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4670B1 -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 Google Patents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4670B1
KR102134670B1 KR1020190053293A KR20190053293A KR102134670B1 KR 102134670 B1 KR102134670 B1 KR 102134670B1 KR 1020190053293 A KR1020190053293 A KR 1020190053293A KR 20190053293 A KR20190053293 A KR 20190053293A KR 102134670 B1 KR102134670 B1 KR 1021346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ackrest
mode
sofa
bas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2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장원
Original Assignee
조장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장원 filed Critical 조장원
Priority to KR10201900532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46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46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46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0/00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 A47C20/02Head -, foot -, or like rests for beds, sofas or the like of detachable or loose type
    • A47C20/027Back supports, e.g. for sitting in bed
    • A47C20/028Back supports, e.g. for sitting in bed with a table attached thereto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에 사용되는 소파로서, 등받이부의 일부로서 등받이부에 거치되어 있다가 필요시 인출되어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부의 일부분이 인출되어 테이블 기능을 할 수 있고, 테이블이 등받이부에 수납된 경우 등받이 기능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및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링크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Sofa with Table Can Be Spread Out}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실에 사용되는 소파로서, 등받이부의 일부로서 등받이부에 거치되어 있다가 필요시 인출되어 사용할 수 있는 테이블을 포함하는 소파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거실용 소파는 등받이가 있는 긴 의자이면서, 시트의 쿠션을 천이나 가죽 등으로 싼 형태의 의자를 의미한다. 소파는 서구화된 일상 생활에서 텔레비전 시청, 가족 모임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다.
소파의 특징 중 하나인 쿠션은, 비록 메이커의 선택에 따라 쿠셔닝 정도에서 차이가 있으나, 사무용 의자보다 풍부하게 적용된다. 쿠션의 풍부함에 의해 소파에 앉게 되는 사용자의 안락함은 크게 증가하지만, 쿠션의 출렁 거림에 의해 소파에 어떤 물건을 안정되게 올려놓기가 어려워진다. 일례로, 쏟아지기 쉬운 음식물 접시나 음료수 잔을 소파에 그대로 올려놓고 소파에 앉는 경우는 거의 없다.
이와 같은 물건들을 안정되게 놓기 위해서 소파 앞에는 물건을 놓기 위한 별도의 탁자를 함께 사용한다. 가정에서 흔히 사용되는 캐주얼 타입의 소파에 앉으면, 풍부한 쿠션에 의해 몸이 깊숙이 묻히기 때문에 탁자에 놓인 물건을 잡으려면 몸을 일으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소파의 일부분이 테이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소파의 개발이 필요하다.
소파의 일부분을 테이블로 기능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테이블이 인출된 경우 테이블을 강하게 서포트되어야 하며, 테이블이 수납된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등받이로서 기능하기 위해서는 등받이부가 강하게 서포트되어야 한다.
따라서 테이블로서 기능하는 경우와 등받이로서 기능하는 경우 모두 강하게 서포트할 수 있는 구조의 연구 개발이 시급하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일 측면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등받이부의 일부분이 인출되어 테이블 기능을 할 수 있고, 테이블이 등받이부에 수납된 경우 등받이 기능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파의 등받이부의 일부가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출된 경우 강하게 지지할 수 있고, 테이블이 등받이부에 수납된 경우에 등받이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역시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의 서포트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에 제기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에 있어서,
착좌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1 베이스프레임을 감싸는 제1 쿠션부를 가지는 시트부;
상기 착좌자가 기댈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1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베이스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베이스프레임을 감싸는 제2 쿠션부를 가지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에 수납된 경우 상기 착좌자가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로 기능하고,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인출된 경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테이블로 기능하며,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인출된 테이블모드와 상기 등받이부에 수납된 등받이모드 간에 상호 변환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 수행하여 변환되는 테이블부;를 포함하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를 제공한다.
