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8922B1 - 다기능 침구 - Google Patents

다기능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8922B1
KR102438922B1 KR1020210129461A KR20210129461A KR102438922B1 KR 102438922 B1 KR102438922 B1 KR 102438922B1 KR 1020210129461 A KR1020210129461 A KR 1020210129461A KR 20210129461 A KR20210129461 A KR 20210129461A KR 102438922 B1 KR102438922 B1 KR 1024389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frame
auxiliary
mattress member
backr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홍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광퍼니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광퍼니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광퍼니처
Priority to KR1020210129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9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9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9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7/00Sofas; Couches; Beds
    • A47C17/04Seating furniture, e.g. sofas, couches, settees, or the like, with movable parts changeable to beds; Chair beds
    • A47C17/16Seating furniture changeable to beds by tilting or pivoting the back-res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02Parts or details of bedsteads not fully covered in a single one of the following subgroups, e.g. bed rails, post rails
    • A47C19/021Bedstead fram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9/00Bedsteads
    • A47C19/12Folding bedstea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시 형성되는 침대 또는 소파의 구조적 및 외형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되도록;
상부로 쿠션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메인매트리스부재와, 바닥에 대하여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를 지지고정하도록 된 메인프레임을 가지는 메인받침수단과; 상부로 쿠션탄성력을 부여하며 연결패드를 통해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의 상부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매트리스부재와, 바닥에 대하여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를 지지고정하도록 된 보조프레임을 가지는 보조받침수단과; 쿠션탄성력을 가지는 등받이매트리스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부로 접힘 및 펼침되도록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가 지지고정되는 등받이프레임을 가지는 등받이받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기능 침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다기능 침구{A multifunctional bedding}
본 발명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거나 펼쳐 침대 또는 소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다기능 침구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노약자도 간편하고 손쉽게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다기능 침구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절첩시 형성되는 침대 또는 소파의 구조적 및 외형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다기능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는, 쿠션탄성력을 가지며 사용자가 앉거나 누워 거치하도록 된 매트리스와; 상기 매트리스를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도록 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사용자가 상기 매트리스의 상부를 통해 편안하게 휴식을 취하거나 수면을 취하도록 된 침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침대는, 재료의 개발과 생산기술의 진보로 다양한 형식의 것이 만들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실용성과 아울러 장식성을 추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침대는, 용도에 따라 일반가정용 침대, 병원용 침대, 군대용 침대, 차량침대, 계단침대, 알코브 침대, 소파겸용 침대 등이 있고, 크기에 따라서 더블 침대, 싱글, 세미더블, 어린이용, 유아용 등 그 종류가 다양하게 구비된다.
한편, 가정에서 사용자가 안락하게 눕거나 앉아 휴식 및 수면을 취하도록 된 소파는, 좌석을 구성할 때 쿠션을 부여하도록 된 침구의 하나이다.
이러한 소파는, 바닥에 대하여 높이를 가지면서 상부에 시트(매트리스)가 적층 거치되는 좌석부와; 상기 좌석부의 후부에 구비되는 등받이부와; 상기 좌석부의 양측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걸도록 되는 팔걸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소파는, 자체의 형상과 구조가 인체에 맞춤되는 크기와 안락함을 추구하는 방향성으로 가지면서 개선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좁아지는 실내공간에 적합하게 적용되는 컴팩트화하는 추세에 있다.
