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992B1 -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 Google Patents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992B1
KR102258992B1 KR1020200033297A KR20200033297A KR102258992B1 KR 102258992 B1 KR102258992 B1 KR 102258992B1 KR 1020200033297 A KR1020200033297 A KR 1020200033297A KR 20200033297 A KR20200033297 A KR 20200033297A KR 102258992 B1 KR102258992 B1 KR 1022589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ble leg
leg
expansion
groove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성길
Original Assignee
한성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성길 filed Critical 한성길
Priority to KR1020200033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9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9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9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additional top or additional legs for varying the height of the to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8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 A47B9/083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clamps acting on vertical rods with spreading means inside a tub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12Leg supports, e.g. cup-shaped, also under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47B2200/0052Telescopic with two telescopic part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된 테이블의 하부 다리 결합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상판의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다리고정체에 대하여 테이블다리를 신속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상기 테이블다리의 체결 각도에 대한 가변 적용이 가능하여 다양한 테이블의 특성에 따라 경사각을 달리하는 테이블다리를 구현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테이블다리의 하단 길이 조절을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어 역시 테이블의 특성이나 용도에 따라 테이블다리의 길이를 가장 최선의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Table leg assembly with improved adjustment}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된 테이블의 하부 다리 결합체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테이블 다리가 상판의 저면에 경사진 상태로 결합 고정되는 과정에서 상기 테이블 다리에 대한 빠르고 견고한 고정은 물론 상기 경사진 테이블 다리의 경사 각도에 대한 조절 또는 상기 테이블 다리의 길이 조절이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테이블은 회의 또는 업무나 학습 등의 다양한 일상 생활에서 널리 사용되는 가구의 일종으로서, 이러한 테이블은 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된 상판과 상기의 상판을 지지하는 다수의 다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의 테이블은 다양한 형태로 된 상판에 대하여 다양한 구조로 된 테이블 다리가 결합되는 것으로, 가장 보편적으로는 목재 상판의 저면에 사방으로 배치되는 테이블 다리를 장착하되, 상기의 상판 저면에는 테이블 다리를 결합하기 위한 다리고정체를 밀착 고정시켜 상기 다리고정체에 별도 구비의 테이블 다리를 나사 결합함에 따라 상기 테이블 다리에 대한 장착이 이루어지도록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의 다리고정체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중앙에 경사진 형태의 암나사부를 형성함으로써, 선단에 수나사부가 형성된 테이블 다리를 상기의 다리고정체에 단순 나사 결합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의 테이블 다리가 상판의 저면으로부터 경사진 형태로 조립되도록 하는 것이고, 통상적으로 외향 경사진 형태의 테이블 다리는 상판에 작용하는 하중을 더욱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설치 안정감을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근자에 들어서는 상기의 테이블 다리가 대부분 외향 경사진 형태로 조립되는 것이다.
이에 기존의 테이블 다리의 조립구조는 공개실용신안 제1998-013104호와 같이 테이블, 보강바 및 지지각 조립시 연결 지지구를 이용하여 간단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할 수 있으며, 지지각에 형성된 걸림돌조가 연결 지지구에 형성한 걸림홈에 삽입되어 걸림으로써 지지각이 매우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제품의 내구성 및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게 되는 테이블용 다리가 안출된 바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0-0783196호와 같이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로부터 일체로 돌출 연장 형성되며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나사봉으로 구성되는 높이조절단, 상기 나사봉과 나사 체결하는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는 내측부와 상기 내측부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바닥을 형성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로부터 수직 절곡 연장 형성되어 상기 내측부와 동심을 이루고 있는 외측부로 구성되는 하부파이프, 상기 하부파이프의 외측부가 내삽되며 상부 단부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파이프 및 상기 상부파이프의 나사산과 나사 체결되는 나사홈이 내측면에 형성되며, 복수의 체결공이 형성되어서 테이블상판에 체결되는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테이블용 높낮이 조절 다리가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다.
