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025B1 - 프레임 의자 - Google Patents

프레임 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025B1
KR101791025B1 KR1020170010715A KR20170010715A KR101791025B1 KR 101791025 B1 KR101791025 B1 KR 101791025B1 KR 1020170010715 A KR1020170010715 A KR 1020170010715A KR 20170010715 A KR20170010715 A KR 20170010715A KR 101791025 B1 KR101791025 B1 KR 101791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armrest
seating pad
seat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7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1700107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0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54Supports for the arms
    • A47C7/546Supports for the arms of detachabl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002Chair or stool b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2/0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 F16B12/10Jointing of furniture or the like, e.g. hidden from exterior using pegs, bolts, tenons, clamps, clips, or the like

Abstract

프레임 의자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프레임 의자는: 본체와,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안착할 수 있는 팔걸이부와, 팔걸이부에 구비되는 안착패드 및 안착패드를 팔걸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레임 의자{FRAME CHAIR}
본 발명은 프레임 의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품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안착패드의 착탈에 의해 디자인 변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프레임 의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용 의자는 사무실이나 서재와 같은 개인업무공간에서 사용되며 다기능과 고가를 특징으로 하는 의자와, 회의실이나 강의실 등 대규모 공간에서 공용되는 의자로 이분되고 있다.
이러한 사무용 의자는 좌판, 좌판의 후방 상부에 구비되는 등받이, 팔걸이, 좌판의 중앙 양측에 힌지 결합된 전방지지다리와 좌판의 후방 양측에 힌지 결합된 후방지지다리로 구성된 지지다리로 구성된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240670호 (2013.02.28., 발명의 명칭 : 프레임 의자) 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를 현저히 줄일 수 있어 조립성이 향상되고, 안착패드의 착탈에 의해 디자인 변경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프레임 의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의자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안착할 수 있는 팔걸이부와, 상기 팔걸이부에 구비되는 안착패드 및 상기 안착패드를 상기 팔걸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좌판부와, 상기 좌판부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다리부와,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팔걸이부는 일단이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탈부는 상기 안착패드에 형성되는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후크가 결합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에 형성되는 걸림홈부와, 상기 안착패드의 저면에 형성되는 들뜸방지홈부 및 상기 들뜸방지홈부에 끼움결합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에 구비되는 들뜸방지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들뜸방지홈부는 안착패드의 저면 전체면적에 분포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들뜸방지홈부는 상기 안착패드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들뜸방지돌기의 주변에는 상기 들뜸방지홈부가 삽입될 수 있는 유동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들뜸방지홈부는 상기 들뜸방지돌기와의 결합시 확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들뜸방지돌기의 둘레면에는 마찰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들뜸방지돌기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팔걸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착패드는 가이드부에 의해 조립이 안내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패드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안내바 및 안내바가 삽입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에 형성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의자는 다리부, 등받이부, 팔걸이부 및 좌판부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부에 구비되는 안착패드의 교체가 용이하여 파손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이 가능하여 디자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부에 의해 안착패드의 조립성이 향상되고, 안착패드의 들뜸을 방지할 수 있어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등받이부, 팔걸이부의 자체탄성에 의해 사용자의 착석시 틸팅되어 안락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팔걸이부가 연동부재에 의해 함께 연동될 수 있어 가해지는 힘의 차이에도 동일한 틸팅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틸팅작동을 보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안착패드의 분해를 보인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C-C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안착패드 장착을 보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안착패드 