근자에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판의 일부를 접어 소파 형태로 변환되도록 하여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다양한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소파 변환 침대들이 제안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 중 하나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4569호(명칭: 소파 변환 침대/2014.06.17.)이 있으며,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하부에 제1지지부가 구비되는 제1상판; 상기 제1상판의 일단에 상방향으로 세워지게 절첩되도록 장착되는 제2상판; 상기 제2상판의 일단에 상기 제2상판의 하면과 마주보는 방향으로 절첩되게 장착되며, 하부에 제2지지부가 구비되는 제3상판;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제2상판이 상기 제1상판의 상방향으로 세워지게 접혀질 때, 상기 제3상판은 하면이 상기 제2상판의 하면과 마주보도록 접혀져 상기 제1상판의 일단에 세워지게 변환되는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39686호(명칭: 소파겸용 침대/2001.12.21.)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침대 헤드보드나 소파 등받이부재 역할을 하는 지지부재, 매트리스의 일측부분을 받쳐 주는 사각빔 및 지지다리로 구성되는 받침프레임과 상기 사각빔에 끼움 결합되며 매트리스의 타측부분을 받쳐 주는 보조사각빔 및 보조지지다리로 구성되는 보조받침프레임이 결합되는 받침부재의 상부로 다단으로 절첩되는 매트리스가 안착되는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편,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8-0005574호(명칭: 침대기능을 구비한 소파/1998.04.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소파의 좌우측판에 고정부재를 결합하여 지지대와 3절아암, 연결간을 구비하고 그 위에 상단 후레임과 중단 후레임, 연결 후레임, 하단 후레임, 제1다리, 제2다리를 핀으로 유설해 절첩되게 하고, 각 후레임에 다수의 코일스프링을 걸어 받침부재를 연결하고 그 위에 스프링쿠션을 설치해 소파의 좌판 공간에 절첩되어 출입되게 소파가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07657호(명칭: 접이식소파겸용침대/2007.05.09.)에서는, 공보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저면 네 모서리부에 각각 한쌍의 전·후방발통이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지지프레임과;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면 전방부에 나사조립되어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하부쿠션체와; 다단으로 각도조절가능한 팔걸이각도조절구에 의하여 상기 하부쿠션체의 좌측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좌팔걸이쿠션체와; 다단으로각도조절가능한 팔걸이각도조절구에 의하여 상기 하부쿠션체의 우측테두리부에 결합되는 우팔걸이쿠션체와; 다단으로 각도조절가능한 등받이각도조절구에 의하여 상기 하부쿠션체의 후방테두리부에 결합되는 등받이쿠션체를 포함하여 구성된 침대가 기재되어 있다.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14-0004569호(2014.06.17.)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1-0039686호(2001.12.21.)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8-0005574호(1998.04.09.) 한국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7-0007657호(2007.05.09.)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침구들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거나 펼쳐 침대 또는 소파로 사용할 수 있으나, 노약자들은 침대 및 소파로의 전환작업이 불편하고 힘들어 사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져 비경제적임은 물론, 절첩시 형성되는 침대 또는 소파의 구조적 및 외형적 안정성이 떨어져 사용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게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접거나 펼쳐 침대 또는 소파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노약자도 간편하고 손쉽게 절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성이 향상된 다기능 침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절첩시 형성되는 침대 또는 소파의 구조적 및 외형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되어 사용품질이 향상된 다기능 침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침구는, 상부로 쿠션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메인매트리스부재와, 바닥에 대하여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를 지지고정하도록 된 메인프레임을 가지는 메인받침수단과; 상부로 쿠션탄성력을 부여하며 연결패드를 통해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의 상부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매트리스부재와, 바닥에 대하여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를 지지고정하도록 된 보조프레임을 가지는 보조받침수단과; 쿠션탄성력을 가지는 등받이매트리스부재와, 상기 메인프레임에 대하여 상부로 접힘 및 펼침되도록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가 지지고정되는 등받이프레임을 가지는 등받이받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다기능 침구는, 메인받침수단과 보조받침수단 및 등받이받침수단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접어 소파로 적용하거나 각각 펼쳐 침대로 사용할 수 있도록 됨에 따라, 사용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메인받침수단과 보조받침수단이 연결패드를 통해 수직상 상하로 적층되게 절첩하여 소파의 좌석부를 형성하고, 메인받침수단과 등받이받침수단에 대하여 메인프레임과 등받이프레임을 절첩하여 각각의 프레임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절첩하여 소파의 등받이부를 형성하도록 됨에 따라, 소파의 구조적 및 외형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와 더불어, 메인받침수단과 보조받침수단 및 등받이받침수단을 모두 펼쳐 침대를 구성할 때, 각각의 메인프레임과 보조프레임 및 등받이프레임들이 바닥에 대하여 각각의 메인매트리스부재와 보조매트리스부재 및 등받이매트리스부재를 각각 지지하도록 됨에 따라, 침대의 구조적 및 외형적 안정성을 확보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를 보인 개략 사시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의 소파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의 침대 적용상태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를 보인 개략 배면 사시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를 구성하는 메인매트리스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를 구성하는 보조매트리스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를 구성하는 등받이매트리스부재를 보인 개략 예시도.
