로방향으로 걸치도록 화물(A)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수단(50)이 고정되어 있으되, 상기 이동부(30)의 소정위치에 걸림턱(31)이 형성되어 록킹부(20)에 형성된 걸림홈(21)에 걸리어 록킹될수 있도록 되어, 리어 시트백(10)뒤의 트렁크와 리어 시트백(10)상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화물실에 실린 화물(A)이 프론트 시트(60)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리어 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침입 방지 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침입 방지 장치의 사용상태도.
제3도는 종래의 리어 시트백에 화물을 실은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 시트백 20 : 록킹부
21 : 걸림홈 30 : 이동부
31 : 걸림턱 40 : 스프링
50 : 차단수단 51 : 수납통
52 : 차단막 53 : 태엽스프링
54 : 고리 60 : 프론트 시트
70 : 리어 셀프(rear shelf) 71 : 후크
본 발명은 차량의 리어 시트에 설치된 화물 침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어 시트백에 화물 침입 방지 장치가 설치되어 리어 시트백을 프론트 시트쪽으로 접어 화물을 실은 경우에 화물이 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리어 시트에 설치된 화물 침입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화물은 차량의 트렁크속에 싣거나 차실내에 싣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화물의 크기가 크거나 많은 양의 화물을 싣는 경우 종래에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리어 시트백(101)을 프론트 시트(102)쪽으로 접어 화물실의 공간을 넓혀 화물(A)을 리어 시트백(101)위나 리어 시트백(101)뒤에 위치하는 트렁크에 화물을 실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리어 시트백의 뒷면은 편편한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리어 시트백(101)을 접은 다음 화물실이나 리어 시트백(101) 뒷면에 화물(A)을 올려 놓고 주행중에 급제동 등을 의해 화물실의 화물(A)이 프론트 시트(102)쪽을 쏠리는 경우에, 운전석이나 조수석에 앉아 있는 탑승객을 보호하기 위해 프론트 시트백(102a)외에는 별도의 안전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 화물실의 화물(A)이 프론트 시트(102)의 탑승객으로 쏟아져 탑승객에게 상해를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리어 시트백뒷면에 화물 침입 방지를 위한 안전수단을 설치하여 화물로부터 탑승객을 보호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에 설치된 화물 침입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 시트백 뒷면의 상부에 좌우로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내측에 스프링이 내장되고 그 상부에 걸림홈이 형성된 록킹부와, 이 각각의 록킹부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턱이 구비된 이동부, 이 이동부에 의해 지지되는 수납통이 횡방향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수납통의 선단에 스프링이 구비된 차단수단, 이 차단수단의 수납통에 감겨져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펼쳐지거나 상기 태엽 스프링에 의해 되감겨질 수 있도록 된 차단막 및, 이 차단막의 타측 선단에 다수개 설치되어 차량의 리어 셀프 하부에 설치된 후크에 걸려짐으로써 차단막을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고리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운전자가 필요시에 상기 차단수단이나 차단막을 설치하여 프론트 시트 후방에 적재된 짐을 고정할 수 있게 되어, 차량 운행중에 짐이 앞으로 쏠리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어 시트백을 접은 상태에서 록킹부에 삽입되어 있는 이동부를 록킹해제하여 이동한 다음 상기 차단막을 인출하여 고리를 차량의 리어 셀프에 형성된 후크에 걸어 주면, 리어 시트백후방에 실은 화물의 전방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침임 방지 장치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침입 방지장치의 사용상태도로서, 차량의 리어 시트백(10) 뒷면에 좌우로 원통형의 록킹부(20)가 삽입설치되어 있고, 이 록킹부(20)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는 이동부(30)가 스프링(40)을 매개로 하여 삽입설치되어 있으며, 이 이동부(30)상단부에 리어 시트백(10)길이방향으로 화물(A)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수단(50)이 장착되어 있으되, 상기 이동부(30)의 소정위치에 걸림턱(31)이 형성되어 록킹부(20)에 형성된 걸림홈(21)에 걸리어 록킹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부(30)의 걸림턱(31)은 이동부(30)를 록킹부(20)에 체결고정시킬 때 이동부(30)가 록킹부(20)에 삽입됨과 동시에 록킹부(20)의 걸림홈(21)에 걸려져 고정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한편, 상기 차단수단(50)은 이동부(30)의 상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수납통(5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수납통(51)내부에 차단막(52)이 설치되어 이 수납통(51)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슬릿을 통해 밖으로 인출되도록 되어 있으되, 상기 차단막(52)의 일단은 태엽스프링(53)을 매개하여 수납통(51)내측양면에 고정되어 있고, 차단은 다수 개의 링형상의 고리(54)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화물 침입 방지 장치의 설치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어 시트백(10)을 프런트 시트백(60)쪽으로 접은 다음 상기 록킹부(20)에 록킹되어 있는 이동부(30)를 록킹해제하면 압축되어 있던 상기 스프링(40)의 복원력에 의해 이동부(30)는 상부로 이동상승하게 되고, 상기 이동부(30)상단에 고정되어 있는 수납통(51)은 화물(A)을 전방이동을 차단하는 역할을 하여 일차적으로 낮은 높이로 적재된 화물(A)의 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한편, 적재된 화물(A)의 높이가 높은 경우 상기와 같은 이동부(30)로써 차단을 하기에는 부족하므로 상기 수납통(51)에 수납되어 있는 차단막(52)을 인출하여 차단막(52)일단에 결합된 고리(54)를 차량의 리어 셀프(70)에 고정되어 있는 후크(71)에 걸어 주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단막(52)이 펼쳐져 화물(A)의 전방이동을 방지할 수가 있는 것이다.
