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2718B1 -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Google Patents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112718B1 KR102112718B1 KR1020190162658A KR20190162658A KR102112718B1 KR 102112718 B1 KR102112718 B1 KR 102112718B1 KR 1020190162658 A KR1020190162658 A KR 1020190162658A KR 20190162658 A KR20190162658 A KR 20190162658A KR 102112718 B1 KR102112718 B1 KR 10211271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caster
- outer cylinder
- cylinder
- hei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B60B33/06—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 B60B33/063—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mounted retractably by linear movement parallel to swivel axi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가구 및 가전의 하부 받침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케스터가 내측으로 수용된 고정본체에 별도 구비의 승강받침구가 나사 결합된 높이 조절 받침구에 대하여, 상기 승강받침구의 하단에 별도 구비의 슬립유도판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승강받침구는 분할내통체와 승강외통체로 각기 구분 형성하여 상기 승강외통체가 분할내통체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함에 따라,
케스터가 내부에 일체로 조립되어 있어 받침구 전체적으로 부피 및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고, 슬립유도판은 승강외통체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여 설치바닥면의 상태와 무관하게 가구 및 가전에 대한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 및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분할내통체와 승강외통체 간의 상호 높이 조절을 통해 기울어진 설치 바닥 또는 불규칙한 설치 바닥에서도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 또는 가전에 대한 수평 상태 또는 원하는 기울어짐 상태로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케스터가 내부에 일체로 조립되어 있어 받침구 전체적으로 부피 및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고, 슬립유도판은 승강외통체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여 설치바닥면의 상태와 무관하게 가구 및 가전에 대한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 및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분할내통체와 승강외통체 간의 상호 높이 조절을 통해 기울어진 설치 바닥 또는 불규칙한 설치 바닥에서도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 또는 가전에 대한 수평 상태 또는 원하는 기울어짐 상태로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가구 및 가전의 하부 받침구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축에 편심 결합된 회전롤러에 의한 케스터가 내측에 수용되는 동시에 회전에 의해 상,하로 높이 조절되는 승강받침구에 대하여 별도 구비의 슬립유도판을 결합함에 따라 더욱 견고한 지지력 및 안정적인 받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승강받침구에 대한 확장을 통해 높이 조절의 범위가 더욱 확대되도록 한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가구 저면에는 가구의 견고하고 안정적인 고정 설치를 위한 받침구가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의 가구 저면이 불규칙한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수준 이격되어 상기 받침구를 통해 가구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탱하게 된다.
또한, 상기의 가구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가전 제품에도 가전 바닥부의 통기성 및 안정적인 설치를 위해 다양한 형태의 받침구가 장착되는 것으로, 근자에 들어서는 이들 가구 및 가전제품의 원활한 이동 및 설치를 위한 별도의 케스터가 함께 장착되고 있다.