상기 테이블부는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제2 베이스프레임상에 연결되는 링크구조를 가지되, 상기 링크구조의 운동에 의하여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링크구조의 타측에 연결되는 테이블플레이트와 상기 테이블플레이트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링크구조를 감싸는 제3 쿠션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테이블모드에서는 상기 테이블플레이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제3 쿠션부는 상기 시트부를 향하고,
상기 등받이모드에서는 상기 제3 쿠션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방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블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으로 파묻혀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링크구조는 상기 제2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2 링크와,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는 서포트프레임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블플레이트는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운동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부가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블모드에서는 상기 제2 링크의 끝단이 상기 제1 링크의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상기 테이블플레이트가 서포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받이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링크의 끝단이 상기 제2 링크의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상기 제3 쿠션부가 서포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등받이부의 일부분이 인출되어 테이블 기능을 할 수 있고, 테이블이 등받이부에 수납된 경우 등받이 기능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소파의 등받이부의 일부가 테이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인출된 경우 강하게 지지할 수 있고, 테이블이 등받이부에 수납된 경우에 등받이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역시 강하게 지지할 수 있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의 서포트 구조를 제공한다.
이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는 실시예에 따라서 우수한 범용성을 가지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며, 그러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실시예의 설명 부분에서 명확하게 확인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전술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에서 테이블부가 인출된 소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에 테이블부가 수납된 소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링크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테이블플레이트를 점선에 의하여 개념적으로 표시하였다.
도 4는 도 3의 링크구조가 등받이모드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는 설명을 위하여 도 3의 링크구조에서 테이블플레이트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모드에 있는 링크구조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모드에 있는 링크구조를 확대한 모습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에서 테이블부가 인출된 소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에 테이블부가 수납된 소파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한 쌍의 링크구조를 나타낸다. 여기서 테이블플레이트를 점선에 의하여 개념적으로 표시하였다. 도 3(a)는 일측에 위치한 링크구조이고 도 3(b)는 타측에 위치한 링크구조이다.
도 4는 도 3의 링크구조가 등받이모드에 위치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4(a)는 일측에 위치한 링크구조이고 도 4(b)는 타측에 위치한 링크구조이다.
도 5는 설명을 위하여 도 3의 링크구조에서 테이블플레이트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5(a)는 일측에 위치한 링크구조이고 도 5(b)는 타측에 위치한 링크구조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모드에 있는 링크구조를 확대한 모습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모드에 있는 링크구조를 확대한 모습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100)는 착좌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1 베이스프레임을 감싸는 제1 쿠션부를 가지는 시트부(130);
상기 착좌자가 기댈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시트부(130)의 상기 제1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베이스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베이스프레임을 감싸는 제2 쿠션부를 가지는 등받이부(140); 및
상기 등받이부(140)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140)에 수납된 경우 상기 착좌자가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로 기능하고, 상기 등받이부(140)로부터 인출된 경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테이블로 기능하며, 상기 등받이부(140)로부터 인출된 테이블모드와 상기 등받이부(140)에 수납된 등받이모드 간에 상호 변환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 수행하여 변환되는 테이블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40)의 상단에는 헤드레스트(110)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100)는 복수의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2개 또는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테이블이 수납되는 등받이부(140)를 포함하는 섹션은 그 중에 하나 또는 2개 이상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3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며 그 중에서 가운데 섹션에서 테이블부(120)가 인출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착좌자는 테이블부(120)가 없는 섹션에 앉아서 인접한 섹션의 테이블부(120)를 수동으로 인출하여 테이블로서 사용할 수 있다.
시트부(130)는 착좌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된 부분으로서 제1 베이스프레임의 외부를 제1 쿠션부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부(140)는 착좌자가 시트부(130)에 앉아서 기댈 수 있도록 마련된 부분으로서 제2 베이스프레임의 외부를 제2 쿠션부가 감싸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테이블부(120)는 일측이 등받이부(140)의 제2 베이스프레임상에 연결되는 링크구조(200)를 가지되, 링크구조(200)의 운동에 의하여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테이블부(120)는 링크구조(200)의 타측에 연결되는 테이블플레이트(121)와 테이블플레이트(121)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링크구조(200)를 감싸는 제3 쿠션부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테이블부(120)의 구성은 테이블플레이트(121)와, 제3 쿠션부와, 링크구조(2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링크구조(200)의 일부는 제2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되어 고정되고, 링크구조(200)의 나머지 부분에 의하여 테이블플레이트(121)와 제3쿠션부가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테이블부(120)가 직선운동와 회전운동을 병행한다는 의미는 테이블부(120)의 일부 구성인 링크구조(200)의 일부는 제2 베이스프레임 상에 고정 설치되고 나머지 부분이 운동하여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하는 것이다.
