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9395B1 -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 Google Patents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9395B1
KR102129395B1 KR1020200006537A KR20200006537A KR102129395B1 KR 102129395 B1 KR102129395 B1 KR 102129395B1 KR 1020200006537 A KR1020200006537 A KR 1020200006537A KR 20200006537 A KR20200006537 A KR 20200006537A KR 102129395 B1 KR102129395 B1 KR 102129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body
rotation
rotating
connecting arm
r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6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재국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 휴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휴코스 filed Critical (주) 휴코스
Priority to KR1020200006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9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9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9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3/00Combinations comprising two or more pieces of furniture of different kinds
    • A47B83/02Tables combined with seats
    • A47B83/021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 A47B83/0213Tables combined with seats with seats stowable beneath table top by pivotal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06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 A47B3/063Folding or stowable tables with separable parts combined with sea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00Folding or stowable tables
    • A47B3/14Foldable table and seat un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47B2220/0069Hinges
    • A47B2220/0072Hinges for furniture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스툴(Stool)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가 개시된다. 개시된 테이블 구조체는 테이블판, 상기 테이블판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연결 암(arm), 상기 연결 암에 연결된 스툴 의자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연결 암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 암이 상기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하도록 하는 회동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툴 의자는 상기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에 의해 상기 바닥과의 이격 거리가 변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TABLE STRUCTURE UNITED WITH STOOL CHAIR}
아래의 설명은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에 연관된다.
통상적으로 의자와 테이블은 서로 별개의 도구로서 분리되어 있다. 하지만, 휴게실이나 식당에서는 다수의 의자와 테이블이 배치되기 때문에 의자와 테이블이 분리되어 있을 경우 의자의 뒷정리가 쉽지 않아 장소가 혼잡스럽고 사람들의 이동경로를 의자가 가로막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테이블을 지탱하는 프레임 상에 의자를 연결한 테이블과 의자가 일체형으로 제공되는 제품이 있다. 테이블을 지탱하는 프레임 상에 의자가 연결된 연결프레임이 축결합되어 의자를 수평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의자를 사용하는 동안에는 의자가 테이블 밖으로 당겨내어 사용하고, 사용후에는 의자를 회동시켜서 테이블 안으로 밀어 넣는 방식의 테이블 일체형 의자가 제공된 바 있다.
이러한 테이블 일체형 의자는 의자의 관리와 사용에 있어서는 편리함을 주지만 공간 청소에 있어서는 여전히 불편한 점이 있었다. 의자가 테이블 안으로 삽입된 경우, 테이블 내부에 다수의 의자의 지지대들이 바닥과 접촉하거나 마주보고 있어서 테이블 내부 바닥 청소가 매우 곤란한 단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 등록공보 10-0752676호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가 제공된다.
일 측면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스툴(Stool)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가 개시된다. 테이블 구조체는 테이블판; 상기 테이블판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연결 암(arm); 상기 연결 암에 연결된 스툴 의자;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연결 암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 암이 상기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하도록 하는 회동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툴 의자는 상기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에 의해 상기 바닥과의 이격 거리가 변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암은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회동 범위는 상기 제2 회동 범위보다 크며,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연결 암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1 회전 바디와, 상기 제1 회전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 회전 바디 및 상기 제1 회전 바디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는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면과 하면에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에 상기 제1 회전 바디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바디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 바디의 실린더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회전 바디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상면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곡선의 말단에는 상기 제2 회전 바디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바디 및 상기 제2 회전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회전 바디 및 상기 제2 회전 바디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회전 바디 및 상기 제2 회전 바디 중 적어도 하나가 회동하는 동안 복원력을 가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이 내장될 수 있다.
