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582B1 -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582B1
KR102340582B1 KR1020210129601A KR20210129601A KR102340582B1 KR 102340582 B1 KR102340582 B1 KR 102340582B1 KR 1020210129601 A KR1020210129601 A KR 1020210129601A KR 20210129601 A KR20210129601 A KR 20210129601A KR 102340582 B1 KR102340582 B1 KR 102340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elevating body
guide groove
leg
inner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석희
Original Assignee
선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선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29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20Telescopic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8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40Telescopic guide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복수의 높이조절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복수의 높이조절공에 끼움고정되는 별도의 고정구 또한 제조 및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상하위치조절된 내측다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Desk chair height adjuster}
본 발명은 책걸상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복수의 높이조절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복수의 높이조절공에 끼움고정되는 별도의 고정구 또한 제조 및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상하위치조절된 내측다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할 수 있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초,중,고교의 각급 학교에서 주로 사용되고 있는 통상의 교구( 校具)용 걸상 및 책상은 좌우 지지대 상단에 사각형의 상판이나 좌판이 고정된 구조로 이루어지고 사용자가 좌판에 앉은 상태에서 상판을 이용하여 업무나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대부분의 책상은 상판 양측을 지지하는 지지대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서랍등의 부속물이 부착되어 상판 자체가 지지대의 상단에서 고정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상판의 높이가 고정되어 있는 종래의 책상은 키가 큰 사용자들은 다리의 길이 때문에 앉은 자세가 불편할 뿐 만 아니라 키가 작은 사용자의 경우 다리가 지면에 닿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어 걸상에 착석한 상태로 상판을 이용한 학습 등으로 인한 장시간 생활할 때에는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에게 척추를 비롯한 신체발달에 상당한 무리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최근에는 책걸상의 높낮이를 신속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높낮이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부품의 분실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62656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62656호의 경우, 책상의 상판과 연결되는 상부파이프에 복수의 높이조절공을 상하 다단으로 형성하여 상기 상부파이프의 복수의 높이조절공에 끼움되는 고정핀이 구비된 고정구를 통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방식으로서, 상기 상부파이프에 복수의 상기 높이조절공을 드릴공구 등을 이용하여 상하다단으로 형성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많은 제조비용 소요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책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상기 고정구의 고정핀을 복수의 상기 높이조절공으로부터 일일이 분리 및 복수의 상기 높이조절공에 일일이 끼움고정시켜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862656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책걸상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복수의 높이조절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복수의 높이조절공에 끼움고정되는 별도의 고정구 또한 제조 및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상하위치조절된 내측다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할 수 있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다리로 구성되는 책걸상 다리 중 상기 내측다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함께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몸체의 내측에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를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를 위치고정하는 보조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몸체는 상기 내측다리의 후측 하부 내측에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후측승강몸체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다리의 전측 하부 내측에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전측승강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타측과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타측에 상기 내측다리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는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는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일측 하부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일측 하부에 일측가이드홈이 각각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타측 하부에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과 연통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과 연통되는 하부삽입홈이 일정깊이로 각각 형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상부 사이의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중간부위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상부 사이의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중간부위에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중간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외측다리의 하부 내부에 고정되는 하부가이드몸체와; 상기 하부가이드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가이드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 및 상기 승강몸체의 내측에 상기 승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운동을 안내하고, 내측에 상기 외측다리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하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하부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상부돌출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판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하부돌출판 사이의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으로 돌출 및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걸림고정판이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복수형성되며, 상기 걸림고정판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슬릿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상부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승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이동판과; 상기 회전이동판의 전면 상부와 후면 상부에 상기 회전이동판의 전방방향 및 후방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중간가이드홈과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중간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상부가이드축과; 상기 회전이동판의 전면 하부와 후면 하부에 상기 회전이동판의 전방방향 및 후방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과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복수의 걸림고정판의 상부에 걸림고정되는 하부걸림고정축과; 상기 상부가이드축의 상부방향의 상기 회전이동판의 상부부위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이동판의 상부를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위치고정부는 상기 외측다리의 상부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외측다리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위치고정몸체와; 상기 하부위치고정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내측다리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상부위치고정몸체와;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의 내부 타측에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편심결합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전측이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을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의 