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390B1 - 골프연습판 - Google Patents

골프연습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390B1
KR101130390B1 KR1020100064609A KR20100064609A KR101130390B1 KR 101130390 B1 KR101130390 B1 KR 101130390B1 KR 1020100064609 A KR1020100064609 A KR 1020100064609A KR 20100064609 A KR20100064609 A KR 20100064609A KR 101130390 B1 KR101130390 B1 KR 1011303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lance
upper frame
horizontal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4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4001A (ko
Inventor
조길연
Original Assignee
조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길연 filed Critical 조길연
Priority to KR102010006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390B1/ko
Priority to PCT/KR2011/004845 priority patent/WO2012005478A2/ko
Publication of KR20120004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4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3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3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52Inclined platforms for practising drives from slop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63B69/3673Foot inclining aids; Foot wobb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골프연습시설에서 타격연습을 위한 매트의 경사각 조절을 위한 장치로써,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방사형 외곽으로는 다수개의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는 모터; 모터의 회전력을 받으며 상향으로 작동하는 스크류;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블럭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중앙부에는 다수개의 벨런스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상부프레임의 균형과 작동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벨런스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프연습판{golf training plate}
본 발명은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트를 다양한 경사 위치로 형성시켜 스트로크 또는 스윙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골프연습판에 관한 것이다.
골퍼들은 그들의 스트로크 또는 스윙 연습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평편한 플랫 위에서 하는 연습방법은 실제 필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들을 모두 수용할 수 없었다.
근래에 들어 골프의 대중화로 인해 스트로크 또는 스윙 연습은 실제 필드와 극히 유사하게 주변 환경이 설정된 실내 또는 간이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은 통상 비거리를 향상시키거나 단순한 스트로크 연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들을 이용하여 시각적인 필드환경을 보강하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공지의 예로서, 본인의 선출원인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0-0000033(2010.01.12) "골프연습판"은 매트를 다양한 기울기로 조절하고, 간단한 구조를 갖으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상태를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상기 선출원은 구동체의 작동으로 매트가 안착된 상부프레임이 연동되고, 균형판은 연동되는 상부프레임의 경사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구조이다.
그런데,
구동체의 작동으로 연동되는 상부프레임은 구동체의 작동시 발생되는 진동 및 타격 시에 발생하는 충격 소음 및 진동 상부프레임 완충이 부족하게 전달되어 이용에 불쾌함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유동이 큰 균형판과 스프링에 의해 각도변화가 가능하게 결합된 구동체와 상부프레임에 의해 각도 변화가 가능하게 된 구조이므로 상부프레임의 평면유동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프레임이 경사를 이루며 작동하는 경우에 그 유동이 최소화되도록 간단한 구조를 갖으면서 신뢰성 있는 작동상태를 제공하여 골퍼에게 최적인 연습환경을 마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방사형 외곽으로는 다수개의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는 모터; 모터의 회전력을 받으며 상향으로 작동하는 스크류;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벨런스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상부프레임의 균형과 작동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벨런스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벨런스모듈의 측면으로는 천공홀이 형성된 부쉬플레이트가 설치되고, 부쉬플레이트의 천공홀을 통해 상하로 작동하는 벨런스축이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홀더가 베이스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벨런스모듈이 상하로 작동시 수직방향으로 그 작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벨런스모듈은,
벨런스판들이 격자형을 이뤄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벨런스판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설치된 경사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벨러스판들의 모서리로는 스프링안착판가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스프링안착판의 저면으로는 상기 벨런스스프링의 상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상기 수평판에 안착되는 논슬립판;
상기 수평판을 기준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하로 연장된 수평지지봉;
상기 수평지지봉의 일단이 삽입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이 위치하는 균형판;
상기 수평지지봉의 타단이 위치하는 막이판;
상기 막이판을 관통하고, 수평지지봉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의 저면에서 수평지지봉을 관통하고, 막이판에 의해서 압축되는 균형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에 의하면, 견고한 구조와 신뢰성 있는 구조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구조상에 무리가 없는 골프연습판을 제공하여 실제 필드에서와 같이 매트를 다양한 경사 위치로 형성시켜 골퍼의 스트로크 또는 스윙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매트(M1,M2)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상부프레임(C)이 제거된 상태에서 구동체(P)와 벨런스모듈(B)의 설치상태도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된 구동체(P)의 도면
도 6은 구동체(P)에 구성되는 승강부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벨런스모듈(B)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벨런스모듈(B)에 적용되는 경사조절수단의 분해사시도
도 9과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이 경사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P: 구동체 B: 벨런스모듈
220: 복원스프링 560: 벨런스스프링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연습판의 매트가 제거된 상태이다.