상기 힌지 결합부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바디에는 캠팔로우(Cam follow)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캠팔로우는 상기 제2 회전 바디가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제1 회전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툴 의자의 연결 암과 연결된 회동 연결부에 의해 스툴 의자가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툴 의자가 테이블 판 아래 공간에 삽입되거나 테이블 밖으로 돌출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스툴 의자가 테이블 판 아래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 연결부에 의해 스툴 의자가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툴 의자가 틸트 되어 스툴 의자의 지지대가 바닥과 분리되어 테이블 판 아래의 바닥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테이블 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테이블 구조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4는 스툴 의자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동 연결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 나타낸 힌지 결합부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5에서 나타낸 제1 회전 바디 및 제2 회전 바디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성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제1 회동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10은 제2 회전 바디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1은 제1 회전 바디가 회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제1 회전 바디가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회전 바디가 제2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회동 연결부의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나타낸 회동 연결부의 분해도이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으로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테이블 구조체에서 테이블(10)과 스툴 의자(200)가 일체형으로 결합될 수 있다. 테이블 구조체는 테이블판(10), 테이블판(10)을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20), 회동 연결부(100), 연결 암(30) 및 스툴 의자(200)를 포함할 수 있다.
테이블판(10)은 지지 프레임(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지지 프레임(20)에 의해 테이블판(10)은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에서는 지지 프레임(20)의 일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냈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프레임(20)의 형상은 통상의 기술자가 변경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 프레임(20)에 포함된 지지 다리의 개수, 지지 다리의 형성 각도, 테이블 아래에 형성된 프레임의 모양 등은 통상의 기술자가 생각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연결 암(30)은 회동 연결부(100)를 통해 지지 프레임(20)과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회동 연결부(100)에 의해 연결 암(30)은 회동할 수 있다. 회동 연결부(300)는 지지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회동 연결부(300)의 적어도 일부분은 연결 암(30)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회동 연결부(3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의 회동에 의해 연결 암(30)은 바닥에 수직인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할 수 있다. 또한, 회동 연결부(30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구성의 회동에 의해 연결 암(30)은 제1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할 수 있다. 제2 회전축은 바닥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테이블 구조체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회동 연결부(100)에 의해 연결 암(30)이 바닥에 실질적으로 수직한 z축 방향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연결 암(30)이 회동함에 따라 연결 암(30)과 연결된 스툴 의자(200)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연결 암(30)은 제1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동 범위는 대략 70도 내지 100도 범위의 회전 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암(30)이 제1 회동 범위에서 회동하는 동안 스툴 의자(200)는 소정의 회동 경로(L1)를 따라 회동할 수 있다. 연결 암(30)이 제1 회동 범위의 제1 말단에 위치하는 경우, 스툴 의자(200)는 테이블 판(10) 밖으로 돌출된 상태일 수 있다. 연결 암(30)이 제1 회동 범위의 제2 말단에 위치하는 경우, 스툴 의자(200)의 적어도 일부분은 테이블 판(10) 아래로 삽입된 상태일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테이블 구조체를 다른 각도에서 바라본 평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회동 연결부(100)에 의해 연결 암(30)이 제1 회전축(z축)과 수직한 제2 회전축(x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할 수 있다. 연결암이 회동함에 스툴 의자(200)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회동 연결부(100)는 스툴 의자(200)가 테이블판(10) 아래에 삽입된 상태에서 연결 암(30)을 제2 회전축(x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시킬 수 있다. 제2 회전축(x축)은 제1 회전축(z축)과 실질적으로 수직할 수 있다. 제2 회전축(x축)은 바닥과 실질적으로 평행할 수 있다. 즉, 스툴 의자(200)가 테이블 판(10) 밖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연결 암(30)의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동은 제한될 수 있다.
