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3521B1 -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3521B1
KR101813521B1 KR1020160028938A KR20160028938A KR101813521B1 KR 101813521 B1 KR101813521 B1 KR 101813521B1 KR 1020160028938 A KR1020160028938 A KR 1020160028938A KR 20160028938 A KR20160028938 A KR 20160028938A KR 101813521 B1 KR101813521 B1 KR 101813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rniture
upper fixing
screw
fixing body
adjus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8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5815A (ko
Inventor
조정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피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피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피스
Priority to KR1020160028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3521B1/ko
Publication of KR2017010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58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3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3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47B91/022Adjustable feet using screw means
    • A47B91/024Foot attached to a rotating bolt supported in an internal threa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6Glider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002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ssembling to the object, e.g. furni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33/00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 B60B33/04Castors in general; Anti-clogging castors adjustable, e.g. in height; linearly shifting cas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200/00Type of product being used or applied
    • B60B2200/20Furniture or medical appli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egs For Furniture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이동을 위한 캐스터를 포함하되, 가구의 이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캐스터가 바닥으로 노출되도록 조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일련의 조작을 가구의 바닥이 아닌 내부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구의 바닥을 관통하여 가구의 내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상부 고정체; 상기 상부 고정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되, 상부 고정체의 하부로 일부분이 돌출되게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바퀴;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에 설치되며, 상단부가 헤드에 삽입되고, 하단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조절 스크류; 및 상기 바퀴를 포함하여 상부 고정체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고, 더불어 상부 고정체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상부 고정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와 나사결합되어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하부 이동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체는, 상기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가 상면에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수직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에 결합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Height adjuster with caster}
본 발명은 가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가구가 지면으로부터 수평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을 위한 캐스터를 포함하되, 가구의 이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캐스터가 바닥으로 노출되도록 조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일련의 조작을 가구의 바닥이 아닌 내부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구의 바닥에는 가구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된 채로 수평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높낮이 조절장치가 분산된 구조로 설치되거나, 가구의 위치 이동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캐스터가 분산된 구조로 설치되고 있다.
한편, 높낮이 조절장치만을 구비하는 가구의 경우, 가구의 재배치를 위한 위치 이동시 높낮이 조절장치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가구를 띄운 상태에서만 이동이 가능하므로, 위치 이동이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고, 캐스터만을 구비하는 가구의 경우, 가구의 위치 이동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배치된 위치에 가구를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고정구가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외부로 노출되는 캐스터의 디자인이 가구의 디자인과 어울리지 못하면서 가구의 디자인 가치를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다.
한편,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12033호에는 상기와 같은 종래의 높낮이 조절장치 및 캐스터가 갖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캐스터가 일체화된 구조로 이루어진 높이조절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높이조절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에 개시된 높이조절장치는 가구의 밑면에 결합되는 원통형 케이스(10)와, 상기 원통형 케이스(10)의 내측에 조립되고 하단부에 바퀴(21)가 구비된 내통(20)과, 상기 내통(20)의 외측을 감싸는 구조를 갖되 내통(20)과 나사결합된 외통(30)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이조절장치는 외통의 회전방향에 따라 외통이 하강하거나 상승하는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외통을 하강시켜 바퀴의 외부노출을 방지하면서 외통의 위치조절을 통해 가구의 수평도를 조절하고 더불어 바퀴를 지면으로부터 이격시킴으로써 가구의 위치를 해당 위치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가구의 위치 이동이 요구될 경우에는 외통을 상승시켜 바퀴가 지면에 닿도록 함으로써, 바퀴를 이용한 위치 이동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캐스터와 일체화된 구조를 갖는 종래의 높이조절장치의 경우, 외통의 상하 이동을 위해서는 가구의 밑면 하부, 즉 가구와 지면 사이의 협소한 공간에서 외통을 회전시키는 조작을 실시해야만 하므로, 외통의 회전 조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공개실용신안공보 20-2011-0012033(2011.12.30.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을 위한 캐스터를 포함하되, 가구의 이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만 캐스터가 바닥으로 노출되도록 조작이 가능하고, 이러한 일련의 조작을 가구의 바닥이 아닌 내부에서 실시할 수 있도록 한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될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구의 바닥을 관통하여 가구의 내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상부 고정체; 상기 상부 고정체에 지지된 채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고정체의 하부로 일부분이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바퀴; 상기 상부 고정체의 내부에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에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헤드에 삽입되고,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조절 스크류; 및 상기 바퀴를 포함하여 상부 고정체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고, 더불어 상부 고정체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하부 이동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체는, 상기 가구의 저면에 밀착된 채로 다수의 볼트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수직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의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한다.
