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363A -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 Google Patents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4363A
KR20170124363A KR1020160054167A KR20160054167A KR20170124363A KR 20170124363 A KR20170124363 A KR 20170124363A KR 1020160054167 A KR1020160054167 A KR 1020160054167A KR 20160054167 A KR20160054167 A KR 20160054167A KR 20170124363 A KR20170124363 A KR 201701243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rotating
housing
supporting
lead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4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성연
Original Assignee
이성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연 filed Critical 이성연
Priority to KR1020160054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4363A/ko
Publication of KR201701243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43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5/06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 E04G25/065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parts held together by positive means by a threaded nu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5/00Shores or struts; Chocks
    • E04G25/04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 E04G2025/042Shores or struts; Chocks telescopic with devices to avoid accidental disengagement of the telescopic elements, e.g. during transport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낮이를 안정된 상태에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100)는, 바닥면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 상에 세워져 고정된 리드스크류(120); 상기 리드스크류(12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회전부재(130); 및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둘레로 상기 회전부재(130) 상에 안착되고, 지지대상물(300)을 지지하는 지지대(200)를 상기 회전부재(13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Height adjustable supporter for construction}
본 발명은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낮이를 안정된 상태에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슬라브 축조를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타설을 위한 슬라브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의 양생에 의해 콘크리트가 일정한 강성을 갖기 전까지 슬라브 거푸집의 하부를 바닥면 상에 지지하기 위한 건축용 지지구가 설치된다.
이러한 건축용 지지구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일례로 건축물의 천장 구조를 이루며 수평 상태로 시공되는 슬라브의 수직 하중을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건축용 지지구와 관련된 선행기술의 일례로서, 등록특허 제10-1020061호에 개시된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을 나타낸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지지구는, 내관(30)과 외관(20)으로 구성되는 파이프 서포트와, 복수 개의 상기 파이프 서포트를 수평방향으로 지지하는 수평재(70)와, 상기 파이프 서포트와 수평재(70)를 상호 결합하는 파이프 서포트용 수평재 연결캡(100)으로 구성된다.
상기 내관(30)의 상단에는 거푸집(60)의 저면에 접촉되는 상부 받침판(32)이 구비되고, 내관(30)에는 상하로 이격된 다수 개의 고정핀 삽입홀(34)이 형성된다. 상기 외관(20)의 상부 외주면에는 나사부(24)가 형성되고, 상기 외관(20)의 외측에는 상기 나사부(24)와 나사결합되는 조절나사(40)가 구비되고, 상기 조절나사(40)에는 돌출편(4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내관(30)과 외관(20)의 높이를 조절하는 경우, 내관(30)을 승강시켜 외관(20)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높이를 조절하고, 외관(20)에 형성된 핀 안내홈(26)과 해당 높이에 위치하는 고정핀 삽입공(34)에 고정핀(50)을 삽입한 후에, 돌출편(42)을 잡고 조절나사(40)를 회전시켜 고정핀(50)이 조절나사(40)의 상단에 걸림되는 위치까지 승강 조절함으로써, 내관(30)과 외관(2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수직재의 높낮이 조절이 고정핀 삽입공(34)이 상하로 이격된 간격 단위로 제한되므로 높낮이의 정밀한 조절이 불가능하고, 작업자가 내관(30)을 들어올려 고정시켜야 하므로 파이프 서포트의 높낮이 조절 작업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대의 높낮이를 안정된 상태에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100)는, 바닥면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 상에 세워져 고정된 리드스크류(120); 상기 리드스크류(12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회전부재(130); 및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둘레로 상기 회전부재(130) 상에 안착되고, 지지대상물(300)을 지지하는 지지대(200)를 상기 회전부재(13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140) 상에는 상기 지지대(200)의 하단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고정부재(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어링(140)은, 상기 회전부재(130) 상에 안착되는 고정륜(141)과, 상기 고정륜(141) 상에 다수개의 볼(143)을 매개로 구비되는 회전륜(142)과, 상기 고정륜(141)과 회전륜(142)을 둘러싸며 상기 고정부재(150)와 상기 지지대(200)가 안착되는 하우징(144)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4)은, 상기 고정륜(141) 및 상기 회전부재(130)와는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142) 및 상기 고정부재(150)와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 시, 상기 고정륜(141)은 상기 회전부재(130)와 일체로 회전 및 승강 이동되고, 상기 회전륜(142)과 하우징(144) 및 고정부재(150)는 일체로 승강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44)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돌출부(14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지지대(200)의 하단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원통부(151)와, 상기 원통부(15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145)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144)의 상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152)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130)에는 양측으로 손잡이부(132,133)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에 의하면, 회전부재 상에 지지대상물을 지지하는 지지대를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을 구비함으로써, 회전부재의 회전에 의한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 시 지지대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지지대를 안정된 상태에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어링 상에는 지지대의 하단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고정부재를 추가로 구비함으로써, 지지대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흔들림이 방지되어 지지대를 수직상태로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어 지지대의 높낮이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회전부재와 지지대 사이에 베어링을 구비함으로써, 회전부재의 회전 시 회전부재와 지지대 간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어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회전부재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지지대의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건축용 지지구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에 지지대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100)는, 바닥면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 상에 세워져 고정되는 리드스크류(120)와, 상기 리드스크류(12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상측 또는 하측으로 승강되는 회전부재(130), 및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둘레로 상기 회전부재(130) 상에 안착되는 베어링(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어링(140) 상에는 건축물인 지지대상물(300)을 지지하는 지지대(200)가 안착되고, 상기 지지대(200)는 베어링(140)의 작용에 의해 상기 회전부재(13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140) 상에는 지지대(200)의 하단을 고정시켜 지지하기 위한 고정부재(150)가 구비된다.
