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1710B1 -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1710B1
KR100371710B1 KR10-2000-0073903A KR20000073903A KR100371710B1 KR 100371710 B1 KR100371710 B1 KR 100371710B1 KR 20000073903 A KR20000073903 A KR 20000073903A KR 100371710 B1 KR100371710 B1 KR 1003717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interference
seat
link
folding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39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4487A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739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1710B1/ko
Publication of KR200200444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44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17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17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6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longitudin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시트 쿠션이 앞쪽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시트 백이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앞쪽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시트 백의 헤드레이스와 간섭을 받는 부위가 일부 분리되어 간섭 쿠션이 형성되고, 이 간섭 쿠션은 상기 시트 백의 회전으로 헤드 레스트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간섭으로 잠금/해제 가능한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간섭 쿠션의 회전 중심이 되는 후부에 장착되어 헤드 레스트의 회전 간섭을 받아 작동되는 작동링크와,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쿠션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항상 잠금위치에 오도록 간섭 쿠션 내부에 설치된 후크부와, 이 작동링크와 후크부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Folding structure of rear seat for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 시트의 듀얼 폴딩시 헤드 레스트를 탈거하지 않고도 폴딩이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리어 시트는, 첨부도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쿠션(10)과 시트 백(20)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쿠션(10)은 앞쪽이 차체(100)에 힌지고정되고 뒷쪽이 차체에 스트라이커 등으로 고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시트 백(20)은 하부가 차체(100)에 힌지 고정되고 그 상부에 미도시된 고정 수단이 구비되어 시계방향으로 회동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리어 시트는 쿠션(10)을 후부의 잠금수단을 해제시켜 앞쪽으로 세우고, 헤드 레스트(21)를 탈거한 시트 백(20)을 앞쪽으로 젖혀 화물 적재를 위한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리어 시트는 적재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헤드 레스트를 탈거하여 사용하고 다시 원래 위치로 되돌릴 대에 다시 장착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에 번거로움이 있고, 특히 시트 백으로부터 탈거한 헤드 레스트를 마땅하게 보관할 곳이 없어 분실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시트 쿠션이 앞쪽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시트 백이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앞쪽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시트 백의 헤드레이스와 간섭을 받는 부위가 일부 분리되어 간섭 쿠션이 형성되고, 이 간섭 쿠션은 상기 시트 백의 회전으로 헤드 레스트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간섭으로 잠금/해제 가능한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상기 고정수단은 간섭 쿠션의 회전 중심이 되는 후부에 장착되어 헤드 레스트의 회전 간섭을 받아 작동되는 작동링크와,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쿠션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항상 잠금위치에 오도록 간섭 쿠션 내부에 설치된 후크부와, 이 작동링크와 후크부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링크는 연결링크에 연결되고 일면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간섭 쿠션의 힌지축에 힌지고정된 작동부와, 이 작동부의 힌지부위에 일체로 힌지고정되어 헤드 레스트와의 회전 간섭으로 상기 스토퍼에 걸려 작동부를 한방향으로만 작동시켜 주는 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를 보여주는 개략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에 따르는 폴딩 구조를 적용한 리어 시트의 사용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작동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트 쿠션 11 : 간섭쿠션
20 : 시트 백 21 : 헤드 레스트
30 : 고정수단 31 : 작동링크
32 : 후크부 33 : 연결링크
34 : 작동부 35 : 노브
36 : 스토퍼 37 : 복원스프링
100 : 차체 110 : 스트라이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로, 도면부호 10은 시트 쿠션을, 20은 시트 백을, 100은 차체를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하물 적재시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리어 시트를 접어서 사용하는 폴딩구조, 특히 시트 쿠션(10)과 시트 백(20)이 분리되어 있으면서 이 시트 쿠션(10)을 차체(100)의 전면으로 폴딩시키고 나서 다시 시트 백(20)을 앞으로 폴딩하는 구조로 이루어진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상기 시트 백(20)을 폴딩시킬 때에 헤드 레스트(21)를 탈거하지 않고서 2중으로 폴딩시킬 수 있도록 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상기 시트 쿠션(10)에는 헤드 레스트(21)와 간섭을 받는 부분에 대해서 일부 절개하여 간섭 쿠션(11)을 형성하고, 이 간섭 쿠션(11)이 시트 쿠션(10)의 후부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시트 쿠션(10) 상에 힌지로 고정하여 사용하게 된다.