한편 상기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2개로 이루어지되, 2개의 바퀴는 상호 이격된 채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고, 더불어 상기 조절 스크류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에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삭제
한편 상기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스크류는, 상기 헤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서 결합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역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고정체는, 상기 결속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조절 스크류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는 결속돌기와, 상기 결속돌기와 결속홈이 결합시 상기 걸림단과 마주하면서 조절 스크류의 상승을 억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체와 하부 이동체는 사각의 평면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체에는 조절 스크류가 설치되는 제1챔버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의 좌우 양측에 바퀴가 설치되는 제2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이동체에는 상기 제1챔버에 삽입되어 상부 고정체와 결합되고, 조절 스크류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너트가 설치되는 기둥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고정체에 마련된 헤드의 내부로 삽입된 조절 스크류의 상단부를 가구의 내측에서 회전시키는 조작을 통해 하부 이동체의 이동이 가능하게 되므로, 가구의 하부에 설치된 높낮이 조절장치를 보다 쉽게 작동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하부 이동체를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회전하는 조절 스크류가 두 바퀴의 사이에 배치된 구조로써, 조절 스크류의 길이를 바퀴에 상관없이 충분히 긴 길이로 형성할 수 있게 되므로, 높이조절장치의 높이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충분한 높이조절폭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부 고정체에 형성된 삽입부가 하부 이동체의 내부로 삽입되어 결합되고, 더불어 하부 이동체의 상단부가 상부 고정체에 형성된 결합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며, 하부 이동체에 형성된 기둥이 상부 고정체에 형성된 제1챔버에 결합되는 3중 결합방식으로 상부 고정체와 하부 이동체가 결합되므로, 상부 고정체와 하부 이동체의 견고한 결합을 통해 보다 안정된 구조를 갖는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종래 높이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고정체의 단면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스크류의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이동체의 단면도,
도 8 은 하부 이동체의 하강에 의해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바퀴의 외부 노출이 억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사시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 사시도를,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부 고정체(100), 바퀴(200), 조절 스크류(300), 하부 이동체(400)로 구성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고정체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부 고정체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상부 고정체(100)는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된 가구(F)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부재로써, 고정부(110)와 삽입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0)는 상부 고정체(100)의 상단부를 구성하여 가구(F)에 고정되는 부분으로, 가구(F)의 저면에 상면이 밀착되도록 상면은 평탄한 구조로 이루어지며, 가구(F)와의 조립을 위한 볼트가 관통하는 다수의 체결공(111)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부(110)의 상면 중앙부에는 수직 상부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높낮이 조절장치를 가구(F)에 조립하는 경우, 가구(F)의 바닥을 관통하여 가구(F)의 내부로 노출되는 헤드(13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10)는 사각의 평면구조를 갖는 육면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며, 4개의 체결공(111)이 각 모서리 주변에 위치하도록 분산되게 형성되고,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로 함몰되어 상부 고정체(100)의 자체 중량을 감소시키는 살빼기 홈(112)이 상면에 부분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삽입부(120)는 고정부(110)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40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삽입부(120)는 사각형의 평면구조를 갖는 육면체 블록으로 이루어진다.
한편, 고정부(110)의 저면 중, 삽입부(120)와 경계영역에 위치하는 저면에는 하부 이동체(400)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113)이 일정 깊이로 형성되어 있다.
이처럼 형성되는 결합홈(113)은 삽입부(12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고정부(110)와 삽입부(120)로 구성되는 상부 고정체(100)는 상기 헤드(130)로부터 삽입부(120)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는 제1챔버(140)와, 상기 삽입부(120)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제1챔버(140)의 좌우 양측에 각각 위치하도록 형성된 제2챔버(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챔버(140)는 조절 스크류(300)가 설치되는 공간을 제공하도록 상부 고정체(10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 공간으로, 상기 헤드(130)의 내부에 형성된 소경부(141)와, 상기 소경부(141)로부터 삽입부(120)의 저면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확장부(142)로 이루어진다.