연결 암(30)은 제2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동 범위는 대략 15도 내지 45도 범위의 회전 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연결 암(30)이 제2 회동 범위에서 회동하는 동안 스툴 의자(200)의 지지대가 바닥과 이격되는 거리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회동 범위의 제1 말단에서 스툴 의자(200)의 지지대가 바닥과 가장 가깝게 마주보거나 바닥과 접촉할 수 있다. 제2 회동 범위의 제2 말단에서 스툴 의자(200)의 지지대가 바닥과 가장 멀리 이격될 수 있다. 스툴 의자(200)의 지지대가 바닥과 멀리 이격됨에 따라 밀대나 빗자루 등의 청소 도구를 이용한 테이블 판(10) 아래의 바닥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4는 스툴 의자(200)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스툴 의자(200)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좌판(210)과, 좌판(210)을 지지하는 지지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30)에는 압축 스프링(224)과 압축 스프링에 연결되는 구조체들(222, 226)이 내장될 수 있다. 좌판(210)에 사용자의 하중이 가해지면, 하중이 압축 스프링(224)에 전달될 수 있다. 압축 스프링(224)에 의해 지지대의 길이가 변할 수 있다. 따라서 스툴 의자(200)가 안정적으로 사용자의 하중을 견뎌낼 수 있다. 지지대(230)는 연결 암(3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암(30)은 'ㄱ'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ㄱ'자 형상은 양 말단이 향하는 방향이 실질적으로 수직이면 족하다. 따라서, 연결 암(30)은 직선으로만 이루어지지 않고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곡선으로 이루어진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연결 암(30)은 회동 연결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회동 연결부(100)의 동작에 의해 연결 암(30)이 회동할 수 있다. 연결 암(30)이 회동함에 따라 스툴 의자(200)가 함께 회동할 수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회동 연결부(10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회동 연결부(100)는 힌지 결합부(110), 힌지 결합부(110)에 힌지 결합되어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1 회전 바디(120) 및 제1 회전 바디(120)에 연결되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 회전 바디(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암(30)은 제2 회전 바디(140)와 연결될 수 잇다.
힌지 결합부(110)는 'ㄷ'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힌지 결합부(110)의 상면과 하면에는 통과 홀이 형성되며, 통과 홀에 제1 회전 바디(120)가 힌지 결합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110)의 통과 홀을 중심으로 제1 바디(120)가 회동할 수 있다. 제1 바디는 제1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제1 바디(120)의 회동 범위는 제1 바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1 돌출부(132) 및 제2 돌출부(미도시)이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제1 바디(120)가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으로 회동하면 제1 돌출부(132) 또는 제2 돌출부(미도시)가 힌지 결합부(110)의 벽에 닿으면서 제1 바디(12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힌지 결합부(110)에 힌지 결합된 제1 바디(120)가 회동함에 따라 제1 바디(120)의 외주면에 연결된 제2 바디(14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힌지 결합부(110)의 상면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분(117)은 곡선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곡선형상의 가장자리(117)는 제1 바디(120)가 회동함에 따라 제2 바디(140)의 특정 영역이 함께 회동하는 경로에 대응할 수 있다. 곡선형상의 가장자리(117)에 의해 제1 바디(120)가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도달하기 전에는 제2 바디(14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곡선형상의 말단에는 제2 회전 바디(140)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경사면(118)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경사면(118)의 각도에 따라 제2 회동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회전 바디(120)가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위치할 때 제2 회전 바디(140)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2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제1 회전 바디(120)가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위치하면, 후술하는 토션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제2 회전 바디(140)가 자발적으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140)가 회동을 멈추는 각도는 경사면(118)의 각도에 의존할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140)가 회동함으로써 제2 회전 바디(140)에 연결된 연결 암(30) 및 스툴 의자(200)가 회동할 수 있다. 스툴 의자(200)가 회동함에 따라 스툴 의자(200)의 지지대가 바닥과 이격되어 테이블 판(10) 아래의 바닥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도 6은 도 5에서 나타낸 힌지 결합부(110)를 보다 상세히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힌지 결합부(110)는 상면(113), 하면(115) 및 상면(113)과 하면(115)을 연결하는 옆벽(1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면(113) 및 하면(115)에는 통과홀들(114, 11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도 5에서 나타낸 제1 회전 바디(120)는 통과홀들(114, 116)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제1 회전 축은 통과홀들(114, 116)의 중심을 통과할 수 있다.
상면(113) 및 하면(115)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분(117)은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곡선 형상의 가장자리(117)는 제1 회전 바디(120)가 회동하는 동안 함께 회동하는 제2 회전 바디(140) 중 적어도 일부분의 회동 경로에 대응할 수 있다. 곡선 형상의 가장자리(117)에 의해서 제1 회전 바디(120)가 회동하는 동안 제2 회전 바디(140)의 회동은 제한될 수 있다.