여기서, 첨부도면 도 2 내지 도 3c에서 도시한 도면에서는 상기 시트 쿠션(10)과 시트 백(20)을 독자적으로 회전시켜 주기 위한 폴딩 구조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았으며, 이때의 폴딩 구조는 종래의 폴딩 구조를 그대로 사용하게 된다.
이때, 상기 간섭 쿠션(11)은 쿠션(10)이 차체(100)에 고정된 상태에 있을 때에는 이 쿠션(10)에 같이 고정되며, 상기 쿠션(10)이 앞쪽을 중심으로 폴딩 위치에 있게 되면 헤드 레스트(21)에 의해 간섭을 받아 잠금이 해제되도록 고정수단(3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30)은 간섭쿠션(11)의 힌지축 상에 설치되어 헤드 레스트(21)와 회전 간섭을 일으켜 주는 작동링크(31)와, 이 작동링크에 의해 차체(100)에 고정된 스트라이커(110)로부터 잠금 해제되어 간섭쿠션(11)이 회동 가능하도록 해 주는 후크부(32)와, 상기 작동링크(31)와 후크부(32)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링크(33)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상기 작동링크(31)는 간섭쿠션(11)의 힌지축에 힌지고정되고 일면에 스토퍼(36)가 형성된 작동부(34)와, 이 힌지축에 같이 힌지고정되어 헤드 레스트(21)의 회전 간섭에 의해 상기 작동부(34)를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시켜 주는 노브(35)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노브(35)는 시트 쿠션(10)이 첨부도면 도 3a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으로 회전 상태에서 시트 백(20)을 앞쪽으로 폴딩시키게 되면 헤드 레스트(21)에 의해 첨부도면 도 3b에서와 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되며, 이때 상기 작동부(34)는 노브(35)와 회전 간섭을 받도록 설치된 스토퍼(36)에 의해 시계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물론, 상기 노브(36)는 후술하는 연결링크(33)에 의해 탄성지지를 받아 헤드 레스트(21)와의 회전 간섭이 없어지게 되면 작동부(34)와 함께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 가게 된다.
한편, 상기 작동링크(31)의 단부에는 막대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결링크(33)에 의해 작동되는 후크부(32)가 힌지고정되어 있으며, 이 후크부(32)는 상기 시트 쿠션(10)의 회전 중심이 되는 전부의 힌지축상에 오도록 차체(100)에 설치되는 스트라이커(110)에 항상 잠금 상태로 있게 된다.
즉, 상기 후크부(32)는 시트 쿠션(10)을 회전시키더라도 상술한 스트라이커(110)에 걸려진 상태에서 이 시트 쿠션(10)과 함께 회전하게 되며, 상기 시트 백(20)을 앞으로 젖히게 되면 헤드 레스트(21)가 노브(35)를 누르게 되는데 이때 상기 연결링크(33)에 의해 첨부도면 도 3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트라이커(110)로부터 잠금이 해제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후크부(32)는 시트 쿠션(10)에 복원스프링(37)의 탄성지지를 받아 항상 스트라이커(110)에 잠금 가능하도록 설치하게 되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잠금이 해제되고 난 다음 바로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간섭 쿠션(11)은 시트 쿠션(10)이 앞쪽으로 폴딩된 상태에서 작동링크(31)가 힌지고정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상기 노브(35)와의 간섭을 일으켰던 헤드 레스트(21)가 계속해서 아래로 회전하게 되면 이 헤드 레스트(21)가 간섭 쿠션(11)을 첨부도면 도 3c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앞쪽으로 가압하면서 폴딩이 끝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간섭쿠션(11)은 시트 쿠션(10)과 일체로 차체(100)에 고정되어 앞쪽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시트 백(20)을 앞쪽으로 폴딩시킴에 따라 헤드 레스트(21)의 간섭에 의해 하부의 후크부(32)가 스트라이커(110)로부터 잠금이 해제되고, 상기 헤드 레스트(21)가 더욱 아래로 폴딩됨에 따라 이 헤드 레스트(21)가 간섭 쿠션(11)을 가압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트 쿠션이 앞쪽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시트 백이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앞쪽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시트 백의 헤드레이스와 간섭을 받는 부위가 일부 분리되어 간섭 쿠션이 형성되고, 이 간섭 쿠션은 상기 시트 백의 회전으로 헤드 레스트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간섭으로 잠금/해제 가능한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1) 헤드 레스트를 탈거하지 않고 시트 백을 앞으로 젖힘에 따라 헤드 레스트가 간섭 쿠션을 밀어주게 되어 하물 적재시 헤드 레스트를 탈거해야 하는 불편함을 없앨 수 있게 된다.