테이블부(120)는 등받이부(14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평상시에는 등받이부(140)에 수납되어 있다가 착좌자가 필요에 의하여 펼치면 등받이부(140)로부터 인출되어 테이블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테이블부(120)는 등받이부(140)에 수납된 경우에는 착좌자가 기대어 쉴 수 있도록 등받이부(140)의 일부로서 기능하며, 등받이부(140)로부터 인출된 경우에는 테이블로서 기능할 수 있는 것이다.
테이블부(120)는 테이블모드에서는 테이블플레이트(121)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제3 쿠션부는 상기 시트부(130)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등받이모드에서는 제3 쿠션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방을 향함과 동시에 테이블플레이트(121)가 등받이부(140)의 내측으로 파묻혀 상기 등받이부(140)를 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중 하나는 링크구조(200)에 있다. 링크구조(200)는 제2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210)과, 메인프레임(210)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크(220)와, 메인프레임(210)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2 링크(230)와, 제1 링크(220) 및 제2 링크(230)와 연결되는 서포트프레임(2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테이블플레이트(121)는 서포트프레임(240)에 고정될 수 있고, 제1 링크(220)와 제2 링크(230)와 서포트프레임(240)의 세 개의 구성의 운동에 의하여 테이블부(120)가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테이블모드에서는 제2 링크(230)의 끝단이 제1 링크(220)의 일측에 접촉하여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테이블플레이트(121)가 서포트될 수 있다. 여기서 여기서 접촉하는 부분을 제1 접촉부(252)로 명명한다.
등받이모드에서는 제1 링크(220)의 끝단이 제2 링크(230)의 일측에 접촉하여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제3 쿠션부가 서포트될 수 있다. 여기서 접촉하는 부분을 제2 접촉부(253)로 명명한다.
링크구조(200)를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메인프레임(210)은 등받이부(140)를 구성하는 제2 베이스프레임 상에 연결되어 고정되는 부재이다. 메인프레임(210)은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링크부재일 수 있으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 노드(A)와 제2 노드(B)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1 노드(A)와 제2 노드(B)는 각각 제2 베이스프레임 상에 고정된 메임프레임의 상단부와 하단부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링크(220)와 제2 링크(230)는 각각 제1 노드(A)와 제2 노드(B)에 힌지결합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210) 상에서 제1 링크(220)와 제2 링크(230)는 각각 제1 노드(A)와 제2 노드(B)에 연결되어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제1 링크(22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링크부재일 수 있으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1 노드(A)와 제3 노드(C)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링크(230) 역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링크부재일 수 있으며 일단과 타단에 각각 제2 노드(B)와 제4 노드(D)가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프레임(240)은 실시예에 따라서 사각형의 플레이트를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사각형의 플레이트 중 하나의 절곡면(242, 이를 제1 절곡면이라 한다)은 테이블플레이트(121)가 결합되는 결합부(242)가 되고 나머지 하나의 절곡면(이를 제2 절곡면이라 한다)은 서포트프레임(240)이 될 수 있다. 제2 절곡면인 서포트프레임(240)은 중앙에 센털홀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센터홀(241)을 사이에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양 모퉁이에 제3 노드(C)와 제4 노드(D)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노드(C)에는 제1 링크(220)가 힌지결합되고, 제4 링크에는 제2 링크(230)가 힌지결합되어 각각 회전운동을 할 수 있다.