일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이 상기 내측다리의 타측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보조위치고정부는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과 상기 내측다리의 타측 외주면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책걸상의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다리 및 승강몸체를 위치고정시키는 위치고정부를 통해 책걸상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외측다리와 상기 내측다리에 번거롭게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복수의 높이조절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복수의 상기 높이조절공에 끼움고정되는 별도의 고정구 또한 제조 및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고, 나아가, 보조위치고정부를 통해 상하위치조절된 내측다리를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가 책걸상의 다리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책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정면방향에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배면방향에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내측다리의 상승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11 내지 도 13은 내측다리의 하강 완료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보조위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가 책걸상의 다리부위에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책걸상의 높낮이가 조절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책걸상(3)의 다리는 도 1 내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외측다리(31)와; 상기 외측다리(3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다리(32);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정면방향에서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배면방향에서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는 책걸상(3)의 다리에 구비되어 책걸상(3)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승강몸체(10), 가이드프레임(20), 위치고정부(30) 및 보조위치고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승강몸체(10)는 상기 책걸상(3) 다리 중 상기 내측다리(32)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내측다리(32)와 함께 상기 외측다리(3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책걸상(3) 다리 중 상기 외측다리(31)는 일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외측다리(31a)와, 상기 후측외측다리(31a)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측외측다리(31b)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책걸상(3) 다리 중 상기 내측다리(32)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내측다리(32a)와, 상기 후측내측다리(32a)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구비되는 전측내측다리(32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몸체(10)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예로, 크게, 후측승강몸체(110)와 전측승강몸체(12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상부는 상기 내측다리(32)의 후측내측다리(32a)의 하부 내측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상부는 체결부재(5)에 의해 상기 후측내측다리(32a)의 하부 내측에 삽입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채결부재(5)는 상기 후측내측다리(32a)의 하부 중간부와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후술할 중간가이드홈(114)의 하부방향의 상기 후측승강몸체(110)부위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볼트, 피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몸체(120)는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예로,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각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전측 각 모서리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고정축(120a)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전측 각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고정축(120a)이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홈(110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상부는 상기 내측다리(32)의 전측내측다리(32b)의 하부 내측에 삽입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상부는 상기 체결부재(5)에 의해 상기 전측내측다리(32b)의 하부 내측에 삽입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볼트, 피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5)는 상기 전측내측다리(32b)의 하부 중간부와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후술할 중간가이드홈(124)의 하부방향의 전측승강몸체(120) 부위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내부 타측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다리(3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가이드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타측가이드홈(111)의 상부는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내부 타측에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내측다리(32)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가이드홈(12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타측가이드홈(121)의 상부는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내부 일측 하부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일측가이드홈(1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가이드홈(112)은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내부 일측에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볼록한 호형상의 일측가이드홈(12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가이드홈(122)은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가이드홈(112)의 타측 하부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가이드홈(112)과 연통되는 하부삽입홈(113)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가이드홈(122)의 타측 하부에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가이드홈(122)과 연통되는 하부삽입홈(123)이 일정깊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타측가이드홈(111)의 상부와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가이드홈(112)의 상부 사이의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내부 중간부위에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가이드홈(1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중간가이드홈(114)은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타측가이드홈(121)의 상부와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가이드홈(122)의 상부 사이의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내부 중간부위에도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중간가이드홈(12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중간가이드홈(124)은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상부방향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은 상기 외측다리(31)의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은 상기 승강몸체(10)의 내측에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32)와 상기 승강몸체(10)의 승강운동을 안내하게 된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은 일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가이드몸체(210)와 상부가이드판(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는 상기 외측다리(31)의 하부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외측다리(31)의 하부 내부에 1개의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가 체결부재(7)에 의해 체결고정 또는 이등분 구조의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가 체결부재(7)에 의해 체결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가 이등분 구조로 이루어질 경우, 상기 상부가이드판(220)으로부터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를 용이하게 교체보수 및 상기 하부가이드몸체(121)로부터 상기 상부가이드판(220)을 용이하게 교체보수할 수 있다.