이어,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6902호와 같이 테이블의 저면에 형성한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부다리와 하부다리로 양분된 다리와; 상기 다리의 저면에 고정되어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으로, 조립식 테이블 다리는 결합공에 체결구가 체결되면서 다리가 상호 결합되어 공구 사용 없이 누구나 간편하게 다를 조립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하면서 체결구의 결합으로 다리를 테이블에 견고히 조립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조립식 테이블 다리가 안출된 바 있는 것이다.
또한, 등록특허 제10-2072112호와 같이 테이블의 수평프레임과 지지다리가 고정되는 브라켓이 상기 지지다리의 크기가 변하더라도 크기가 다른 지지다리를 삽입고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1개의 브라켓으로 여러 종류의 지지다리를 고정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그 사용의 효율성이 향상되고 브라켓의 제조비용이 절감되며 브라켓의 보관공간이 작은 공간에도 보관이 가능하게 된 테이블다리고정용 브라켓이 안출 및 등록된 바 있는 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각종 테이블 다리는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다리고정체를 상판의 저면에 먼저 결합 고정한 상태에서 테이블 다리를 나사 결합하는 방식이므로 상기 테이블 다리에 지속적인 하중이나 흔들림이 작용하게 되면 나사 결합구조의 테이블 다리가 흔들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고, 테이블 조립자 혹은 설치자의 가늠 혹은 짐작에 의해 테이블 다리가 고정되는 방식이므로 전체적으로 균일한 고정 상태를 갖지 못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나사 조립 구조는 다리고정체에 암나사부를 형성하기 위해 비교적 고가의 금형비(암나사 사출 성형구조로 인해)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 금속재로 된 테이블 다리의 선단에 대하여 별도의 후가공을 통해 수나사부를 형성하여야 하므로 작업이 지극히 비효율적인 것은 물론 제조 원가의 주요한 상승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또한, 수직 혹은 경사진 형태로 조립되는 테이블 다리의 경우 모두 동일의 다리고정체를 사용하여 테이블의 크기 및 형태와 관계없이 모두 동일의 경사각을 갖고 테이블 다리가 조립되므로 소형 테이블의 경우 다리의 경사각이 과도하여 테이블 다리의 하단이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것이고, 대형 테이블의 경우에는 다리의 경사각이 충분하지 못하여 설치 안정성이 떨어지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자에 들어서는 테이블의 크기에 따라 각기 다른 조립각도를 갖는 다리고정체를 각기 생산하여 해당의 테이블에 적용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역시 고가의 금형비를 중복하여 지출하여야 하는 것은 물론 자재의 수급이나 다수의 부품 적용의 측면에서 지극히 비합리적인 것이다.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1998-013104 (1998.06.05.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0783196 (2007.11.30. 등록)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 20-2009-0006902 (2009.07.08. 공개) 대한민국등록특허 10-2072112 (2020.01.23. 등록)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다리고정체의 하측으로 경사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경사결합홈 내에는 확장쐐기를 갖는 확장고정구를 삽입 형성하여 상기 다리고정체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된 체결볼트가 상기 확장쐐기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조립하고자 하는 테이블다리의 선단을 상기 확장고정구에 결합 후 체결볼트를 회전시켜 확장고정구에 의해 다리고정체와 테이블다리가 서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는 상기 경사결합홈 내에 경사진 형태의 각도조절편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각도조절편 하측으로 상기 확장고정구가 밀착되도록 구성하거나, 상기 확장고정구의 선단에 경사진 각도조절부를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편 또는 각도조절부에 의해 다리고정체에 대한 테이블다리의 결합 각도가 용이하게 가변될 수 있도록 한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는 테이블다리의 하단에 별도 구비의 길이조절구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길이조절구의 상부 내측으로는 나사조절관을 삽입 고정하고 상기 테이블다리의 하단에는 나사결합구를 고정 형성하여 상호 회전에 의해 상기 테이블다리에 대한 길이 조절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에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 저면에 볼트 결합되도록 방사상의 체결공을 갖는 다리고정체와, 상기 다리고정체의 하측으로 선단이 결합되는 테이블다리와, 상기 테이블다리의 하단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단지지구로 이루어진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체의 하부 중앙에는 테이블 외측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다리고정체의 상면에는 함몰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결합홈과 함몰홈부가 볼트삽입공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구성하고, 상기 경사결합홈의 내측으로는 하부 내측으로 확장쐐기가 삽입된 확장고정구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함몰홈부로부터 볼트삽입공을 통해 삽입되는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가 상기 확장고정구를 관통하여 확장쐐기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확장고정구의 상측에는 테이블다리의 선단이 계지되는 단부플랜지가 구비되고 상기 단부플랜지의 하측에는 상기 테이블다리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의 분할결합편이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확장쐐기의 상측은 상기 분할결합편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확장쐐기의 하측에는 상기 테이블다리의 내경보다는 작고 분할결합편의 내경보다는 큰 테이퍼 형상의 확장경사부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쐐기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공을 관통 형성함에 따라 상기 체결볼트의 회전에 의한 확장쐐기의 승강에 따라 테이블다리의 간편한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테이블의 