결합은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A-A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틸팅작동을 보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안착패드의 분해를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도 1의 B-B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C-C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안착패드 장착을 보인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안착패드 결합은 변형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100)는: 본체(110), 팔걸이부(130), 안착패드(150) 및 착탈부(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좌판부(112), 좌판부(112)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다리부(114), 다리부(114)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18)를 포함한다. 좌판부(11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착석하는 공간을 형성하고, 다리부(114)는 이러한 좌판부(112)를 지지한다. 보다 자세하게 다리부(114)는 좌판부(112)의 중앙부를 지지하는 수평바(115)와, 수평바(115)에서 전측으로 연장되는 전측다리(116)와, 수평바(115)에서 후측으로 연장되는 후측다리(117)를 포함한다.
각각의 전측다리(116)와 후측다리(117)의 하단에는 캐스터(119)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등받이부(118)는 좌판부(112)를 중심으로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등받이부(118)는 틀로 구성되며, 내부에는 사용자의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메쉬 등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다리부(114)와 등받이부(118)는 결합부(120)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결합부(120)는 수평바(115)에서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결합바(122) 및 결합바(122)가 삽입되도록 등받이부(118)에 구비되는 결합중공관(124)을 포함한다.
등받이부(118)는 사용자의 하중에 연동되어 틸팅된다. 이러한 틸팅은 팔걸이부(130)에 의해 가능하다.
팔걸이부(13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사용자의 팔을 안착할 수 있는 것으로서, 일단이 다리부(114)에 결합되고, 타단은 등받이부(118)에 결합된다. 팔걸이부(130)의 타단은 등받이부(118)의 상단부측에 결합될 수 있도록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등받이부(118)에 부여하는 하중에 따라 틸팅되며, 등받이부(118)와 팔걸이부(13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때, 팔걸이부(130)는 연동부재(135)에 의해 좌우가 동일하게 탄성적으로 가변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부(130) 중 다리부(114)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위가 상호 연동부재(135)에 의해 연결되어 가능하다. 이러한 연동부재(135)는 수평바(115)의 내부에 수용되어 구비된다.
그리고, 지지부(140)는 다리부(114)에 형성되는 지지바(142)와, 지지바(142)에 결합되고, 다리부(114)에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다리부(114)와 좌판부(112)를 상호 연결하는 지지블럭(144)을 포함한다.
지지바(142)는 'ㄱ'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형성되고, 지지바(142)와 지지블럭(144) 사이에는 부싱이 구비되어 지지바(142)로부터 지지블럭(144)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즉, 지지블럭(144)의 저면 전측은 수평바(115)에 안착되고, 후측은 지지바(142)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블럭(144)은 좌판부(112)의 저면에 볼팅되어 결합된다. 따라서, 좌판부(112)에 하중이 가해지면, 지지바(142)가 후측으로 다소 휘어지면서 좌판부(112)가 지지되며, 하중이 제거되면, 지지바(142)의 탄성력에 의해 복원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등받이부(118)에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등받이부(118)는 등받이부(118)의 자체 탄성력과 팔걸이부(13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틸팅되고, 좌판부(112)는 지지부(140)에 의해 지지될 수 있어 사용자는 안락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팔걸이부(130)에는 안착패드(150)가 구비된다. 안착패드(150)의 상면은 가죽, 섬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안착패드(150)는 착탈부(160)에 의해 팔걸이부(130)로부터 착탈 가능하다. 착탈부(160)는 안착패드(150)에 형성되는 걸림후크(162)와, 걸림후크(162)가 결합되도록 팔걸이부(130)에 형성되는 걸림홈부(164)와, 안착패드(150)의 저면에 형성되는 들뜸방지홈부(166) 및 들뜸방지홈부(166)에 끼움결합되도록 팔걸이부(130)에 구비되는 들뜸방지돌기(168)를 포함한다.
팔걸이부(130)에는 안착패드(150)가 결합되도록 안착패드(150)의 형상과 대응되는 장착홈부(132)가 형성된다.
안착패드(150)는 도 6 내지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전측이 하방으로 굴절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걸림후크(162)는 안착패드(150)의 전측 저면에 형성되고, 걸림홈부(164)는 장착홈부(132)의 수직부위에 형성되어 걸림후크(162)에 대응된다.
그리고, 들뜸방지홈부(166)는 안착패드(150)의 저면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복수개 구비된다. 들뜸방지홈부(166)는 안착패드(150)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들뜸방지돌기(168)의 주변에는 들뜸방지홈부(166)가 삽입될 수 있는 유동방지홈(169)이 형성된다.
들뜸방지홈부(166)는 링 형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중앙부에는 들뜸방지돌기(168)가 삽입되고, 들뜸방지홈부(166)는 유동방지홈(169)에 삽입된다. 따라서, 안착패드(150)는 견고히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들뜸방지홈부(166)는 들뜸방지돌기(168)와의 결합시 확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들뜸방지돌기(168)의 둘레면에는 마찰나사산(168a)이 형성된다.