상면(113)에서 곡선 형상의 가장자리(117)의 말단에는 경사면(118)이 형성될 수 있다. 경사면(118)이 형성된 영역에서 제2 회전 바디(140)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경사면(118)에 의해 제2 회동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경사면(118)의 경사각도에 따라 제2 회전 바디(140)가 회동을 멈춘 후 스툴 의자(200)의 지지대가 틸트(tilt) 되는 각도가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도 5에서 나타낸 제1 회전 바디(120) 및 제2 회전 바디(120)의 외주면에 형성된 구성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1 회전 바디(120)는 실린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회전 바디(120)의 외주면에는 제1 돌출부(132) 및 제2 돌출부(134)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돌출부(132)의 형성 방향과 제2 돌출부(134)의 형성 방향 사이의 각도차에 따라 제1 회동 범위가 달라질 수 있다. 제1 회전 바디(120)의 외주면에는 결합 봉(136)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 봉(136)은 제2 회전 바디(140)와 결합될 수 있다. 결합 봉(136)과 제2 회전 바디(140)의 결합에 의해 제2 회전 바디(140)가 제1 회전 바디(12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8 및 도 9는 제1 회동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들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회전 바디(120)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서 제1 돌출부(132)가 힌지 결합부(110)의 옆벽(112)과 접촉함에 따라 제1 회전 바디(12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제1 회동 범위의 다른 말단에서 제2 돌출부(134)가 힌지 결합부(110)의 옆벽(112)가 접촉함에 따라 제1 회전 바디(12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0은 제2 회전 바디(140)의 형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회전 바디(140)에서 제1 회전 바디(120)와 연결되는 말단에는 음각의 수용부(142)가 형성될 수 있다. 음각의 수용부(142)에 힌지 결합부(110)의 가장자리(117)가 수용될 수 있다.
도 11은 제1 회전 바디(120)가 회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1 회전 바디(120)가 제1 회전축(z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1 회전 바디(120)가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도착하기 전에는 힌지 결합부(110)의 가장자리(117)가 제2 회전 바디(140)의 수용부(142)에 수용될 수 있다. 가장자리(117)가 수용부(142)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가장자리(117)에 의해 수용부(142)가 형성된 제2 회전 바디(140)가 x-y평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하는 것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2는 제1 회전 바디(120)가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2 회전 바디(140)가 제2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하는 것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회전 바디(120)가 제1 회전축(z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도착하면 수용부(142)에서 가장자리(117)가 수용되지 않는 빈 공간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회전 바디(140)가 제2 회전축(x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140)가 제2 회동 범위의 말단까지 회동하면, 경사면(118)에 의해 제2 회전 바디(140)의 회동이 제한될 수 있다.
도 13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테이블 구조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회동 연결부(400)는 내부 구성을 수용하는 하우징에 내장될 수 있다.
도 14는 도 13의 회동 연결부(400)의 하우징 내부를 나타낸 투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회동 연결부(400)의 구성들은 하우징(402, 404)에 의해 내장될 수 있다. 하우징은 상부 하우징(402)과 하부 하우징(404)으로 분리될 수 있다. 하우징에는 제1 회전 바디가 회동하는 동안 함께 회동하는 제2 회전 바디의 회동 경로에 대응하는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하우징에는 힌지 결합부 및 힌지 결합부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회전 바디가 내장될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440)는 제1 회전 바디의 외주면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440)의 일부분은 하우징 내부에 위치하고, 나머지 부분은 하우징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회전 바디가 제1 회동 범위 말단까지 회동하면, 제2 회전 바디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의 회동 범위은 스토퍼(444)와 경사면(418) 사이의 접촉에 의해 제한될 수 있다. 스토퍼(444)는 후술하는 캠팔로우(Cam follow)를 고정하는데 이용될 수도 있다.
