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01874B1 - 틸팅용 프레임의자 - Google Patents

틸팅용 프레임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01874B1
KR101101874B1 KR1020110098972A KR20110098972A KR101101874B1 KR 101101874 B1 KR101101874 B1 KR 101101874B1 KR 1020110098972 A KR1020110098972 A KR 1020110098972A KR 20110098972 A KR20110098972 A KR 20110098972A KR 101101874 B1 KR101101874 B1 KR 1011018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shaft
seat
connecting rod
torsion
frame c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989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100989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018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018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018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6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peg-and-notch or pawl-and-ratchet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04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 A47C3/045Stackable chairs; Nesting chairs with tipping-up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6Parts or details of tipping-up chairs, e.g. of theatre chai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팅용 프레임의자에 관한 것으로, 하측으로 레그부를 연장하고 좌판부를 지지하는 메인샤프트, 이 메인샤프트의 내측에 고정되고 메인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토션홀을 통공한 고정블록, 이 메인샤프트에 축 삽입되며 토션홀에 삽입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뒤틀림 가능하고 탄성 복원되는 다각 형상의 토션바, 및 이 메인샤프트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등받이부를 미는 힘에 의해 뒤틀림 발생하는 토션바의 양측을 구속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갖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 달리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해 구비되는 토션바의 탄성력의 강약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등받이부의 틸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무리한 회동 각도로 인한 틸팅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판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좌판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틸팅용 프레임의자{TILT TYPE FRAME CHAIR}
본 발명은 틸팅용 프레임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해 구비되는 토션바의 탄성력의 강약을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등받이부의 틸팅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무리한 회동 각도로 인한 틸팅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좌판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어 보관이 용이하고, 좌판부의 조립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틸팅용 프레임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등판과 좌판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결합되어 좌판의 하측에는 다리가 결합된 구조이며, 좌판 및 등판은 스폰지 등의 쿠션부재가 내장된 외피에 의해 싸여 있고, 사용자가 스트레칭 등을 하기 위해 등을 뒤로 젖히면 등판이 뒤로 틸팅되는 구조가 많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의자들은 등판과 좌판은 일체로 형성되어 틸팅 가능케 되어 있거나, 등판과 좌판이 분리되어 틸팅 가능케 되어 있다.
특히, 틸팅 가능한 의자는 좌판의 하측에 그 내부에 틸팅 메카니즘이 결합된 틸팅 케이스가 설치되고, 틸팅 케이스의 틸팅 메카니즘에는 커넥터가 힌지 연결되며, 이 커넥터에 등판이 연결되어 세워지고, 틸팅 케이스의 하측에는 회전다리가 결합되어 있다.
틸팅 가능한 의자에 대해서는 국내등록특허 제10-0474392호에 제안된 바 있다.
기존 틸팅 가능한 의자는 좌판이나 레그에 대해 팔걸이를 틸팅 가능하게 함에 따라 틸팅 부위의 파손에 따른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기존 틸팅 가능한 의자는 등받이의 틸팅 정도를 제한하지 않아 심한 젖힘으로 파손되거나 탄성 복원력이 약화되어 허리를 안정적으로 지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해 구비되는 토션바의 탄성력의 강약을 쉽게 조절하기 위한 틸팅용 프레임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부의 틸팅(tilting)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무리한 회동 각도로 인한 틸팅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틸팅용 프레임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해 복수 개의 토션바를 사용하고, 뒤틀어진 토션바의 탄성 강도를 조절하고자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좌판부를 세워서 접거나 뉘여서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접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보관시 필요 공간을 줄이기 위한 틸팅용 프레임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판부의 강도를 높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는: 하측으로 레그부를 연장하고 좌판부를 지지하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토션홀을 통공한 고정블록, 상기 메인샤프트에 축 삽입되며 상기 토션홀에 삽입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뒤틀림 가능하고 탄성 복원되는 다각 형상의 토션바, 및 상기 메인샤프트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등받이부를 미는 힘에 의해 뒤틀림 발생하는 상기 토션바의 양측을 구속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갖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커넥팅로드의 회전 궤적을 따라 제 1슬롯홀을 통공하고,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제 1슬롯홀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연결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틸팅 정도를 제한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커넥팅로드 사이에는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에는 상기 제 1슬롯홀과 일치되는 제 2슬롯홀이 통공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토션바를 삽입하는 링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고, 상기 링부재는 상기 