상판 저면에 밀착 고정되는 다리고정체에 대하여 테이블다리를 빠르고 견고하게 결합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고, 다리고정체를 성형하기 위한 금형비의 감소는 물론 테이블다리에 대한 별도의 후가공이 전혀 필요없이 제작 및 생산원가의 절감이 가능한 것이며, 상기 다리고정체에 결합되는 테이블다리에 대한 각도 조절이 자유로워 테이블의 크기 혹은 특성이나 형상에 따라 다양한 각도의 테이블다리를 갖는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고, 상기 테이블다리에 대한 각도 조절은 물론 테이블다리의 용이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더욱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에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전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요부 확대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하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전체 분리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결합 작용 설명도
도 8은 도 7에 의한 테이블 다리의 결합부 확대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하부 길이 조절 작용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1은 도 10에 따른 분리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따른 작용 설명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요부 분리 사시도
도 14는 도 13에 따른 분리 단면도
도 15는 도 13에 따른 작용 설명도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어,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전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전체 분리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요부 확대 저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하부 확대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전체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의 전체 분리 단면도이다.
도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는 다양한 형상으로 된 상판(10)의 저면에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방사상의 체결공(101)(101')을 갖는 다리고정체(100)를 구비하되, 상기의 다리고정체(100)는 합성수지 또는 다이케스팅에 의한 금속재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하측으로 선단이 삽입되어 상호 견고하게 결합되는 테이블다리(20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의 테이블다리(200) 역시 금속강관 또는 합성수지 등의 원형관체로 만들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하단에는 테이블다리(200)의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단지지구(300)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의 하단지지구(300)는 테이블다리(200)의 하단을 마감하는 역할과 동시에 설치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미끄러짐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에서의 상기 다리고정체(100)는 하부 중앙에 테이블 외측 방향으로의 경사각을 갖는 경사결합홈(102)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고,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상면에는 함몰홈부(103)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이들 경사결합홈(102)과 함몰홈부(103)는 수직 관통의 볼트삽입공(104)에 의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 경사결합홈(102)의 내측으로는 하부 내측으로 별도 구비의 확장쐐기(120)가 삽입된 확장고정구(11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함몰홈부(103)로부터 볼트삽입공(104)을 통해 삽입되는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130)가 상기 확장고정구(110)를 관통하여 확장쐐기(12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체결볼트(130)의 머리부(131)는 함몰홈부(103) 내에 위치하고 상기 체결볼트(130)에는 상기 확장쐐기(120)가 나사 결합되어 있어 상기 체결볼트(130)를 제자리에서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확장쐐기(120)는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이러한 확장쐐기(120)의 상승으로 인해 상기 확장고정구(110)는 외측 방향으로의 확장 전개가 일어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의 확장고정구(110)는 전기한 테이블다리(200)의 외경과 일치하는 외경의 단부플랜지(111)가 상측에 형성되고 상기 단부플랜지(111)의 하측으로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의 분할결합편(112)(112')이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확장쐐기(120)의 상측은 상기 분할결합편(112)(11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확장쐐기(120)의 하측에는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내경보다는 작고 분할결합편(112)(112')의 내경보다는 큰 테이퍼 형상의 확장경사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쐐기(120)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130)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공(122)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특히,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 내면에는 방사상의 가이드홈(102a)이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단부플랜지(111)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02a)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11a)를 돌출 형성함에 따라 상기 확장고정구(110)는 경사결합홈(102)에 대하여 비회전 상태로 승강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체결볼트(130)를 회전시키게 되면 확장쐐기(120)의 상승 작용이 일어나게 되는 것이고, 확장쐐기(120)의 상승으로 인해 하부 확장경사부(121)는 확장고정구(110)의 분할결합편(112)(112')과 간섭을 일으키며 상기 각각의 분할결합편(112)(112')을 사방으로 외향 확장시키는 것이다.
