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2371B1 - 침대 겸용 의자 - Google Patents

침대 겸용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2371B1
KR101062371B1 KR1020090021857A KR20090021857A KR101062371B1 KR 101062371 B1 KR101062371 B1 KR 101062371B1 KR 1020090021857 A KR1020090021857 A KR 1020090021857A KR 20090021857 A KR20090021857 A KR 20090021857A KR 101062371 B1 KR101062371 B1 KR 101062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ir
bed
pin
lower body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3298A (ko
Inventor
연명흠
최요셉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21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2371B1/ko
Publication of KR201001032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32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2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23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2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adjustabl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5/00Furniture convertible into other kinds of furni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3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and a foot-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47C17/165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with forward tiltable back-rest, e.g. back cush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86Parts or details for beds, sofas or couches only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A47C17/02, A47C17/04, A47C17/38, A47C17/52, A47C17/64, or A47C17/84; Drawers in or under be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4Extensible bedsteads, e.g. with adjustment of length, width, heigh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1/00Details or accessories for chairs, be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e.g. upholstery fasteners, mattress protectors, stretching devices for mattress nets
    • A47C31/003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47C7/72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 A47C7/725Adaptations for incorporating lamps, radio sets, bars, telephones, ventilation, heating or cooling arrangements or the like for illumination, e.g. lam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대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지면에 지지고정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몸체에 일측이 지지되어 반전이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침대 겸용 의자는 상기 하부몸체가 지면에 지지고정된 상태에서 의자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누워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몸체를 임의의 각도로 반전시켜 침대로 활용 가능하게 하거나, 상기 하부몸체에 구비된 동력부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상부몸체를 반전시킬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원룸이나 고시원 등과 같이 의자 및 침대를 별개로 배치하기 용이하지 못한 좁은 공간에서도 본 발명으로 인하여 의자와 침대의 활용이 가능하게 되어 사용자가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의자, 침대, 패드, 쿠션

Description

침대 겸용 의자{Chair used as bed}
본 발명은 침대 겸용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좁은 공간에서도 간단한 동작에 의해 의자 또는 침대로 사용이 가능한 침대 겸용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현대인들에게 제2의 침대라 불리울 정도로 현대인들에게는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가구이다.
이러한 의자는 나무, 합성수지 또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는데, 등받이, 좌석 및 팔걸이를 기본적인 프레임으로 형성하고 그 상부에 안락함을 줄 수 있는 쿠션부재를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사용자가 쿠션부재에 의하여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그러나, 통상의 의자로는 단순히 앉아서 휴식을 취하는 데에는 별다른 불편함이 없으나, 몸을 눕혀 좀 더 편안한 자세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하기에는 구조적인 단점으로 인하여 즐거움과 휴식이 편하지 못하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근래에는 의자의 구조를 개선하여 현대인들이 침대와 같이 누워서 수면이나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의자가 많이 안출되고 있으나, 공 간이 협소한 장소에서는 사용이 불편하고 침대의 부수적인 구성물품인 베게 또는 담요 등을 별도로 비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일반 성인의 무게를 지지하기 위하여 그 구조가 복잡하다는 문제점들이 있다.
예를 들어, 등록실용신안 제0231430호(공고일자:2001년7월19일)호인 '침대 겸용 의자'의 구조를 살펴보면, 독립된 상태로 각각 구비된 다수의 쿠션부재(10,20,30)와; 이 쿠션부재(10,20,30)가 절첩될 수 있도록 각각의 쿠션부재(10,20,30)를 연결하도록 구비된 이음부재(50,54)와; 쿠션부재(10,20,30)에 대응한 다수의 프레임(72,88,92,96)으로 형성된 고정프레임(70) 및 이동프레임(9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침대 겸용 의자'는 다수의 프레임과 이음부재로 결합되어 그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의자로 사용시에 사용자가 임의의 각도로 조절할 수 없었다.
또한, 침대에서 의자로 또는 의자에서 침대로 변형시에 프레임 중의 일부가 지면에 지지된 상태로 변형 되기에 그 변형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구조가 간단하고 소정의 범위내에서 의자에서 침대로 또는 침대에서 의자로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의자로 사용시에 앉은 상태에서 360°회전이 가능하고 위치 이동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침대로 사용시에 단계별로 절첩이 가능하여 기대어 쉬거나 누워서 수면을 취하기가 용이하다.
