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10115A - 마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마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10115A
KR20120010115A KR1020110049055A KR20110049055A KR20120010115A KR 20120010115 A KR20120010115 A KR 20120010115A KR 1020110049055 A KR1020110049055 A KR 1020110049055A KR 20110049055 A KR20110049055 A KR 20110049055A KR 20120010115 A KR20120010115 A KR 201200101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er member
fixing device
fixing
floor
upper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490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
Original Assignee
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 filed Critical 이규
Priority to KR10201100490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20010115A/ko
Publication of KR201200101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1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04F15/0247Screw jacks
    • E04F15/02476Screw jacks height-adjustable from the upper side of the flo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 E04F2015/020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 E04F2015/02055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 E04F2015/02061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the flooring elements and the underlayer with additional support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underlayer adjustable perpendicular to the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홀더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연결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부 홀더부재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의 상부 홀더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을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하여 연통시킴으로써, 제1받침목 끼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마루널 고정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FLOOR}
본 발명은 교실이나 강당, 체육관, 무용실 등의 마루 바닥의 시공에 이용되는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루널 고정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용성 및 심미감이 향상된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굴곡진 바닥면에 대한 마루시공 작업 중, 마루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마루 및 받침목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그 높이 조정이 용이하게 된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또는 체육관, 무용실 등의 마루공사에 있어서는 굴곡진 바닥면에 대해서 마루를 수평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마루널이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마루널은, 탄성 또는 강성이 있는 목재,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마루의 구배를 맞추는 동시에 마루로부터 인가되는 부하를 지탱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루널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예를 들어 나사 회전하여 상하부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높이를 조정하도록 된 상부 홀더부재 및, 상기 상부 홀더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목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마루널에 있어서는, 바닥공사 중,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부 홀더부재의 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마루널을 바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높이를 조정하고, 높이가 조정된 상부 홀더부재 위에 받침목 수용부재 및 받침목을 설치한 후, 받침목에 마루를 설치하며, 이 마루 설치 중 상기 상부 홀더부재의 높이를 다시 조정하면서 높이를 맞춰야하는 마루바닥 설치 공정에 기인한다. 즉, 상기 받침목 또는 마루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나사 회전시킬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받침목 또는 마루로부터 상부 홀더부재에 부하가 인가됨에 따라, 상부 홀더부재를 나사 회전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받침목이 상기 상부 홀더부재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바닥 고정부에 대한 상부 홀더부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루널은 탄성 및 강성 등을 고려한 복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됨에 따라 그 구성이 복잡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구성 부품이 분리 가능한 다수 부품으로 구성됨에 따라, 작업 중 부품의 분실우려가 높고, 더욱이 마루널 설치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심미감 및 그 이용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설치 작업 공수가 감소되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굴곡진 바닥면에 대한 마루시공 작업 중, 마루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된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는, 마루 및 받침목이 설치된 상태에서도, 상기 마루 및 받침목의 해체 없이, 상기 홀더부재를 회전시켜 상승 및 하강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상기 홀더부재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인가함으로써, 높이 조정이 용이하도록 된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바닥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제1받침목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홀더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연결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회전력 인가수단으로서 연결부재를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상호 직교하는 제1 및 제2받침목 끼움부가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홀더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연결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에는, 회전력 인가수단으로서 연결부재를 관통하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홀더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연결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및 상부 홀더부재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다각형 기둥 형상의 상부 홀더부재의 상호 평행한 양 측면을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하여 연통시킴으로써, 제1받침목 끼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바닥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홀더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연결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부 홀더부재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의 상부 홀더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을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하여 연통시킴으로써, 제1받침목 끼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그 구조가 단순화되어, 고정장치의 심미감 및 그 이용성이 향상된다. 