특히, 상기의 케스터는 가구 및 가전의 이동을 위한 것이고 상기의 받침구는 가구 및 가전의 고정 설치를 위한 것으로, 상기의 케스터와 받침구가 일체 혹은 동시에 결합된 형태의 케스터 일체형 받침구도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등록실용신안 제20-0177884호와 같이 외주면에 숫나사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하측에 끼움축공이 형성되어 바퀴의 회전축이 끼움 축설되는 축지부와, 몸체 상측에 편심형성된 조립공에 삽입되고 조립부가 고정물에 고정결합되는 고정수단과, 고정수단의 끼움축에 형성된 걸림홈이 이탈불가하게 걸림고정되는 조립공의 걸림턱과, 몸체 외주면 숫나사부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되어 몸체 상에서 승강작동됨으로서 캐스터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키고 상,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캡으로 구성된 케스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등록특허 제10-0338887호와 같이 하단을 안쪽으로 약간 절곡시켜 걸림턱으로 하고 주면에는 L자형 스토퍼용 안내공을 천공한 접지관과; 상기 접지관의 위에서 내부로 넣어 하단의 걸림턱상에 걸려서 밑으로는 빠지지 않는 상태로 그 속에서 구를 수 있게 한 접지구와; 저면 중심에 접지구와 접촉하는 마찰부재가 꽂히고 평면 중심에 보울트의 체결공을 천공하며 주면의 스토퍼공에는 상기 안내공을 통하여 스토퍼를 박은 접지관내의 받침봉으로 구성된 가구용 받침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424315호와 같이 몸체의 하부에 별도의 수평조절부를 장착하여 연결고정부의 중심축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높낮이나사봉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바퀴도 연결고정부의 중심축과 가까운 거리에 고정하도록 하여 상기 장비의 하중을 대한 내구성을 강하게 함에 따라 연결고정부와 몸체 간에 장착되어 있는 베어링이 휘거나 고장이 나지 않도록 한 바퀴와 받침대 겸용 케스터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1813512호와 같이 가구의 바닥을 관통하여 가구의 내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상부 고정체; 상기 상부 고정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되, 상부 고정체의 하부로 일부분이 돌출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바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에 설치되며, 상단부가 헤드에 삽입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조절 스크류; 및 상기 바퀴를 포함하여 상부 고정체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고, 더불어 상부 고정체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부 고정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하부 이동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체는, 상기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가 상면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수직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에 결합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케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전기한 바와 같은 높낮이 조절장치 및 케스터의 경우 본체로부터 나사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고정구가 불규칙한 바닥면 또는 바닥 이물질이 많은 상태에서 원활한 회전이 이루어지지 못하므로 설치되는 가구 및 가전의 안정적인 고정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즉, 기존의 높낮이 조절장치 또는 받침구 혹은 케스터의 경우 나사 회전에 의해 상,하로 승강하는 받침구를 공통적으로 갖고 있는 것으로, 케스터에 의해 가구 또는 가전의 이동 후 상기의 받침구를 회전시켜 상기 받침구의 하단이 케스터의 하단보다 낮은 위치에 도달하도록 하여 상기 가구 및 가전에 대한 안정적인 위치 고정 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받침구는 하단이 설치 바닥면에 견고하게 밀착되는 것으로, 받침구의 회전에 의한 하강 과정에서 설치 바닥면이 고르지 못하거나 모래 등의 이물질이 많은 경우에는 상기의 받침구가 바닥면과의 강력한 마찰 저항이 발생하게 되므로 받침구가 원활하게 회전하지 못하면서 충분하고 견고한 상태로 상기의 가구 또는 가전에 대한 받침 및 높이 조절이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설치 바닥면이 기울어지거나 불규칙한 경우 상기 높이 조절 형태의 받침구를 최대한 하강시키더라도 가구 및 가전이 수평 상태로 설치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에는 부득이 상기 받침구에 해당하는 설치 바닥면 상에 종이를 접어 고이거나 패드 등을 고여 상기 바닥면을 높여주는 작업이 불가피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것으로 상기의 종이 등을 고여 가구 및 가전을 설치하게 되면 이들 종이 및 패드 등이 가구 및 가전의 무게로 인해 고임물이 압축되면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수평 상태로의 설치가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은 물론 작은 충격에도 받침구가 종이 및 패드 등으로부터 이탈하여 불안정한 설치 상태를 야기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케스터가 내측으로 수용된 고정본체에 별도 구비의 승강받침구가 나사 결합된 높이 조절 받침구에 대하여, 상기 승강받침구의 하단에 별도 구비의 슬립유도판을 결합 형성하고 상기 승강받침구는 분할내통체와 승강외통체로 각기 구분 형성하여 상기 승강외통체가 분할내통체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결합 구성함에 따라,