도 4에서 실선과 점선은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베어링(140)과 고정부재(150) 및 지지대(200)가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된 모습을 각각 나타낸 것이며, 상기 지지대(200)의 상단에는 거푸집 등의 지지대상물(300)의 저면에 접촉되는 플랜지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상기 베이스(110)는, 바닥면 상에 고정되는 플레이트부(111)와, 그 상면에 결합되어 리드스크류(120)의 하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몸체(112)로 구성된다.
상기 리드스크류(120)는, 상기 지지몸체(112)에 고정되며 상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된 원기둥부(121)와, 그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부(122)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부재(130)는, 상기 리드스크류(120)에 나사결합되는 나사탭(134)이 내주면에 형성된 몸체(131)와, 상기 몸체(131)의 양측부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손잡이부(132,133)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120)에 나사결합된 회전부재(130)는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리드스크류(120)를 타고 상승하게 되고, 상기 회전부재(130)가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 리드스크류(120)를 타고 하강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140)은 지지대(200)를 회전부재(13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회전부재(130) 상에 안착되는 고정륜(141)과, 상기 고정륜(141) 상에 다수개의 볼(143)을 매개로 구비되는 회전륜(142)과, 상기 고정륜(141)과 회전륜(142)을 둘러싸는 하우징(144)으로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144)의 상면(144a)에는 고정부재(150)와 지지대(200)가 안착된다. 상기 하우징(144)의 상단에는 상기 고정부재(150)를 지지하기 위해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돌출부(145)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재(150)는, 지지대(200)의 하단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원통부(151)와, 상기 원통부(15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하우징(144)에 형성된 돌출부(145)의 외측면과 하우징(144)의 상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152)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베어링(140)의 하우징(144) 상에는 고정부재(150)가 안착되어 고정되고, 상기 고정부재(150)의 외측면에는 지지대(200)의 내측면이 밀착되어 고정되므로, 지지대(200)를 베어링(140) 상에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고정시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140)의 하우징(144)은, 고정륜(141) 및 회전부재(130)와는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회전륜(142) 및 고정부재(150)와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부재(130)의 회전 시, 고정륜(141)은 회전부재(130)와 일체로 회전 및 승강 이동되고, 회전륜(142)과 하우징(144) 및 고정부재(150)는 볼(143)의 구름운동에 의해 회전 없이 승강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회전부재(130)의 회전에 의해 지지대(20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경우, 하우징(144)과 고정부재(150)에 의해 지지된 지지대(200) 또한 회전 없이 승강 이동만을 하게 되므로 지지대(2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 상태에서 높낮이 조절을 정밀하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130)와 지지대(200) 사이에 베어링(140)을 설치함으로써, 회전부재(130)의 회전 시 회전부재(130)와 지지대(200) 간의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어, 작업자가 큰 힘을 가하지 않더라도 회전부재(130)의 회전이 가능하므로 지지대(200)의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0 : 건축용 지지구 110 : 베이스
120 : 리드스크류 121 : 원기둥부
122 : 나사부 130 : 회전부재
131 : 몸체 132,133 : 손잡이부
134 : 나사탭 140 : 베어링
141 : 고정륜 142 : 회전륜
143 : 볼 144 : 하우징
145 : 돌출부 150 : 고정부재
151 : 원통부 152 : 플랜지부
200 : 지지대 210 : 플랜지부
300 : 지지대상물

Claims (7)

  1. 바닥면 상에 고정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 상에 세워져 고정된 리드스크류(120);
    상기 리드스크류(120)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되는 방향에 따라 승강되는 회전부재(130); 및
    상기 리드스크류(120)의 둘레로 상기 회전부재(130) 상에 안착되고, 지지대상물(300)을 지지하는 지지대(200)를 상기 회전부재(130)와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베어링(140);