이때,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분할결합편(112)(112') 내면에는 계지돌기(11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확장쐐기(120)의 외면에는 상기 계지돌기(113)와 대응하는 계지홈(123)을 형성하여, 이들 계지돌기(113)와 계지홈(123)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확장고정구(110)에 대하여 확장쐐기(120)가 비회전 상태로 승강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체결볼트(130)의 회전에 의해 상기 비회전 상태인 확장쐐기(120)는 안정적인 상승작용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고, 상기 확장쐐기(120)의 상승력으로 인해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분할결합편(112)(112')이 외향 전개되면서 상기의 테이블다리(200)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 상기와 같은 테이블다리(200)의 하단 내측으로는 내면에 나사부(311)가 형성된 체결부싱(310)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싱(310)의 나사부에는 별도 구비의 길이조절대(320)를 결합 형성하되,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지지구(300)의 내측 하단에는 안치홈(301)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조절대(3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안치플랜지(321)가 삽입되게 하여 상기 길이조절대(320)가 하단지지구(300)로부터 상호 비회전 결합되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구(300) 및 길이조절대(320)의 회전에 의한 테이블다리(200)의 길이 방향 승강에 의해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하단 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단지지구(300)의 하단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별도 구비의 바닥지지구(330)를 밀착 형성하되, 상기 바닥지지구(33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볼트(340)는 상기 하단지지구(300)를 관통하여 길이조절대(320)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구(300)와 바닥지지구(330) 및 길이조절대(320)가 동시에 볼트 체결되도록 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은 하단지지구(300)의 측부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상,하 반복의 확인공(302)(302')을 형성하고, 체결부싱(310)의 하단에는 표시플랜지(312)를 형성하여, 상기 하단지지구(300)의 외측으로부터 확인공(302)(302')을 통해 내부 체결부싱(310)의 표시플랜지(312) 위치가 육안으로 보여짐에 따라 상기 테이블다리(200)에 대한 하단지지구(300)의 길이 조절량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도 7의 도시와 같이 다리고정체(100)의 하부 경사결합홈(102) 내측으로 테이블다리(200)의 선단을 밀어넣어 테이블다리(200)의 선단이 확장고정구(110)의 단부플랜지(111)에 계지되도록 하면,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선단 내측으로 확장고정구(110)의 분할결합편(112)(112')과 확장쐐기(120)가 삽입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130)를 회전시키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체결볼트(130)의 회전으로 인해 확장쐐기(120)가 상승하게 되는 것이고, 확장쐐기(120)의 확장경사부(121)는 확장고정구(110)의 분할결합편(112)(112')을 강제로 외향 확장시키게 되므로 상기 확장고정구(110)에 대한 테이블다리(200)의 견고한 가압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테이블다리(200)의 하단에는 상기 체결부싱(310)을 견고하게 압입하여 고정하고, 별도 구비의 하단지지구(300) 내측으로는 상기 길이조절대(320)를 삽입 형성하되, 하단지지구(300)의 내측 바닥면에는 다각형상의 안치홈(301)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조절대(320)의 하단에는 상기 안치홈(301)과 대응하는 다각형상의 안치플랜지(321)를 형성하여 상기 안치플랜지(321)가 안치홈(301)에 삽입 계지되면서 상기 하단지지구(300)와 길이조절대(320)는 상호 비회전 상태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 상기 하단지지구(300)의 하측에 전기한 바닥지지구(330)를 밀착한 상태에서 고정볼트(340)에 의해 상기 바닥지지구(330)와 하단지지구(300) 및 길이조절대(320)가 동시에 고정되게 한 후, 상기 길이조절대(320)의 선단을 상기 테이블다리(200) 하단 내측의 체결부싱(310)에 나사 결합함에 따라 상호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결합 상태에서 상기 하단지지구(300)를 파지하여 회전시키게 되면 도 8의 도시와 같이 상기 체결부싱(310)에 대한 길이조절대(320)의 회전 승강에 