도 11 내지 도 13은,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를 구성하는 잠금수단을 보인 개략 예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 내지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를 보인 도면으로,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는, 상부로 쿠션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메인매트리스부재(2)와, 바닥에 대하여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를 지지고정하도록 된 메인프레임(6)을 가지는 메인받침수단과; 상부로 쿠션탄성력을 부여하며 연결패드(5)를 통해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의 상부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매트리스부재(3)와, 바닥에 대하여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3)를 지지고정하도록 된 보조프레임(7)을 가지는 보조받침수단과; 쿠션탄성력을 가지는 등받이매트리스부재(4)와,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부로 접힘 및 펼침되도록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4)가 지지고정되는 등받이프레임(8)을 가지는 등받이받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인받침수단과 상기 보조받침수단 및 상기 등받이받침수단들을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각각 접혀 소파로 적용하거나, 혹은 각각 펼쳐 침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소파로의 적용시에,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받침수단과 상기 보조받침수단이 상기 연결패드(5)를 통해 수직상 상하로 적층되게 절첩하여 소파의 좌석부를 형성하고, 상기 메인받침수단과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에 대하여 상기 메인프레임(6)과 상기 등받이프레임(8)을 절첩하여 각각의 프레임들이 서로 연결되면서 절첩되어 소파의 등받이부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파의 구조적 및 외형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와 더불어, 도 5 및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받침수단과 상기 보조받침수단 및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을 모두 펼쳐 침대를 구성할 때, 각각의 상기 메인프레임(6)과 상기 보조프레임(7) 및 상기 등받이프레임(8)들이 바닥에 대하여 각각의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와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3) 및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4)를 각각 지지하게 된다.
이에, 침대의 구조적 및 외형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에서, 상기 메인프레임(6)은, 바닥에 대하여 지지되는 메인지지부(61)와; 상기 메인지지부(61)와 연결되며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의 내부에 시설되어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를 지지하면서 받침고정하도록 된 메인받침부(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를 내부에서 받침하는 상기 메인받침부(62)를 상기 메인지지부(61)를 통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시설된다.
상기에서 메인지지부(61)와 상기 메인받침부(62)는, '금속'재질의 다수의 '프레임구조체'들이 수직 및 수평적으로 연결되어 '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에서,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는, 상기 메인받침부(62)의 상부와 4측면부를 감싸면서 지지고정되며 '탄성재질' 또는 '탄성구조체'들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메인쿠션체(21)와; 상기 메인쿠션체(21)의 외부 및 상기 메인받침부(62)의 하부를 감싸면서 구비되는 메인외피(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외피(22)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메인쿠션체(21)의 탄성쿠션력을 통해 사용자를 탄성적으로 받침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메인쿠션체(21)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메인외피(22)의 재질은,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재질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에서, 상기 보조프레임(7)은, 바닥에 대하여 지지되는 보조지지부(71)와; 상기 보조지지부(71)와 연결되며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3)의 내부에 시설되어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3)를 지지하면서 받침고정하도록 된 보조받침부(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3)를 내부에서 받침하는 상기 보조받침부(72)를 상기 보조지지부(71)를 통해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시설된다.
