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14654A - 마루널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마루널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14654A
KR20170014654A KR1020150108369A KR20150108369A KR20170014654A KR 20170014654 A KR20170014654 A KR 20170014654A KR 1020150108369 A KR1020150108369 A KR 1020150108369A KR 20150108369 A KR20150108369 A KR 20150108369A KR 20170014654 A KR20170014654 A KR 20170014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ight
unit
floor
hollow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
Original Assignee
이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 filed Critical 이규
Priority to KR10201501083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14654A/ko
Publication of KR20170014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65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64Height adjustable elements for supporting the panels or a panel-supporting framework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44Separate elements for fastening to an underlay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는, 하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부는 마루널의 기초가 되는 받침목을 지지하는 마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고 제1 중공을 구비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제1 중공을 공유하도록 상기 접촉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부고정부재; 제2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적층부 및 상기 제2 중공을 공유하도록 상기 적층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마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받침목이 설치되는 상부홀더부재;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홀더부재가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받침목의 높이가 미세 조절되도록 하는 미세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조절부재는, 제3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 상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홀더부재는, 상기 받침목이 안착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3 중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제3 중공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제2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루널 고정장치{APPARATUS FOR SUPPORTING FLOOR}
본 발명은 교실이나 강당, 체육관, 무용실 등의 마루 바닥의 시공에 이용되는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마루널 고정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이용성 및 심미감이 향상된 마루널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학교의 교실이나 강당 또는 체육관, 무용실 등의 마루공사에 있어서는 굴곡진 바닥면에 대해서 마루를 수평하게 고정 설치하기 위한 지지부재로서 마루널이 사용된다. 통상, 이러한 마루널은, 탄성 또는 강성이 있는 목재, 고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되어, 마루의 구배를 맞추는 동시에 마루로부터 인가되는 부하를 지탱하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루널은, 바닥면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와, 상기 고정부재 상에서, 예를 들어 나사 회전 하여 상하부 방향으로 운동하면서 높이를 조정하도록 된 상부홀더부재 및, 상기 상부홀더부재에 탈착가능하게 구비되는 받침목 수용부재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종래의 마루널에 있어서는, 바닥공자 중, 상기 고정부재에 대한 상부홀더부재의 운동을 용이하게 실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는, 상기 마루널을 바닥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높이를 조정하고, 높이가 조정된 상부홀더부재 위에 받침목 수용부재 및 받침목을 설치한 후, 받침목에 마루를 설치하며, 마루 설치 중 상기 상부홀더부재의 높이를 다시 조정하면서 높이를 맞춰야 하는 마루바닥 설치 공정에 기인한다. 즉, 상기 받침목 또는 마루가 설치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홀더부재를 나사 회전시킬 수 없게 되거나, 또는 받침목 또는 마루로부터 상부홀더부재에 부하가 인가됨에 따라, 상부홀더부재를 나사 회전시키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받침목이 상기 상부홀더부재 위에 설치된 상태에서도 바닥 고정부에 대한 상부홀더부재의 높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는 수단에 대한 요구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마루널은 탄성 및 강성 등을 고려한 복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됨에 따라 그 구성이 복잡화 되는 문제점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 구성 부품이 분리 가능한 다수 부품으로 구성됨에 따라, 작업 중 부품의 분실우려가 높고, 더욱이 마루널 설치 작업 공수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굴곡진 바닥면에 대한 마루시공 작업 중, 마루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는, 하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부는 마루널의 기초가 되는 받침목을 지지하는 마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고 제1 중공을 구비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제1 중공을 공유하도록 상기 접촉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부고정부재; 제2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적층부 및 상기 제2 중공을 공유하도록 상기 적층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마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받침목이 설치되는 상부홀더부재;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홀더부재가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받침목의 높이가 미세 조절되도록 하는 미세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조절부재는, 제3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 상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홀더부재는, 상기 받침목이 안착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3 중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제3 중공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제2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기 연장부는, 상면 및 외측면이 상기 안착부에 포위되며, 내측면의 내측에는 상기 나사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외측면이 상기 안착부에 접촉되며, 상기 상면이 상기 안착부에 비접촉되어 상기 적층부의 상면이 상기 미세조절부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마루널과 상기 바닥면의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홀더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높이조절부재 내지 제n(n은 1보다 큰 자연수)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높이조절부재 내지 제n 높이조절부재는, 각각 상기 제2 중공과 동일한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고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부 내지 제n 삽입부를 구비하는 제1 적층부 내지 제n 적층부 및 상기 중공을 공유하도록 제1 적층부 내지 제n 적층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내지 제n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n 연장부는,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삽입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n이 2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삽입부가 안착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n이 2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삽입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기 제1 적층부 내지 제n 적층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적층부와 두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적층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상기 적층부는, 하면이 상기 접촉부의 상면과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이 상술한 해결 수단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해결 수단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에 의하면, 그 구조가 단순하여 이용성이 향상되고 굴곡진 바닥면에 대한 마루시공 작업 중 마루의 수평상태를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략 정면도.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분해 단면도.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용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8은 도 7의 개략 정면도.