의해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전체 길이에 대한 가변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길이 조절 과정에서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하단은 하단지지구(300)의 내부에서 승강되므로 외부로는 전혀 노출되지 않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부싱(310)의 하단에 형성되어 있는 표시플랜지(312)는 하단지지구(300)의 측부에 관통 형성된 확인공(302)(302')을 통해 육안 확인이 가능한 것으로, 상기 하단지지구(300)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상기 표시플랜지(312)는 테이블다리(200)의 하단이 하단지지구(300) 내 어느 지점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므로, 상판 저면에 사방으로 체결되는 테이블다리에 대한 전체 길이의 균등 조절 및 조립이 가능한 것이다.
특히, 상기와 같이 테이블다리(200)의 전체 길이에 대한 간편한 조절이 가능하므로 소형 테이블이나 중형 또는 대형 테이블과 같이 각기 상판의 높이를 달리하는 테이블에 모두 겸용으로 적용시킬 수 있는 것이고, 불규칙한 설치 바닥면인 경우 움푹 파이거나 돌출된 바닥부와 관계없이 테이블다리의 길이 조절을 통해 테이블의 상판이 수평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간편한 조정 설치가 가능한 것이다.
이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향 경사진 상태로 조립되는 테이블다리(200)에 대한 각도 조절을 통해 테이블의 크기 또는 테이블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테이블다리의 조립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단부플랜지(111) 상단에는 경사면부(111b)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면부(111b)의 형성각도에 따라 상기 테이블다리(200)에 대한 체결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단부플랜지(111) 상면이 평평한 경우에는 도 12의 (a)와 같이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이 갖는 본래의 체결각도로 조립될 것이다.
이에,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단부플랜지(111) 상면에 일정 각도의 경사면부(111b)를 형성하여 상기의 확장고정구(110)에 결합되는 테이블다리(200)의 조립 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이 수평 상태인 상판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6°의 외향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었다고 가정하고 상기 경사면부(111b)는 수평인 단부플랜지(111)에 대하여 3°의 경사각으로 제작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경사결합홈(102)에 대한 확장고정구(110)의 삽입 방향에 따라 도 12의 (b) 또는 도 12의 (c)와 같이 경사결합홈(102)에 대한 형성 각도가 보정되면서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조립 각도가 3° 혹은 9°로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소형 테이블인 경우에는 테이블다리(200)가 상대적으로 수직 방향에 가깝게 조립되도록 하고, 대형 테이블인 경우에는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조립 각도를 더 외향 경사지도록 조립하여 설치 안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13 및 도 14의 도시와 같이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 내측에는 상단에 경사면부(141)가 형성된 각도조절편(140)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각도조절편(140)이 확장고정구(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경사면부(141)의 형성각도에 따라 상기 테이블다리(200)에 대한 체결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 내면에는 전기한 바와 같이 방사상의 가이드홈(102a)을 형성하고, 각도조절편(140)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02a)으로 삽입되는 안내돌기(142)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결합홈(102)에 대한 각도조절편(140)의 상호 비회전 상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102a)은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단부플랜지(111)에 형성된 가이드돌기(111a)가 비회전 삽입되기 위한 역할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의 각도조절편(140)을 경사결합홈(102) 내에 미리 삽입한 상태에서 상기 체결볼트(130)를 이용하여 확장고정구(110) 및 확장쐐기(120)를 조립한 후 상기의 테이블다리(200)를 견고하게 체결하게 되면 상기의 테이블다리(200)는 각도조절편(140)이 갖고 있는 편향 각도만큼 경사결합홈(102)의 형성 각도에서 벗어난 형태의 조립 각도를 연출하게 된다.