도 15는 도 14에서 나타낸 회동 연결부(400)의 분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제1 회전 바디(420)는 실린더 몸체(424)와, 실린더 몸체(424)에 내장되는 힌지핀(422), 제1 볼 베어링(423), 제2 볼 베어링(425), 스페이서(426), 토션 스프링(427), 스프링 칼라(428) 및 엔드 캡(End cap; 429)을 포함할 수 있다. 힌지핀(422)은 힌지 결합부(410)의 통과홀에 삽입되며, 제1 회전 바디의 회전축 역할을 수행한다. 제1 및 제2 볼 베어링(423, 425)은 제1 회전 바디 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토션 스프링(427)은 제1 회전 바디(420)에 복원력을 가하여 제1 회전 바디(420)가 소정 위치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툴 의자(200)에서 일어나면 토션 스프링(427)의 복원력에 의해 제1 회전 바디(420)가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스툴 의자(200)가 테이블(10) 아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440) 내부에는 제1 볼 베어링(441), 제2 볼 베어링(445), 너트(446), 잠금 와셔(447), 토션 스프링(448), 고정 브라켓(449)이 내장될 수 있다. 고정 브라켓(449)은 볼트(450) 및 너트(454)에 의해 볼트캡(45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볼 베어링(441, 445)은 제2 회전 바디(440) 내부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 잠금 와셔(447)는 너트(446)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토션 스프링(448)은 제2 회전 바디(440)에 복원력을 가하여 제2 회전 바디(440)가 소정 위치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회전 바디(420)가 제1 회동 범위의 말단까지 회동하여 스툴 의자(200)가 테이블 (10) 아래 공간으로 삽입되면, 토션 스프링(448)이 가하는 복원력에 의해 제2 회전 바디(440)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할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440)의 회동에 의해 스툴 의자(200)가 틸트될 수 있다. 스툴 의자(200)가 틸트 됨에 따라 스툴 의자(200)의 지지대와 바닥 사이의 이격 거리가 커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테이블 판(10) 아래의 바닥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제2 회전 바디(440)에는 스토퍼가 형성되어 있으며 스토퍼(444)의 구멍에는 캠 팔로우(442)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캠 팔로우(442)는 너트(443)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캠 팔로우(442)는 제2 회전 바디(440)가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동안 스토퍼와 실린더 몸체(424)의 외주면 사이에서 실린더 몸체(424)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 회전 바디(440)와 제1 회전 바디(420) 사이의 마찰을 감소시키고 제2 회전 바디(440)의 회동 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에 관하여 설명하였다.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르면, 스툴 의자의 연결 암과 연결된 회동 연결부에 의해 스툴 의자가 제1 회전 축을 중심으로 소정 회동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툴 의자가 테이블 판 아래 공간에 삽입되거나 테이블 밖으로 돌출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또한, 스툴 의자가 테이블 판 아래 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동 연결부에 의해 스툴 의자가 제2 회전 축을 중심으로 소정 범위 내에서 회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툴 의자가 틸트 되어 스툴 의자의 지지대가 바닥과 분리되어 테이블 판 아래의 바닥 청소가 용이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등록청구범위와 균등하게 또는 등가적으로 변형된 모든 것들은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Claims (6)

  1. 적어도 하나의 스툴(Stool)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에 있어서,
    테이블판;
    상기 테이블판을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도록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연결 암(arm);
    상기 연결 암에 연결된 스툴 의자;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분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 프레임과 상기 연결 암 사이를 연결하며, 상기 연결 암이 상기 바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1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하도록 하고,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제1 회전축과 수직한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하여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하도록 하는 회동 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스툴 의자는 상기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에 의해 상기 바닥과의 이격 거리가 변하며, 상기 연결 암은 'ㄱ'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 회동 범위는 상기 제2 회동 범위보다 크고,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연결 암이 상기 제1 회동 범위의 말단에 위치하는 동안 상기 연결 암이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제2 회동 범위 안에서 회동하도록 하며,
    상기 회동 연결부는 상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1 회전 바디와, 상기 제1 회전 바디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제2 회전 바디 및 상기 제1 회전 바디가 힌지 결합되는 힌지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결합부는 'ㄷ'자 형상을 가지고 있으며, 상면과 하면에 통과 홀이 형성되고 상기 통과 홀에 상기 제1 회전 바디가 힌지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 바디는 실린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회전 바디의 실린더 외주면에는 상기 제1 회전 바디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1 돌출부 및 제2 돌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힌지 결합부의 상면의 가장자리 중 적어도 일부분은 곡선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곡선의 말단에는 상기 제2 회전 바디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경사면이 형성되는 테이블 구조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 바디 및 상기 제2 회전 바디 중 적어도 하나에는 상기 제1 회전 바디 및 상기 제2 회전 바디 중 적어도 하나의 내부에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볼 베어링과, 상기 제1 회전 바디 및 상기 제2 회전 바디 중 적어도 하나가 회동하는 동안 복원력을 가하기 위한 토션 스프링이 내장되는 테이블 구조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 결합부가 내장되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 바디에는 캠팔로우(Cam follow)가 고정 설치되며, 상기 캠팔로우는 상기 제2 회전 바디가 회동하는 동안 상기 제1 회전 바디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테이블 구조체.
