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3726B1 - 좌판 접힘 의자 - Google Patents

좌판 접힘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726B1
KR101623726B1 KR1020150157597A KR20150157597A KR101623726B1 KR 101623726 B1 KR101623726 B1 KR 101623726B1 KR 1020150157597 A KR1020150157597 A KR 1020150157597A KR 20150157597 A KR20150157597 A KR 20150157597A KR 101623726 B1 KR101623726 B1 KR 101623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ngitudinal direction
horizontal support
elastic
groove
fit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57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7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0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 A47C4/1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wood or plastics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4/00Foldable, collapsible or dismountable chairs
    • A47C4/04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 A47C4/18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 A47C4/20Folding chairs with inflexible seats having a frame made of metal with legs pivotably connected to seat or under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2Seat par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airs Characterized By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판 접힘 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의 조립시 또는 등받이부의 틸팅 동작시에 부품 간의 마찰 및 마모로 인해 부품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좌판 접힘 의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는, 중공이 형성된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다리 조립체;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뒤쪽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 지지부를 통해 세워져서 설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수평 지지봉에 지지되며 상기 등받이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판;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등받이부에 각각 연결되는 팔걸이부;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홈이 형성되는 중공의 끼움체; 및 상기 끼움체에 길이방향 일단부가 끼워지는 끼움봉과, 상기 끼움봉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봉의 양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 지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체에 형성된 관통 홈의 둘레에는 경사진 형태로 경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체는 외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切開)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 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걸림 홈부가 형성된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과 가이드 홈의 측면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판 접힘 의자{Chair Having Foldable Seat}
본 발명은 좌판 접힘 의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의 조립시 또는 등받이부의 틸팅 동작시에 부품 간의 마찰 및 마모로 인해 부품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좌판 접힘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자는 집, 학교, 학원, 도서관 또는 공공기관이나 각종 산업체의 사무실 등에서 책상이나 테이블을 이용하여 공부 또는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사용되는 것으로서, 착석자의 등과 팔을 편안하게 받쳐주는 등받이부와 팔걸이부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최근에는 공간 활용성이 우수한 좌판 접힘 의자가 출시되고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로서 좌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로서 좌판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100)는 도 1a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받이부와 팔걸이부를 포함하는 몸체(110) 및 좌판(120), 그리고 이들을 지지하는 다리 조립체로 구성되어 있다. 의자(100)를 구성하는 좌판(120)은 다리를 연결하는 수평 지지봉(135)에 고정되어 회전축의 기능을 수행하는 샤프트(13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등받이부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100)의 좌판(120)은 등받이부를 향해 접혀질 수는 있지만, 등받이부는 다리 조립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어서 착석자가 등을 이용하여 등받이부에 체중을 싣는 경우 등받이부의 탄력성이 부족하여 충분히 젖혀지지 않는 등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최근에는 틸팅이 가능한 등받이부를 구비한 좌판 접힘 의자들이 다수 출시되고 있지만,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수가 많고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제조비용이 증가하게 되며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이 파손되는 등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교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의 좌판 접힘 의자는 착석자의 체중이나 착석 습관 등에 따라 등받이부의 탄력성을 조정할 수 없기 때문에, 착석자 개개인에게 최적의 탄력성을 가지는 의자를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좌판 접힘 의자는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의 조립시 또는 등받이부의 틸팅 동작시에 부품 간의 마찰 및 마모로 인해 부품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3-0079727 A (2013.07.11.)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의 조립시 또는 등받이부의 틸팅 동작시에 부품 간의 마찰 및 마모로 인해 부품이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좌판 접힘 의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등받이부의 탄력성이 상이한 의자를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어서 착석자의 체중이나 습관에 따라 최적의 탄력성을 가지는 의자를 선택할 수 있는 좌판 접힘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이 파손되는 등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교체가 용이한 좌판 접힘 의자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공이 형성된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다리 조립체;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뒤쪽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 지지부를 통해 세워져서 설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수평 지지봉에 지지되며 상기 등받이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판;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등받이부에 각각 연결되는 팔걸이부;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홈이 형성되는 중공의 끼움체; 및 상기 끼움체에 길이방향 일단부가 끼워지는 끼움봉과, 상기 끼움봉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봉의 양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 지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체에 형성된 관통 홈의 둘레에는 경사진 형태로 경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체는 외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切開)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 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걸림 홈부가 형성된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과 가이드 홈의 측면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접힘 의자를 제공한다.