나아가, 수면에 필요한 별도의 구성물인 베게 또는 담요 등과 같은 물품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가 구비되어 따로 보관할 필요가 없는 침대 겸용 의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고정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몸체에 일측이 지지되어 반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하부몸체를 지지 회전하는 회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하부몸체를 지지 회전하는 회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판은 상부가 개방된 절곡부가 구비되되, 상기 절곡부의 내 측에 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는 제1침대패드를 수용하며, 하부에는 결합기둥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1수납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재는 전방 양측 모서리에 관통홈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기 관통홈에는 고정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의 슬라이드공에는 발판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몸체를 가압핀에 의해 지지하되, 상기 가압핀은 제1핀과 제2핀이 격판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핀은 상기 제1핀의 하부 일측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핀 및 제2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하부몸체는 내측에 동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동력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3기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는 회동부재와 쿠션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회동부재는 등받이, 좌석판 및 팔걸이가 일체형으로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쿠션부재는 상기 회동부재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등받이는 받침돌기 및 연장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장판은 내측 에 조명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는 전부에 한쌍의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조절판이 설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조절판에는 중심공과 상기 중심공의 주위에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에는 일측에 스위치가 구비된 제어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에 의하여, 좁은 공간이나 협소한 장소에서도 의자에서 침대로 또는 침대에서 의자로 변형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의자로 사용시에, 앉은 상태에서도 회전이 가능하고 위치 이동이 쉬울 뿐만 아니라, 간단한 동작에 의해 침대 또는 의자로서의 변형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용이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대로 변형 시에는 단계별로 조절이 가능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조절하여 휴식을 취하기가 쉽게되고 별도의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수면시에 필요한 별도의 구성물을 수납하기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 관련이 없는 사항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핵 심을 흐리지 않고 명확하게 전달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정면도 및 요부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가압핀을 나타낸 A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침대 변형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의자로 사용시의 사용상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침대 사용상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100)는 크게 하부몸체(120)와 상부몸체(15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하부몸체(120)는 하부가 지면에 지지고정되는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재(121)가 설치되고, 상기 상부몸체(150)는 상기 하부몸체(12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부재(151)와 상기 회동부재(151)의 상부에 구비되는 쿠션부재(180)로 구성되게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하부몸체(120)는 지면에 지지고정되는 지지부재((110)와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회전이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부몸 체(150)가 안착되는 고정부재(12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10)는 원형 또는 사각의 판형상을 갖는 지지판(111)이 구비되되 상기 지지판(111)의 