커넥팅로드의 회전 궤적보다 작은 궤적의 토션경사홈을 형성하며,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토션경사홈 내측에 수용되는 핀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메인샤프트는 피벗축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피벗축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되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좌판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브라켓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더는 둘레면에 탄성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리브는 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홀더와 상기 탄성리브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피벗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좌판부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돌부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의 걸림홈을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메인샤프트에 안착되도록 요입홈부를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은 상기 메인샤프트와 접하는 부위에 완충부재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좌판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에 연결되는 시트커버, 상기 시트커버의 상측에 구비되는 시트코어, 상기 시트코어를 덮어 보호하며 완충 기능을 갖는 완충시트, 및 상기 시트커버와 상기 시트코어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시트커버의 상부 일측 가장자리에 전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제 1걸림부재, 상기 시트코어의 하부 일측 가장자리에 후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 1걸림부재를 삽입하는 제 2걸림부재, 상기 시트코어의 하부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끼움홀부, 및 상기 시트커버의 상부 타측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상기 끼움홀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는 종래 기술과 달리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해 구비되는 토션바의 탄성력의 강약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부의 틸팅(tilting) 정도를 제한하기 위해 별도의 스토퍼를 구비함으로써 무리한 회동 각도로 인한 틸팅 부위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해 복수 개의 토션바를 사용하고, 뒤틀어진 토션바의 탄성 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좌판부를 세워서 접거나 뉘여서 펼칠 수 있도록 하고, 접거나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여 보관시 필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좌판부의 강도를 높이고,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토션바 설치 상태를 보인 메인샤프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스토퍼에 의한 회동 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커넥팅로드의 회전 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토션바의 탄성력 강약 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좌판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좌판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좌판부 전측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좌판부 후측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토션바 설치 상태를 보인 메인샤프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스토퍼에 의한 회동 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커넥팅로드의 회전 제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토션바의 탄성력 강약 조절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좌판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좌판부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좌판부 전측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의 좌판부 후측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1)는 메인샤프트(40), 고정블록(110), 토션바(120) 및 커넥팅로드(130)를 포함한다.
메인샤프트(40)는 하측으로 레그부(10)를 연장하고, 상측에 좌판부(20)를 지지하며, 등받이부(3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레그부(10)는 바닥에 대해 메인샤프트(40), 좌판부(20) 및 등받이부(3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편의상, 메인샤프트(40)의 양측에서 각각 하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좌판부(20)는 착석자가 앉을 수 있도록 형성되는데, 착석시 휘지 않도록 메인샤프트(40)에 충분히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등받이부(30)는 착석자의 허리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허리의 젖힘이나 착석자의 체형에 따라 소정 각도 틸팅(tilting) 가능하도록 메인샤프트(40)에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메인샤프트(40)는 좌판부(20)를 충분히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스틸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메인샤프트(40)는 연결된 등받이부(30)의 틸팅을 허용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물론, 메인샤프트(40)는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때, 도 4에서처럼, 메인샤프트(40)는 중공(中空) 타입의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이는, 고정블록(110), 토션바(120) 및 커넥팅로드(130)를 내측에 수용하기 위함이다.
고정블록(110)은 메인샤프트(40)의 내측에 고정된다. 고정블록(110)은 메인샤프트(40)의 내측에 다양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는데,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메인샤프트(40)의 내측에 용접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고정블록(110)은 메인샤프트(40)의 축 방향을 따라 토션홀(112)을 통공한다. 토션홀(112)은 고정블록(110)의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또한, 토션바(120)는 메인샤프트(40)에 축 삽입되며 토션홀(112)에 삽입된다. 아울러, 토션바(120)는 고정블록(110)의 원주 방향으로 미는 힘이 발생시 뒤틀림이 발생하게 되고, 외력 제거시 탄성 복원되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래서, 토션바(120)는 스프링강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메인샤프트(40)에 연결된 등받이부(30)가 착석자의 미는 힘에 의해, 토션바(120)는 뒤틀림 작용을 받게 된다.