도 9은 도 7의 BB선에 따른 개략 분해 단면도.
도 10는 도 7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용 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개략 정면도.
도 14는 도 12의 CC선에 따른 개략 분해 단면도.
도 15는 도 12의 C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개략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마루널(20)의 기초가 되는 받침목(30)을 지지하고 고정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자형으로 형성된 하나의 받침목(30) 하부에는 적어도 둘 이상의 마루널 고정장치(1000)가 구비될 수 있다. 받침목(30)은 일부가 마루널 고정장치(1000)에 삽입된 채로 고정될 수 있다.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받침목(30)이 수평을 이루도록 각각의 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때, 마루널(20)은 널빤지 형상으로 제공되며, 받침목(30)과 수직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마루널(20)은 나사 또는 목과 같은 체결부재에 의하여 받침목(30)과 고정될 수 있다. 복수의 마루널(20)은 수평 조정된 받침목(30) 상에 고정됨으로써 전체적으로 수평면에 평행한 마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하부고정부재(1200), 높이조절부재(1400), 미세조절부재(1800) 및 상부홀더부재(160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고정부재(1200)는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최하단에 배치되며, 바닥면(10)에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고정부재(1200)는 접촉부(1220) 및 돌출부(1240)를 구비할 수 있다.
접촉부(1220)는 하면이 바닥면(10)에 접촉되며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관통되는 제1 중공(1222)을 구비할 수 있다. 접촉부(1220)의 형상은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팔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접촉부(1220)는 바닥면(10)과의 마찰력이 높아지도록 고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렇게 접촉부(1220)와 바닥면(10)과의 마찰력이 높아질수록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밀림 현상이 줄어들 수 있어, 마루널(20) 설치 작업시 안정감이 높아질 수 있다. 이때, 접촉부(1220)의 재질은 고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취성이 있는 유리와 같은 재료를 제외한 플라스틱 및 철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접촉부(1220)의 재질이 플라스틱 및 철 등의 재질로 제공된 후, 접촉부(1220)의 바닥부만 고무 재질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중공(1222)은 접촉부(1220)의 중앙부를 관통하는 원형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닥면(10)과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다.
돌출부(1240)는 제1 중공(1222)을 공유하도록 접촉부(122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240)는 접촉부(122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이렇게 돌출부(1240)가 접촉부(122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될 경우, 이후 돌출부(1240)로 안착되는 부재가 안정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한편, 돌출부(1240)는 돌출부(1240)로 안착될 부재가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양단부 모두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높이조절부재(1400)는 마루널(20)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높이조절부재(1400)는 적층부(1420) 및 연장부(1440)를 구비할 수 있다.
적층부(1420)는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관통되는 제2 중공(1422)을 구비하며 돌출부(1240)가 삽입되도록 단차지게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부(1424)를 구비할 수 있다. 적층부(1420)의 형상은 하부고정부재(1200)의 접촉부(1220)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적층부(1420)의 크기 또한 하부고정부재(1200)의 접촉부(1220)의 크기에 대응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적층부(1420)는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하부고정부재(1200)의 접촉부(1220)의 형상과 대응되는 팔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적층부(1420)는 마루널(20) 설치 시 하방으로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고무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적층부(1420)의 재질은 고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취성이 있는 유리와 같은 재료를 제외한 플라스틱 및 철 등과 같은 다양한 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높이조절부재(1400)의 탄성계수는 하부고정부재(1200)의 탄성계수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부재(1400)의 경도는 하부고정부재(1200)의 경도보다 작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중공(1422)은 제1 중공(1222)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로 적층부(1420)의 중앙부를 관통할 수 있으며, 적층부(1420)의 하면과 수직하게 관통될 수 있다.