하부에는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고정되도록 지지패드(112)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판(111)의 상부에는 상부가 개방된 절곡부(113')의 내측에 베어링(114)이 구비된 원통형상의 회전판(113)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패드(112)는 지지판(111)을 지면에 안정되게 지지고정하기 위해 실리콘이나 부직포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 고정수단이 구비된 바퀴부재(115)가 상기 지지패드(112)를 대신하여 결합 함으로써, 지면에서 이동이 용이하도록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재(121)는 상기 지지부재(110)의 상부에 결합되며, 상기 지지부재(110)의 회전판(113)에 결합되도록 고정부재(121)의 하부에 형성된 결합기둥(122)이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21)의 전면에는 의자로 사용시에 발을 지지하는 발판부재(130)가 구비되며, 상기 고정부재(121)의 상부에 제1침대패드(125)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재(121)의 전방 양측에는 한쌍의 관통홈(126)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결합기둥(122)은 상기 고정부재(121)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하향되게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회전판(113)의 절곡부(113')에 끼워져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결합기둥(122)의 외경은 상기 회전판(113)의 절곡부(113') 내경이 삽입되게 형성되되 상기 절곡부(113')의 내측에 형성된 베어링(114)하부와 맞닿아 회전 가능하도록 일정한 높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발판부재(130)는 의자로 사용시에 사용자의 발을 지지하여 좀더 편안한 자세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고정부재(121)의 전면에 사각형상의 슬라이드공(123)과 상기 슬라이드공(123)의 내측으로 양측면에 형성된 로울러(124)를 이용하여 상기 고정부재(121)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슬라이드 방식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발판부재(130)는 상기 고정부재(121)의 슬라이드공(123)과 대응되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발판부재(130)의 양측면에 상기 로울러(124)와 결합되는 'ㄷ'자 형상의 가이드(131)가 구비되어 슬라이드가 용이하게 하고 상기 발판부재(130)의 전면에 손잡이(132)가 형성되어 발판부재(130)의 입출을 용이하게 하되 상기 발판부재(130)의 상부에는 사용자가 발을 지지시에 발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수개의 돌기(133)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나아가, 상기 발판부재(130)는 내측에 공간(135)을 형성하되 상기 발판부재(130)의 상부를 일부 절개하고 경첩(134)을 이용하여 개폐가 되도록 도어(136)를 형성하고 상기 도어(136)의 하부에 자석부재(138)를 구비하여 결속 및 해지가 용이하게 하여 담요(137)나 책 등을 수납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침대패드(125)는 'ㄱ'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부재(121)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부재(121)의 전면 상부에서 후면하부로 이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침대패드(125)는 절곡된 곳에 높이조절수단(미도시)을 부가하여 일측의 높이를 조절 가능하게 형성하여 침대로 사용시, 사용자가 좀 더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변형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부재(121)의 일측의 관통홈(126)에는 상기 가압핀(140)이 구비되되, 상기 가압핀(140)은 원판형상의 격판(143)을 중심으로 일측면에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아당기기 용이하게 고리(144)가 형성되고 타측면에는 제1핀(141a)과 제2핀(141b)이 일체형으로 형성된 고정핀(141)이 구비되고 상기 격판(143)과 상기 고정핀(141)의 사이에 탄성부재(142)가 결합되어 구비된다.
이때, 상기 고정핀(141)인 제1핀(141a)과 제2핀(141b)은 상기 관통홈(126)의 일측에 형성된 고정핀 삽입공(129)을 관통하여 제1조절판(161a)에 형성된 중심공(163a) 및 관통홀(164)에 각각 삽입되되, 상기 가압핀(140)에 형성된 고리(144)를 밖으로 당길 경우, 상기 제2핀(141b)이 관통홀(164)에서 해지되고 제1핀(141a)은 중심공(163a)에서 그대로 결속이 유지되어 상기 상부몸체(150)가 회동 가능하게 되며, 이 경우 상기 제1핀(141a)은 상부몸체가(150)를 하부몸체(120)에서 반전시키기 위한 축으로 사용되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몸체(150)의 전방 일측의 제1조절판(161a)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공(164)을 통하여 사용자는 상기 상부몸체(150)의 반전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홈(126)은 고정부재(121)의 전방 상부의 양측에 상기 상부몸체(150)의 제1조절판(161a) 및 제2조절판(161b)이 삽입되도록 형성되되,상기 상부몸체(150)가 전·후방으로 충분히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되게 된다.