또한, 굴곡진 바닥면에 대한 마루시공 작업 중, 마루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상기 마루 및 받침목의 해체 없이, 상기 홀더부재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승 및 하강 동작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이용한 마루바닥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를 이용한 마루바닥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은 일실시예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로, 교실이나 강당 또는 체육관, 무용실 등의 바닥면(예를 들어, 콘크리트 바닥면) 상에 위치되는 하부 고정부재(10)와; 상기 고정부재(10)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홀더부재(30) 및; 상기 고정부재(10)와 상기 상부 홀더부재(30)를 연결하며,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나사 회전하면서 상기 고정부재(10)와 홀더부재(30)를 이격 및 근접시키는 연결부재(20)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10)는 바닥면과 접하는 기저부(11)와, 이 기저부 상에 위치되며, 상기 연결부재(20)가 나사 체결되는 체결부(1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20)는 그 표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20)는 일측 단부가 상기 고정부재(10)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고정부재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부(12)에는, 상기 연결부재(20)의 타측 단부(자유단)가 삽입되는 삽입홈(10a)이 그 상부 표면으로부터 하부를 향해 수직하게 소정 깊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삽입홈(10a) 내에도 상기 연결부재(20) 표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 및 체결부(12)의 삽입홈(10a)은 고정장치(100)의 높이 조정 수단이 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부재(10)의 기저부(11) 및 체결부(12)는 모두 8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각 측면은 상호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상기 기저부(11)는 체결부(12)에 비해 내경이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내경이 큰 기저부(11)가 바닥면 상에서 상기 체결부(12)를 안정되게 위치되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있어서는 상기 기저부(11) 및 체결부(12)가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기저부(11) 및 체결부(12)는 상호 탈착 가능한 독립된 부재로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30)는 8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평행한 임의의 양 측면을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하여 연통시켜, 대략 4각형 기둥형상을 갖는 받침목 끼움홈(31: 받침목 수용부)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받침목 끼움홈(31)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선형으로 형성되며, 그 폭은 받침목의 폭에 따라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받침목은 2×2 또는 4×4 등의 규격으로 제공되는 건축용 목재가 이용됨에 따라, 그 규격에 따라 상기 끼움홈의 폭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목 끼움홈(31)이 형성됨에 따라, 홀더부재(30)에는 끼움홈(31)을 둘러싸는 평행한 양 측벽(32)이 형성된다. 이러한 양 측벽(32)은 상기 끼움홈(31)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장치의 심미감을 향상시킨다.
한편,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부재(10) 및 홀더부재(30)가 8각형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그 형상은 다각형 형상 또는 원통형상 중 어느 형상을 채용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고정부재(10) 및 홀더부재(30) 모두를 원통형상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또는 상기 고정부재(10) 및 홀더부재(30) 중 어느 한 부재는 다각형 형상으로, 다른 한 부재는 원형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상기 홀더부재(30)는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는 상기 양 측벽(32)이 수직으로 상부를 행해 연장된 형태로 도시되어 있지만, 상기 받침목을 견고히 파지하기 위해서 소정 각도 끼움홈 내로 경사지게 형성해도 된다. 즉, 끼움홈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진행함에 따라, 양 측벽(32)이 끼움홈 내로 경사지게 형성해도 된다.
여기서, 도 1에 있어서는, 상기 끼움홈(31)이 상기 상호 평행한 임의의 양 측면(31a)에 근접한 측면까지 확장되어 형성되고 있지만, 상기 상호 평행한 임의의 양 측면(31a)에만 형성하는 것이, 상기 받침목을 지지하는 상기 양 측벽(32)의 두께를 증가시킴에 따라,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30)가 8각형 기둥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장치의 높이 조정을 위해 고정부재(10)에 대해서 홀더부재(30)를 회전시킬 때, 홀더부재(30)를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홀더부재(30)의 폭과 상기 고정부재(10)의 기저부(11)의 폭을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장치의 안정감 및 심미감을 더욱 향상시킨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의 상승 및 하강 동작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 작업자가 상기 홀더부재(3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홀더부재(30)의 바닥면에 부착된 연결부재(2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연결부재(20)의 상기 타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10a) 내에서 하강함에 따라, 상기 홀더부재(30)가 실선으로 나타낸 A 위치로부터 점선으로 나타낸 B 위치로 하강하여, 장치의 높이를 감소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작업자가 상기 홀더부재(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홀더부재(30)의 바닥면에 부착된 연결부재(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연결부재(20)의 타측 단부가 상기 삽입홈(10a) 내에서 상승함에 따라, 상기 홀더부재(30)가 점선으로 나타낸 B 위치로부터 실선으로 나타낸 A 위치로 상승하여, 장치의 높이를 증대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한편, 실시예1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에 있어서는 상기 홀더부재(30)와 연결부재(20)가 일체로 형성됨에 따라, 연결부재(20)의 회전에 따라 홀더부재(30) 및 홀더부재(30) 상의 받침목 끼움홈(31) 역시 함께 회전하게 된다.