이에, 도 15의 (a) 도시와 같이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이 수평 상태인 상판의 수직 방향으로부터 6°의 외향 경사각을 갖고 형성되었다고 가정하고 각도조절편(140)을 삽입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테이블다리(200)는 6°의 외향 경사각으로 조립될 것이나, 상기 각도조절편(140)의 경사면부(141)가 수평면으로부터 3°의 경사각으로 제작되었다고 가정할 때, 상기 경사결합홈(102)에 대한 각도도조절편(140)의 삽입 방향에 따라 도 15의 (b) 또는 도 15의 (c)와 같이 경사결합홈(102)에 대한 형성 각도가 보정되면서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조립 각도가 3° 혹은 9°로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경사면부(111b)는 물론 각도조절편(140)의 경사면부(141)에 대한 형성각도를 보다 다양하게 설정하여 제작함에 따라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의 여유 허용 범위 내에서 상기 테이블다리(200)에 대한 다양한 각도 조절 상태로의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는 소형 테이블이나 중형 혹은 대형 테이블에 따라 테이블다리(200)의 조립 각도를 다양하게 가변 조립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테이블의 크기 혹은 형상이나 특성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테이블다리(200)의 간편한 길이 조절이 가능하므로 더욱 다양한 형태의 테이블에 고루 적용시킬 수 있어 매우 획기적인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 다리고정체 101,101' : 체결공
102 : 경사결합홈 103 : 함몰홈부
104 : 볼트삽입공
110 : 확장고정구 111 : 단부플랜지
112,112' : 분할결합편 113 : 계지돌기
120 : 확장쐐기 121 : 확장경사부
122 : 나사공 123 : 계지홈
130 : 체결볼트 131 : 머리부
140 : 각도조절편 141 : 경사면부
142 : 안내돌기
200 : 테이블다리
300 : 하단지지구 301 : 안치홈
302,302' : 확인공
310 : 체결부싱 311 : 나사부
312 : 표시플랜지
320 : 길이조절대 321 : 안치플랜지
330 : 바닥지지구
340 : 고정볼트

Claims (9)

  1. 테이블의 상판의 저면에 볼트 결합되도록 방사상의 체결공(101)(101')을 갖는 다리고정체(100)와,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하측으로 선단이 결합되는 테이블다리(200)와,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하단 외측으로 결합되는 하단지지구(300)로 이루어진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에 있어서,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하부 중앙에는 테이블 외측으로 경사각을 갖는 경사결합홈(102)을 형성하고 상기 다리고정체(100)의 상면에는 함몰홈부(103)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결합홈(102)과 함몰홈부(103)가 볼트삽입공(104)에 의해 서로 연통되게 구성하고, 상기 경사결합홈(102)의 내측으로는 하부 내측으로 확장쐐기(120)가 삽입된 확장고정구(110)를 결합 형성하여 상기 함몰홈부(103)로부터 볼트삽입공(104)을 통해 삽입되는 별도 구비의 체결볼트(130)가 상기 확장고정구(110)를 관통하여 확장쐐기(120)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하되,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상측에는 테이블다리(200)의 선단이 계지되는 단부플랜지(111)가 구비되고 상기 단부플랜지(111)의 하측에는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내경과 일치하는 외경의 분할결합편(112)(112')이 하향 돌출 형성되며, 상기 확장쐐기(120)의 상측은 상기 분할결합편(112)(112')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상기 확장쐐기(120)의 하측에는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내경보다는 작고 분할결합편(112)(112')의 내경보다는 큰 테이퍼 형상의 확장경사부(121)가 형성되며 상기 확장쐐기(120)의 중앙에는 상기 체결볼트(130)가 결합되기 위한 나사공(122)이 관통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2. 제 1항에 있어서,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 내면에는 방사상의 가이드홈(102a)을 형성하고, 상기 확장고정구(110)의 단부플랜지(111)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02a)으로 삽입되는 가이드돌기(111a)를 돌출 형성하여, 상기 확장고정구(110)가 경사결합홈(102)에 대하여 비회전 상태로 승강되도록 결합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3. 제 1항에 있어서,
    확장고정구(110)의 분할결합편(112)(112') 내면에는 계지돌기(113)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확장쐐기(120)의 외면에는 상기 계지돌기(113)와 대응하는 계지홈(123)을 형성하여, 이들 계지돌기(113)와 계지홈(123)의 결합에 의해 상기 확장고정구(110)에 대하여 확장쐐기(120)가 비회전 상태로 승강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4. 제 1항에 있어서,