이등분 구조의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는 일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후측하부가이드몸체(210a)와 전측하부가이드몸체(210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측하부가이드몸체(210a)의 전측 각 모서리 부위에 고정홈(210a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전측하부가이드몸체(210b)의 전측의 반대측인 후측 각 모서리 부위에는 상기 후측하부가이드몸체(210a)의 고정홈(210a1)에 분리가능하게 억지끼움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삽입고정되는 고정축(120a)이 상기 후측하부가이드몸체(210a)의 고정홈(210a1) 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재(7)는 상기 전측외측다리(31b)의 하부 중간부와 1개의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의 중간부 및 상기 후측외측다리(31a)의 하부 중간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하는 볼트, 피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볼트, 피스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는 상기 체결부재(7)는 상기 전측외측다리(31b)의 하부 중간부, 상기 전측하부가이드몸체(210b)의 중간부, 상기 상부가이드판(220)의 하부 중간부, 상기 후측하부가이드몸체(210a)의 중간부 및 상기 후측외측다리(31a)의 하부 중간부를 순차적으로 수평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판(220)은 1개의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의 상부에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상부가이드판(220)의 하부가 이등분 구조의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의 후측하부가이드몸체(210a)와 전측하부가이드몸체(210b) 사이에 분리가능하게 수용된 상태로 이등분 구조의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의 상부에 상기 상부가이드판(220)이 상기 하부가이드몸체(210)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수직연장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가이드판(220)은 상기 승강몸체(10)의 내측, 즉,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와 전측승강몸체(120) 사이에 상기 승강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32)와 상기 승강몸체(10)의 승강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판(220)의 내측에는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이드슬릿(211)이 상기 외측다리(3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일측 하부에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하부돌출판(21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상부돌출판(213)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돌출판(213)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일측 상부에는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판(2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판(214)과 상기 하부돌출판(212) 사이의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내측으로 돌출 및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걸림고정판(215)이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상하방향으로 복수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215)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은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상기 걸림고정판(215)의 상부는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슬릿(211)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질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위치고정부(3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32)와 상기 승강몸체(10)를 위치고정하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부(30)는 일예로, 도 5 및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회전이동판(310), 상부가이드축(320), 하부걸림고정축(330) 및 탄성부재(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310)은 상기 승강몸체(10)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빗방울 형상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31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상부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가이드축(320)은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전면 상부와 후면 상부에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전방방향 및 후방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전면 상부에 형성된 상부가이드축(320)은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중간가이드홈(12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후면 상부에 형성된 상기 상부가이드축(32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가이드슬릿(211)을 통과하여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중간가이드홈(11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은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전면 하부와 후면 하부에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전방방향 및 후방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전면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은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일측가이드홈(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가이드슬릿(211)을 통과하여 상기 후측승강몸체(110)의 일측가이드홈(11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은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판(215) 중 어느 하나의 상기 걸림고정판(215)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40)는 스프링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40)를 이룰 수 있는 스프링의 상부는 상기 상부가이드축(320)의 상부방향의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상부부위에 관통한 상태로 감김고정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340)를 이룰 수 있는 스프링의 하부가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타측가이드홈(121)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탄성부재(340)를 이룰 수 스프링은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타측가이드홈(121)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상부를 상기 전측승강몸체(120)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0은 내측다리의 상승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A - 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사용자에 의해 상기 내측다리(32)와 함께 상기 승강몸체(10)가 점차 상승하는 과정 중에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후면 하부에 형성된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은 도 7 내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복수의 걸림고정판(215)의 타측과 각각 접한 상태로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하부와 함께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은 상기 승강몸체(10)의 일측가이드홈(112, 12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상부가 상기 승강몸체(10)의 타측가이드홈(111, 121)의 상부 일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40)가 점차 팽창될 수 있다.