도 3은 상기 본 발명의 실시예1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마루바닥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먼저 복수의 고정장치(100)를, 예를 들어 구배를 갖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위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고정장치(100)의 연결부재(20) 및 홀더부재(30)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호 높이를 조정하여,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상태를 맞추며; 수평상태가 맞춰진 인접한 고정장치(100)의 끼움홈(31)에 받침목(40)을 끼워 설치한다.
도 3에 있어서는 수평으로 인접한 제1고정장치(101)와 제2고정장치(102)의 끼움홈(31)에 걸쳐서 받침목(40)을 끼워 설치하고 있다.
이어서, 상기 받침목(40) 상에 복수의 마루부재(50)를 못 등으로 고정설치함으로써, 마루바닥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도 3에 있어서는, 상기 홀더부재(30)의 끼움홈(31)을 수평상태로 배치함에 따라, 받침목(40)을 수평상태로 복수 설치하고, 인접한 받침목(40)에 걸쳐서 마루부재(50)를 수직하게 부착한 상태가 도시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인접한 고정장치(101, 102)의 홀더부재(30)를 90°더 회전시켜서 인접한 끼움홈(31)을 수직상태로 배치하고, 수직상태로 배치된 끼움홈(31)에 받침목(40)을 수직상태로 설치하며, 상기 인접하게 설치된 받침목(40)에 걸쳐서 마루부재(50)를 수평하게 부착하여 마루바닥 시공을 완료할 수도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예1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상기 연결부재(20)와 홀더부재(30)가 일체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끼움홈(31)에 받침목(40)이 끼워진 상태에서는, 다시 고정장치(100)의 높이를 조정할 수 없게 된다.
[실시예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2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의 측면도이다. 실시예2에 따른 고정장치(100)는 상기 홀더부재(30)와 연결부재(20)가 분리가능하게 구성된다. 그 밖의 구성을 실시예1의 구성과 동일함에 따라 그 기재는 생략한다.
실시예2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의 홀더부재(30)는 바닥면에 상기 연결부재의 단부가 체결되는 체결홈(30a)이 형성된다. 이 체결홈(30a)의 내측벽에는, 상기 연결부재 표면에 구비되는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설치되어, 홀더부재(30)와 연결부재를 나사 체결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연결부재(20)와 홀더부재(30)의 운동을 독립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홈(30a)의 내측벽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독립적인 운동을 위해 상기 체결홈(30a)은 그 평면형상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체결홈(30a)의 내측벽에 나사산이 형성되지 않은 마루널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마루바닥 시공과정을 상기 도 3을 참조로 설명하면, 먼저 복수의 고정장치(100)를, 예를 들어 구배를 갖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위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고정장치(100)의 연결부재(20) 및 홀더부재(30)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호 높이를 조정하여,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상태를 맞추며; 수평상태가 맞춰진 인접한 고정장치(100)의 끼움홈(31)에 받침목(40)을 끼워 설치한다.
이어서, 상기 받침목(40) 상에 복수의 마루부재(50)를 못 등으로 고정설치함으로써, 마루바닥 시공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마루부재(50) 설치작업 중, 예를 들어 제1고정장치(101)와 제2고정장치(101)의 바닥면에 대한 높이가 맞지 않아, 상기 제1고정장치(101)의 끼움홈(31)에 끼워진 받침목(40)의 한쪽 단부가 들뜰 경우, 상기 제1고정장치(101)의 연결부재를 회전시켜, 높이 조정하면서 마루부재(50)를 설치한다.
따라서, 최초 수평 조정 과정 중 수평상태가 맞춰지지 않은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받침목이 설치된 상태에서 연결부재(20)를 회전시켜서 고정장치의 높이를 재조정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3]
한편, 실시예2에 따른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내측벽에 나사산을 형성하지 않는 경우, 연결부재(20)와 홀더부재(30)가 분리됨에 따라, 분실될 우려가 있다. 또한 상기 내측벽에 나사산을 형성하는 경우 연결부재(20)와 홀더부재(30)가 독립적으로 운동할 수 없게 된다.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해서, 본 발명의 실시예3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에 있어서는, 연결부재(20)의 일측 단부가 삽입된 후 홀더부재(30)와 독립적으로 운동하더라도 홀더부재(30)로부터 이탈하지 않는 구조를 채용한다.