상기 승강외통체에 의한 높이 조절 및 설치 위치 고정시 슬립유도판이 설치바닥면에 먼저 맞닿아 승강외통체에 대한 원활한 회전 승강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기울어진 설치면이나 불규칙한 설치면의 경우 승강외통체를 분할내통체로부터 별개로 높이 조절하여 설치바닥면의 상태와 관계없이 가구 및 가전에 대한 안정적이고 견고한 고정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정본체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된 케스터의 하단은 고정본체의 하단에 비하여 하향 돌출되게 하고, 상기 고정본체의 하측으로는 별도의 승강받침구가 나사 결합된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케스터는 평판 형태의 지지브라켓 하측으로 수직의 지지축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의 하측에는 편심 결합된 롤러고정체가 지지축으로부터 축방향 회전되게 하며 상기 롤러고정체의 양측에는 이동롤러를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의 고정본체는 사방으로 관통의 체결공이 형성된 고정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랜지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지지브라켓이 안치되는 안치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랜지의 하측으로는 상기 지지축 및 롤러고정체와 이동롤러가 수용되는 동시에 외면의 수나사부를 갖는 체결통체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받침구는 상기 수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가 형성된 한 쌍의 분할내통체와 이들 분할내통체의 외측에 결합되는 승강외통체로 각기 구성되어,
상기 분할내통체와 승강외통체가 체결통체로부터 함께 회전 승강됨에 따라 이동롤러의 하향 돌출/비돌출에 의한 장착대상물의 이동/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케스터가 내부에 일체로 조립되어 있어 받침구 전체적으로 부피 및 크기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고, 슬립유도판은 승강외통체가 부드럽게 회전되도록 하여 설치바닥면의 상태와 무관하게 가구 및 가전에 대한 안정적이고 견고한 지지 및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며, 분할내통체와 승강외통체 간의 상호 높이 조절을 통해 기울어진 설치 바닥 또는 불규칙한 설치 바닥에서도 설치하고자 하는 가구 또는 가전에 대한 수평 상태 또는 원하는 기울어짐 상태로의 안정적인 설치가 가능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은 물론 효율성이 매우 우수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상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하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작동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요부 상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높이 조절 예시 작동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상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하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작동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요부 상세 작동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높이 조절 예시 작동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상부 확대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하부 확대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케스터 받침구의 전체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조절 받침구는 내부에 케스터(10)가 구비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상기의 케스터(10)가 은폐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이동 설치하거나 운반이 필요한 경우에는 상기의 케스터(10)를 노출시켜 이동롤러(14)를 통해 가구 또는 가전 등의 피장착물의 이동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이동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승강받침구(30)를 하강시켜 상기 승강받침구(30)의 높낮이 조절을 통해 피장착물에 대한 수평 조절 및 고정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받침구는 케스터(10)와 고정본체(20) 및 승강받침구(30)와 슬립유도판(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슬립유도판(40)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장착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의 케스터(10)는 금속에 의한 사각의 판재 형태로 된 지지브라켓(11)의 하측으로 수직의 지지축(12)이 결합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12)에는 별도의 롤러고정체(13)가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의 롤러고정체(13)는 상기 지지축(12)에 