상기 내측다리(32)와 함께 상기 승강몸체(10)가 점차 상승하는 과정 중에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과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판(215) 타측이 접한 상태가 간헐적으로 해제되면서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판(215)의 상부방향마다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이 위치하게 될 경우, 상기 탄성부재(340)가 수축되면서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상부가 상기 승강몸체(10)의 타측가이드홈(111, 121)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하부와 함께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이 상기 승강몸체(10)의 일측가이드홈(112, 122)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하여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판(215)의 상부마다 간헐적으로 안착된 상태로 걸림고정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내측다리(32)와 함께 상기 승강몸체(10)가 간헐적으로 상승된 상태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가이드판(214)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걸림고정판(215)의 상부에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이 안착됨에 따라 상기 내측다리(32)와 함께 상기 승강몸체(10)의 상승이 최종적으로 완료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13은 내측다리의 하강 완료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내측다리(32)와 함께 상기 승강몸체(10)의 상승이 최종적으로 완료된 상태에서 도 11에서 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내측다리(32)와 상기 승강몸체(10)를 상기 외측다리(31)의 상부방향으로 더 상승시킬 경우,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가이드판(214)의 하부방향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의 상기 걸림고정판(215)의 상부에 안착된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이 상기 가이드판(214) 방향으로 이동 및 상기 가이드판(214)과 접하면서 점차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하부와 함께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은 상기 승강몸체(10)의 일측가이드홈(112, 122)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승강몸체(10)의 하부삽입홈(113, 123) 방향으로 하강하여 상기 하부삽입홈(113, 123)에 삽입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상부가 상기 승강몸체(10)의 타측가이드홈(111, 121)의 상부 일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하면서 상기 탄성부재(340)가 점차 팽창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과 복수의 상기 걸림고정판(215)의 간섭없이 사용자는 상기 내측다리(32)와 함께 상기 승강몸체(10)를 도 1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하부돌출판(212) 방향으로 신속하게 한번에 하강완료시킬 수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하부돌출판(212)이 상기 승강몸체(10)를 따라 하강하는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과 접하면서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을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상부방향으로 가압하게 될 경우, 도 1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하부와 함께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이 상기 승강몸체(10)의 일측가이드홈(112, 122)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함과 더불어 상기 탄성부재(340)가 수축되면서 상기 회전이동판(310)의 상부가 상기 승강몸체(10)의 타측가이드홈(111, 121)의 하부방향으로 점차 회전이동될 수 있다.
이로서, 상기 하부걸림고정축(330)이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하부돌출판(212)의 일측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상기 내측다리(32)와 함께 상기 승강몸체(10)의 하강이 최종적으로 완료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책걸상(3)의 외측다리(31)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상기 내측다리(32) 및 상기 승강몸체(10)를 위치고정시키는 상기 위치고정부(30)를 통해 책걸상(3)의 높낮이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기 외측다리(31)와 상기 내측다리(32)에 번거롭게 책걸상(3)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복수의 높이조절공을 형성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복수의 상기 높이조절공에 끼움고정되는 별도의 고정구 또한 제조 및 사용할 필요가 없어 제조비용이 크게 절감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4 및 도 15는 보조위치고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 4의 B - 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보조위치고정부(4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20)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32)를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일예로, 도 5, 도 6,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하부위치고정몸체(410), 상부위치고정몸체(420), 이동몸체(430), 회전몸체(440) 및 손잡이(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위치고정몸체(410)의 내측에 상기 외측다리(31)의 상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하부위치고정몸체(410)는 상기 외측다리(31)의 상부에 볼트고정, 피스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위치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420)는 상기 하부위치고정몸체(4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420)의 내측에 상기 내측다리(32)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몸체(430)는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420)의 내부 타측에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420)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440)는 상기 이동몸체(430)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4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편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450)의 일측에 상기 회전몸체(4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몸체(440)의 전측이 상기 이동몸체(430)의 타측을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420)의 일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동몸체(430)의 일측이 상기 내측다리(32)의 일측의 반대측인 타측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50)를 이용하여 도 14 및 도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회전몸체(44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보조위치고정부(40)를 통해 상하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32)를 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하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32)를 더더욱 안정적으로 위치고정하기 위해, 상기 보조위치고정부(40)는 상기 이동몸체(430)의 일측에 접착고정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430)의 일측과 상기 내측다리(32)의 타측 외주면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재(46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립방지부재(460)는 일예로, 탄성력을 지닌 고무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는 슬립방지패드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10; 승강몸체, 20; 가이드프레임,
30; 위치고정부, 40; 보조위치고정부.