한편, 도 8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패드(150)의 결합시 가이드부(170)에 의해 조립성이 향상된다. 가이드부(170)는 안착패드(15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안내바(172) 및 안내바(172)가 삽입되도록 팔걸이부(130)에 형성되는 안내홈부(174)를 포함한다.
따라서,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내바(172)가 안내홈부(174)에 삽입된 상태에서 안내바(174)를 중심으로 안착패드(150)를 회동시키면, 걸림후크(162)와 걸림홈부(164), 들뜸방지홈부(166)와 들뜸방지돌기(168)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100)의 안착패드(150) 결합을 보인 변형예이다.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팔걸이부(130)에 구비되는 들뜸방지돌기(168)는 별도의 체결부재(180)에 의해 팔걸이부(130)에 결합된다. 이는 들뜸방지돌기(168)의 파손 또는 마찰나사산(168a)의 마모시 해당부품만 교체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100)의 조립을 살펴보면, 다리부(114)를 등받이부(118)와 결합한다. 이는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20)에 의해 가능하다. 즉, 다리부(114)로부터 상부로 경사지게 연장 형성되는 결합바(122)를 등받이부(118)의 중공관(124)에 끼움결합함으로써, 쉽게 본체(110)를 형성할 수 있다. 각 전측다리(116)와 후측다리(117)의 하단에는 캐스터(119)가 결합된다.
이후, 다리부(114)의 상부에 좌판부(112)가 결합된다. 좌판부(112)는 다리부(114)에 구비되는 지지블럭(144)에 의해 결합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다리부(114)의 수평바(115)에는 지지바(142)가 구비되고, 지지바(142)에 지지블럭(144)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지지블럭(144)의 전측 하단은 수평바(115)에 안착된 상태이다. 이러한 지지블럭(144)의 상부에 좌판부(112)가 구비되고, 지지블럭(144)과 볼팅되어 결합된다.
이후, 본체(110)의 양측에 각각 팔걸이부(130)가 결합된다. 팔걸이부(130)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단은 다리부(114)의 수평바(115)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은 등받이부(118)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때, 팔걸이부(130)는 수평바(115) 내부에 수용되는 연동부재(135)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그리고, 팔걸이부(130)에는 안착패드(150)가 결합된다. 안착패드(150)의 조립을 살펴보면, 도 6 내지 도 9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패드(150)의 선단에 형성되는 안내바(172)과 팔걸이부(130)의 안내홈부(174)에 삽입된 후, 안내바(172)를 중심으로 안착패드(150)를 회동시키면, 걸림후크(162)와 걸림홈부(164)가 결속되고, 안착패드(150)의 저면에 형성되는 들뜸방지홈부(166)에 팔걸이부(130)의 들뜸방지돌기(168)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때, 들뜸방지돌기(168)의 주변에는 유동방지홈(169)부가 형성되어 들뜸방지홈부(166)가 끼움결합됨으로써, 안착패드(150)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여 수평방향으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들뜸방지홈부(166)와 들뜸방지돌기(168)가 안착패드(150)의 면적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복수개 구비됨으로, 안착패드(150)의 전체가 들뜸 부위 없이 긴밀히 결속될 수 있다.
그리고, 들뜸방지홈부(166)는 들뜸방지돌기(168)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마찰나사산(168a)에 의해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들뜸방지홈부(166)와 들뜸방지돌기(168)는 팔걸이부(130)의 후측으로 갈수록 다소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는 안착패드(150)의 결합시 안착패드(150)는 안내바(172)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결합됨으로써, 이러한 회전반경에 대응되기 위함이다.
한편,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들뜸방지돌기(168)는 별도의 체결부재(180)에 의해 팔걸이부(1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들뜸방지돌기(168)의 파손 또는 들뜸방지돌기(168)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마찰나사산(168a)의 마모시 들뜸방지돌기(168)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지닌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프레임 의자(100)의 작용을 자세히 살펴본다.
사용자가 좌판부(112)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은 지지부(140)에 의해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하중이 등받이부(118)에 가해지면, 등받이부(118)는 등받이부(118)의 자체탄성력과 팔걸이부(130)의 자체탄성력에 의해 일정각도 후방으로 기울어진다. 이때, 팔걸이부(130)는 수평바(115)의 내부를 통한 연동부재(135)에 의해 연동되므로 양측의 팔걸이부(130)는 동일하게 신장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좌판부(112)에 앉게 되면,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등받이부(118)이 일부 기울어지므로 안락한 자세를 취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프레임 의자(100)에서 일어나게 되면, 등받이부(118), 팔걸이부(130)의 자체 탄성력에 의해 복원되어 등받이부(118)가 제자리로 복원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의자에 의하면, 다리부, 등받이부, 팔걸이부 및 좌판부가 단일 부품으로 형성되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조립성이 향상되며, 팔걸이부에 구비되는 안착패드의 교체가 용이하여 파손시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다양한 색상으로 변경이 가능하여 디자인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프레임 110 : 본체
112 : 좌판부 114 : 다리부
115 : 수평부 116 : 전측다리
117 : 후측다리 118 : 등받이부
119 : 캐스터 120 : 결합부
122 : 결합바 124 : 결합중공관
130 : 팔걸이부 132 : 장착홈부
135 : 연동부재 140 : 지지부
142 : 지지바 144 : 지지블럭
150 : 안착패드 160 : 착탈부
162 : 걸림후크 164 : 걸림홈부
166 : 들뜸방지홈부 168 : 들뜸방지돌기
168a : 마찰나사산 169 : 유동방지홈
170 : 가이드부 172 : 안내바
174 : 안내홈부 180 : 체결부재