삽입부(1424)는 하부고정부재(1200)의 돌출부(1240)에 안착되는 부분으로, 삽입부(1424)는 하부고정부재(1200)의 돌출부(1240)의 상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적층부(1420)의 하면으로부터 함몰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424)의 함몰 깊이는 하부고정부재(1200)의 돌출부(1240)의 돌출 길이보다 짧게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고정부재(1200)의 돌출부(1240)에 삽입부(1424)가 안착되면, 적층부(1420)의 하면과 접촉부(1220)의 상면은 서로 비접촉될 수 있다. 이렇게 형성된 비접촉 공간은 마루널(20) 및 받침목(30)이 설치되었을 때, 마루널(20) 및 받침목(30)의 자중에 의해 높이조절부재(1400)가 탄성 변형될 공간으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삽입부(1424)의 함몰 깊이는 하부고정부재(1200)의 돌출부(1240)의 돌출 길이보다 길게 제공되는 것은 불가능하며, 삽입부(1424)의 함몰 깊이와 하부고정부재(1200)의 돌출부(1240)의 돌출 길이가 동일하게 제공되는 것은 가능하다. 삽입부(1424)의 함몰 깊이와 하부고정부재(1200)의 돌출부(1240)의 돌출 길이가 동일하게 제공될 경우, 적층부(1420)의 하면과 접촉부(1220)의 상면은 서로 접촉될 수 있다.
연장부(1440)는 제2 중공(1422)을 공유하도록 적층부(142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440)는 적층부(1420)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연장부(1440)는 연장부(1440)로 안착될 부재가 쉽게 안착될 수 있도록 일단부가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며, 양단부 모두 테이퍼진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미세조절부재(1800)는 회전에 의해 후술할 상부홀더부재(1600)가 승강되도록 하여 받침목(30)의 높이가 미세조절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미세조절부재(1800)는 제3 중공(1820)을 구비하며, 연장부(1440)가 삽입되어 연장부(1440) 상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1840)를 구비할 수 있다.
미세조절부재(1800)의 형상은 다각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팔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미세조절부재(1800)가 팔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경우, 사용자가 미세조절부재(1800)를 회전시킬 때 미끄럼이 방지되고 회전시 사용되는 힘의 소모가 최소화될 수 있다.
안착부(1840)는 연장부(1440)의 단부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미세조절부재(1800)의 하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함몰되어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미세조절부재(1800)는 하면이 높이조절부재(1400)의 적층부(1420)의 상면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미세조절부재(1800)의 상면은 제3 중공(1820)으로부터 미세조절부재(1800)의 외측면까지 내리막이 형성되도록 경사지게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후술할 홀더부(1620)의 하면과 미세조절부재(1800)의 상면이 비접촉될 수 있다.
상부홀더부재(1600)는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최상단에 제공되며, 받침목(30)이 안착되는 부분이다. 이러한 상부홀더부재(1600)는 홀더부(1620) 및 나사부(1640)를 구비할 수 있다.