한편, 소경부(141)는 원형의 단면구조를 가지며, 그 내주면에는 조절 스크류(300)와 결합되면서 조절 스크류(300)가 하강하는 것을 억제하는 결속돌기(143)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결속돌기(143)는 소경부(14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되,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역삼각형의 단면을 갖고, 소경부(141)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는 환형의 링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결속돌기(143)는 조절 스크류(300)에 형성된 결속홈(312)에 결합되면서 소경부(141)에 삽입된 조절 스크류(300)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확장부(142)는 소경부(141)의 하부에서 소경부(141)의 횡단면적 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확장부(142)에 따르면, 소경부(141)와 확장부(142)의 경계영역에는 걸림턱(144)이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걸림턱(144)은 조절 스크류(300)의 걸림단(320)과 간섭되면서 조절 스크류(300)가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상기 제2챔버(150)는 바퀴(200)가 설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제1챔버(140)의 좌우 양측에서 삽입부(120)의 저면으로부터 상방향으로 일정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이러한 제2챔버(150)의 하단부에는 바퀴(200)의 회전을 지지하는 회전축(210)이 수평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두 제2챔버(150)에 설치되는 회전축(210)은 동일한 수평선상에 중심이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퀴(200)는 2개로 구성되고, 2개의 바퀴(200)는 제2챔버(150)에 설치된 회전축(21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설치된 각각의 바퀴(200)는 상단부가 제2챔버(150)의 내부에 수용되고, 하단 일부가 제2챔버(150)의 하부로 돌출되어 지면과 접촉하는 구조를 갖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조절 스크류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4 및 도 6을 참조하여 조절 스크류(3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 스크류(300)는 상단부가 상부 고정체(100)에 결속되고, 하단부가 하부 이동체(400)와 결합되어 하부 이동체(40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결합부(310)와 걸림단(320) 및 나사부(330)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부(310)는 제1챔버(140)를 구성하는 소경부(141)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는 원기둥(410)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면에는 렌치 또는 드라이버와의 결합을 위한 육각홈(311)이나 십자홈이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부(310)의 외주면에는 결합부(3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가지며, 더불어 상단부가 하단부에 비해 넓은 역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결속홈(312)이 형성되며, 이러한 결속홈(312)에는 상기 결속돌기(143)가 삽입된다.
이와 같은 결속돌기(143)와 결속홈(312)의 결합구조에 따르면, 소경부(141)의 내부로 결합부(310)가 완전하게 삽입된 경우, 결속돌기(143)가 결속홈(312)이 결합됨에 따라 조절 스크류(300)가 제1챔버(140)의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걸림단(320)은 결합부(310)의 하부에서 결합부(3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부분으로, 결속돌기(143)와 결속홈(312)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그 상면이 걸림턱(144)에 밀착되면서 조절 스크류(300)가 허용된 범위 이상으로 상승하는 것을 억제하게 된다.
결국, 조절 스크류(300)는 결속홈(312)과 결속돌기(143)의 결합 및 걸림단(320)과 걸림턱(144)의 밀착에 의해 제1챔버(140)의 내부에서 이탈됨 없이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나사부(330)는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걸림단(320)으로부터 수직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되되, 대략 제1챔버(140)의 하단부까지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이동체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도 3, 4 및 도 7을 참조하여 하부 이동체(400)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하부 이동체(400)는 상부 고정체(100)에 설치된 바퀴(200)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100)에 설치되고, 상기 조절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가구의 이동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바퀴(200)가 