특히 도 2는 상부프레임(C)을 구성하는 일부 판재류를 제거하여 구조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 도면으로 상부프레임(C)의 표면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상태를 갖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M1,M2)는 인조잔디를 포함한 연질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방형의 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매트(M)는 크기가 다른 2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매트(M1) 상에 골프공이 위치하고, 보다 큰 매트(M2)의 상에 골퍼가 위치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매트(M1,M2)의 하부에는 상부프레임(C)이 위치하고 있다. 상부프레임(C)은 매트(M1,M2)가 이탈되지 않도록 매트(M1,M2)가 안착되며, 내부로는 후술할 구동체(P), 벨런스모듈(B) 등이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프레임(C)의 하측으로 일정한 공간을 두고 베이스프레임(F)이 더 설치된다.
도 2는 상부프레임(C)과 베이스프레임(F)의 구체적인 구조를 보여주고 있으며, 도 3은 상부프레임(C)이 제거된 상태에서 구동체(P)와 벨런스모듈(B)의 구체적인 설치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C)과 베이스프레임(F)의 일정 공간 사이에는 구동체(P)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체(P)는 베이스프레임(F) 내부에서 각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구동체(P)의 배치는 힘의 전달을 고려하여 좌우대칭이 되도록 적용하는 것이 좋다
구동체(P)의 상부로는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는 승강판(210)이 설치되고, 구동체(P)의 저면으로는 구동베이스(300)가 설치되며, 구동베이스(300)는 베이스프레임(F)과 결합되어 있다.
베이스프레임(F) 중앙부에는 벨런스모듈(B)이 더 설치되어 있으며, 벨런스모듈(B)의 상부에는 균형판(50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과 결합된다.
이때, 균형판(500)이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는 위치는 대략적으로 상부프레임(C)의 중앙부이며, 상부프레임(C)과 베이스프레임(F)의 중앙부 역시 대략적으로 동일 축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구동체(P)의 조립도이며 작동블럭(250)은 하강한 상태이며, 도 5는 발명에 따른 구동체(P)의 조립도이며, 작동블럭(250)은 상승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시의 편의상 지지판(295)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F)으로는 구동베이스(30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베이스(300) 상에는 구동체(P)의 모터(100)가 설치되어 있다.
모터(100)에는 수직상방으로 향하도록 작동하는 스크류(150)의 하단부가 모터(100)의 작동축에 결합되어 모터(100)의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타측으로 연장된 스크류(150)는 작동블럭(250)의 미도시된 스크류홈(255)에 삽입되어 있다.
작동블럭(250)은 스크류(150)와 나사결합되어 있으며, 스크류(150)는 모터(100)에 의해서 정, 역회전하고, 작동블럭(250)과 스크류(150)는 일체로 연동되어야만 스크류(150)의 정 또는 역회전에 따라 작동블럭(250)이 상하로 작동하게 된다.
한편, 스크류(150)의 정, 역회전에 따라 작동블럭(250)이 연동되어 회동하지 않도록 하여야만 작동블럭(250)이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작동블럭(250)에는 수평으로 연장되고, 작동블럭(250)과 일체화되는 가이드판(260)이 설치된다.
이러한 가이드판(260)을 관통하여 가이드축(290)이 설치되고, 다시 가이드판(260)과 일체화된 작동블럭(250)은 가이드축(290)의 안내를 받으며 회동하지 않고 상하로 움직인다.
이때 가이드축(290)의 하단은 구동베이스(300) 상에 고정되고 상단은 지지판(295)에 고정되며, 또한 지지판(295)은 양측면이 하방으로 연장되어 구동베이스(300)에 고정되도록 하여 가이드축(290)의 유동을 방지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구동체(P)에 구성되는 승강부(200)의 분해 사시도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블럭(250)에는 이탈방지판(240)이 더 설치되어 있고, 이탈방지판(240)에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고정파이프(230)가 결합된다.
고정파이프(230)의 내부로는 복원스프링(220)이 삽입되며, 복원스프링(220)의 바닥면은 이탈방지판(240)에 안착되고, 복원스프링(220)은 고정파이프(230)의 상단을 지나 적당한 길이로 연장된다.
자세히 설명하면, 고정파이프(230)의 내부면으로 외벽을 형성하고 작동블럭(250)의 외부면으로는 내벽을 이루어, 외벽의 하부를 가로막으며 내벽과 결합되는 이탈방지판(240)이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복원스프링(22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벽의 내측으로는 스크류(150)와 나사결합되는 미도시된 스크류홈(255)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구조이다.
복원스프링(220)의 상부에는 승강판(210)이 결합되어 있으며, 승강판(210)은 본 발명인 '골프연습판'에서 경사도를 구현하게 되는 상부프레임(C)과 결합된다.