이때, 일측의 관통홈(126) 내측에는 제2조절판(161b)의 중심공(163b)에 관통 되어 설치되는 고정바(127)가 구비되어 상기 상부몸체(150)가 반전시에 축의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고정부재(121)는 일측 또는 양측에 사용자의 소지품이나 책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제1수납함(128)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몸체(150)는 크게 회동부재(151)와 쿠션부재(180)가 서로 결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회동부재(151)는 등받이(151a), 좌석판(151b) 및 팔걸이(151c)가일체로 형성되되, 후방에서 전방으로 'ㄴ'자의 형상을 갖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등받이(151a)는 의자로 사용시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고 침대로 사용시에는 지면에 지지되는 수단으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등받이(151a)의 상부에는 침대로 사용시 지면에 지지고정이 용이하도록 받침돌기(152)가 양측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돌기(152)는 다소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를 사용하면 등받이(151a)가 지면에 부딪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등받이(151a)는 하부가 수직방향으로 하향되게 연장판(153)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부재(121)의 후면에 지지되어 더욱 견고하게 상부몸체(150)가 하부몸체(120)에 지지되게 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연장판(153)에는 사용자가 누워서도 독서를 즐길 수 있도록 조명 부재(154)가 구비되어 야간에도 독서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좌석판(151b)은 회동부재(151)의 하부에 위치하되 의자로 사용시에 사용자의 하체가 지지되고 제2침대패드(155)와 머리받침부재(156)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2침대패드(155)는 좌석판(151b)의 하부에 구비됨으로써, 의자로 사용시에는 외부로 드러나지 않게 되고, 침대로 사용시에만 외부로 드러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머리받침부재(156)는 제2침대패드(155)의 일측에 구비되어 침대로 사용시에 사용자의 베게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팔걸이(151c)는 의자로 사용시 사용자가 팔을 지지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며, 전방 하부의 양측에는 하부몸체(120)를 지점으로 회동되기 위한 제1조절판(161a)과 제2조절판(161b)이 구비되되 일측면에는 상기 제1수납함(128)과 동일한 역할을 하는 제2수납함(158)과 본 발명의 전기적인 수단을 제어하는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팔걸이(151c)는 제1조절판(161a) 및 제2조절판(161b)이 설치되며, 상기 제1조절판(161a)은 상기 팔걸이(151c)의 전방 하부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제2조절판(161b)은 제1조절판(161a)과 서로 대칭되게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조절판(161a)은 한쌍의 원판형상의 측판(162a)이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도록 형성되되, 상기 한쌍의 측판(162a)에는 제1핀(141a)에 대응되는 가이드홀(163a)이 형성되고 측판(162a)에는 가이드홀(163a)의 외측에 관통공(164) 이 다수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통공(164)은 서술한 상기 가압핀(140)의 제2핀(141b)이 결속되는 부분으로 관통공(164)에 삽입되는 제2핀(141b)의 위치에 따라 상부몸체(150)는 일정 각도로 반전되어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조절판(161b)은 상기 제1조절판(161a)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되, 제1조절판(161a)과 달리 관통공(164)을 형성하지 않을 수 있으며, 단지 상부몸체(150)가 반전 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구조이면 족하다.
즉, 상기 제2조절판(161b)은 제1조절판(161a)과 대칭되도록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어부(170)는 본 발명인 침대 겸용 의자(100)를 전기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조명부재(154)를 제어하거나 후에 설명할 동력부(19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쿠션부재(180)는 회동부재(151)와 동일하게 'ㄴ'자 형상으로 상기 회동부재(151)의 상부에 결합하게 된다.
상술한 구조의 실시예는 사용자가 수동조작을 하기위한 실시예이고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인 침대 겸용 의자(100)를 자동으로 동작하기 위한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고정부재(121)의 내측에는 모터(191), 제1기어축(192), 제1기어(193), 제2기어(195)가 구비된 동력부가 구비된다.
상기 동력부(190)는 외부 전원이 인가되어 동작되는 모터(191)와 상기 모터(191)의 축에 연결되는 제1기어축(192)에 결합되는 제1기어(193)가 구비되고, 양측이 상기 고정부재(121)에 지지되는 제2기어축(194)에 결합된 한쌍의 제2기어(195)의 일측이 제1기어(193)에 맞물려 연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기어(195)는 회동부재(151)의 하부에 지지되되 제3기어축(196)의 양측에 고정되는 제3기어(197)가 상기 제2기어(195)와 맞물려 작동하게 된다.
그러므로, 외부에서 인가된 전원을 공급받은 모터(191)는 제1기어축(192)에 연결된 제1기어(193)를 작동시키게 되고 상기 제1기어(193)는 제2기어(195)를 작동됨하게 함과 동시에 상기 제2기어(195)와 맞물린 제3기어(197)를 동작하게 하여 상부몸체(15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반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동력부(190)의 작동시에 상부몸체(150)와 하부몸체(120)가 분리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몸체(150)와 하부몸체(120)가 접하는 위치에는 단순한 힌지(미도시)구성을 설치하여 상기 동력부(190)가 작동시에 상부몸체(150)가 하부몸체(1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반전되도록 하는 것은 본 발명의 분야에 속하는 당업자라면 누구나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동력부(190)는 상부몸체(150)의 일측면에 구비된 상기 제어부(170)와 전기적인 연결을 통하여 간단한 스위치의 동작으로 동작이 가능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더 나아가, 상기 발판부재(13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전·후 이동 뿐만 아니 라, 상기 제1침대패드(124)의 높낮이 조절도 상기 제어부(170)를 통해 본 발명인 침대 겸용 의자(100)의 자동화를 실현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을 토대로 본 발명인 침대 겸용 의자(100)의 수동으로 작동시에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을 침대로 사용시를 설명하면 고정부재(121)의 일측에 구비된 가압핀(140)을 잡아당긴다.