특히, 토션바(120)는 뒤틀린 상태에서 탄성 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고정블록(110)에 구속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토션바(120)는 2개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토션바(120)는 토션홀(112)에 삽입되어 뒤틀림 발생시 탄성 강약 조절되도록 고정된 고정블록(110)에 구속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토션바(120)는 단면상 다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하고, 토션홀(112)은 토션바(120)의 단면 형상과 동일한 것으로 한다. 편의상, 토션바(120)는 사각 바(bar)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도시한다.
이때, 토션홀(112)은 토션바(120)에 대응되도록 고정블록(110)에 서로 구획되도록 통공될 수도 있고, 토션바(120)를 한꺼번에 삽입할 수 있는 크기로 한 개 구비될 수도 있다.
토션홀(112)은 토션바(120)의 뒤틀림 발생시 토션바(120)의 임의적 회전을 방지하도록 토션바(120)를 충분히 구속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한편, 커넥팅로드(130)는 메인샤프트(40)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각각에 등받이부(30)가 연결된다. 커넥팅로드(130)는 다양한 방식으로 등받이부(30)를 연결한다. 일례로, 커넥팅로드(130)는 연결부재(134)를 둘레면에서 돌출 형성하고, 등받이부(30)는 하측에 연결부재(134)를 삽입한다. 그리고, 연결부재(134)와 등받이부(30)는 분리 가능하게 결속된다.
그리고, 커넥팅로드(130)는 등받이부(30)를 미는 힘에 의해 뒤틀림 발생하는 토션바(120)의 양측을 구속하기 위해 수용홈부(132)를 형성한다.
즉, 토션바(120)의 대략 중앙부위는 고정블록(110)의 토션홀(112)에 삽입되어 뒤틀림 발생시 탄성력이 강화되고, 토션바(120)의 양측 가장자리는 커넥팅로드(130)의 수용홈부(132)에 삽입되어 뒤틀림 발생시 탄성 강화되도록 구속된다.
이에 따라, 착석자가 등받이부(30)를 밀게 되면, 등받이부(30)는 메인샤프트(40)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전하려는 힘을 받게 된다. 그래서, 커넥팅로드(130)는 메인샤프트(40)의 양측에 삽입된 채 등받이부(30)에 의해 일방향으로 소정 회전하게 된다. 이때, 토션바(120)는 고정블록(110)과 커넥팅로드(130)에 구속되어 일방향으로 뒤틀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토션바(120)는 탄성 강약 조절 가능하게 된다.
커넥팅로드(130)는 미감 향상을 위해 외측에 캡(136)을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특히, 토션바(120)가 탄성 한도를 초과한 회전각도 이상으로 뒤틀어지게 되면, 토션바(120)는 파손된다. 그래서, 커넥팅로드(130)의 왕복 회전각도가 제한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 5에서처럼, 메인샤프트(40)는 커넥팅로드(130)의 회전 궤적을 따라 제 1슬롯홀(142)을 통공하고, 커넥팅로드(130)는 제 1슬롯홀(142)에 삽입되는 스토퍼(144)를 연결하여 등받이부(30)의 틸팅 정도를 제한한다.
즉, 커넥팅로드(130)는 스토퍼(144)를 양측 둘레면 또는 일측 둘레면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한다. 이때, 스토퍼(144)는 커넥팅로드(130)에 일부 나사 결합되는 볼트 등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메인샤프트(40)는 토션바(120)의 탄성 한도 범위 내에 해당되는 원주 방향 거리만큼 제 1슬롯홀(142)을 통공한다. 이때, 스토퍼(144)는 제 1슬롯홀(142)에 삽입된다.
아울러, 등받이부(30)가 미는 힘을 받게 되면, 스토퍼(144)가 제 1슬롯홀(142)의 일측 내부면에 접할 때까지, 등받이부(30)는 틸팅된다.
반대로, 등받이부(30)의 미는 힘이 제거되면, 스토퍼(144)가 제 1슬롯홀(142)의 타측 내부면에 접할 때까지, 등받이부(30)는 틸팅 상태에서 원상 복귀된다.
이때, 커넥팅로드(130)는 스토퍼(144)를 견고하게 결합해야 하고, 메인샤프트(40)는 스토퍼(144)와 접촉시 파손되지 않아야 한다. 그래서, 커넥팅로드(130)와 메인샤프트(40)는 동종(同種) 또는 이종(異種)의 금속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스토퍼(144)가 등받이부(30)의 틸팅 각도를 제한하고, 비교적 작은 부피의 스토퍼(144)가 제 1슬롯홀(142)의 양쪽 내측면에 번갈아 접하기 때문에, 틸팅용 프레임의자(1)의 틸팅 부위 내구성은 향상된다.