상부프레임(C) 상부에는 매트(M1,M2)가 장착되고, 매트(M1,M2) 상부는 골퍼가 서게 되는 위치이다.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전술한 구조로 인해 복원스프링(220)에는 상부프레임(C)에서 하중과 경사도가 전해지므로 복원스프링(220)은 일정한 길이와 탄성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고정파이프(230)의 내부 직경은 복원스프링(220)의 복원력과 탄성력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복원스프링(220)의 수평 유동이 제한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때, 고정파이프(230)의 길이는 복원스프링(220)에 전해지는 충격이나 경사를 구현할 때의 휨 등을 고려하여 설정하여야 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벨런스모듈(B)의 사시도이고, 도 2, 도 3 및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벨런스모듈(B)의 상부에는 균형판(500)이 설치되어 있으며,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는 구조로서 벨런스모듈(B)은 베이스프레임(F) 상에 설치된다.
벨런스모듈(B)은 벨런스판(550)들이 격자형을 이뤄 측면을 형성하고, 이러한 벨런스판(550)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판(530)이 설치된다.
특히, 격자형을 이루는 벨런스판(550)의 사방 모서리로는 스프링안착판((590)이 설치되어 있으며, 벨런스스프링(560)은 스프링안착판(590)의 저면에 위치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벨런스모듈(B)은 벨런스스프링(560)에 의해 탄성지지된다.
이 실시 예에서 벨런스모듈(B)의 형상을 적체적으로 사각형의 형상으로 택한 것은 실시의 편의성이 극대화되기 때문이다. 즉, 벨런스모듈(B)의 전체적인 평면 모습을 사각형상으로 실시하면 전체적인 부분품들이 대부분 수직을 이루므로 제작이 비교적 쉽고 실시 오차측정이 단순하게 된다.
한편, 벨런스모듈(B)의 측면으로는 가이드홀더(57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가이드홀더(570)는 천공홀(572a)이 형성된 부쉬플레이트(572)와, 천공홀(572a)에 삽입되어 작동시 안내받는 벨런스축(574) 및 벨런스축(574)을 지지하는 고정좌대(578)을 포함하고 있다.
이때, 고정좌대(578)는 베이스프레임(F) 상에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벨런스모듈(B)은 가이드홀더(570)의 안내를 받아 수직으로 상하운동이 가능하게 되고, 벨런스스프링(560)은 벨런스판(550) 아래에서 지지하게 되어 벨런스모듈(B)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형태가 된다.
또한, 천공홀(572a)의 내면으로는 윤활성이 있어 벨런스모듈(B)의 원활한 상하운동을 돕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천공홀(572a)의 내면은 윤활성 재료를 사용하거나 별도의 베어링을 사용하는 것도 좋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수평판(530)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설치된 경사조절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벨런스모듈(B)에 적용되는 경사조절수단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경사조절수단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사조절수단은 수평지지봉(520) 및 아래와 같은 구성들을 선택적으로 포함하고 있다.
즉, 수평판(530)에 안착되는 논슬립판(531)과, 상기 수평판(530)을 기준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하로 연장된 수평지지봉(520)과, 상기 수평지지봉(520)의 일단이 삽입되는 스페이서(510)과, 상기 스페이서(510)의 상면이 위치하는 균형판(500)과, 상기 수평지지봉(520)의 타단이 위치하는 막이판(525)과, 상기 막이판(525)을 관통하고, 수평지지봉(520)에 고정되는 고정체(532)를 포함하고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수평지지봉(520)의 하단부는 수평판(530)을 관통하고 아래로 연장되어 경사조절이나 과도한 충격 등으로 인하여 균형판(500)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막이판(525)과 결합되어 있다.
수평판(530)의 저면으로는 관통홀(535)의 원주외부를 중심으로 균형스프링(533)이 더 설치된다.
따라서 수평지지봉(520)의 하단부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균형스프링(533)을 통과하며 수평지지봉(520)의 하단은 균형스프링(533)이 외부로 이탈하지 못하는 넓이로 설정된 막이판(525)과 결합된다.
또한, 수평판(530)의 상부에는 논슬립판(531)이 부착되고, 이러한 논슬립판(531)의 재질은 고무처럼 복원력과 탄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발포되어 있는 수지로 되어 있어 누름하중이 가해지면 압축되며 변형되고 누름하중이 해제되면 원상태로 복원하는 성질 및 표면 미끄럼 저항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다. 사용 예로서는 발포고무나 발포우레탄 등이 있을 수 있다.
다시, 논슬립판(531)의 중앙부분은 비교적 넓은 수평 면적은 가지고 있는 균형판(500)이 유동할 때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넓이와 형태로 균형판(500)보다 큰 크기로 천공되어 있고, 외측면은 수평판(530)의 외부형상에 적절하게 대응하여 선정한다.
또한 벨런스모듈(B) 전체 구성을 완료한 측면에서 보았을 때의 모습에서 논슬립판(531) 소재의 높이 즉, 두께는 균형판(500)이 경사를 가지지 않은 수평상태 일때의 높이와 비교하여 약간 높은 정도로 선정하여야 바람직하다.