삭제
게다가, 상기 끼움체에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홈 둘레에 경사진 형태로 경사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홈 둘레의 직상방에 위치한 상기 경사부의 상단은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과 동일한 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수평 지지봉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관통홈의 제1측부에 상기 수평 지지봉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상기 플랜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경사부; 상기 관통 홈의 제1측부와 대향하는 상기 관통 홈의 제2측부에 상기 수평 지지봉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상기 플랜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2경사부; 및 상기 관통 홈의 제1측부의 단부와 제2측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측부에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되 경사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3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편이 관통하는 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봉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끼워지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제1결합단이 마련되고, 상기 팔걸이부의 하단에는 상기 끼움봉의 길이방향 타단부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1결합단과 결합되는 제2결합단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제1결합단의 결합구멍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끼움봉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끼움체와 탄성 연결편은,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과제의 해결수단에 의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는 끼움체에 경사부를 형성하고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 둘레의 내측면은 경사부와 대응되도록 형성함으로써, 끼움체를 수평 지지봉의 양단에 결합하는 경우나 등받이부가 틸팅되는 경우 상호 간에 마찰 및 마모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파손되거나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착석자의 체중이나 착석 습관에 적합한 탄성 연결편이 설치된 의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의자에 착석시 한층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수를 최소화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함으로써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이 파손되는 등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지 탄성 연결편만을 다른 것으로 교체하는 것에 의해 등받이부의 탄력성이 상이한 의자를 다양하게 마련할 수 있어서 착석자의 체중이나 습관에 따라 최적의 탄력성을 가지는 의자를 선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끼움체의 외측 단부에 플랜지를 형성함으로써 끼움체가 수평 지지봉의 양측 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끼움체를 수평 지지봉에 조립하거나 끼움체를 수평 지지봉으로부터 분리할 때 편리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체에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수평 지지봉에 끼움체를 조립할 때와 수평 지지봉으로부터 끼움체를 분리할 때에 수평 지지봉과 끼움체 상호 간에 마찰 및 마모가 최소화 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지지봉에 끼움체를 조립할 때와 수평 지지봉으로부터 끼움체를 분리할 때에 끼움체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평 지지봉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플랜지로부터 끼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끼움체에 제1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1경사부 주위의 끼움체 외면과 수평 지지봉의 내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하여 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지지봉에 끼움체를 조립할 때와 수평 지지봉으로부터 끼움체를 분리할 때에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관통 홈의 제1측부와 대향하는 관통 홈의 제2측부에 수평 지지봉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플랜지로부터 끼움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2경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제2경사부 주위의 끼움체 외면과 수평 지지봉의 내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지지봉에 끼움체를 조립한 다음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탄성편과 가이드 홈의 측면 사이에 유격이 형성되도록 하여, 가이드 홈에 대한 가공 오차 등이 있는 경우에도 탄성편이 상기 유격을 통해 소량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탄성편을 끼움구멍에 용이하게 끼울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힌지봉과, 상기 힌지봉이 힌지 결합하는 힌지편의 힌지홈에회전단속부를 설치하여, 좌판이 등받이부를 향해 접힌 후 스스로 다시 원위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본 발명은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 제1결합단을 마련하고, 팔걸이부의 하단에 제2결합단을 마련함으로써, 의자를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 등받이부, 팔걸이부, 좌판 및 다리 조립체 등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적재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운반비, 특히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 선적비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제1결합단의 결합구멍에 베어링을 설치하고 상기 베어링에는 끼움봉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등받이부가 틸팅되는 경우 끼움봉과 결합구멍 사이에서의 마찰 및 마모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체와 탄성 연결편을 내마모성이 뛰어나고 마찰저항이 적으며 자기 윤활성이 있고 인장강도와 굽힘강도 등이 우수한 폴리옥시메틸렌으로 제조함으로써 반복적으로 틸팅 동작을 하는 의자를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종래 기술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로서 좌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기술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로서 좌판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좌판 접힘 의자를 밑에서 올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를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서 탄성 연결편 주변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서 끼움봉, 끼움체 및 수평 지지봉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의 끼움봉, 끼움체 및 수평 지지봉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의 끼움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의 끼움체가 수평 지지봉의 양단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에서 탄성 지지부의 하단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4에서 힌지편, 힌지봉 및 회전단속부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와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해야만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좌판 접힘 의자(10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 조립체(200), 등받이부(300), 좌판(500), 팔걸이부(600), 탄성 연결편(700) 및 중공의 끼움체(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리 조립체(200)는 중공(211)이 형성된 수평 지지봉(2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리(220)를 포함한다. 다리 조립체(200)의 다리(220) 하단에는 회전바퀴(222)가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등받이부(300)는 수평 지지봉(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뒤쪽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 지지부(400)를 통해 세워져서 설치된다.