한편, 메인샤프트(40)와 커넥팅로드(130)가 내부 응력의 향상을 위해 금속 재질로 이루어지고, 메인샤프트(40)는 고정된 채 커넥팅로드(130)가 메인샤프트(40)에 삽입되어 회전되기 때문에, 메인샤프트(40)와 커넥팅로드(130)는 접촉면에서 소음이 발생하거나 마찰로 인해 회전에 간섭이 발생할 수 있다.
그래서, 메인샤프트(40)와 커넥팅로드(130) 사이에는 부싱(146)이 구비되고, 부싱(146)에는 제 1슬롯홀(142)과 일치되는 제 2슬롯홀(148)이 통공된다.
부싱(146)은 메인샤프트(40)에 고정 설치되고, 커넥팅로드(130)는 부싱(146)에 면접된 채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부싱(146)은 커넥팅로드(130)와 접촉에 의한 소음의 발생을 줄이고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수지 재질의 사출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토션바(120)의 양측 가장자리는 부싱(146)에 축 삽입된다.
한편, 부싱(146)은 커넥팅로드(130)의 회전시 메인샤프트(40)에 고정되게 설치된다.
일례로, 메인샤프트(40)는 양측 가장자리 둘레면 일부를 절개하여 제 1걸림턱(152)을 형성하고, 부싱(146)은 제 1걸림턱(152) 각각에 걸려 회전 방지되도록 플랜지(154)를 구비한다.
즉, 도 6에서처럼, 메인샤프트(40)는 양측 가장자리 둘레면 중 상측을 절개함으로써 절개면에 제 1걸림턱(152)을 형성한다.
그리고, 메인샤프트(40)의 양측에 각각 삽입되는 부싱(146)은 제 1걸림턱(152)에 걸려 지지되도록 한 쌍의 플랜지(154)를 형성한다. 이때, 부싱(146)은 커넥팅로드(130)의 연결부재(134)가 회동할 수 있도록 상측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스토퍼(144)가 메인샤프트(40)의 제 1슬롯홀(142)과 부싱(146)의 제 2슬롯홀(148)의 동일한 일측 가장자리에 접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스토퍼(144)가 메인샤프트(40)의 제 1슬롯홀(142)과 부싱(146)의 제 2슬롯홀(148)의 동일한 타측 가장자리에 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커넥팅로드(130)는 회전 정도가 제한된다. 그래서, 토션바(120)는 탄성력 발생 범위 내에서 뒤틀림이 발생됨으로써 외력 제거시 탄성 강도를 강화하게 되고, 이로 인해, 등받이부(30)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초기 상태로 복귀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커넥팅로드(13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됨으로써, 토션바(120)나 커넥팅로드(130) 또는 부싱(146) 등 틸팅 부위의 파손이 방지된다.
한편, 토션바(120)가 뒤틀어진 상태에서 외력 제거시, 토션바(120)는 단시간에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많이 받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메인샤프트(40)는 토션바(120)를 삽입하는 링부재(162)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고, 링부재(162)는 커넥팅로드(130)의 회전 궤적보다 작은 궤적의 토션경사홈(164)을 형성한다.
즉, 도 3 및 도 7에서처럼, 링부재(162)는 메인샤프트(40)의 내측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토션바(120)를 삽입할 수 있도록, 토션홀(112)과 동일 형상으로 이루어진, 연통홀(163)을 양측으로 개방되게 형성한다. 그래서, 복수 개의 토션바(120)가 뒤틀어질 경우, 링부재(162)는 토션바(120)의 뒤틀림 방향을 소정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링부재(162)는 제 1슬롯홀(142)의 호 궤적보다 작은 호 궤적의 토션경사홈(164)을 함몰 형성한다.
아울러, 메인샤프트(40)는 토션경사홈(164) 내측에 수용되는 핀부재(166)를 구비한다.
핀부재(166)는 메인샤프트(40)에 결합되면서 토션경사홈(164) 내측으로 수용된다. 특히, 등받이부(30)가 세워진 초기 상태에서, 핀부재(166)는 토션경사홈(164)의 마주하는 양측 중 어느 일측에 접하게 된다. 그리고, 등받이부(30)가 틸팅됨에 따라, 핀부재(166)는 토션경사홈(164)의 타측으로 이동 후 링부재(162)를 밀게 된다. 이에 따라, 링부재(162)는 토션바(120)의 뒤틀림 방향으로 강제 회전된다.