상기에서 보조지지부(71)와 상기 보조받침부(72)는, '금속'재질의 다수의 '프레임구조체'들이 수직 및 수평적으로 연결되어 '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에서,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3)는, 상기 보조받침부(72)의 상부 및 하부와 4측면부를 감싸면서 지지고정되며 '탄성재질' 또는 '탄성구조체'들로 이루어져, 사용자에게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보조쿠션체(31)와; 상기 보조쿠션체(31)의 외부를 감싸면서 구비되는 보조외피(3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보조외피(32)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보조쿠션체(31)의 탄성쿠션력을 통해 사용자를 탄성적으로 받침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보조쿠션체(31)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보조외피(32)의 재질은,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재질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연결패드(5)는, 양단부위들이 상기 메인외피(22) 및 상기 보조외피(32)의 일부위들에 각각 봉재되어 각각 연결하면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패드(5) 및 상기 메인외피(22)와 상기 보조외피(32)들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에서, 상기 등받이프레임(8)은,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4)의 내부에 시설되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4)를 지지하면서 받침고정하도록 된 등받이받침부(82)와; 상기 등받이받침부(82)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종단이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4)의 내부와 외부로 수납되면서 외부로 펼쳐질 때 바닥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받침부(82)를 지지하도록 된 하나 이상의 등받이지지대(81)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4)를 내부에서 받침하는 상기 등받이받침부(82)를 상기 등받이지지대(81)를 통해 선택적으로 바닥에 대하여 지지하면서 시설된다.
상기에서 등받이받침부(82)는, '금속'재질의 다수의 '프레임구조체'들이 수직 및 수평적으로 연결되어 '틀'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등받이지지대(81)는, 길이를 가지는 '봉'형상의 '봉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등받이받침부(82)는, 상기 메인받침부(62)에 대하여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되어, 상기 메인받침수단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이 회전운동하면서 절첩될 때, 상기 메인받침부(62)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받침부(82)를 회전운동하는 작업을 통해 구현되도록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에서,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4)는, 상기 등받이받침부(82)의 상부와 4측면부를 감싸면서 지지고정되며 '탄성재질' 또는 '탄성구조체'들로 이루어져, 사용자와의 접촉부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등받이쿠션체(41)와; 상기 등받이쿠션체(41)의 외부를 감싸면서 구비되는 등받이외피(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등받이외피(42)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쿠션체(41)의 탄성쿠션력을 통해 사용자를 탄성적으로 받침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등받이쿠션체(41)의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등받이외피(42)의 재질은,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재질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등받이외피(42)에서 상기 등받이지지대(81)가 회전운동하면서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범위의 절개부에는, 내부와 외부를 개폐하는 개폐부재(43)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절개부를 통해 상기 등받이지지대(81)가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등받이외피의 내부와 외부를 수납하게 됨은 물론, 상기 등받이지지대(81)가 상기 등받이외피(42)의 내부에 수납된 상태에서 상기 개폐부재(43)를 통해 상기 절개부를 폐쇄하여 상기 등받이외피(42)의 내부 및 상기 등받이지지대(81)가 외부에 대하여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상기 등받이지지대(81)를 외부에 대하어 보호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개페부재(43)는, '지퍼구조체' 등과 같이, 상기 절개부를 개폐하도록 된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메인외피(22) 및 상기 등받이외피(42)들은,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메인외피(22) 및 상기 등받이외피(42) 및 상기 연결패드(5) 및 상기 보조외피(32)들이 서로 일체로 형성되어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어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는,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을 직립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1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이 펼쳐진 상태에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을 직립되는 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키어 소파의 등받이부를 형성하고자 할 경우에, 상기 가압수단(100)이 상기 등받이프레임(8)을 직립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적은힘으로도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을 들어올려 소파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노약자도 간편하고 손쉽게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을 절첩할 수 있어 사용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에서 가압수단(100)은, 양단이 상기 메인프레임(6) 및 상기 등받이프레임(8)의 각각의 일부위에 회전운동가능하게 축결합된 '업쇼바(absorber) 구조체'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그 구성 및 구조는, 종래 공지된 기술들 중에서 사용자에 의한 선택된 구성 및 구조가 적합하게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는,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의 접혀짐 및 펼침된 상태를 잠금하여 고정하도록 된 잠금수단(2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잠금수단(200)을 통해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을 잠금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메인받침수단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이 펼쳐져 침대형상을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메인받침수단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이 졉혀져 소파형상을 형성할 때, 잠금한 상태를 가짐에 따라 무단으로 침대형상 및 침대형상이 해체되지 않는다.