    테이블다리(200)의 하단 내측으로는 내면에 나사부(311)가 형성된 체결부싱(310)을 삽입 형성하고, 상기 체결부싱(310)의 나사부에는 별도 구비의 길이조절대(320)를 결합 형성하되,
    테이블다리(20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단지지구(300)의 내측 하단에는 안치홈(301)을 형성하고 상기 길이조절대(320)의 하단에 형성되는 안치플랜지(321)가 삽입되게 하여 상기 길이조절대(320)가 하단지지구(300)로부터 상호 비회전 결합되게 구성함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구(300) 및 길이조절대(320)의 회전에 의한 승강에 의해 상기 테이블다리(200)의 하단 길이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5. 제 4항에 있어서,
    하단지지구(300)의 하단에는 연질 탄력재로 된 별도 구비의 바닥지지구(330)를 밀착 형성하되, 상기 바닥지지구(330)를 관통하여 삽입되는 고정볼트(340)는 상기 하단지지구(300)를 관통하여 길이조절대(320)의 하부에 나사 결합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하단지지구(300)와 바닥지지구(330) 및 길이조절대(320)가 동시에 볼트 체결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6. 제 4항에 있어서,
    하단지지구(300)의 측부에는 횡방향으로 관통된 상,하 반복의 확인공(302)(302')을 형성하고, 체결부싱(310)의 하단에는 표시플랜지(312)를 형성하여, 상기 하단지지구(300)의 외측으로부터 확인공(302)(302')을 통해 내부 체결부싱(310)의 표시플랜지(312) 위치가 육안으로 보여짐에 따라 상기 테이블다리(200)에 대한 하단지지구(300)의 길이 조절량이 표시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7. 제 1항에 있어서,
    확장고정구(110)의 단부플랜지(111) 상단에는 경사면부(111b)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면부(111b)의 형성각도에 따라 상기 테이블다리(200)에 대한 체결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8. 제 1항에 있어서,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 내측에는 상단에 경사면부(141)가 형성된 각도조절편(140)을 삽입 형성하여 상기 각도조절편(140)이 확장고정구(11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구성함에 따라 상기 경사면부(141)의 형성각도에 따라 상기 테이블다리(200)에 대한 체결 각도가 가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9. 제 8항에 있어서,
    다리고정체(100)의 경사결합홈(102) 내면에는 방사상의 가이드홈(102a)을 형성하고, 각도조절편(140)의 외면에는 상기 가이드홈(102a)으로 삽입되는 안내돌기(142)를 형성하여, 상기 경사결합홈(102)에 대한 각도조절편(140)의 상호 비회전 상태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KR1020200033297A 2020-03-18 2020-03-18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KR1022589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297A KR102258992B1 (ko) 2020-03-18 2020-03-18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297A KR102258992B1 (ko) 2020-03-18 2020-03-18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992B1 true KR102258992B1 (ko) 2021-05-31

Family

ID=76149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297A KR102258992B1 (ko) 2020-03-18 2020-03-18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9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48B1 (ko) * 2023-03-10 2023-08-18 주식회사 네오퍼스 지지대연결구와 쿠션받침구를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KR102593655B1 (ko) * 2023-03-10 2023-10-26 주식회사 네오퍼스 각도 가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용 관체연결유닛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104A (ko) 1996-07-01 1998-04-30 배순훈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783196B1 (ko) 2006-10-04 2007-12-06 손영윤 테이블용 높낮이 조절 다리
KR20090006902U (ko) 2008-01-03 2009-07-08 (주)상도가구 조립식 테이블 다리
KR101066110B1 (ko) * 2010-12-20 2011-09-20 주식회사 엔비스 높이조절식 테이블
KR101712439B1 (ko) * 2016-02-11 2017-03-06 주식회사 포머스 다리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프레임
KR102058675B1 (ko) * 2019-01-09 2019-12-24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지지각에 대한 프레임연결구의 이중 조립구조
KR20200004030A (ko) * 2018-07-03 2020-01-13 이남진 각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편안한 자세로 용이하게 수유되게 하는 수유테이블.