그래서, 외력 제거시, 토션바(120)가 탄성력이 약해지면서 복원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1)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착석자가 좌판부(20)에 앉은 다음 허리로 등받이부(30)를 밀게 되면, 등받이부(30)는 메인샤프트(40)를 기준으로 일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래서, 등받이부(30)는 틸팅된다.
이때, 복수 개의 토션바(120)는 고정블록(110)에 구속된 채 등받이부(30)의 회전 방향으로 뒤틀림 작용을 받게 된다.
이에 연동되어, 링부재(162)가 토션바(120)와 함께 소정 회전된 후 핀부재(166)에 걸려 고정된다. 이로 인해, 스토퍼(144)가 제 1슬롯홀(142)과 제 2슬롯홀(148)의 타측에 접할 때까지, 토션바(120)는 더욱 뒤틀림력이 작용되어 텐션력이 커지게 된다.
특히, 스토퍼(144)가 제 1슬롯홀(142)과 제 2슬롯홀(148)의 타측에 접하게 되면, 착석자는 더 이상 등받이부(30)를 밀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착석자가 등받이부(30)를 미는 힘을 제거시, 뒤틀림 작용을 받은 토션바(120)는 복원된다.
이때, 링부재(162)는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며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스토퍼(144)가 제 1슬롯홀(142)과 제 2슬롯홀(148)의 일측에 접하게 되면, 등받이부(30)는 초기 위치로 복귀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탄성 강도가 약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1)는 보관시나 유통 또는 이동시 좌판부(20)를 세우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 3, 도 8 및 도 9에서처럼, 메인샤프트(40)는 피벗축(172)을 연장 형성하고, 피벗축(172)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되는 홀더(174)를 구비하며, 홀더(174)는 좌판부(20)의 하측에 연결되는 브라켓(176)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홀더(174)는 둘레면에 탄성리브(182)를 형성하고, 탄성리브(182)는 돌부(184)를 돌출 형성하며, 브라켓(176)은 홀더(174)와 탄성리브(182)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홈(186)을 형성하고, 삽입홈(186)은 피벗축(172)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좌판부(20)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돌부(184)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의 걸림홈(188)을 함몰 형성한다.
즉, 메인샤프트(40)에서 연장되는 피벗축(172)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메인샤프트(40)에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나 일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편의상, 피벗축(172)은 메인샤프트(40)에서 2개 연장되어 각각 서로 다른 방향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그리고, 피벗축(172)은 홀더(174)를 회전 방지되도록 삽입한다. 이때, 홀더(174)는 피벗축(172)에 다양한 방식으로 회전 방지되도록 삽입된다. 편의상, 피벗축(172)의 단부와 홀더(174)는 단면상 사각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아울러, 브라켓(176)은 대응되는 홀더(174)에 각각 삽입되고, 홀더(17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물론, 피벗축(172)과 홀더(174)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브라켓(176)은 좌판부(20)의 하측을 연결한다. 그래서, 좌판부(20)는 피벗축(172)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특히, 브라켓(176)은 홀더(17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브라켓(176)은 홀더(174)를 삽입할 수 있도록 삽입홈(186)을 형성한다.
한편, 브라켓(176)은 홀더(174)에 대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좌판부(20)가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함이다.
일례로, 홀더(174)는 둘레면에 탄성리브(182)를 형성한다. 탄성리브(182)는 홀더(174)로부터 연장되어 단부를 자유단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양측이 홀더(174)에 연결된 상태로 형성한다. 그래서, 탄성리브(182)는 외부 누름에 의해 탄성적으로 소정 눌려지게 된다. 그래서, 외력 제거시, 탄성리브(182)는 탄성적으로 복원된다.
그리고, 탄성리브(182)는 외측에 돌부(184)를 돌출 형성하며, 삽입홈(186)은 내측면에 원주 방향으로 복수 개의 걸림홈(188)을 함몰 형성한다. 그래서, 브라켓(176)이 회전되면, 홀더(174)의 탄성리브(182)와 돌부(184)는 삽입홈(186)의 내측면과 접할 때 압축됨과 아울러 걸림홈(188)에 대응될 때 해당 걸림홈(188)에 수용됨으로써 탄성 복원된다.