Claims (6)

  1.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다리로 구성되는 책걸상 다리 중 상기 내측다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함께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몸체의 내측에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를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를 위치고정하는 보조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몸체는 상기 내측다리의 후측 하부 내측에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후측승강몸체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다리의 전측 하부 내측에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전측승강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타측과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타측에 상기 내측다리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는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는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일측 하부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일측 하부에 일측가이드홈이 각각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타측 하부에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과 연통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과 연통되는 하부삽입홈이 일정깊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상부 사이의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중간부위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상부 사이의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중간부위에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중간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2.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다리로 구성되는 책걸상 다리 중 상기 내측다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함께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몸체의 내측에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를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를 위치고정하는 보조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외측다리의 하부 내부에 고정되는 하부가이드몸체와;
    상기 하부가이드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가이드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 및 상기 승강몸체의 내측에 상기 승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운동을 안내하고, 내측에 상기 외측다리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하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하부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상부돌출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판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하부돌출판 사이의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으로 돌출 및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걸림고정판이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복수형성되며, 상기 걸림고정판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슬릿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상부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3. 외측다리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내측다리로 구성되는 책걸상 다리 중 상기 내측다리의 하부에 고정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함께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승강몸체와;
    상기 외측다리의 내부에 고정되고, 상기 승강몸체의 내측에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프레임과;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를 위치고정하는 위치고정부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하여 위치조절된 상기 내측다리를 위치고정하는 보조위치고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승강몸체는 상기 내측다리의 후측 하부 내측에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후측승강몸체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전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내측다리의 전측 하부 내측에 상부가 삽입고정되는 전측승강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타측과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타측에 상기 내측다리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타측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는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는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만곡형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일측 하부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일측 하부에 일측가이드홈이 각각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게 형성되며,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타측 하부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타측 하부에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과 연통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과 연통되는 하부삽입홈이 일정깊이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와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상부 사이의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내부 중간부위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상부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의 상부 사이의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 중간부위에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 및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 하부방향으로 하향경사지는 중간가이드홈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은 상기 외측다리의 하부 내부에 고정되는 하부가이드몸체와;