대하여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한 결합 상태를 갖고 있는 동시에 상기 지지축(12)에 대하여 편심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롤러고정체(13)에는 한 쌍의 이동롤러(14)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결합되는 것으로, 지지축(12)에 대하여 편심 결합된 롤러고정체(13)에 의해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받침구가 장착되는 피장착물의 이동 방향에 따라 상기 지지축(12)으로부터 롤러고정체(13)가 회전하면서 더욱 원활한 구름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상기의 케스터(10)가 결합되는 고정본체(20)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되는 것으로, 상측에는 사방으로 체결공(21)이 수직으로 관통 형성된 고정플랜지(2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랜지(22)의 상면 중앙에는 안치홈부(23)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플랜지(22)의 하측에는 외면에 수나사부(24)가 형성된 체결통체(25)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고정플랜지(22)의 중앙을 관통하여 상기 케스터(10)의 지지축(12)을 하향 삽입하게 되면 케스터(10)의 지지브라켓(11)은 고정플랜지(22)의 안치홈부(23)에 삽입되는 것으로, 사각의 지지브라켓(11)과 평면상 사각의 안치홈부(23) 간의 상호 계지 결합으로 인해 상호 결합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상기 고정플랜지(22)의 상면과 상기 안치홈부(23)에 삽입된 상태의 지지브라켓(11) 상면은 서로 동일 표면을 형성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고정본체(20)를 피장착물에 밀착 고정하게 되면 상기의 지지브라켓(11) 상면도 피장착물의 저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케스터(10)는 더욱 견고하고 안정적인 결합 및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승강받침구(30)가 상승된 상태에서는 피장착물의 하중이 이동롤러(14)와 지지축(12) 및 지지플랜지(11)에 의한 케스터(10)에 작용하게 되는 것이고, 승강받침구(30) 하단이 이동롤러(14)의 하단 이상까지 하강한 경우에는 승강받침구(30)와 고정본체(20)에 의한 하중 지지가 이루어지는 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승강받침구(30)는 내면에 암나사부(31)가 형성된 한 쌍의 분할내통체(32)와 상기 분할내통체(32)의 외측에 결합되는 원형의 승강외통체(33)로 구분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분할내통체(32)는 외측면에 상,하로 반복되는 다수개의 계지걸림턱(32a)(32a')이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의 승강외통체(33)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상,하 반복의 높이조절공(33a)(33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승강외통체(33) 내에 분할내통체(32)를 삽입하되, 분할내통체(32)의 계지걸림턱(32a)(32a')이 승강외통체(33)의 높이조절공(33a)(33a')에 삽입되도록 상호 조립하면 분할내통체(32)는 승강외통체(33)의 내측에 견고하게 조립 고정되는 것이고, 필요에 따라 상기 분할내통체(32)와 승강외통체(33) 간의 상호 체결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분할내통체(32)는 상호 대향의 양측 끝단에 각기 서로 대응하는 끼움편(32b)과 끼움홈(32c)을 형성함에 따라 이들 끼움편(32b)과 끼움홈(32c) 간의 계지 결합에 의해 분할내통체(32)가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거나 유동되지 않도록 구성된 것으로, 승강외통체(33)의 내측에 어느 하나의 분할내통체(32)를 삽입한 후 또 다른 조각의 분할내통체(32)를 가압하여 억지로 끼워넣음으로서 상호 견고한 밀착 고정 상태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의 승강외통체(33)를 움켜쥐고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분할내통체(32)의 계지걸림턱(32a)(32a')과 승강외통체(33)의 높이조절공(33a)(33a')이 상호 키(Key) 역할을 하면서 동시에 회전되는 것이고, 이들 분할내통체(32)의 계지걸림턱(32a)(32a')과 승강외통체(33)의 높이조절공(33a)(33a')의 상호 조립 위치를 달리하더라도 여전히 상호 고정수단의 역할을 하여 동시에 회전될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의 승강받침구(30)는 하단 내측으로 체결걸림턱(33b)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체결걸림턱(33b)을 이용하여 별도 구비의 슬립유도판(40)을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는 것으로, 슬립유도판(40)의 중앙에는 전기한 이동롤러(14)가 출몰 삽입되게 한 관통구(42)가 형성되어 있고 슬립유도판(40)의 상면에는 상기 체결걸림턱(33b)을 향하는 수직의 계지돌출구(41)(41')가 사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슬립유도판(40)의 계지돌출구(41)(41')를 승강외통체(33)의 하측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밀어올리면 계지돌출구(41)(41')가 일시적으로 내측 변형을 일으키다가 계지돌출구(41)(41')의 선단이 체결걸림턱(33b)의 상면에 걸림 계지되면서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의 슬립유도판(40)은 승강외통체(33)로부터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상태를 연출하게 된다.