탄성 지지부(400)의 하단에는 후술할 탄성편(720)이 관통하는 측면홈(421)이 형성되고, 후술할 끼움봉(710)의 길이방향 타단부(714)가 끼워지는 결합구멍(422)이 형성되는 제1결합단(420)이 마련된다. 이때, 제1결합단(420)의 결합구멍(422)에는 베어링(430)이 설치되고, 베어링(430)에는 끼움봉(710)의 길이방향 타단부(714)가 결합된다. 이에 따라, 등받이부(300)가 틸팅되는 경우 끼움봉(710)과 결합구멍(422) 사이에서의 마찰 및 마모가 최소화되도록 하여 소음을 저감시키고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부(400)는 등받이부(300)의 후면쪽으로 절곡되어 고정 결합된다. 특히 탄성 지지부(400)의 절곡된 부분은 등받이부(300)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부착되므로 등받이부(3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착석자가 등받이부(300)에 등을 기대어 뒤로 미는 경우 탄성편(700)으로 굽힘 모멘트가 원활히 전달된다.
좌판(500)은 수평 지지봉(210)에 지지되며 등받이부(300)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팔걸이부(600)는 수평 지지봉(210)의 길이방향 양단과 등받이부(300)에 각각 연결된다. 팔걸이부(600)의 하단에는 후술할 끼움봉(710)의 길이방향 타단부(714)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제1결합단(420)과 결합되는 제2결합단(610)이 마련된다. 제1결합단(420)의 결합구멍(422) 외측에는 제1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하고, 제1나사산(미도시)과 대응되도록 제2결합단(610)의 내측에는 제2나사산(미도시)을 형성하여 제1결합단(420)과 제2결합단(610)이 나사결합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탄성 지지부(400)의 하단에 제1결합단(420)을 마련하고, 팔걸이부(600)의 하단에 제2결합단(610)을 마련함으로써, 좌판 접힘 의자(1000)를 차량에 적재하는 경우 다리 조립체(200), 등받이부(300), 좌판(500) 및 팔걸이부(600) 등 부품들이 분해된 상태로 적재하기 때문에 많은 양을 적재할 수 있으므로 운반비, 특히 해외로 수출하는 경우 선적비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생산단가를 낮출 수 있게 된다.
탄성 연결편(700)은 탄성 지지부(4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것으로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끼움체(800)에 길이방향 일단부(712)가 끼워지는 끼움봉(710)과, 끼움봉(7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수평 지지봉(210)의 양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체(800)에 형성된 관통 홈(8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212)을 관통하여 탄성 지지부(40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720)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탄성 연결편(700)은 착석자가 등으로 등받이부(300)를 젖히는 경우 상기 등받이부(300)에 결합되는 탄성 지지부(40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끼움체(800)와 마찬가지로 아세탈(acetal)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아세탈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은 아세탈 수지, 폴리아세탈 또는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는 높은 결정성을 가진 고분자로서 수소결합을 가지고 있으므로 기계적 강도가 크고 내마모성이 우수하다. 또한, 인장강도, 굽힘강도 및 충격강도가 뛰어나고 마찰저항이 적으며 자기 윤활성이 있다. 특히, 반복적인 힘이 걸리는 부품 및 스프링 특성이 요구되는 부품에 이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폴리옥시메틸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탄성 연결편(700)만으로 반복적인 힘이 작용하는 등받이부(300)에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토션바 등을 포함하여 복잡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종래 기술에 비해서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 수를 최소화하여 구성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등받이부의 틸팅을 위한 부품이 파손되는 등 교체가 필요한 경우에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착석자의 체중이나 착석 습관에 적합한 탄성 연결편이 설치된 의자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착석자가 의자에 착석시 한층 편안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다. 또한, 부피가 등받이부(300)에 비해 크게 작은 탄성 연결편(700)만을 다양하게 마련함으로써 착석자의 체중이나 착석 습관 등에 따라 탄성 연결편(700)만을 교체하여 등받이부(300)의 탄력성을 조정할 수 있다.