이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핀(140)에 형성된 제2핀(141b)이 팔걸이(151c)의 하부에 구비된 제1조절판(161a)에서 이탈되되 제1핀(141a)과 상기 제2조절판(161b)의 가이드홀(163b)에 삽입된 고정바(126)를 축으로 하여 상기 상부몸체(150)가 회동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하여, 등받이(151a)의 상부에 형성된 받침돌기(152)가 지면을 향하도록 회동되게 되고 상기 받침돌기(152)가 지면에 지지되게 회동시키면 상기 상부몸체(150)의 좌석판(151b) 하부에 구비된 제2침대패드(155), 머리받침부재(156) 및 고정부재(121)의 상부에 형성된 제1침대패드(125)가 외부로 노출되어 침대의 형상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151)의 팔걸이(151c) 전면이 고정부재(121)의 전면에 접하게 되므로 별도의 결속부재가 없어도 지면에 지지고정되게 된다.
또한, 제1침대패드(125)의 절곡부를 중심으로 일측이 높이 조절됨으로써, 사 용자의 취향에 맞게 휴식이나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등받이(151a)에 형성된 연장판(153)에 구비된 조명부재(154)로 인하여 누워서 독서를 즐길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내용의 역순으로 동작을 시키면 회동부재(151)에 구비된 쿠션부재(180)가 외부로 노출되게 되어 의자(100)로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고정부재(121)의 전면에 형성된 발판부재(130)를 외부로 돌출시켜 사용자가 좀더 편안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상기 발판부재(130)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135)을 이용하여 수면이나 독서를 할시에 담요나 책 등을 수납하는 공간(135)으로 활용이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고정된 지지부재(110)의 회전판(113)을 중심으로 회전도 가능하게 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침대 겸용 의자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사이도이다.
도 3은 본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받침부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정면도 및 요부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침대로 변형시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의자로 사용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침대로 사용시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침대 겸용 의자의 동력부가 구비된 정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관한 설명]
100 : 침대 겸용 의자 110 : 지지부재
111 : 지지판 112 : 지지패드
115 : 바퀴 120 : 하부몸체
121 : 고정부재 122 : 결합기둥
125 : 제1침대패드 126 : 관통홈
127 : 고정바 128 : 제1수납함
129 : 고정핀 삽입공 130 : 발판부재
131 : 가이드 136 : 도어
140 : 가압핀 141 : 조절핀
142 : 탄성부재 143 : 격판
150 : 상부몸체 151 : 회동부재
152 : 받침돌기 153 : 연장판
154 : 조명부재 155 : 제2침대패드
156 : 머리받침부재 160 : 조절판
162a, 162b : 측판 163a, 163b : 중심공
164 : 관통공 170 : 제어부
180 : 쿠션부재 190 : 동력부

Claims (14)

  1. 지지부재와 고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고정부재는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지면에 지지고정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몸체에 일측이 지지되어 반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몸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바닥에 지지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의 상부에 하부몸체를 지지 회전하는 회전판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상부가 개방된 절곡부가 구비되되, 상기 절곡부의 내측에 베어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제1침대패드를 수용하며, 하부에는 결합기둥이 설치되고 전면에는 슬라이드공이 형성되고, 측면에는 제1수납함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전방 양측 모서리에 관통홈이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되, 상기 관통홈에는 고정핀 삽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의 슬라이드공에는 발판부재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상부몸체를 가압핀에 의해 지지하되, 상기 가압핀은 제1핀과 제2핀이 격판의 일측면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제2핀은 상기 제1핀의 하부 일측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핀 및 제2핀의 사이에는 탄성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몸체는 내측에 동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하부몸체의 내측에 구비되는 모터, 제1기어부 및 제2기어부와 상기 상부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3기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11. 지면에 지지고정되는 하부몸체와;
    상기 하부몸체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하부몸체에 일측이 지지되어 반전 가능하게 결합된 상부몸체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몸체는 등받이, 좌석판 및 팔걸이가 일체형으로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회동부재와,
    상기 회동부재를 지지하는 쿠션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는 받침돌기 및 연장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연장판은 내측에 조명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는 전부에 한쌍의 원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및 제2조절판이 설치되되, 상기 제1 및 제2조절판에는 중심공과 상기 중심공의 주위에 관통공이 다수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14. 제1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몸체에는 일측에 스위치가 구비된 제어부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겸용 의자.