따라서,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잠금수단(200)은, 상기 메인프레임(6)의 일부위에 형성된 잠금브라켓(21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8)의 일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이 직립 및 펼침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브라켓(210)에 형성된 각각의 직립공(211) 및 펼침공(212)에 탄성가압되어 삽입 및 이탈되도록 된 잠금부재(2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잠금브라켓(210)에 각각 형성된 상기 직립공(211) 및 상기 펼침공(212)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이 직립 및 펼침될 때, 각각 맞춤되는 구멍(직립공 및 펼침공)에 상기 잠금부재(220)가 끼움되면서 고정되어 무단으로 회전운동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잠금하게 될 수 있다.
상기에서 잠금부재(220)는, 상기 등받이프레임(8)의 일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의 회전운동시 상기 잠금브라켓(210)과 대면하면서 동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도록 된 잠금편(221)과; 상기 잠금편(221)에 상기 잠금브라켓(210)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가지면서 돌출되는 탄성핀(2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받침수단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이 회전운동하면서 접힘 및 펼침될 때, 상기 잠금편(221)이 동일 방향으로 회전운동하면서 상기 탄성핀(222)이 맞춤되는 위치의 상기 직립공(211) 및 상기 펼침공(212)에 끼움되면서 고정되어 잠금하게 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탄성핀(222)에서 상기 직립공(211) 및 상기 펼침공(212)에 끼움되는 부위는, '반구형'으로 이루어져, 사용자가 임의로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을 가압할 때, 상기 직립공(211) 및 상기 펼침공(212)의 내부에서 상기 탄성핀(222)의 끼움되는 부위가 상기 잠금편(221)측 방향으로 가압되면서 상기 직립공(211) 및 상기 펼침공(212)에서 분리되어, 사용자의 임의에 의한 회전운동을 수행하도록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잠금해제구조'가 구비되지 않고도 사용자가 부여하는 가압력을 통해 상기 잠금수단(200)에 대한 잠금해제하도록 될 수 있다.
따라서, 구조적으로 단순하게 형성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한 같이 이루어지는 본 실시 예에 의한 다기능 침구(1)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침대로 형성하여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메인받침수단에 대하여 상기 보조받침수단 및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을 각각 펼치면 된다.
이때, 상기 메인받침수단과 상기 보조받침수단은, 상기 연결패드(5)에 의해 상부면이 연결된 상태로 절첩되며; 상기 메인받침수단과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은 상기 잠금수단(200)을 통해 펼쳐진 상태를 안정되게 유지하게 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소파로 형성하여 적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먼저 상기 메인받침수단에 대하여 상기 보조받침수단 및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을 각각 접으면 된다.
이때, 상기 메인받침수단과 상기 보조받침수단은, 상기 연결패드(5)가 전면이 배치되면서 서로 상하로 적층되는 형태로 절첩되며; 상기 메인받침수단과 상기 등받이받침수단은, 상기 잠금수단(200)을 통해 직립되어 접혀진 상태를 잠금하면서 안정되게 유지하게 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보조지지부(71)가 상부에 위치하면서 팔걸이부를 형성하게 됨에 따라, 더욱 안락한 소파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다기능 침구
100 : 가압수단 200 : 잠금수단
210 : 잠금브라켓 211 : 직립공
212 : 펼침공 220 : 잠금부재
221 : 잠금편 222 : 탄성핀
2 : 메인매트리스부재 21 : 메인쿠션체
22 : 메인외피 3 : 보조매트리스부재
31 : 보조쿠션체 32 : 보조외피
4 : 등받이매트리스부재 41 : 등받이쿠션체
42 : 등받이외피 43 : 개폐부재
5 : 연결패드 6 : 메인프레임
61 : 메인지지부 62 : 메인받침부
7 : 보조프레임 71 : 보조지지부
72 : 보조받침부 8 : 등받이프레임
81 : 등받이지지대 82 : 등받이받침부

Claims (1)