Claims (9)

  1. 다리부와 등받이부를 갖는 본체; 일측이 상기 다리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등받이부에 연결되며, 팔을 안착을 위해 절곡되게 형성되는 팔걸이부; 상기 팔걸이부에 구비되는 안착패드; 및 상기 안착패드를 상기 팔걸이부로부터 착탈 가능하게 하는 착탈부를 포함하고,
    상기 착탈부는, 상기 팔걸이부의 상기 다리부에 연결되기 위해 하향 절곡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걸림홈부;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되도록 상기 안착패드의 하향 절곡되는 부위에 형성되는 걸림후크; 상기 안착패드의 팔을 직접적으로 접하여 안착하는 부위의 저면에 형성되는 들뜸방지홈부; 및 상기 들뜸방지홈부에 끼움 결합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에 구비되는 들뜸방지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안착패드의 하향 절곡 부위가 상기 팔걸이부에서 들뜨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걸림후크는 가이드부에 의해 상기 걸림홈부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안착패드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안내바; 및 상기 안내바가 삽입되도록 상기 팔걸이부에 형성되는 안내홈부를 포함하여,
    상기 안내바가 상기 안내홈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바를 중심으로 상기 안착패드를 회동시킬 경우, 각각 대응되는 상기 걸림후크와 상기 걸림홈부, 및 상기 들뜸방지홈부와 상기 들뜸방지돌기가 결합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좌판부;
    상기 좌판부를 바닥으로부터 지지하는 다리부; 및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어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부는 사용자의 하중에 의해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팔걸이부는 일단이 상기 다리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등받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에는 상기 좌판부를 지지하는 지지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들뜸방지홈부는 안착패드의 저면 전체면적에 분포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들뜸방지홈부는 상기 안착패드의 저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들뜸방지돌기의 주변에는 상기 들뜸방지홈부가 삽입될 수 있는 유동방지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들뜸방지홈부는 상기 들뜸방지돌기와의 결합시 확장이 가능하도록 복수개로 절개되어 형성되고;
    상기 들뜸방지돌기의 둘레면에는 마찰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들뜸방지돌기는 별도의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팔걸이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레임 의자.
KR1020170010715A 2017-01-23 2017-01-23 프레임 의자 KR10179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15A KR101791025B1 (ko) 2017-01-23 2017-01-23 프레임 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0715A KR101791025B1 (ko) 2017-01-23 2017-01-23 프레임 의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025B1 true KR101791025B1 (ko) 2017-10-27

Family

ID=6030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715A KR101791025B1 (ko) 2017-01-23 2017-01-23 프레임 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02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115Y1 (ko) * 2005-06-09 2005-08-30 박종근 의자용 팔걸이부 체결구조
KR101101874B1 (ko) * 2011-09-29 2012-01-05 주식회사 코아스 틸팅용 프레임의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4115Y1 (ko) * 2005-06-09 2005-08-30 박종근 의자용 팔걸이부 체결구조
KR101101874B1 (ko) * 2011-09-29 2012-01-05 주식회사 코아스 틸팅용 프레임의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2591B2 (en) Reclining chair headrest with height adjustment mechanism
US10165862B2 (en) Support structure for saddle-form seat surface
US20150091350A1 (en) Conforming Back for a Seating Unit
CA2070592C (en) Tilt back chair and control
CA2874346C (en) Chair with pivot function and method of making
GB1603356A (en) Chairs
US9301617B2 (en) One-piece office chair with an adjusting apparatus
US20120205948A1 (en) Chair
KR102356354B1 (ko) 의자용 팔걸이
US20170087037A1 (en) Seat or part thereof
KR101232825B1 (ko) 의자
US6557942B1 (en) Combination lounger with easy assembly and detaching structure
KR101791025B1 (ko) 프레임 의자
US20150008712A1 (en) Anatomic desk chair comprising backrest with frame having a tire-type assembly system
KR200421443Y1 (ko) 보조등받이가 구비된 의자
JP6172988B2 (ja) 椅子
JP7217110B2 (ja) 椅子
KR200159346Y1 (ko) 커버 착탈식 의자
JP2010063820A (ja) 椅子
TWM514793U (zh) 三度空間辦公椅結構
KR101231081B1 (ko) 책상용 가슴받이 체결구조
EP3067031B1 (en) Seat assembly for a passenger conveyance device
KR101925839B1 (ko) 프레임의자
KR20100129462A (ko) 절첩식 좌의자
KR101198957B1 (ko)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