따라서, 돌부(184)가 수용되는 걸림홈(188)의 위치에 따라, 좌판부(20)는 세워진 상태를 유지하거나 또는 뉘여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특히, 브라켓(176)은 일측이 피벗축(172)과 연결되고, 타측이 메인샤프트(40)에 지지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좌판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함이다.
브라켓(176)은 메인샤프트(40)에 안착되도록 요입홈부(177)를 함몰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브라켓(176)의 하측면이 편평할 경우 메인샤프트(40)의 곡면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슬립(slip)이 발생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브라켓(176)은 메인샤프트(40)와 접하는 부위에 완충부재(178)를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서로 접한 상태로 착석자의 하중에 의해 밀착되는 브라켓(176)과 메인샤프트(40)를 보호하기 위함이다. 완충부재(178)는 고무 패드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완충부재(178)는 본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브라켓(176)의 요입홈부(177) 또는 메인샤프트(40)의 둘레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틸팅용 프레임의자(1)는 착석자의 하중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좌판부(20)를 견고하게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좌판부(20)는 다층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됨이 바람직하며, 조립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일례로, 도 10 내지 도 13에서처럼, 좌판부(20)는 메인샤프트(40)에 연결되는 시트커버(21), 시트커버(21)의 상측에 구비되는 시트코어(22), 시트코어(22)를 덮어 보호하며 완충 기능을 갖는 완충시트(23), 및 시트커버(21)와 시트코어(22)를 결합하는 결합부(24)를 포함한다.
즉, 좌판부(20)는 볼팅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브라켓(176)과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시트커버(21)를 포함하는데, 시트커버(21)는 브라켓(176)과 체결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출 성형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좌판부(20)는 시트커버(21)의 상측에 구비되어 보강 역할을 하는 시트코어(22)를 포함한다. 시트코어(22)는 좌판부(20)의 휨을 방지하도록 충분한 내부응력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좌판부(20)는 착석자와 직접적을 접촉하며 완충 역할을 하는 완충시트(23)를 포함한다. 완충시트(23)는 박음질 처리 또는 본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시트코어(22)의 상측에 구비된다. 특히, 완충시트(23)는 직물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적용 가능하다.
한편, 시트커버(21)와 시트코어(22)는 결합부(24)에 의해 용이하게 결합된다.
결합부(24)는 제 1걸림부재(25), 제 2걸림부재(26), 끼움홀부(27), 및 끼움돌기(28)를 포함한다.
특히, 시트커버(21)와 시트코어(22)는 착석자의 다리 방향을 향하는 전측끼리를 먼저 조립 후 전측에 반대되는 후측을 서로 조립하게 된다.
즉, 제 1걸림부재(25)는 시트커버(21)의 상부 일측 가장자리에서 전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되고, 제 2걸림부재(26)는 시트코어(22)의 하부 일측 가장자리에 후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제 1걸림부재(25)를 삽입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서로 대칭되게 절곡되는 제 1걸림부재(25)와 제 2걸림부재(26)가 끼워져 결속되면, 시트커버(21)와 시트코어(22)의 전측은 결속된다.
이때, 제 1걸림부재(25)는 시트커버(21)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제 2걸림부재(26)는 시트코어(22)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분리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 가능하다.
아울러, 끼움홀부(27)는 시트코어(22)의 하부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끼움돌기(28)는 시트커버(21)의 상부 타측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끼움홀부(27)에 끼워지게 된다.
즉, 끼움돌기(28)는 끼움홀부(27)에 후크 결합 방식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시트커버(21)와 시트코어(22)는 전측이 서로 걸리도록 결합된 후, 시트코어(22)의 후측이 시트커버(21) 방향으로 눌려지게 됨으로써, 끼움홀부(27)는 끼움돌기(28)를 끼우게 된다.