KR102072112B1 (ko) 2018-04-06 2020-01-31 이준구 테이블다리고정용 브라켓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13104A (ko) 1996-07-01 1998-04-30 배순훈 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3에서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100783196B1 (ko) 2006-10-04 2007-12-06 손영윤 테이블용 높낮이 조절 다리
KR20090006902U (ko) 2008-01-03 2009-07-08 (주)상도가구 조립식 테이블 다리
KR101066110B1 (ko) * 2010-12-20 2011-09-20 주식회사 엔비스 높이조절식 테이블
KR101712439B1 (ko) * 2016-02-11 2017-03-06 주식회사 포머스 다리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프레임
KR102072112B1 (ko) 2018-04-06 2020-01-31 이준구 테이블다리고정용 브라켓
KR20200004030A (ko) * 2018-07-03 2020-01-13 이남진 각 사용자의 신체조건에 맞춰 편안한 자세로 용이하게 수유되게 하는 수유테이블.
KR102058675B1 (ko) * 2019-01-09 2019-12-24 (주)아모스아인스가구 테이블 지지각에 대한 프레임연결구의 이중 조립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848B1 (ko) * 2023-03-10 2023-08-18 주식회사 네오퍼스 지지대연결구와 쿠션받침구를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KR102593655B1 (ko) * 2023-03-10 2023-10-26 주식회사 네오퍼스 각도 가변구조를 갖는 테이블 프레임용 관체연결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8992B1 (ko) 개선된 조절구조의 테이블용 다리 결합체
US20200200200A1 (en) Quick-Threaded Rod Locking Device and Method
US8132767B2 (en) Quick threaded rod locking devices and method
US2890545A (en) Leg equalizers for appliances and the like
US5388796A (en) Standard and bracket support system
US7407152B2 (en) Fencing system and post insert for use therewith
KR102169888B1 (ko) 수납 가구용 전도 방지장치
KR101866530B1 (ko) 가구용 받침다리
CN101297076A (zh) 支脚基座和用于设备的支脚
JPH0989191A (ja) アジャスタボルト装置
KR102092858B1 (ko) 가구용 철재 프레임 연결구조
US11428000B2 (en) Means of mounting a main carrier of a ceiling lightweight steel structure
KR102170173B1 (ko) 주차장용 레이스웨이의 내진 설치구조
CN211738424U (zh) 具有固定功能的箱柜地脚部件及箱柜
KR200473219Y1 (ko) 선반 고정핀 및 그 선반 고정핀을 이용한 조립식 선반 조립체
JP3129905B2 (ja) 重量物支持脚
KR101024046B1 (ko) 가구 수평조절구
KR102367070B1 (ko) 가구용 다리 어셈블리
KR102661075B1 (ko) 테이블 지지각용 수평조절유닛
KR102567848B1 (ko) 지지대연결구와 쿠션받침구를 구비한 테이블 프레임
KR102470000B1 (ko) 확장슬라이더를 이용한 가구용 다리관체와 하단지지체의 상호 체결구조
CN220359546U (zh) 一种led模组底壳的定位治具
KR101791001B1 (ko) 싱크대 다리
CN211154322U (zh) 桌脚单元、桌脚组件和桌子
KR102112718B1 (ko)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