즉,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3에 따른 고정장치(100)에 있어서는 연결부재(20)의 단부가 그 직경이 측면방향의 외측으로 확장되어 돌출단부(20a)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체결홈(30a)에는 상기 돌출단부(20a)의 회전운동은 허용하면서 하방향으로의 이탈을 방지하는 지지단면(30b)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홈(30a)은 상기 돌출단부(20a)에 의해 정의되는 입구측 내경이, 체결홈(30a)의 내경보다 좁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부재(20a)의 돌출단부(20a)가 상기 체결홈(30a)에 삽입되면, 상기 지지단면(30b)이 상기 돌출단부(20a)의 하면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는 다양한 공지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상기 지지단면(30b)을 상기 체결홈(30a)에 탈착가능한 O링 형상의 독립된 단품으로 제작하고, 상기 지지단면(30b)의 단부를 상기 체결홈(30a) 내에 삽입한 후, 상기 O링 형상의 평면 구조를 갖는 지지단면(30b)을 체결홈(30a)에 영구적으로 부착하는 구조를 채용해도 된다.
한편, 상기 실시예3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마루바닥 시공과정은, 상기 실시예2와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4]
통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널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마루바닥 시공과정에 있어서는, 상기 고정장치(100)가 받침목(40) 및 마루부재(50)의 하부에 위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손 및 손가락을 이용하여 상기 연결부재(20)를 회전시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이는 상기한 바와 같이, 상부의 받침목(40) 및 마루부재(50)의 가압력이 연결부재(20)에 작용하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4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의 측면도이다. 실시예4에 따른 고정장치(100)에 있어서는, 실시예2에 따른 고정장치(100)의 상기 연결부재(20)의 표면에 관통공(21)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연결부재(20)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인가하기 위한 회전력 인가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상기 관통공(21)에는 도시 생략된 L자형 렌치가 삽입될 수 있다. 즉, 상기 관통공(21)에 L자형 렌치를 삽입한 후, 렌치를 돌림으로써, 연결부재(20)에 용이하게 회전력을 가할 수 있게 된다.
도 6에 있어서 상기 관통공(21)은 원형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그 형상은 타원형 및 다각형 형상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으로 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관통공(21) 내로 삽입되는 L자형 렌치의 삽입부의 단면 형상도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력 인가수단은 상기 관통공(21) 이외에 연결부재(20)의 표면에서 측면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L자형 렌치수단은 생략될 수 있다.
[실시예5]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를 나타낸 사시도로, 상기 도 1에 따른 실시예1과의 차이점은, 상기 홀더부재(30)에 2개의 상호 직교하는 끼움홈(31)이 형성된 점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의 홀더부재(30)는, 8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호 평행한 임의의 양 측면을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하여 연통시켜, 대략 4각형 기둥형상을 갖는 제1받침목 끼움홈(31)를 형성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양 측면(31a)이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또 다른 양 측면(33a)을 상부면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하여 연통시켜 상기 제1받침목 끼움부와 직교하는 제2받침목 끼움홈(33)을 형성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실시예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는 받침목의 2방향 끼움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제1및 제2받침목 끼움홈(31, 33)이 형성됨에 따라, 홀더부재(30)에는 끼움홈(31)을 둘러싸는 평행한 측벽(32a 내지 32d)이 4개소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측벽(32)은 삼각 기둥 형상을 갖게 되며, 따라서 상부에서 볼 때, 상기 제1및 제2받침목 끼움홈(31, 33)은 십자가 형상을 갖게 된다. 여기서, 상기 삼각 기둥 형상의 측벽(32a 내지 32d) 역시 실시예1에 다른 상기 양 측벽(32)과 같이 상기 받침목을 견고히 파지하기 위해서 소정 각도 끼움홈 내로 경사지게 형성해도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를 이용한 마루바닥 시공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먼저 복수의 고정장치(100)를, 예를 들어 구배를 갖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하여 위치시키고; 상기 복수의 고정장치(100)의 연결부재(20) 및 홀더부재(30)를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상호 높이를 조정하여, 바닥면에 대해서 수평상태를 맞추며; 수평상태가 맞춰진 인접한 고정장치(100)의 끼움홈(31)에 받침목(40)을 끼워 설치한다.
도 8에 있어서는 수평으로 인접한 제1고정장치(101)와 제2고정장치(102)의 끼움홈(31)에 걸쳐서 받침목(40)을 끼워 설치하고 있다. 하지만, 필요에 따라서는, 제1고정장치(101)와 제3고정장치(103)의 끼움홈(31)에 걸쳐서 받침목(40)을 끼워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실시예5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는 수평 및/또는 수직으로 받침목을 설치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받침목(40) 상에 복수의 마루부재(50)를 못 등으로 고정설치함으로써, 마루바닥 시공을 완료한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기 각 실시예들은 개별 및 상호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그 조합 역시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은 자명하다.