물론, 끼움홀부(27)가 시트커버(21)에 형성되고, 끼움돌기(28)가 시트코어(22)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틸팅용 프레임의자 10: 레그부
20: 좌판부 21: 시트커버
22: 시트코어 23: 완충시트
24: 결합부 25,26: 제 1,2걸림부재
27: 끼움홀부 28: 끼움돌기
30: 등받이부 40: 메인샤프트
110: 고정블록 112: 토션홀
120: 토션바 130: 커넥팅로드
132: 수용홈부 134: 연결부재
142,148: 제 1,2슬롯홀 144: 스토퍼
146: 부싱 152: 제 1걸림턱
154: 플랜지 162: 링부재
164: 토션경사홈 166: 핀부재
172: 피벗축 174: 홀더
176: 브라켓 182: 탄성리브
184: 돌부 186: 삽입홈
188: 걸림홈

Claims (9)

  1. 하측으로 레그부를 연장하고, 좌판부를 지지하는 메인샤프트;
    상기 메인샤프트의 내측에 고정되고, 상기 메인샤프트의 축 방향을 따라 토션홀을 통공한 고정블록;
    상기 메인샤프트에 축 삽입되며 상기 토션홀에 삽입되는 복수 개로 이루어져 뒤틀림 가능하고 탄성 복귀되는 다각 형상의 토션바; 및
    상기 메인샤프트의 양측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고, 등받이부를 미는 힘에 의해 뒤틀림 발생하는 상기 토션바의 양측을 구속하기 위해 수용홈부를 갖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토션바를 삽입하는 링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삽입하며,
    상기 링부재는 상기 커넥팅로드의 회전 궤적보다 작은 궤적의 토션경사홈을 형성하고,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토션경사홈 내측에 수용되는 핀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는 상기 커넥팅로드의 회전 궤적을 따라 제 1슬롯홀을 통공하고;
    상기 커넥팅로드는 상기 제 1슬롯홀에 삽입되는 스토퍼를 연결하여 상기 등받이부의 틸팅 정도를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와 상기 커넥팅로드 사이에는 부싱이 구비되고;
    상기 부싱에는 상기 제 1슬롯홀과 일치되는 제 2슬롯홀이 통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샤프트는 피벗축을 연장 형성하고;
    상기 피벗축은 원주 방향으로 회전 방지되는 홀더를 구비하며;
    상기 홀더는 상기 좌판부의 하측에 연결되는 브라켓에 원주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둘레면에 탄성리브를 형성하고;
    상기 탄성리브는 돌부를 돌출 형성하며;
    상기 브라켓은 상기 홀더와 상기 탄성리브를 삽입하기 위해 삽입홈을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은 상기 피벗축을 기준으로 회전되는 상기 좌판부의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상기 돌부를 수용하도록 복수 개의 걸림홈을 함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메인샤프트에 안착되도록 요입홈부를 함몰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
  8. 제 5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상기 메인샤프트와 접하는 부위에 완충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
  9.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판부는, 상기 메인샤프트에 연결되는 시트커버;
    상기 시트커버의 상측에 구비되는 시트코어;
    상기 시트코어를 덮어 보호하며 완충 기능을 갖는 완충시트; 및
    상기 시트커버와 상기 시트코어를 결합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시트커버의 상부 일측 가장자리에 전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되는 제 1걸림부재;
    상기 시트코어의 하부 일측 가장자리에 후측으로 절곡되게 연장되어 상기 제 1걸림부재를 삽입하는 제 2걸림부재;
    상기 시트코어의 하부 타측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끼움홀부; 및
    상기 시트커버의 상부 타측 가장자리에 돌출되어 상기 끼움홀부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팅용 프레임의자.