    상기 하부가이드몸체의 상부에 상기 하부가이드몸체의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 및 상기 승강몸체의 내측에 상기 승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수직으로 수용되어 상기 내측다리와 상기 승강몸체의 승강운동을 안내하고, 내측에 상기 외측다리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가이드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하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 상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하부돌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 하부방향으로 일정길이로 돌출되는 상부돌출판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돌출판의 일측 하부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 상부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 및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호형상으로 돌출되는 가이드판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판과 상기 하부돌출판 사이의 상기 가이드슬릿의 일측에 상기 가이드슬릿의 내측으로 돌출 및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걸림고정판이 상기 가이드슬릿의 상하방향으로 복수형성되며, 상기 걸림고정판의 타측이 상기 가이드슬릿의 하부에서 상부방향으로 갈수록 상기 가이드슬릿의 타측 상부방향으로 상향경사지는 상부가이드판;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위치고정부는 상기 승강몸체의 상하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상부 전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내부에 수용되는 회전이동판과;
    상기 회전이동판의 전면 상부와 후면 상부에 상기 회전이동판의 전방방향 및 후방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중간가이드홈과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중간가이드홈에 수용되는 상부가이드축과;
    상기 회전이동판의 전면 하부와 후면 하부에 상기 회전이동판의 전방방향 및 후방방향으로 각각 일정길이로 돌출된 상태로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과 상기 후측승강몸체의 일측가이드홈에 수용되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복수의 걸림고정판의 상부에 걸림고정되는 하부걸림고정축과;
    상기 상부가이드축의 상부방향의 상기 회전이동판의 상부부위에 상부가 연결되고, 하부가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의 하부에 축결합된 상태로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타측가이드홈에 수용되어 상기 회전이동판의 상부를 상기 전측승강몸체의 하부방향으로 탄성지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위치고정부는 상기 외측다리의 상부가 내측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외측다리의 상부에 고정되는 하부위치고정몸체와;
    상기 하부위치고정몸체의 상부에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내측다리가 상하이동가능하게 수용되는 상부위치고정몸체와;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의 내부 타측에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의 타측에서 일측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이동몸체와;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방향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의 타측에 회전가능하게 편심결합되는 회전몸체와;
    상기 회전몸체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회전몸체의 전측이 상기 이동몸체의 타측을 상기 상부위치고정몸체의 일측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이 상기 내측다리의 타측 외주면에 밀착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회전몸체를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위치고정부는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몸체의 일측과 상기 내측다리의 타측 외주면 사이의 슬립현상을 방지하는 슬립방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6. 삭제
KR1020210129601A 2021-09-30 2021-09-30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2340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01A KR102340582B1 (ko) 2021-09-30 2021-09-30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01A KR102340582B1 (ko) 2021-09-30 2021-09-30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40582B1 true KR102340582B1 (ko) 2021-12-20

Family

ID=79033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601A KR102340582B1 (ko) 2021-09-30 2021-09-30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4058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080B1 (ko) * 2011-05-16 2013-07-15 김두철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CN204541228U (zh) * 2015-01-23 2015-08-12 欣美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管件的升降调整结构
KR101862656B1 (ko) 2017-11-24 2018-05-31 (주)진성기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6080B1 (ko) * 2011-05-16 2013-07-15 김두철 책상의 높이조절장치
CN204541228U (zh) * 2015-01-23 2015-08-12 欣美实业股份有限公司 一种管件的升降调整结构
KR101862656B1 (ko) 2017-11-24 2018-05-31 (주)진성기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29452B1 (en) Elevation table structure
US7341310B1 (en) Office chair with automated height adjustment
US20110101749A1 (en) Lower-back supporting structure for a bed or a chair
KR102340582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101226741B1 (ko) 각도 및 높이조절이 가능한 발 받침대
KR102342067B1 (ko)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CN210276524U (zh) 一种座椅锁定控制机构、座椅锁定控制装置及座椅
KR20100056366A (ko) 높낮이 조절장치
CN114847707B (zh) 一种沙发
KR101768879B1 (ko) 높이 조절 가능한 학생용 책걸상
US11166555B2 (en) Anti-wobbling adjustable height stool
CN108937275A (zh) 一种快速更换椅腿的椅子
JP2016165335A (ja) 遊技機用ハンドスタンド
KR200472678Y1 (ko) 높이조절 기능을 갖는 학생용 의자
KR200463183Y1 (ko) 높이가 조절되는 책상
KR102637329B1 (ko) 책걸상용 높이 조절장치
KR102213352B1 (ko) 사용이 용이한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90132054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의자
KR100666507B1 (ko) 높이 조절장치
KR102521166B1 (ko) 책상 및 의자 다리용 높이 조절장치
KR101630651B1 (ko) 책상용 승강장치
KR102224201B1 (ko) 수동타입의 승강의자
KR102454708B1 (ko) 높낮이 조절 책걸상
CA3085120C (en) Anti-wobbling adjustable height stoo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