이때, 상기 승강외통체(33)의 내부에 위치하는 분할내통체(32)의 하단이 과도하게 승강외통체(33)의 내부 바닥면까지 하강하여 조립되는 경우 슬립유도판(40)의 계지돌출구(41)(41') 선단과 분할내통체(32)의 하단이 서로 간섭될 수 있을 것이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승강외통체(33)의 내부 바닥면에는 상향 돌출의 멈춤돌기(33c)를 방사상으로 돌출 형성한 것이다.
즉, 승강외통체(33)의 내부에 조립되는 분할내통체(32)의 하단은 상기 멈춤돌기(33c)에 의해 더 이상 승강외통체(33)의 바닥면까지 하강 상태로 조립되지 못하는 것이고, 상기 슬립유도판(40)의 계지돌출구(41)(41') 선단은 상기 멈춤돌기(33c)의 높이 범위 내에서 분할내통체(32)와 간섭없이 자유로운 회전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받침구를 피장착물 하부에 고정본체(20)의 고정플랜지(22)에 형성된 체결공(21)을 이용하여 다수의 위치에 고정한 상태에서, 상기 피장착물의 이동이 필요한 경우에는 승강받침구(30)를 최대한 회전 상승시켜 승강외통체(33) 및 슬립유도판(40)의 관통구(42)를 통해 이동롤러(14)가 하향 돌출되도록 하면 노출되는 케스터(10)의 이동롤러(14)가 설치 바닥면 상에 위치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피장착물의 편리한 이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상기의 이동롤러(14)를 이용하여 피장착물의 간편한 이동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상기 승강외통체(33)의 외면을 움켜쥔 상태로 회전시키면 도 6의 도시와 같이 승강외통체(33)와 함께 분할내통체(32)가 회전되는 것이고, 이들이 회전에 의해 동시에 하강하면 하단의 슬립유도판(40)의 저면이 설치 바닥면 상에 먼저 맞닿게 되는 것이고, 계속적인 승강외통체(33)의 회전이 일어나면 회전력에 의해 상기 고정본체(20) 및 케스터(10)가 상승하면서 피장착물에 대한 상승 및 위치 고정이 이루어지는 것이고, 피장착물의 하부에 고정된 다수의 높이 조절 받침구의 회전 조절을 통해 피장착물의 수평 상태를 빠르고 편리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의 슬립유도판(40)은 도 7의 도시와 같이 승강외통체(33)의 회전 하강시 설치 바닥면에 먼저 맞닿게 되는 것이고, 슬립유도판(40)과 설치 바닥면 간의 상호 마찰 저항에 의해 슬립유도판(40)은 더 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승강외통체(33) 만이 회전 하강을 계속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승강외통체(33)는 기존과 같이 거친 바닥면과의 마찰 저항을 받으며 계속 회전되는 것이 아니라 슬립유도판(40)의 상부에서 미끄러지듯 회전되므로 승강외통체(33)에 대한 회전 하강이 더욱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그로 인해 피장착물의 고정 또는 수평 조절이 한층 수월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피장착물의 수평 조절 과정에서 불규칙한 설치 바닥면이거나 기울어진 바닥면의 경우 고정본체(20)의 체결통체(25)와 분할내통체(32) 간의 나사 결합 범위 이상의 길이를 요구하거나, 자칫 상호 나사 결합부분이 지나치게 짧아질 수 있을 것으로, 이와 같은 경우 기존에는 종이나 패드 등을 접어 하부에 고이는 형태로 수평 작업을 진행하였으나 본 발명의 높이 조절 받침구는 상기 고정본체(20)로부터 승강외통체(33)를 분리시켜 승강외통체(33) 내측의 분할내통체(32)를 일시적으로 완전히 분해한 후, 분할내통체(32)와 승강외통체(33) 간의 상호 조립 높이를 조정하여 재조립 고정시킴에 따라 도 8의 도시와 같이 더욱 길어진 높이 조절 작용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설치 바닥면이 기울어져 있거나 평평하지 못한 불규칙 설치 바닥면에도 상기의 분할내통체(32)와 승강외통체(33) 간의 상호 결합 위치 조정을 통해 더욱 길어진 높이 조절 구간을 확보할 수 있어 기존과 같이 불안정한 고임패드 등을 추가로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효율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케스터 11 : 지지브라켓
12 : 지지축 13 : 롤러고정체
14 : 이동롤러
20 : 고정본체 21 : 체결공
22 : 고정플랜지 23 : 안치홈부
24 : 수나사부 25 : 체결통체
30 : 승강받침구 31 : 암나사부
32 : 분할내통체 33 : 승강외통체
40 : 슬립유도판 41,41' : 계지돌출구
42 : 관통구
12 : 지지축 13 : 롤러고정체