홀더부(1620)는 상부홀더부재(1600)의 상부에 제공되며, 받침목(30)이 끼워지는 받침목 끼움부(1622)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부(1620)는 팔각 기둥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다각 기둥 또는 원기둥 형상으로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받침목 끼움부(1622)는 홀더부(162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받침목(3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함몰되어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받침목 끼움부(1622)는 홀더부(162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수직하게 함몰될 수 있으며, 수직하게 함몰됨에 따라, 받침목(30)의 흔들림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받침목 끼움부(1622)는 홀더부(1620)의 상면으로부터 하부로 경사지게 함몰될 수 있으며, 경사지게 함몰됨에 따라, 받침목(30)을 더욱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나사부(1640)는 홀더부(1620)로부터 돌출되어 제3 중공(1820)에 나사 결합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나사부(1640)는 제3 중공(1820)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제2 중공(1422)에 삽입되어 홀더부(162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나사부(1640)와 안착부(1840) 사이로 적층부(1420)가 끼워질 수 있다. 다만, 받침목(30) 및 마루널(20)의 높이에 따라, 나사부(1640)와 안착부(1840) 사이로 적층부(1420)가 끼워지지 않을 수도 있다. 이 경우, 마루널(20) 및 받침목(30)의 자중에 의해 홀더부(1620)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이 차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조립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2의 AA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바닥면(10)으로부터 하부고정부재(1200), 높이조절부재(1400), 미세조절부재(1800) 및 상부홀더부재(16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의 개략 분해 단면의 조립도이며, 도 5에 도시되었지만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 않은 구성은 도 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부고정부재(1200)는 접촉부(1220)의 하면이 바닥면(10)에 접촉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하부고정부재(1200)의 상부에는 높이조절부재(14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삽입부(1424)가 돌출부(124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높이조절부재(1400)의 탄성 변형 공간이 제공되도록 적층부(1420)의 하면이 접촉부(1220)의 상면과 비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층부(1420)의 하면이 접촉부(1220)의 상면과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높이조절부재(1400)의 상부에는 미세조절부재(1800) 및 상부홀더부재(16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연장부(1440)는 상면 및 외측면이 안착부(1840)에 포위되며, 내측면의 내측에는 나사부(16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1440)의 상면은 안착부(1840)는 비접촉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적층부(1420)의 상면이 미세조절부(1800)의 하면과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1620)의 받침목 끼움부(1622)에 받침목(20)이 안착된 후, 받침목(20)의 하면과 받침목 끼움부(1622)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미세조절부재(1800)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개략 사용 상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받침목(30, 미도시) 및 마루널(20, 미도시)이 설치될 높이와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높이가 대응되도록 높이조절부재(1400)를 하부고정부재(1200)에 안착시켜 할 수 있다. 이때,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높이조절부재(1400)의 적층부(1420)의 두께에 따라 전체 높이가 변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부재(1400)로 높이조절이 불가한 정도의 높이조절은 미세조절부재(1800)를 통해 할 수 있다. 먼저, 높이조절부재(1400)를 하부고정부재(1200)에 안착시킨 후, 받침목 끼움부(1622)에 받침목(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미세조절부재(1800)를 회전하여, 상부홀더부재(16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미세조절부재(1800)가 나사부(1640)에 나사 체결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홀더부재(1600)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부홀더부재(1600)의 승하강은 나사부(1640)의 나사모양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미세조절부재(18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홀더부재(1600)가 상승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개략 정면도, 도 9은 도 7의 BB선에 따른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BB선에 따른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높이조절부재(140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높이조절부재(1400) 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높이조절부재(1400)는 마루널(20)과 바닥면(10)의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바닥면(10)으로부터 홀더부(1620)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높이조절부재(1400a) 내지 제n 높이조절부재(1400b, 1400c,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n은 1보다 큰 자연수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제1 높이조절부재(1400a), 제2 높이조절부재(1400b) 및 제3 높이조절부재(1400c)가 제공될 수 있다.