한편, 탄성 연결편(700)은 수평 지지봉(210)의 양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212)에 삽입되어 수평 지지봉(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이 제한되는 상태로 결합된다. 즉, 탄성 연결편(700)의 탄성편(720)은 끼움봉(710)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수평 지지봉(210)의 양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끼움체(800)에 형성된 관통 홈(840)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 홈(212)을 관통하여 탄성 지지부(400)의 하단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수평 지지봉(210)의 둘레방향을 따라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또한, 탄성편(720)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돌출부(721)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 지지부(400)의 하단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홈부(411)가 형성되어 있는 끼움구멍(410)이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탄성편(720)을 끼움구멍(410)을 통해 삽입하면 걸림 돌출부(721)가 걸림 홈부(411)에 걸리기 때문에 외력에 의해 서로 빠지지 않게 된다. 이때, 탄성편(720)은 안쪽 모서리에 걸림 돌출부(721)가 형성되어 있는 십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하고, 끼움구멍(410)의 내면은 탄성편(720)의 외곽 형상에 대하여 대응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탄성편(720)과 가이드 홈(212)의 측면 사이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격(213)이 형성되어 있어 탄성편(720)을 끼움구멍(410)의 위치에 정확히 삽입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홈(212)에 대한 가공 오차 등이 있는 경우에도 탄성편(720)이 상기 유격(213)을 통해 소량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탄성편(720)을 끼움구멍(410)에 용이하게 끼울수 있다.
상기한 바와 달리 유격(213)이 없는 경우에는, 가이드 홈(212)의 위치에 가공 오차 등이 있게 되면 탄성편(720)이 결합되는 탄성 지지부(400) 등 주변 구조물에 응력이 작용하여 파손이 되는 등 내구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편, 중공의 끼움체(800)는 수평 지지봉(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홈(840)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 홈(840)은 수평 지지봉(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가이드 홈(212)과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끼움체(800)에 형성된 관통 홈(840)의 둘레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형태로 경사부(811, 812, 813)가 돌출 형성되며, 끼움체(800)에 형성된 관통 홈(840)과 가이드 홈(212)이 연통되도록 끼움체(800)가 수평 지지봉(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는 경우 가이드 홈(212) 둘레의 내측면(214)은 경사지게 형성되어 끼움체(800)의 경사부(811, 812, 813) 외측면과 가이드 홈(212) 둘레의 내측면(214)은 면접촉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끼움체(800)가 수평 지지봉(210)의 길이방향 양단에 결합되면 끼움체(800)에 형성된 경사부(811, 812, 813)는 수평 지지봉(210)의 외주면과 동일한 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아울러, 끼움체(800)는 외측 단부에 플랜지(820)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切開)된 절개부(830)가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끼움체(800)에는 플랜지(820)로부터 끼움체(80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홈(840) 둘레에 경사진 형태로 경사부가 돌출 형성되고, 관통 홈(840) 둘레의 직상방에 위치한 경사부의 상단은 플랜지(820)의 외주면과 동일한 면상에 위치한다.