14 : 이동롤러
20 : 고정본체 21 : 체결공
22 : 고정플랜지 23 : 안치홈부
24 : 수나사부 25 : 체결통체
30 : 승강받침구 31 : 암나사부
32 : 분할내통체 33 : 승강외통체
40 : 슬립유도판 41,41' : 계지돌출구
42 : 관통구
Claims (5)
- 고정본체(20)의 하부 내측으로 삽입된 케스터(10)의 하단은 고정본체(20)의 하단에 비하여 하향 돌출되게 하고, 상기 고정본체(20)의 하측으로는 별도의 승강받침구(30)가 나사 결합된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에 있어서,
상기 케스터(10)는 평판 형태의 지지브라켓(11) 하측으로 수직의 지지축(12)이 고정되고 상기 지지축(12)의 하측에는 편심 결합된 롤러고정체(13)가 지지축(12)으로부터 축방향 회전되게 하며 상기 롤러고정체(13)의 양측에는 이동롤러(14)를 결합하여 이루어지고, 상기의 고정본체(20)는 사방으로 관통의 체결공(21)이 형성된 고정플랜지(22)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플랜지(22)의 상면 중앙에는 상기 지지브라켓(11)이 안치되는 안치홈부(23)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플랜지(22)의 하측으로는 상기 지지축(12) 및 롤러고정체(13)와 이동롤러(14)가 수용되는 동시에 외면의 수나사부(24)를 갖는 체결통체(25)가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승강받침구(30)는 상기 수나사부(24)에 나사 결합되는 암나사부(31)가 형성된 한 쌍의 분할내통체(32)와 이들 분할내통체(32)의 외측에 결합되는 승강외통체(33)로 각기 구성되어,
상기 분할내통체(32)와 승강외통체(33)가 체결통체(25)로부터 함께 회전 승강됨에 따라 이동롤러(14)의 하향 돌출 내지 비돌출에 의한 장착대상물의 이동 또는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제 1항에 있어서,
분할내통체(32)의 외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의 계지걸림턱(32a)(32a')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승강외통체(33)의 측부에는 상기 계지걸림턱(32a)(32a')과 대응하는 높이조절공(33a)(33a')을 상,하로 복수 개 관통 형성하여, 이들 계지걸림턱(32a)(32a')과 높이조절공(33a)(33a') 간의 체결 위치에 따라 승강외통체(33)가 분할내통체(32)로부터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제 1항에 있어서,
분할내통체(32)의 상호 대향측 끝단에는 서로 대응하는 끼움편(32b)과 끼움홈(32c)을 각기 형성하여 이들 끼움편(32b)과 끼움홈(32c)의 결합에 의해 분할내통체(32)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어긋나는 것이 방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제 1항에 있어서,
승강외통체(33)의 하측으로는 별도 구비의 슬립유도판(40)을 결합 형성하되,
상기 승강외통체(33)의 하단 내측으로 체결걸림턱(33b)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슬립유도판(40)의 상면에는 체결걸림턱(33b) 상에 탄력 계지되게 한 계지돌출구(41)(41')를 형성하며, 상기 슬립유도판(40)의 중앙에는 상기 케스터(10)의 이동롤러(13)가 출몰되게 한 관통구(42)를 형성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제 4항에 있어서,
승강외통체(33)의 내측 하단에는 상기 슬립유도판(40)의 계지돌출구(41)(41')의 선단이 분할내통체(32)의 하단과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멈춤돌기(33c)를 돌출 형성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658A KR102112718B1 (ko) | 2019-12-09 | 2019-12-09 |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162658A KR102112718B1 (ko) | 2019-12-09 | 2019-12-09 |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112718B1 true KR102112718B1 (ko) | 2020-05-19 |
Family