    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40) 상에는 상기 지지대(200)의 하단을 고정시켜 지지하는 고정부재(15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140)은, 상기 회전부재(130) 상에 안착되는 고정륜(141)과, 상기 고정륜(141) 상에 다수개의 볼(143)을 매개로 구비되는 회전륜(142)과, 상기 고정륜(141)과 회전륜(142)을 둘러싸며 상기 고정부재(150)와 상기 지지대(200)가 안착되는 하우징(144)을 포함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4)은, 상기 고정륜(141) 및 상기 회전부재(130)와는 상대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회전륜(142) 및 상기 고정부재(150)와는 일체로 회전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30)의 회전 시, 상기 고정륜(141)은 상기 회전부재(130)와 일체로 회전 및 승강 이동되고, 상기 회전륜(142)과 하우징(144) 및 고정부재(150)는 일체로 승강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44)의 상단에는 상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돌출부(145)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재(150)는, 상기 지지대(200)의 하단부 내측면을 지지하는 원통부(151)와, 상기 원통부(151)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소정길이 연장되어 상기 돌출부(145)의 외측면과 상기 하우징(144)의 상면에 밀착되는 플랜지부(15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130)에는 양측으로 손잡이부(132,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1020160054167A 2016-05-02 2016-05-0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201701243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167A KR20170124363A (ko) 2016-05-02 2016-05-0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167A KR20170124363A (ko) 2016-05-02 2016-05-0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4363A true KR20170124363A (ko) 2017-11-10

Family

ID=60386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4167A KR20170124363A (ko) 2016-05-02 2016-05-02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43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790A (ko) * 2021-07-14 2023-01-25 장철영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장치
KR20240027340A (ko)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디에스산업개발 건축물의 보 성형을 위한 서포트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1790A (ko) * 2021-07-14 2023-01-25 장철영 파이프 서포트용 고정장치
KR20240027340A (ko) 2022-08-23 2024-03-04 주식회사 디에스산업개발 건축물의 보 성형을 위한 서포트 유닛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755B2 (en) Lifting device
US9239127B2 (en) Adjustable stop mechanism for rotatable connection and a rotatable joint comprising the same
KR101421676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거푸집 파이프 서포트
KR20170124363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101489872B1 (ko) 각도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200456712Y1 (ko) 가구용 다리 높이 조절장치
KR20090072786A (ko) 실험대의 높이조절 장치
KR20120010115A (ko) 마루널 고정장치
CN210239222U (zh) 一种建筑工程用模板支撑装置
KR101622472B1 (ko) 이동식 건물용 수평조절장치
KR200330781Y1 (ko) 도로경계석 위치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도로경계석 받침대
JP6316699B2 (ja) 可動間仕切り用吊りランナー装置
KR101298199B1 (ko) 위치이동 및 각도조절 가능한 전자칠판
KR100582466B1 (ko) 건축용 보 거푸집 받침대
KR20110000380U (ko) 벽 판넬의 높은 베이스
KR20130002402U (ko) 공회전 방지기능을 갖는 캐스터
KR100745024B1 (ko) 거푸집 수평조절장치
KR200397231Y1 (ko) 건물 벽체 형성용 거푸집판의 수평 조절 장치
KR20160047233A (ko) 레벨러를 구비한 일체형 파티션 및 레벨러를 이용한 높이조절방법
KR100562160B1 (ko) 자력을 이용한 높낮이 및 각도 조절기능을 갖는 모니터스탠드
KR101692594B1 (ko) 높낮이 조절이 용이한 데크 지지장치
JP2016037707A (ja) ヒンジ装置および建具
KR0117754Y1 (ko) 냉장고
JPS6324183Y2 (ko)
DE50007587D1 (de) Laufschuh eines Parallelschiebe- und Kippbeschl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