제1 높이조절부재(1400a)는 제2 중공(1422)과 동일한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고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부(1424a)를 구비하는 제1 적층부(1420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공을 공유하도록 제1 적층부(1420a)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1440a)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높이조절부재(1400b)는 제2 중공(1422)과 동일한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고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2 삽입부(1424b)를 구비하는 제2 적층부(1420b)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공을 공유하도록 제2 적층부(1420b)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2 연장부(1440b)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높이조절부재(1400c)는 제2 중공(1422)과 동일한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고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3 삽입부(1424c)를 구비하는 제3 적층부(1420c)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중공을 공유하도록 제3 적층부(1420c)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3 연장부(1440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적층부(1420a), 제2 적층부(1420b) 및 제3 적층부(1420c)는 동일한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조립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0는 도 7의 BB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바닥면(10)으로부터 하부고정부재(1200), 높이조절부재(1400), 미세조절부재(1800) 및 상부홀더부재(1600)가 순차적으로 적층되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은 도 9의 개략 분해 단면의 조립도이며, 도 10에 도시되었지만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 않은 구성은 도 9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하부고정부재(1200)는 접촉부(1220)의 하면이 바닥면(10)에 접촉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하부고정부재(1200)의 상부에는 제1 높이조절부재(1400a)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부(1424a)가 돌출부(124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높이조절부재(1400a)의 탄성 변형 공간이 제공되도록 제1 적층부(1420a)의 하면이 접촉부(1220)의 상면과 비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적층부(1420a)의 하면이 접촉부(1220)의 상면과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높이조절부재(1400a)의 상부에는 제2 높이조절부재(1400b)가 안착되고, 제2 높이조절부재(1400b)의 상부에는 제3 높이조절부재(1400c)가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 연장부(1440a)에 제2 삽입부(1424b)가 안착될 수 있고, 제2 연장부(1440b)에 제3 삽입부(1424b)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높이조절부재(1400c)의 상부에는 미세조절부재(1800) 및 상부홀더부재(16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3 연장부(1440c)는 상면 및 외측면이 안착부(1840)에 포위되며, 내측면의 내측에는 나사부(16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홀더부(1620)의 받침목 끼움부(1622)에 받침목(20)이 안착된 후, 받침목(20)의 하면과 받침목 끼움부(1622)의 상면이 밀착되도록 미세조절부재(1800)를 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받침목(30, 미도시) 및 마루널(20, 미도시)이 설치될 높이와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높이가 대응되도록 제1 높이조절부재(1400a), 제2 높이조절부재(1400b) 및 제3 높이조절부재(1400c)를 하부고정부재(12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높이조절부재(1400) 개수에 따라 전체 높이가 변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부재(1400)로 높이조절이 불가한 정도의 높이조절은 미세조절부재(1800)를 통해 할 수 있다. 먼저, 제1 높이조절부재(1400a), 제2 높이조절부재(1400b) 및 제3 높이조절부재(1400c)를 하부고정부재(1200)에 안착시킨 후, 받침목 끼움부(1622)에 받침목(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미세조절부재(1800)를 회전하여, 상부홀더부재(16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미세조절부재(1800)가 나사부(1640)에 나사 체결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홀더부재(1600)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부홀더부재(1600)의 승하강은 나사부(1640)의 나사모양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미세조절부재(18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홀더부재(1600)가 상승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의 개략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개략 정면도, 도 14는 도 12의 CC선에 따른 개략 분해 단면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높이조절부재(1400)의 적층부(1420)를 제외하고는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와 구성 및 효과가 동일하므로, 높이조절부재(1400)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높이조절부재(1400a), 제2 높이조절부재(1400b) 및 제3 