KR1020090021857A 2009-03-13 2009-03-13 침대 겸용 의자 KR101062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57A KR101062371B1 (ko) 2009-03-13 2009-03-13 침대 겸용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1857A KR101062371B1 (ko) 2009-03-13 2009-03-13 침대 겸용 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98A KR20100103298A (ko) 2010-09-27
KR101062371B1 true KR101062371B1 (ko) 2011-09-05

Family

ID=4300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857A KR101062371B1 (ko) 2009-03-13 2009-03-13 침대 겸용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237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28A (ko) 2017-12-13 2019-06-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바라 방식을 적용한 의자 겸용의 노숙자용 쉘터
KR20210103171A (ko) 2020-02-13 2021-08-23 (주)햇빛부자 폴딩이 가능하고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침대겸용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698A (en) 1979-08-22 1981-10-06 J. F. Enterprises, Inc. Convertible sofa-bed with back restraining mechanism
KR200231430Y1 (ko) 2001-03-06 2001-07-19 송완수 침대 겸용 의자
US20040212236A1 (en) 2001-08-03 2004-10-28 Hale Richard John Adjustable chairs and bed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92698A (en) 1979-08-22 1981-10-06 J. F. Enterprises, Inc. Convertible sofa-bed with back restraining mechanism
KR200231430Y1 (ko) 2001-03-06 2001-07-19 송완수 침대 겸용 의자
US20040212236A1 (en) 2001-08-03 2004-10-28 Hale Richard John Adjustable chairs and bed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0628A (ko) 2017-12-13 2019-06-2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바라 방식을 적용한 의자 겸용의 노숙자용 쉘터
KR20210103171A (ko) 2020-02-13 2021-08-23 (주)햇빛부자 폴딩이 가능하고 면상발열체가 구비된 침대겸용 의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3298A (ko) 2010-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894B2 (en) Convertible seat/bed having noncoplanar bed base sections
WO2017193473A1 (zh) 可调头枕、可调理疗床头枕、可调椅背头枕及可调桌面头枕
US8997274B2 (en) Adjustable furniture apparatus
KR101062371B1 (ko) 침대 겸용 의자
TW201444548A (zh) 座椅式按摩器
KR102140343B1 (ko) 좌판 익스텐드 기능을 가진 소파
KR20080005347U (ko) 접이식쇼파겸용침대
KR20140068501A (ko) 접철식 좌식의자
KR101480285B1 (ko) 장애인용 무빙 의자
JP3609996B2 (ja) ソファー
JP3133194U (ja) 座椅子
KR200429165Y1 (ko) 소파 겸용 침대
JP2620116B2 (ja) 腰掛用家具
CN210158354U (zh) 一种多功能多变坐具
KR102384036B1 (ko) 양쪽의자
CN220141190U (zh) 一种午休椅
KR20140038072A (ko) 등받이부 및 이를 포함하는 소파
CN219422516U (zh) 一种休闲餐椅
KR200382243Y1 (ko) 소파 겸용 침대
KR200362249Y1 (ko) 다기능 쇼파
KR102438922B1 (ko) 다기능 침구
KR101062216B1 (ko) 의자
CN215076898U (zh) 一种多功能躺椅
EP2693915B1 (en) Backrest for beds, armchairs, chairs or accessory elements or household accessories or the like, or even for seats like car seats or seats for vehicles in general
KR200461608Y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좌식 책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