2) 또한, 이와 같이 헤드 레스트를 탈거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하물 적재를 위해 헤드 레스트 탈거시 발생되는 분실을 막을 수 있게 되어 편리성을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시트 쿠션이 앞쪽에 형성된 힌지부를 중심으로 해서 수직으로 세워지고, 시트 백이 하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앞쪽으로 젖혀지도록 구성된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쿠션은 시트 백의 헤드레이스와 간섭을 받는 부위가 일부 분리되어 간섭 쿠션이 형성되고, 이 간섭 쿠션은 상기 시트 백의 회전으로 헤드 레스트에 의해 발생되는 회전 간섭으로 잠금/해제 가능한 고정수단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간섭 쿠션의 회전 중심이 되는 후부에 장착되어 헤드 레스트의 회전 간섭을 받아 작동되는 작동링크와, 탄성지지를 받으면서 쿠션의 전부에 위치하도록 차체에 설치된 스트라이커에 항상 잠금위치에 오도록 간섭 쿠션 내부에 설치된 후크부와, 이 작동링크와 후크부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링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링크는 연결링크에 연결되고 일면에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으면서 간섭 쿠션의 힌지축에 힌지고정된 작동부와, 이 작동부의 힌지부위에 일체로 힌지고정되어 헤드 레스트와의 회전 간섭으로 상기 스토퍼에 걸려 작동부를 한방향으로만 작동시켜 주는 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KR10-2000-0073903A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KR1003717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03A KR100371710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3903A KR100371710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87A KR20020044487A (ko) 2002-06-15
KR100371710B1 true KR100371710B1 (ko) 2003-02-11

Family

ID=27680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3903A KR100371710B1 (ko) 2000-12-06 2000-12-06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17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960B1 (ko) * 2008-02-29 2010-07-15 주식회사 지피피 케익박스
KR101603445B1 (ko) 2014-12-29 2016-03-15 현대다이모스(주) 스플릿 백 시트 팝업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4487A (ko) 2002-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0364B2 (ja) 折り畳みシートおよびこのようなシートを含む乗物
JP4755823B2 (ja) ダブルフォールディングシート
CN101462506A (zh) 用于锁定车辆的双重折叠座椅的装置
JPH11348626A (ja) トランクスルー装置
KR100371710B1 (ko) 자동차용 리어 시트의 폴딩 구조
US6659559B1 (en) Bearing
RU2381918C1 (ru) Механизм стопорения салазок автомобильных сидений
JP3847730B2 (ja) 高圧電装部品の車載構造
US6893080B2 (en) Lock structure for a door panel between cargo and passenger compartments
KR100398102B1 (ko) 자동차용 시트 폴딩 구조
CN115257372A (zh) 用于车辆的副仪表板总成和车辆
KR100422716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폴딩장치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KR20050120865A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 시트의 리클라이닝 구조
CN214689148U (zh) 一种汽车及其座椅
JPS6256810B2 (ko)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JPH0522437Y2 (ko)
JPH0531978Y2 (ko)
JP3426932B2 (ja) 脱着機構付き可倒シート構造
JPH0629107Y2 (ja) 自動車のシート構造
JPH0638745Y2 (ja) シート構造
KR100526968B1 (ko) 차량의 리어 시트 폴딩구조
KR20070004299A (ko) 자동차용 접이식 의자
JP3563305B2 (ja) 車両用ヒンジ付きシートのロック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