지면에 닿도록 노출시키고, 가구의 위치 세팅이 완료되어 그 자리에 고정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바퀴(200)가 지면으로 이격되도록 띄우는 것과 더불어 바퀴(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감싸도록 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하부 이동체(400)는 상기 삽입부(120)가 내부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사각형의 평면구조를 갖는 틀로 이루어지되, 상면은 완전히 개방되고, 저면은 바퀴(200)에 대응하는 부분만이 개방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이동체(400)의 내측 중앙부에는 저면으로부터 수직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어 제1챔버(140)의 내부로 삽입되는 중공형의 기둥(410)이 형성되고, 상기 기둥(410)의 상단부에 조절 스크류(300)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가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암나사는 별도의 너트(420)를 기둥(410)의 상단부에 압입하여 고정시킨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를 가구에 설치하고, 설치된 높낮이 조절장치를 이용하여 가구를 이동시키거나, 이동된 위치에 고정시키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참고로, 도 8에는 하부 이동체의 하강에 의해 바퀴가 지면으로부터 이격되고, 바퀴의 외부 노출이 억제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부 고정체(100)와 하부 이동체(400)가 결합된 상태로 제공되며, 상부 고정체(100)와 하부 이동체(400)의 결합은 상부 고정체(100)에 바퀴(200)와 조절 스크류(300)가 설치된 상태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조절 스크류(300)의 설치는 제1챔버(140)의 하부에서 제1챔버(140)의 내부로 조절 스크류(300)를 삽입하는 것으로 이루어지게 되며, 조절 스크류(300)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결합부(310)가 소경부(141)의 내부로 완전하게 삽입되어 결속돌기(143)와 결속홈(312)이 결합되고, 걸림단(320)이 걸림턱(144)에 마주한 채로 밀착되는 것에 의해 조절 스크류(300)는 해당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바퀴(200)와 조절 스크류(300)가 설치된 상부 고정체(100)와 하부 이동체(400)의 결합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부 고정체(100)의 삽입부(120)가 하부 이동체(400)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때 하부 이동체(400)에 형성된 기둥(410)이 상부 고정체(100)의 제1챔버(140)의 내부로 삽입되며, 제1챔버(140)에 설치된 조절 스크류(300)를 회전시켜 기둥(410)에 마련된 암나사에 체결함으로써 상부 고정체(100)와 하부 이동체(4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상부 고정체(100)와 하부 이동체(400)는 삽입부(120)가 하부 이동체(400)의 내부로 삽입되는 구조에 의한 결합, 하부 이동체(400)에 형성된 기둥(410)이 제1챔버(140)에 삽입되는 구조에 의해 또 다른 결합, 그리고 하부 이동체(400)의 상단부가 상부 고정체(100)에 형성된 결합홈(113)에 삽입되는 구조에 의한 결합, 이상 3가지 결합을 통해 상부 고정체(100)와 하부 이동체(40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비교적 무거운 가구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부 이동체(400)의 안정적인 이동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부 고정체(100)에 마련된 다수의 체결공(111)을 통해 볼트를 삽입하여 가구의 저면에 체결함으로써, 높낮이 조절장치의 설치가 이루어지게 되며, 다수의 높낮이 조절장치는 가구의 저면에 분산된 구조로 설치하게 된다.
한편, 높낮이 조절장치를 가구의 저면에 설치함에 있어서, 가구의 저면을 구성하는 가구의 밑판재에는 상부 고정체(100)에 마련된 헤드(130)가 삽입되는 구멍이 가공되어 있어야만 하며, 상기 헤드(130)는 구멍을 통해 가구의 내부로 노출되는 구조를 갖게 된다.
한편, 가구의 이동이 요구될 경우, 하부 이동체(400)가 상승하도록 조절 스크류(300)를 회전시키게 되며, 하부 이동체(400)의 상승에 의해 바퀴(200)가 지면에 닿으면서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가구의 손쉬운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이 조절 스크류(300)의 회전조작은 가구와 지면의 사이의 협소한 공간이 아닌 가구의 내부에서 이루어지게 되므로, 조작의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조절 스크류(300)는 높낮이 조절장치의 중앙부에 수직한 구조로 설치되고, 조절 스크류(300)의 양측에 2개가 설치된 구조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조절 스크류(300)와 바퀴(200)의 사이에 아무런 간섭이 발생되지 않으므로, 조절 스크류(300)의 길이를 높낮이 조절장치의 하단부까지 길게 연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높낮이의 조절폭은 최대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높낮이 조절장치에 마련된 바퀴(200)를 이용한 위치 이동이 완료되어 해당 위치에서 가구의 고정이 요구될 경우, 하부 이동체(400)가 하강하도록 조절 스크류(300)를 회전시키게 된다.