10 - 고정부재, 20 - 연결부재,
21 - 관통공, 30 - 홀더부재.

Claims (6)

  1. 바닥면에 위치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에 대해서 상하방향으로 운동하는 상부 홀더부재 및;
    상기 고정부재와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연결하며, 회전하면서 상기 상부 홀더부재를 상하방향으로 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부재 또는 상부 홀더부재는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원기둥 또는 다각형 기둥 형상의 상부 홀더부재의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을 상부면으로부터 소정 깊이 절개하여 연통시킴으로써, 제1받침목 끼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대향하는 양 측면이 향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는 또 다른 대향하는 양 측면을 상부면로부터 절개하여 연통시켜 상기 제1받침목 끼움부와 직교해서 형성한 제2받침목 끼움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목 끼움부는 받침목을 지지하는 양 측벽을 더 구비하여 구성되고, 상기 양 측벽은 상기 제1 끼움부 내부를 향해 경사져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재의 바닥면에는, 상기 연결부재의 일측 단부가 나사 체결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연결부재에 회전력을 용이하게 인가할 수 있도록 하는 회전력 인가수단으로서, 관통공을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 및 홀더 부재는 8각형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KR1020110049055A 2011-05-24 2011-05-24 마루널 고정장치 KR201200101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55A KR20120010115A (ko) 2011-05-24 2011-05-24 마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49055A KR20120010115A (ko) 2011-05-24 2011-05-24 마루널 고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0039 Division 2010-07-20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50048649A Division KR20150044868A (ko) 2015-04-06 2015-04-06 마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115A true KR20120010115A (ko) 2012-02-02

Family

ID=458347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49055A KR20120010115A (ko) 2011-05-24 2011-05-24 마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2001011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246B1 (ko) * 2012-09-24 2014-05-27 이규 마루널 고정장치
KR101430179B1 (ko) * 2014-05-07 2014-08-13 세민텍크 주식회사 마루 받침장치
KR101476320B1 (ko) * 2013-12-20 2014-12-24 (주)한국마루 마루 수평 조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마루 제작 방법
KR200477447Y1 (ko) * 2012-09-27 2015-06-09 이현구 시공성이 우수한 마루틀 지지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여 시공된 시스템 마루
CN110528816A (zh) * 2019-08-20 2019-12-03 广州市爱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地板龙骨系统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3246B1 (ko) * 2012-09-24 2014-05-27 이규 마루널 고정장치
KR200477447Y1 (ko) * 2012-09-27 2015-06-09 이현구 시공성이 우수한 마루틀 지지장치 및 그것을 사용하여 시공된 시스템 마루
KR101476320B1 (ko) * 2013-12-20 2014-12-24 (주)한국마루 마루 수평 조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마루 제작 방법
KR101430179B1 (ko) * 2014-05-07 2014-08-13 세민텍크 주식회사 마루 받침장치
CN110528816A (zh) * 2019-08-20 2019-12-03 广州市爱智造科技有限公司 一种地板龙骨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62997B2 (ja) タイルを整列させ、平らとするための装置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20010115A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0733731B1 (ko) 조적용 시공장치
US20160010875A1 (en) Heating panel with floating floor structure
RU254997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равнивания плитки
KR100983630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마루틀 고정장치
KR20150044868A (ko) 마루널 고정장치
US8943704B1 (en) Apparatus for locating fixture boxes and the like
KR101856731B1 (ko) 방수턱 거푸집용 지지장치
KR100499910B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20170014654A (ko) 마루널 고정장치
EP2172602A1 (en) Supporting structure for an access floor
KR101476320B1 (ko) 마루 수평 조절기구 및 이를 이용한 마루 제작 방법
KR20170124363A (ko)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지지구
KR200316250Y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0485262B1 (ko) 거푸집 패널용 수평 고정장치
KR101393246B1 (ko) 마루널 고정장치
JP2003301591A (ja) 床板固定具、床板敷設方法および床構造
JP2019148077A (ja) 床構造体
KR200397233Y1 (ko) 거푸집판 수평 조절장치
JP6158894B2 (ja) コンクリート打設面の仕上げ方法とそれに用いる天端設定装置
KR101413443B1 (ko) 마루 방진 레벨 시스템
KR101476589B1 (ko) 건물바닥용 황동줄눈 지지장치
US20210246667A1 (en) Tiled floor assembly and components
TWM549834U (zh) 高度支撐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