KR1020200006537A 2020-01-17 2020-01-17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KR102129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537A KR102129395B1 (ko) 2020-01-17 2020-01-17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6537A KR102129395B1 (ko) 2020-01-17 2020-01-17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9395B1 true KR102129395B1 (ko) 2020-07-02

Family

ID=71599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6537A KR102129395B1 (ko) 2020-01-17 2020-01-17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9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146B1 (ko) 2020-12-16 2021-04-28 서우산업 주식회사 스툴의 회전이 용이한 스툴 일체형 테이블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76B1 (ko) 2007-05-09 2007-08-29 정진희 출몰 타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00005049U (ko) * 2008-11-07 2010-05-17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43553B1 (ko) * 2015-06-30 2015-08-11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CN205457283U (zh) * 2016-01-27 2016-08-17 温州大学城市学院 一种户外棋牌桌
CN206166297U (zh) * 2016-08-30 2017-05-17 白达亮 一种新型组合式折叠餐桌椅
US20190191869A1 (en) * 2017-12-21 2019-06-27 Dawn Pensack Collapsible Desk Assembly
KR102055574B1 (ko) * 2019-06-19 2019-12-13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승하강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2676B1 (ko) 2007-05-09 2007-08-29 정진희 출몰 타입의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20100005049U (ko) * 2008-11-07 2010-05-17 주식회사하나로오에이퍼니쳐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KR101543553B1 (ko) * 2015-06-30 2015-08-11 주식회사 하나로오에이퍼니처 회전력 조절이 용이한 절첩식 의자 일체형 테이블
CN205457283U (zh) * 2016-01-27 2016-08-17 温州大学城市学院 一种户外棋牌桌
CN206166297U (zh) * 2016-08-30 2017-05-17 白达亮 一种新型组合式折叠餐桌椅
US20190191869A1 (en) * 2017-12-21 2019-06-27 Dawn Pensack Collapsible Desk Assembly
KR102055574B1 (ko) * 2019-06-19 2019-12-13 (주)캠퍼스라인 식당의자용 승하강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5146B1 (ko) 2020-12-16 2021-04-28 서우산업 주식회사 스툴의 회전이 용이한 스툴 일체형 테이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21727B2 (ja) 椅子の座の回動機構
KR102129395B1 (ko) 스툴 의자와 일체형으로 결합된 테이블 구조체
TWI767749B (zh) 支撐機構及具備此支撐機構的支撐裝置
JP6872741B1 (ja) 支持装置
JP2559420Y2 (ja) ハイハットスタンドのシンバル受け機構
KR100996274B1 (ko) 절첩의자를 구비한 테이블
EP1153794A2 (en) Mirror surface angle adjusting device
KR102004868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절곡 프레임형 절첩식 테이블
US20040159754A1 (en) Universal adjusting mechanism for tripods
US6186591B1 (en) Table with self-adjusting midframe support
KR101073198B1 (ko) 장애인용 관람 의자
JP4518648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4518649B2 (ja) 椅子の肘掛け装置
JP2565792Y2 (ja) 椅子の座支持装置
KR102004866B1 (ko) 상판 유동방지구조가 적용된 수직 지주형 절첩식 테이블
KR101854427B1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접이식 의자
JP2003038295A (ja) 回転椅子
JP2815341B2 (ja) 椅 子
CN105708212A (zh) 一种可收缩台板至座板底下的椅子
JP2002148216A (ja) 試料テーブル装置
JP2000135121A (ja) テーブル
CN215777649U (zh) 一种可锁定式翻折关节及包含其的折叠浴椅
CN207220578U (zh) 一种多用桌椅
JP3050819U (ja) 脚付椅子
JPH0728450U (ja) 回転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