이와 같은 경사부는, 수평 지지봉(210)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홈(840)의 제1측부에 수평 지지봉(210)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플랜지(820)로부터 끼움체(8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경사부(811)와, 관통 홈(840)의 제1측부와 대향하는 관통 홈(840)의 제2측부에 수평 지지봉(210)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플랜지(820)로부터 끼움체(8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2경사부(812)와, 관통 홈(840)의 제1측부의 단부와 제2측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측부(플랜지와 대향하는 부분)에 수평 지지봉(210)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되 경사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3경사부(813)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끼움체(800)의 외측 단부에 플랜지(820)를 형성함으로써 끼움체(800)가 수평 지지봉(210)의 양측 단부에 걸리도록 하여 끼움체(800)를 수평 지지봉(210)에 조립하거나 끼움체(800)를 수평 지지봉(210)으로부터 분리할 때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끼움체(800)에 절개부(830)를 형성함으로써 수평 지지봉(210)에 끼움체(800)를 조립할 때와 수평 지지봉(210)으로부터 끼움체(800)를 분리할 때에 수평 지지봉(210)과 끼움체(800) 상호 간에 마찰 및 마모가 최소화 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수평 지지봉(210)에 끼움체(800)를 조립할 때와 수평 지지봉(210)으로부터 끼움체(800)를 분리할 때에 끼움체(8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끼움체(800)는 내마모성이 매우 우수한 아세탈 계열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 수지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평 지지봉(210)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플랜지(820)로부터 끼움체(8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끼움체(800)에 제1경사부(811)를 형성함으로써, 제1경사부(811) 주위의 끼움체(800) 외면과 수평 지지봉(210)의 내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달라지도록 하여 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 지지봉(210)에 끼움체(800)를 조립할 때와 수평 지지봉(210)으로부터 끼움체(800)를 분리할 때에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반면, 관통 홈(840)의 제1측부와 대향하는 관통 홈(840)의 제2측부에 수평 지지봉(210)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플랜지(820)로부터 끼움체(8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2경사부(812)를 형성함으로써, 제2경사부(812) 주위의 끼움체(800) 외면과 수평 지지봉(210)의 내면이 접촉하는 면적이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이에 작용하는 마찰력을 유지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수평 지지봉(210)에 끼움체(800)를 조립한 다음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수평 지지봉(210)의 측면에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봉(215)이 "ㄱ"자 형태로 돌출 형성되고, 좌판(500)의 바닥에는 힌지봉(215)과 힌지 결합하는 힌지편(510)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힌지편(510)에는 수평 지지봉(210)의 둘레면 일부와 접촉하는 부위에 상기 둘레면의 일부와 대응하는 형상의 홈(511)이 형성되어 있어, 힌지편(510)이 수평 지지봉(210) 위에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힌지봉(215)과, 힌지봉(215)이 힌지 결합하는 힌지편(510)의 힌지홈(512)에는 회전단속부(530)가 설치되어 있어, 좌판(500)이 등받이부(300)를 향해 접힌 후 스스로 다시 원위치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회전단속부(530)는, 힌지봉(215)의 자유단에 회전이 구속되도록 끼워지며 둘레면에 단속홈(531a)이 형성되는 단속편(531)과, 단속홈(531a)에 걸리는 힌지홈(512)의 내측 둘레에 형성되는 단속돌부(512a)로 이루어진다. 즉, 좌판(500)이 펼쳐진 초기 위치에는 단속홈(531a)과 단속돌부(512a)가 어긋난 상태로 있다가 좌판(500)이 등받이부(300)를 향해 접혀지면 단속홈(531a)과 단속돌부(512a)가 서로 맞물려서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좌판(500)이 스스로 풀리는 경우는 없게 된다. 아울러, 단속편(531)의 내부 측면에는 힌지봉(215)의 회전을 구속하기 위한 걸림단(531b)이 형성된다.
미설명 부호 620은 제2결합단(610)을 끼움봉(710)의 길이방향에서 마감하는 캡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200 : 다리 조립체 210 : 다리
300 : 등받이부 400 : 탄성 지지부
500 : 좌판 600 : 팔걸이부
700 : 탄성 연결편 710 : 끼움봉
720 : 탄성편 800 : 끼움체
1000 : 좌판 접힘 의자

Claims (6)

  1. 중공이 형성된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다리를 포함하는 다리 조립체;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설치되어 뒤쪽으로 상부를 향해 연장되는 탄성 지지부를 통해 세워져서 설치되는 등받이부; 상기 수평 지지봉에 지지되며 상기 등받이부를 향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좌판;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과 상기 등받이부에 각각 연결되는 팔걸이부;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 양단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고,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홈이 형성되는 중공의 끼움체; 및 상기 끼움체에 길이방향 일단부가 끼워지는 끼움봉과, 상기 끼움봉의 측면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수평 지지봉의 양단으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을 관통하여 상기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 끼움 결합되는 탄성편으로 이루어져, 상기 탄성 지지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탄성 연결편;을 포함하고,
    상기 끼움체에 형성된 관통 홈의 둘레에는 경사진 형태로 경사부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끼움체는 외측 단부에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외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切開)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걸림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 돌출부와 대응되는 복수의 걸림 홈부가 형성된 끼움구멍이 형성되며,
    상기 탄성편과 가이드 홈의 측면 사이에는 유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접힘 의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체에는 상기 플랜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홈 둘레에 경사진 형태로 경사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관통 홈 둘레의 직상방에 위치한 상기 경사부의 상단은 상기 플랜지의 외주면과 동일한 면상에 위치하며,
    상기 경사부는, 상기 수평 지지봉의 둘레방향으로 형성된 상기 관통홈의 제1측부에 상기 수평 지지봉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상기 플랜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좁아지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경사부;
    상기 관통 홈의 제1측부와 대향하는 상기 관통 홈의 제2측부에 상기 수평 지지봉의 둘레방향으로 경사지되 상기 플랜지로부터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2경사부; 및
    상기 관통 홈의 제1측부의 단부와 제2측부의 단부를 연결하는 제3측부에 상기 수평 지지봉의 길이방향으로 경사지되 경사 폭이 동일하게 이루어지는 제3경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접힘 의자.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 지지부의 하단에는 상기 탄성편이 관통하는 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끼움봉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끼워지는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제1결합단이 마련되고,
    상기 팔걸이부의 하단에는 상기 끼움봉의 길이방향 타단부와 마주보는 방향에서 상기 제1결합단과 결합되는 제2결합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접힘 의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결합단의 결합구멍에는 베어링이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에는 상기 끼움봉의 길이방향 타단부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접힘 의자.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끼움체와 탄성 연결편은,
    폴리옥시메틸렌(polyoxymethylene)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판 접힘 의자.