  1. 상부로 쿠션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 메인매트리스부재(2)와, 바닥에 대하여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를 지지고정하도록 된 메인프레임(6)을 가지는 메인받침수단과; 상부로 쿠션탄성력을 부여하며 연결패드(5)를 통해 상기 메인매트리스부재(2)의 상부로 절첩가능하게 연결되는 보조매트리스부재(3)와, 바닥에 대하여 상기 보조매트리스부재(3)를 지지고정하도록 된 보조프레임(7)을 가지는 보조받침수단과; 쿠션탄성력을 가지는 등받이매트리스부재(4)와,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부로 접힘 및 펼침되도록 절첩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등받이매트리스부재(4)가 지지고정되는 등받이프레임(8)을 가지는 등받이받침수단;을 포함하는 다기능 침구(1)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을 직립되는 방향으로 탄성가압하는 가압수단(100)과;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의 접혀짐 및 펼침된 상태를 잠금하여 고정하도록 된 잠금수단(2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잠금수단(200)은, 상기 메인프레임(6)의 일부위에 형성된 잠금브라켓(210)과, 상기 등받이프레임(8)의 일부위에 형성되며 상기 메인프레임(6)에 대하여 상기 등받이프레임(8)이 직립 및 펼침된 상태에서 상기 잠금브라켓(210)에 형성된 각각의 직립공(211) 및 펼침공(212)에 탄성가압되어 삽입 및 이탈되도록 된 잠금부재(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침구.
KR1020210129461A 2021-09-30 2021-09-30 다기능 침구 KR1024389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461A KR102438922B1 (ko) 2021-09-30 2021-09-30 다기능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461A KR102438922B1 (ko) 2021-09-30 2021-09-30 다기능 침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922B1 true KR102438922B1 (ko) 2022-09-01

Family

ID=83282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461A KR102438922B1 (ko) 2021-09-30 2021-09-30 다기능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92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574U (ko) 1996-06-11 1998-03-30 자동차용 커넥터
KR200289125Y1 (ko) * 2002-05-27 2002-09-13 최병옥 소파 겸용 침대
KR20140004569U (ko) 2013-01-25 2014-08-04 조정숙 소화기 거치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5574U (ko) 1996-06-11 1998-03-30 자동차용 커넥터
KR200289125Y1 (ko) * 2002-05-27 2002-09-13 최병옥 소파 겸용 침대
KR20140004569U (ko) 2013-01-25 2014-08-04 조정숙 소화기 거치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20894B2 (en) Convertible seat/bed having noncoplanar bed base sections
CA2663825C (en) Folding mechanism for a futon sofa sleeper
US20110167558A1 (en) Mechanism and matress for sofabed
US8209797B2 (en) Deployable bed assembly for use with a conventional sofa, chair, or the like
US7827629B1 (en) Folding furniture structure convertible between a folded seating condition and an unfolded sleeping condition
KR102438922B1 (ko) 다기능 침구
US3504940A (en) Convertible seat
JP2000300388A (ja) 収納型ベッド
KR200407189Y1 (ko) 팔걸이 접이식 소파 겸용 침대 매트리스
KR101062371B1 (ko) 침대 겸용 의자
KR200470234Y1 (ko) 다용도 침대
KR200429165Y1 (ko) 소파 겸용 침대
KR20170024691A (ko)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매트형 좌식 의자
KR200352209Y1 (ko) 접이식 안락 소파
KR102551561B1 (ko) 기능성 소파
CN220141190U (zh) 一种午休椅
JP2004195209A (ja) ベッド
CN214905319U (zh) 可折叠床边床
CN210158354U (zh) 一种多功能多变坐具
JP3233726U (ja) 省スペースで活用できるベッド
KR101132525B1 (ko) 매트리스 겸용 사무용 의자
US11234531B2 (en) Integrated mobile sleeping unit and chair shell
KR200382243Y1 (ko) 소파 겸용 침대
KR200249360Y1 (ko) 침대를 겸한 소파의 프레임
JP4777522B2 (ja) 折り畳みフレームのストッパー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