ID=70913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162658A KR102112718B1 (ko) | 2019-12-09 | 2019-12-09 |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11271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9267A (ja) * | 1995-01-06 | 1996-07-23 | Natl House Ind Co Ltd | 雨戸の構造 |
KR200177884Y1 (ko) | 1998-08-24 | 2000-04-15 | 박정훈 | 캐스터 |
KR100338887B1 (ko) | 1999-08-06 | 2002-05-30 | 양승룡 | 가구용 받침 |
KR200424315Y1 (ko) | 2006-01-25 | 2006-08-18 | 이인환 | 바퀴와 받침대 겸용 케스터 |
KR101274051B1 (ko) * | 2013-03-21 | 2013-06-12 | 오준석 | 캐스터 및 캐스터를 포함하는 화이트 보드 |
KR101813521B1 (ko) | 2016-03-10 | 2017-12-29 | 주식회사 엠피스 |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
-
2019
- 2019-12-09 KR KR1020190162658A patent/KR10211271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189267A (ja) * | 1995-01-06 | 1996-07-23 | Natl House Ind Co Ltd | 雨戸の構造 |
KR200177884Y1 (ko) | 1998-08-24 | 2000-04-15 | 박정훈 | 캐스터 |
KR100338887B1 (ko) | 1999-08-06 | 2002-05-30 | 양승룡 | 가구용 받침 |
KR200424315Y1 (ko) | 2006-01-25 | 2006-08-18 | 이인환 | 바퀴와 받침대 겸용 케스터 |
KR101274051B1 (ko) * | 2013-03-21 | 2013-06-12 | 오준석 | 캐스터 및 캐스터를 포함하는 화이트 보드 |
KR101813521B1 (ko) | 2016-03-10 | 2017-12-29 | 주식회사 엠피스 |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902140B1 (en) | Adjustable support foot | |
KR101504241B1 (ko) | 캐스터 및 캐스터를 포함하는 화이트 보드 | |
JP2779802B2 (ja) | 事務テーブル,デスク用ユニット構成型支持構造体 | |
KR200476510Y1 (ko) |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 |
KR101434278B1 (ko) |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 |
KR101434279B1 (ko) | 가구용 높낮이 조절형 받침다리 | |
US20050066472A1 (en) | Caster leg assembly with adjustment locking means | |
JP3215227U (ja) | 介護用ポール装置 | |
KR200456712Y1 (ko) |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 |
US6581528B2 (en) | Table with telescopic leg unit | |
KR102258992B1 (ko) |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 |
KR102112718B1 (ko) |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 |
US7571887B2 (en) | Height adjustable support for food service equipment | |
KR200476511Y1 (ko) |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 |
KR102209180B1 (ko) | 높이 조절 포스트 | |
US6352234B1 (en) | Baby walker positioning foot member | |
KR101789581B1 (ko) | 행거용 지주 | |
CN201277419Y (zh) | 水平调节脚 | |
JP3216756U (ja) | 介護用ポール装置 | |
CA1077821A (en) | Bell assembly for a chair support | |
KR101702597B1 (ko) | 산업장비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 |
KR102028007B1 (ko) | 수평 슬라이드 연결 구조를 갖는 조절발 | |
KR20160022076A (ko) |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 |
KR102524393B1 (ko) | 수납가구용 높이조절구 | |
KR102270061B1 (ko) | 분할형 구름베어링을 이용한 높낮이 조절 테이블의 소음저감구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