높이조절부재(1400c)는 높이가 상이한 제1 적층부(1420a), 제2 적층부(1420b), 제3 적층부(1420c)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1 적층부(1420a), 제2 적층부(1420b) 및 제3 적층부(1420c)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적층부(1420)와 두께가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5만큼의 높이 조절이 필요할 때, 높이가 6인 제1 적층부(1420a), 높이가 5인 제2 적층부(1420b) 및 높이가 4인 제3 적층부(1420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높이가 6인 제1 적층부(1420a) 및 제2 적층부(1420b)와 높이가 3인 제3 적층부(1420)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조립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5는 도 12의 CC선에 따른 개략 단면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높이조절부재(1400)의 적층부(1420)를 제외하고는 도 10을 참조로 설명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조립상태가 동일하므로, 높이조절부재(1400)의 적층부(1420)이외의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도 15는 도 14의 개략 분해 단면의 조립도이며, 도 15에 도시되었지만 도면 부호가 부여되지 않은 구성은 도 14를 참조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고정부재(1200)의 상부에는 제1 높이조절부재(1400a)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1 삽입부(1424a)가 돌출부(124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으며, 제1 높이조절부재(1400a)의 탄성 변형 공간이 제공되도록 제1 적층부(1420a)의 하면이 접촉부(1220)의 상면과 비접촉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적층부(1420a)의 하면이 접촉부(1220)의 상면과 접촉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높이조절부재(1400a)의 상부에는 제2 높이조절부재(1400b)가 안착되고, 제2 높이조절부재(1400b)의 상부에는 제3 높이조절부재(1400c)가 순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제1 연장부(1440a)에 제2 삽입부(1424b)가 안착될 수 있고, 제2 연장부(1440b)에 제3 삽입부(1424b)가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높이조절부재(1400c)의 상부에는 미세조절부재(1800) 및 상부홀더부재(1600)가 안착될 수 있다. 이때, 제3 연장부(1440c)는 상면 및 외측면이 안착부(1840)에 포위되며, 내측면의 내측에는 나사부(1640)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적층부(1420a), 제2 적층부(1420b) 및 제3 적층부(1420c)는 서로 다른 두께로 제공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5만큼의 높이 조절이 필요할 때, 높이가 6인 제1 적층부(1420a), 높이가 5인 제2 적층부(1420b) 및 높이가 4인 제3 적층부(1420c)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높이가 6인 제1 적층부(1420a) 및 제2 적층부(1420b)와 높이가 3인 제3 적층부(1420)가 제공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사용 상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개략 사용 상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받침목(30, 미도시) 및 마루널(20, 미도시)이 설치될 높이와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높이가 대응되도록 제1 높이조절부재(1400a), 제2 높이조절부재(1400b) 및 제3 높이조절부재(1400c)를 하부고정부재(12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마루널 고정장치(1000)는 높이조절부재(1400) 개수 및 두께에 따라 전체 높이가 변할 수 있다. 그리고 높이조절부재(1400)로 높이조절이 불가한 정도의 높이조절은 미세조절부재(1800)를 통해 할 수 있다. 먼저, 제1 높이조절부재(1400a), 제2 높이조절부재(1400b) 및 제3 높이조절부재(1400c)를 하부고정부재(1200)에 안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높이조절부재(1400a), 제2 높이조절부재(1400b) 및 제3 높이조절부재(1400c)의 적층 순서는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적층 순서에 따라 적층 높이가 달라지는 것은 아님). 받침목 끼움부(1622)에 받침목(30)이 안착될 수 있도록 미세조절부재(1800)를 회전하여, 상부홀더부재(160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즉, 미세조절부재(1800)가 나사부(1640)에 나사 체결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홀더부재(1600)가 상승할 수 있다. 한편, 상부홀더부재(1600)의 승하강은 나사부(1640)의 나사모양에 따라 변할 수 있으며, 미세조절부재(180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부홀더부재(1600)가 상승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마루널 고정장치(1000)에 의하면, 높이조절부재(1400)의 적층만으로도 마루널 고정장치(1000)의 높이조절이 가능하며, 미세조절부재(1800)를 이용하여 받침목(30)이 상부홀더부재(1600)에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받침목(30)과 마루널 고정장치(1000) 사이의 들뜸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바닥면 20: 마루널
30: 받침목 1000: 마루널 고정장치
1200: 하부고정부재 1220: 접촉부
1240: 돌출부 1400: 높이조절부재
1420: 적층부 1440: 연장부
1600: 상부홀더부재 1620: 홀더부
1640: 나사부 1800: 미세조절부재
1820: 제3 중공 1840: 안착부

Claims (9)

  1. 하부는 바닥면에 지지되며, 상부는 마루널의 기초가 되는 받침목을 지지하는 마루널 고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바닥면에 접촉되고 제1 중공을 구비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제1 중공을 공유하도록 상기 접촉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돌출부를 구비하는 하부고정부재;