KR1020150157597A 2015-06-05 2015-11-10 좌판 접힘 의자 KR101623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9683 2015-06-05
KR20150079683 2015-06-0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726B1 true KR101623726B1 (ko) 2016-05-24

Family

ID=56114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57597A KR101623726B1 (ko) 2015-06-05 2015-11-10 좌판 접힘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72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82B1 (ko) 2018-06-01 2019-08-13 김태욱 접이식 의자
KR102098953B1 (ko) * 2019-02-21 2020-04-0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트위스트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200123568A (ko) * 2019-04-22 2020-10-30 정윤산 다이캐스팅 성형된 틸팅의자 프레임
CN113197453A (zh) * 2021-05-26 2021-08-03 佛山市玖加壹家具有限公司 组合式座椅及其生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937A (ja) * 2006-11-07 2008-05-22 Kokuyo Co Ltd 椅子
KR101101874B1 (ko) * 2011-09-29 2012-01-05 주식회사 코아스 틸팅용 프레임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3937A (ja) * 2006-11-07 2008-05-22 Kokuyo Co Ltd 椅子
KR101101874B1 (ko) * 2011-09-29 2012-01-05 주식회사 코아스 틸팅용 프레임의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7182B1 (ko) 2018-06-01 2019-08-13 김태욱 접이식 의자
KR102098953B1 (ko) * 2019-02-21 2020-04-09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트위스트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WO2020171336A1 (ko) * 2019-02-21 2020-08-27 주식회사 다원체어스 트위스트 가능한 등받이를 구비한 의자
KR20200123568A (ko) * 2019-04-22 2020-10-30 정윤산 다이캐스팅 성형된 틸팅의자 프레임
KR102258321B1 (ko) 2019-04-22 2021-05-28 정윤산 다이캐스팅 성형된 틸팅의자 프레임
CN113197453A (zh) * 2021-05-26 2021-08-03 佛山市玖加壹家具有限公司 组合式座椅及其生产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726B1 (ko) 좌판 접힘 의자
WO2011155557A1 (ja) 椅子
JP5976747B2 (ja) ティルティングタイプ椅子
KR20200003988A (ko) 틸팅 의자
US10827842B1 (en) Seat module
KR20050084372A (ko) 착석 장치용 이동식 조인트
KR102072935B1 (ko) 일체형 등좌판의 이동고정기능을 구비한 의자좌판
JP5567402B2 (ja) 椅子
KR101584046B1 (ko) 의자용 록킹 어셈블리, 이를 구비한 의자 및 좌식의자
KR101915210B1 (ko) 연결식 의자용 메모판
JP2017169965A (ja) 椅子
NZ764123B2 (en) A seat module
JP5576187B2 (ja) 椅子
JP5576186B2 (ja) 椅子
JP5630810B2 (ja) 圧縮ばね及びそれを備える椅子
JP6382500B2 (ja) 椅子
JP5632204B2 (ja) 椅子
JP2007319500A (ja) 椅子
JP2011255076A (ja) 椅子の背凭れ
JP2011255072A (ja) 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