여기서, 차단막(52)이 펼쳐지면 상기 태엽스프링(53)이 풀림에 따라 태엽스프링(53)에 복원력이 발생되어 차단막(52)을 팽팽하게 해주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펼쳐진 차단막(52)을 접을 때에는 상기 후크로부터 고리를 풀면 태엽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차단막(52)은 수납통(51)으로 수납되어 고리가 수납통(51)에 형성된 슬릿에 걸릴 때가지 감기어지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30)를 아래로 이동시켜 이동부(30)의 걸림턱(31)이 록킹부(20)에 형성된 걸림홈(21)에 걸리면 이동부(30)는 록킹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리어 시트백에 설치된 화물 침입 방지장치에 의하면, 차량이 급제동되거나 차량의 충돌등에 의해 급정거를 할 때에 화물실 혹은 리어 시트백(10)뒷면에 올려 놓은 화물(A)의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쏠리는 경우 상기 차단막(52)이나 이동부(30)상단에 리어 시트백(10)의 길이 방향으로 고정되어 있는 수납통(51)에 의하여 화물(A)의 이동이 저지되므로써, 화물(A)이 프론트 시트(60)쪽으로 넘어와 프론트 시트(60)에 앉아 있는 탑승객이 상해를 입는 것으로부터 보호할 수가 있는 것이다.
물론, 화물(A)의 전방이동이 저지되므로써 화물(A)이 차체 바닥에 낙하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리어 시트백(10) 뒷면의 상부에 좌우로 각각 설치됨과 더불어 내측에 스프링(40)이 내장되고 그 상부에 걸림홈(21)이 형성된 록킹부(20)와, 이 각각의 록킹부(2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됨과 더불어 상기 걸림홈(21)에 걸려지는 걸림턱(31)이 구비된 이동부(30), 이 이동부(30)에 의해 지지되는 수납통(51)이 횡방향으로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수납통(51)의 선단에 태엽 스프링(53)이 구비된 차단수단(50), 이 차단수단(50)의 수납통(51)에 감겨져 고정되어 필요에 따라 펼쳐지거나 상기 태엽 스프링(53)에 의해 되감겨질 수 있도록 된 차단막(52) 및 , 이 차단막(52)의 타측 선단에 다수개 설치되어 차량의 리어 셀프(70) 하부에 설치된 후크(71)에 걸려짐으로써 차단막(52)을 펼쳐진 상태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 고리(54)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리어 시트에 설치된 화물 침입 방지장치.
KR1019950049906A 1995-12-14 1995-12-14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KR0160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906A KR0160020B1 (ko) 1995-12-14 1995-12-14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9906A KR0160020B1 (ko) 1995-12-14 1995-12-14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379A KR970038379A (ko) 1997-07-24
KR0160020B1 true KR0160020B1 (ko) 1999-01-15

Family

ID=19440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9906A KR0160020B1 (ko) 1995-12-14 1995-12-14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002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40B1 (ko) * 2006-08-10 2008-02-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성능 개선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5440B1 (ko) * 2006-08-10 2008-02-20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성능 개선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8379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76283A (en) Selectively deployable vehicle knee restraint
EP3628538B1 (en) Vehicle seat and vehicle seat arrangement structure
US6183177B1 (en) Device for securing cargo
US6004084A (en) Load-securing arrangement for a loading space of a motor vehicle
CA2238044C (en) Retractable and/or removable net type cargo restraining system
US5531470A (en) Side air bag incorporated in vehicle outer armrest
US6155621A (en) Automotive roll-up partitioning system
US5911434A (en) Side impact air bag deployabl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n occupant
US6116696A (en) Interlocking detachable seat belt system
EP0700811B1 (en) A vehicle safety belt system
CA2258998A1 (en) Side impact air bag deployable between a vehicle body and an occupant
JPH09249089A (ja) エアバッグ装置
US3993328A (en) Vehicle door mounted continuous loop system
EP0942848B1 (en) Load restraint system and a method of restraining load
KR0160020B1 (ko)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된 화물 차단 장치
US3895822A (en) Safety device
US5755235A (en) Prisoner restraint apparatus for a law enforcement vehicle
JPH0585304A (ja) 自動車のシ−トベルト構造
EP0970850B1 (en) Retractable partitioning system for vehicle
US4203618A (en) Passive occupant restraint system
JPH0737810U (ja) 自動車の荷物カバーの取付構造
KR970002183Y1 (ko) 승용차 리어시트의 시트백 고정 및 해제장치
WO2021121007A1 (en) A cargo divider for arrangement between a first vehicle seat backrest and an adjacent second vehicle seat backrest and a vehicle seat
US20070267849A1 (en) Safety Device for a Vehicle
US5462310A (en) Seat belt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