KR1020110098972A 2011-09-29 2011-09-29 틸팅용 프레임의자 KR1011018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72A KR101101874B1 (ko) 2011-09-29 2011-09-29 틸팅용 프레임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98972A KR101101874B1 (ko) 2011-09-29 2011-09-29 틸팅용 프레임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01874B1 true KR101101874B1 (ko) 2012-01-05

Family

ID=45613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98972A KR101101874B1 (ko) 2011-09-29 2011-09-29 틸팅용 프레임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01874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46B1 (ko) 2014-06-11 2014-08-14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틸팅 의자
KR101506601B1 (ko) 2015-02-11 2015-03-30 부호체어원(주) 의자용 플렉시블 등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의자
KR101623726B1 (ko) * 2015-06-05 2016-05-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좌판 접힘 의자
KR101763159B1 (ko) 2017-06-12 2017-08-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1791025B1 (ko) * 2017-01-23 2017-10-27 주식회사 코아스 프레임 의자
KR101894872B1 (ko) * 2017-11-02 2018-09-05 (주)코아스 의자
KR101913799B1 (ko) * 2017-12-27 2018-10-31 유한회사 애니체 좌판 틸팅형 의자
KR101967182B1 (ko) 2018-06-01 2019-08-13 김태욱 접이식 의자
KR102057897B1 (ko) * 2019-07-19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조립식 의자
KR102099146B1 (ko) * 2019-11-04 2020-04-09 (주)베스툴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455133B1 (ko) 2022-05-24 2022-10-18 주식회사 메이트 등받이 틸팅 단속 및 조정수단을 겸비한 의자
KR102455129B1 (ko) 2022-05-24 2022-10-18 주식회사 메이트 등받이 틸팅 단속수단을 구비한 의자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964A (ko) * 2002-10-17 2004-04-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타입 칼슘 채널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울증을감소시키는 방법
KR200434964Y1 (ko) * 2006-09-30 2007-01-02 현대금속 (주) 의자 틸팅장치
KR20110012183A (ko) * 2009-07-30 2011-02-09 허윤 의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4964A (ko) * 2002-10-17 2004-04-29 한국과학기술연구원 N-타입 칼슘 채널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울증을감소시키는 방법
KR200434964Y1 (ko) * 2006-09-30 2007-01-02 현대금속 (주) 의자 틸팅장치
KR20110012183A (ko) * 2009-07-30 2011-02-09 허윤 의자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6546B1 (ko) 2014-06-11 2014-08-14 (주) 아모스아인스가구 틸팅 의자
KR101506601B1 (ko) 2015-02-11 2015-03-30 부호체어원(주) 의자용 플렉시블 등판 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플렉시블 의자
KR101623726B1 (ko) * 2015-06-05 2016-05-24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좌판 접힘 의자
KR101791025B1 (ko) * 2017-01-23 2017-10-27 주식회사 코아스 프레임 의자
KR101763159B1 (ko) 2017-06-12 2017-08-04 주식회사 대하정공 의자의 등판 틸팅장치
KR101894872B1 (ko) * 2017-11-02 2018-09-05 (주)코아스 의자
KR101913799B1 (ko) * 2017-12-27 2018-10-31 유한회사 애니체 좌판 틸팅형 의자
KR101967182B1 (ko) 2018-06-01 2019-08-13 김태욱 접이식 의자
KR102057897B1 (ko) * 2019-07-19 2019-12-20 주식회사 듀오백 조립식 의자
US11486431B2 (en) 2019-07-19 2022-11-01 Duoback Co., LTD Assembly-type chair
KR102099146B1 (ko) * 2019-11-04 2020-04-09 (주)베스툴 회전지지 어셈블리 및 이를 구비한 의자
KR102455133B1 (ko) 2022-05-24 2022-10-18 주식회사 메이트 등받이 틸팅 단속 및 조정수단을 겸비한 의자
KR102455129B1 (ko) 2022-05-24 2022-10-18 주식회사 메이트 등받이 틸팅 단속수단을 구비한 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01874B1 (ko) 틸팅용 프레임의자
WO2011155557A1 (ja) 椅子
JP6300416B2 (ja) 椅子
JP2011161123A (ja) 椅子
KR102034356B1 (ko) 의자
KR200486698Y1 (ko) 등받이 틸팅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2141589B1 (ko) 의자용 등받이 회전장치
KR101678446B1 (ko) 휴대용 의자
KR200472420Y1 (ko) 탄성 결속재 및 이를 포함하는 등받이 틸팅 가능한 의자
JP5567402B2 (ja) 椅子
KR200482720Y1 (ko) 등받이 받침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101387982B1 (ko) 의자의 틸팅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의자
KR200477254Y1 (ko) 가변 벤치
JP4144007B2 (ja) 椅子
JP2006327240A (ja) ハーネス配索構造
KR200463701Y1 (ko) 자세 교정 의자
JP6726563B2 (ja) シートフレーム
KR102284866B1 (ko) 등받이 각도 조절이 가능한 의자
JP5650491B2 (ja) 椅子
JP5687878B2 (ja) 椅子
JP2004049654A (ja) 椅子における座の前後摺動装置
CN115530561B (zh) 自适应坐具
JP3617350B2 (ja) スタッキング椅子
KR200243652Y1 (ko) 의자
JP2005218534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