    제2 중공을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도록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삽입부를 구비하는 적층부 및 상기 제2 중공을 공유하도록 상기 적층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구비하여 상기 마루널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부재;
    상기 받침목이 설치되는 상부홀더부재; 및
    회전에 의해 상기 상부홀더부재가 승강되도록 하여 상기 받침목의 높이가 미세 조절되도록 하는 미세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미세조절부재는,
    제3 중공을 구비하며, 상기 연장부가 삽입되어 상기 연장부 상에 안착되도록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안착부를 구비하며,
    상기 상부홀더부재는,
    상기 받침목이 안착되는 홀더부 및 상기 홀더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3 중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는,
    상기 제3 중공에 나사 결합되는 정도에 기초하여 제2 중공에 삽입되어 상기 홀더부의 수평 방향으로의 위치 이동을 차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면 및 외측면이 상기 안착부에 포위되며, 내측면의 내측에는 상기 나사부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외측면이 상기 안착부에 접촉되며, 상기 상면이 상기 안착부에 비접촉되어 상기 적층부의 상면이 상기 미세조절부의 하면과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부재는,
    상기 마루널과 상기 바닥면의 사이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상기 홀더부를 향하여 순차적으로 적층되는 제1 높이조절부재 내지 제n(n은 1보다 큰 자연수) 높이조절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높이조절부재 내지 제n 높이조절부재는,
    각각 상기 제2 중공과 동일한 크기의 중공을 구비하고 단차지게 하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 삽입부 내지 제n 삽입부를 구비하는 제1 적층부 내지 제n 적층부 및 상기 중공을 공유하도록 제1 적층부 내지 제n 적층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제1 연장부 내지 제n 연장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삽입부는,
    상기 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제n 연장부는,
    상기 안착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제2 삽입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연장부는,
    상기 n이 2보다 큰 경우, 상기 제2 삽입부가 안착되며,
    상기 제2 연장부는,
    상기 n이 2보다 큰 경우, 상기 제3 삽입부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7.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층부 내지 제n 적층부 중 적어도 하나는,
    나머지 적층부와 두께가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적층부의 내측 상면으로부터 상부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부는,
    하면이 상기 접촉부의 상면과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루널 고정장치.
KR1020150108369A 2015-07-30 2015-07-30 마루널 고정장치 KR201700146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369A KR20170014654A (ko) 2015-07-30 2015-07-30 마루널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369A KR20170014654A (ko) 2015-07-30 2015-07-30 마루널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654A true KR20170014654A (ko) 2017-02-08

Family

ID=58155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369A KR20170014654A (ko) 2015-07-30 2015-07-30 마루널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146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195A (ko) * 2017-02-20 2018-08-29 김태연 도어 거치형 행거
KR20180003664U (ko) * 2017-06-19 2018-12-28 김태연 가변형 간격 조절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6195A (ko) * 2017-02-20 2018-08-29 김태연 도어 거치형 행거
KR20180003664U (ko) * 2017-06-19 2018-12-28 김태연 가변형 간격 조절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005547A1 (en) Top levelled pedestal
KR101482082B1 (ko) 높이조절 및 내진성능이 강화된 물탱크받침
CN203082465U (zh) 一种调节座
KR20170014654A (ko) 마루널 고정장치
US20100242378A1 (en) Adjustable floor channel assembly
KR101546747B1 (ko) 가구의 수평조절용 받침다리
JP6169738B2 (ja) ナースカート
KR20150136859A (ko) 문틀 수평 발란스 조절장치
WO2015030254A1 (ja) フロア用支持脚及びその設定方法
CN202289401U (zh) 一种带有水准调平及监测功能的新型台球桌架
KR101130390B1 (ko) 골프연습판
KR20150044868A (ko) 마루널 고정장치
KR102211121B1 (ko) 가구용 높이조절구
CN214785607U (zh) 一种办公室内的地板铺设结构
CN214117126U (zh) 一种架空地板与玻璃隔断的连接结构
TWM518252U (zh) 磁磚調整器之結構(二)
KR102137249B1 (ko) 칸막이를 구비한 컴퓨터 책상
KR101876058B1 (ko) 조립식 마루판 고정장치
KR200316250Y1 (ko) 철재 마루틀 시스템
KR101974407B1 (ko) 가구용 수평조절형 받침
CN211172909U (zh) 一种装配式地面的架空框架结构
CN216494336U (zh) 橱柜调节脚
CN212600722U (zh) 向上开放式砂布滚筒机调整结构
CN211404452U (zh) 一种质谱仪
CN110685420A (zh) 一种装配式地面的架空框架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