한편, 하부 이동체(400)가 하강하는 경우, 바퀴(200)는 하부 이동체(400)에 의해 가려져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높낮이 조절장치의 외부 디자인을 가구의 디자인과 조화롭게 구성하게 되면, 높낮이 조절장치로 인한 가구의 디자인 가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부 이동체(400)의 하강에 의해 바퀴(200)는 지면으로부터 이격되므로, 해당 위치에 가구를 고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구의 저면에 분산된 구조로 설치된 각각의 높낮이 조절장치를 적절하게 조절하는 작업을 통하여 가구의 수평도를 요구되는 수준으로 맞출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상부 고정체 110: 고정부
113: 결합홈 120: 삽입부
130: 헤드 140: 제1챔버
143: 결속돌기 144: 걸림턱
150: 제2챔버 200: 바퀴
210: 회전축 300: 조절 스크류
310: 결합부 312: 결속홈
320: 걸림단 330: 나사부
400: 하부 이동체 410: 기둥
420: 너트

Claims (6)

  1. 높낮이 조절장치가 설치될 가구의 저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가구의 바닥을 관통하여 가구의 내부로 노출되는 헤드를 포함하는 상부 고정체;
    상기 상부 고정체에 지지된 채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의 하단부에 설치되되, 상기 상부 고정체의 하부로 일부분이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설치된 하나 이상의 바퀴;
    상기 상부 고정체의 내부에서 수직한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에 설치되며, 상단부가 상기 헤드에 삽입되고, 하단부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조절 스크류; 및
    상기 바퀴를 포함하여 상부 고정체의 하단부를 둘러싸는 구조를 갖고, 더불어 상부 고정체에 결합된 채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에 설치되며, 상기 조절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암나사부를 내부에 포함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상기 조절 스크류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승하거나 하강하는 하부 이동체;로 구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 고정체는, 상기 가구의 저면에 밀착된 채로 다수의 볼트에 의해 가구에 고정되며, 상기 헤드가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로부터 수직 하부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의 내부로 끼움 결합되는 삽입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부의 저면에는 삽입부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하부 이동체의 상단부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퀴는 2개로 이루어지되, 2개의 바퀴는 상호 이격된 채로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를 갖고, 더불어 상기 조절 스크류를 사이에 두고 상호 대칭되는 구조를 갖도록 상부 고정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절 스크류는, 상기 헤드의 내부로 삽입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의 하부에서 결합부의 직경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걸림단과, 상기 걸림단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결합부의 외주면에는 결합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역삼각형의 단면구조를 갖는 결속홈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부 고정체는, 상기 결속홈에 삽입되어 결합되면서 조절 스크류가 하부로 이탈하는 것을 억제하는 결속돌기와, 상기 결속돌기와 결속홈이 결합시 상기 걸림단과 마주하면서 조절 스크류의 상승을 억제하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체와 하부 이동체는 사각의 평면구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고정체에는 조절 스크류가 설치되는 제1챔버가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1챔버의 좌우 양측에 바퀴가 설치되는 제2챔버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 이동체에는 상기 제1챔버에 삽입되어 상부 고정체와 결합되고, 조절 스크류와의 나사결합을 위한 너트가 설치되는 기둥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160028938A 2016-03-10 2016-03-10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135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38A KR101813521B1 (ko) 2016-03-10 2016-03-10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8938A KR101813521B1 (ko) 2016-03-10 2016-03-10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15A KR20170105815A (ko) 2017-09-20
KR101813521B1 true KR101813521B1 (ko) 2017-12-29

Family

ID=60033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8938A KR101813521B1 (ko) 2016-03-10 2016-03-10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352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94A (ko) 2018-08-17 2020-02-26 김종원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KR102112718B1 (ko) 2019-12-09 2020-05-19 신의재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20294A (ko) 2018-08-17 2020-02-26 김종원 캐스터형 가구 받침다리
KR102112718B1 (ko) 2019-12-09 2020-05-19 신의재 케스터 일체형 높이 조절 받침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5815A (ko)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86510B2 (ja) 昇降可能なスクリーンスタンド
KR101813521B1 (ko) 캐스터 일체형 높낮이 조절장치
JP6315872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付きホワイトボード
KR101882626B1 (ko) 레벨캐스터
EP4112847A1 (en) Movable bases
KR102359926B1 (ko) 차량용 리프팅 잭
JPH02303901A (ja) 据付基台付キャスタ
KR20150117847A (ko) 맨홀뚜껑의 높이조절장치
KR100743563B1 (ko) 정치기구 일체형 캐스터
KR200461562Y1 (ko) 가구용 캐스터 및 높이조절장치
KR19980082935A (ko) 빔 프로젝터용 스탠드
KR200411810Y1 (ko) 싱크대 받침다리
KR101599413B1 (ko) 양방향 연동승강식 가구 받침다리
KR20170124363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CN105243961A (zh) 地砖屏底座架的安装结构
KR100562160B1 (ko) 자력을 이용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모니터스탠드
JP6738615B2 (ja) フィッティングの保守装置及びフィッティングの保守方法
JP7343983B2 (ja) キャスター、及び、キャスター付き什器
KR102350751B1 (ko) 수납가구용 받침장치
JP6385793B2 (ja) 被設置体の高さ姿勢調整機構
KR102653170B1 (ko) 자유로운 수평 높이 조절 및 진동 흡수가 가능한 사무실용 파티션 받침대
KR200491469Y1 (ko) 수평조절이 가능한 캐스터
KR200338354Y1 (ko) 자력을 이용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모니터스탠드
JP2000236972A (ja) 家 具
CN215993251U (zh) 一种具有移动调节支脚的试剂储放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