테이블부(120)는 등받이부(140)에 수납되어야 하는 구성이므로 크기에 한계가 있다. 즉 크기가 작아야 한다. 따라서 테이블부(120)를 구성하는 서포트프레임(240)의 크기 역시 작아야 한다. 서포트프레임(240)을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계하는 대신에 직사각형 형상으로 설계함으로써 등받이부(140)에 수납되는 테이블부(120)의 크기에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서포트프레임(240)은 테이블플레이트(121)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서포트프레임(240)의 직사각형 형상의 중앙에 센터홀(241)을 형성하여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제3 노드(C)와 제4 노드(D)는 서포트프레임(240)을 구성하는 제2 절곡면 상에서 센털홀을 사이에 두고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3 노드(C)와 제4 노드(D)의 대각선 배치 구조는 링크구조(200)의 강성을 유지시킴과 동시에 테이블부(120)가 등받이모드에 위치할 때 테이블부(120)의 각도를 등받이부(140)의 각도와 부합하게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테이블부(120)가 등받이모드에서 테이블모드로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하면서 변환될 때 제2 링크(230)의 끝단이 제1 링크(220)의 일측에 접촉하면서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테이블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즉, 테이블모드에서 제2 링크(230)의 끝단이 제1 링크(220)의 일측에 접촉하는 구조는 테이블부(120)가 과하게 회전되지 못하게 스톱시켜 테이블모드를 설계된 각도로 유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제2 링크(230)가 접촉하는 제1 링크(220)의 일측부에는 실시예에 따라서 홈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링크(230)의 끝단이 제1 링크(220)의 홈이 형성된 부분에 안착되면서 테이블모드가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테이블부(120)가 테이블모드에서 등받이모드로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하면서 변환될 때 제1 링크(220)의 끝단이 제2 링크(230)의 일측에 접촉하면서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등받이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제2 링크(230)의 형상은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의 중앙부가 밴딩되는 밴딩부(250)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밴딩되는 방향은 밴딩돌출부(251)가 제1 링크(220)와 메인프레임(210)이 위치한 방향 즉, 내측으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링크(220)의 끝단이 제2 링크(230)의 밴딩돌출부(251)에 접촉하여 직진운동과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등받이모드가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밴딩돌출부(251)가 제1 링크(220)의 끝단과 접촉하는 부분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제2 접촉부(253)와 대응하며, 전술한 실시예의 경우보다 더욱 강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 링크(230)의 밴딩돌출부(251)에 제1 링크(220)의 끝단이
제2 링크(230)가 내측으로 밴딩되는 밴딩돌출부(251)를 가지는 형상은 소파(100)에 테이블부(120)가 설치되는 공간을 효율적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제1 링크(220)의 끝단이 제2 링크(230)의 밴딩돌출부(251)에 접촉하여 스톱되는 구조는 등받이모드에서 테이블부(120)가 착좌자의 무게를 충분히 지탱할 수 있도록 강하게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등받이모드에서는 착좌자가 편안하게 쉬기 위해 등을 기대게 되므로 착좌자의 무게를 버티기 위해서 테이블모드 보다 더욱 강성을 유지해야 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링크(220)의 끝단이 제2 링크(230)의 밴딩돌출부(251)에 접촉하여 스톱되는 구조는 이러한 효과를 달성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소파
110: 헤드레스트
120: 테이블부
121: 테이블플레이트
130: 시트부
140: 등받이부
200: 링크구조
210: 메인프레임
220: 제1 링크
230: 제2 링크
240: 서포트프레임, 제2 절곡면
241: 센터홀
242: 제1 절곡면
A: 제1 노드
B: 제2 노드
C: 제3 노드
D: 제4 노드
250: 밴딩부
251: 밴딩돌출부
252: 제1 접촉부
253: 제2 접촉부

Claims (8)

  1.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에 있어서,
    착좌자가 앉을 수 있도록 마련되고, 제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제1 베이스프레임을 감싸는 제1 쿠션부를 가지는 시트부;
    상기 착좌자가 기댈 수 있도록 마련되고, 상기 시트부의 상기 제1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제2 베이스프레임을 구비하며, 상기 제2 베이스프레임을 감싸는 제2 쿠션부를 가지는 등받이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전면에 설치되고, 상기 등받이부에 수납된 경우 상기 착좌자가 기댈 수 있도록 등받이로 기능하고,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인출된 경우 물건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테이블로 기능하며, 상기 등받이부로부터 인출된 테이블모드와 상기 등받이부에 수납된 등받이모드 간에 상호 변환시 직선운동과 회전운동을 병행 수행하여 변환되는 테이블부;
    를 포함하고,
    상기 테이블부는 일측이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제2 베이스프레임상에 연결되는 링크구조를 가지되, 상기 링크구조의 운동에 의하여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을 병행하며,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링크구조의 타측에 연결되는 테이블플레이트와 상기 테이블플레이트의 일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링크구조를 감싸는 제3 쿠션부를 가지고,
    상기 링크구조는 상기 제2 베이스프레임에 연결되는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상단부에 연결되는 제1 링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의 하단부에 연결되는 제2 링크와,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와 연결되는 서포트프레임을 가지며,
    상기 등받이모드에서는 상기 제1 링크의 끝단이 상기 제2 링크의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상기 제3 쿠션부가 서포트되고,
    상기 제2 링크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링크부재의 중앙부가 밴딩되는 밴딩부를 가지고, 상기 밴딩부가 밴딩되는 방향은 밴딩돌출부가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메인프레임이 위치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링크의 끝단이 상기 제2 링크의 상기 밴딩돌출부에 접촉하여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상기 등받이모드가 유지되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부는 상기 테이블모드에서는 상기 테이블플레이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상방향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제3 쿠션부는 상기 시트부를 향하고,
    상기 등받이모드에서는 상기 제3 쿠션부가 외부로 노출되어 전방을 향함과 동시에 상기 테이블플레이트가 상기 등받이부의 내측으로 파묻혀 상기 등받이부를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플레이트는 상기 서포트프레임에 고정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와 상기 서포트프레임의 운동에 의하여 상기 테이블부가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을 병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테이블모드에서는 상기 제2 링크의 끝단이 상기 제1 링크의 일측에 접촉하여 상기 직선운동과 상기 회전운동이 스톱되고 상기 테이블플레이트가 서포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블이 펼쳐지는 거실용 소파.
  8. 삭제
KR1020190053293A 2019-05-07 2019-05-07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KR1021346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293A KR102134670B1 (ko) 2019-05-07 2019-05-07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293A KR102134670B1 (ko) 2019-05-07 2019-05-07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4670B1 true KR102134670B1 (ko) 2020-07-16

Family

ID=71839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293A KR102134670B1 (ko) 2019-05-07 2019-05-07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46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932A (ja) * 2003-08-22 2005-03-17 Aichi Kk 折畳みテーブル付き椅子
KR20140038072A (ko) * 2012-09-20 2014-03-28 이선주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65932A (ja) * 2003-08-22 2005-03-17 Aichi Kk 折畳みテーブル付き椅子
KR20140038072A (ko) * 2012-09-20 2014-03-28 이선주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894B2 (en) Convertible seat/bed having noncoplanar bed base sections
EP0793430A1 (en) Foldable bed with collapsible sinuous springs
KR102134670B1 (ko) 테이블이 펼쳐지는 소파
JP2006174931A (ja) マルチチェア
US2996332A (en) Reclining type lounging chair having a retractable disappearing headrest
KR102168626B1 (ko) 소파의 가변 방법
US20050121949A1 (en) Sofa lovers' sofa
US3317930A (en) Bed-settees and the like
CN111990831B (zh) 婴儿座椅
KR102134676B1 (ko) 헤드레스트가 펼쳐지는 소파
US20200275771A1 (en) Folding chair having a side table
CN210748268U (zh) 一种多功能的组合沙发
KR101066241B1 (ko) 접이식 좌의자
US2931052A (en) Convertible article of furniture such as a sofa, settee and chair
ITPI20130025A1 (it) Elemento a conformazione variabile per la definizione di schienali, sponde o braccioli in divani e poltrone.
JP2023170211A (ja) ソファ型ベッドカバー
KR200429165Y1 (ko) 소파 겸용 침대
KR20160105701A (ko) 접이식 등받이와 팔걸이가 부착된 의자.
KR100596446B1 (ko) 탁자 기능 겸용 의자
CN114287768B (zh) 一种沙发靠背翻转机构
KR20190002200U (ko) 다용도 사이드 침대 테이블
KR200307441Y1 (ko) 공간확장이 가능한 소파
KR101151700B1 (ko) 분리 가능한 소파
KR950013909B1 (ko) 쇼파겸용 매트리스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