수평지지봉(520)의 일단인 상단부는 스페이서(510)를 관통한 후 다시 비교적 넓은 수평 면적은 가지고 있는 균형판(500)과 결합된다. 이때 수평지지봉(520)은 단면을 원형으로 하는 것이 간단하며, 수평판(530)에는 수평지지봉(520)의 원형단면에 대응하는 원형의 관통홀(535)이 형성되어 있다.
수평판(530)을 관통한 관통홀(535)은 수평지지봉(520)의 직경에 대응하는 일정한 유격을 유지하고 있다.
수평판(530)을 관통한 관통홀(535)을 중심으로 수평지지봉(520)이 수평으로 움직일 수 있는 유동간극이 설정되어 있으며, 수평판(530)과 결합된 수평지지봉(520)이 위,아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하간극을 가지고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수평지지봉(520)의 유동간극과 상하간극은 스페이서(510)의 높이 및 직경과 함께 작용하여 상부프레임(C)과 결합된 균형판(500)이 기울어지며 자연스럽게 여러 방향으로의 경사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제 베이스프레임(F)에 고정된 벨런스모듈(B)이 상부프레임(C)에 결합되면서의 본 발명에서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전술하였지만 균형판(500)의 수평높이는 논슬립판(531)보다 적당히 낮은 상태이며, 논슬립판(531)의 재질은 다공성을 가지며 표면 미끄럼 저항성을 가지는 수지이다.
균형판(500)을 볼트 등의 체결수단을 사용하여 상부프레임(C)과 일체화시키면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 방향으로 논슬립판(531)과 균형판(500) 사이의 높이 차이만큼 상승하고, 균형판(500)과 일체인 수평지지봉(520)은 막이판(525)과 함께 상승한다.
이때 수평판(530)의 하부의 관통홀(535) 원주외부를 중심으로 설정되어 있는 균형스프링(533)은 막이판(525)의 상승으로 압축력을 받게 된다.
균형스프링(533)의 압축력은 상하운동하도록 구성된 벨런스모듈(B)에 상승력을 가하여 결과적으로 상부프레임(C)의 하부면과 논슬립판(531)의 표면이 전체적으로 밀착되게 한다.
이러한 논슬립판(531)과 균형판(500) 사이에 높이 차이를 둔 것은 상부프레임(C)의 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다.
자세히 설명하면, 상부프레임(C) 상부에 위치하는 매트(M1,M2)의 표면은 사람이 올라서서 매트(M1,M2)에 놓여 있는 공프공을 타격하는 곳이므로 상부프레임(C) 전체는 이용자가 타격시 중심이동 등의 힘으로 전후좌우로 유동하는 힘을 받아 상부프레임(C) 전체가 평면상에서의 움직임이 발생한다. 이러한 움직임은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최소화되어야 한다.
상부프레임(C)에서 평면상의 움직임이 발생되면 논슬립판(531)은 미끄럼 저항성을 가지는 수지이고 상부프레임(C)과 밀착되어 있으므로 타격 시 상부프레임(C) 평면유동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C)과 논슬립판(531)이 면접촉이 되도록 설정하는 이유는 상부프레임(C)과 논슬립판(531)이 접촉면적을 가급적 크게 하여 상부프레임(C)이 평면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전술한 복원스프링(220)과 벨런스스프링(560)은 상부프레임(C)을 통해 전달되는 하중에 따른 압축력이 가해지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는 탄성력과 복원력을 가지고 있어야하며, 바람직한 형상은 하중을 가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면와 하부면의 형상이 가급적 평평한 수평상태로 이루어져 있어 지표면에 세웠을 때 수직상태로 직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복원스프링(220)과 벨런스스프링(560)에 적용하는 각각의 스프링 복원력 크기는 상부프레임(C)의 크기, 구동체(P)의 적용위치, 벨런스스프링(560)의 적용수량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되어야 한다.
이제 구동체(P)의 동작을 통해 매트(M1,M2)를 포함한 상부프레임(C)이 경사가 조절되는 작동과정을 도 9 및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9 및 도 10은 구동체(P)의 높이 변화 시에 발생하는 상부프레임(C)의 경사변화를 일부 부품을 제거하여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체(P)는 하강된 상태이며 본 발명인 '골프연습판'은 수평상태이고, 상부프레임(C) 역시 수평상태를 이루고 있다.
전술하였지만 본 실시 예에서 베이스프레임(F)의 모서리에는 4개의 구동체(P)가 구동베이스(300)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구동베이스(300)는 베이스프레임(F)에 결합되어 있다.
구동베이스(300)에 설치된 지지판(295)은 가이드축(290)의 수직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며, 작동블럭(250)과 일체화되어있는 가이드판(260)은 가이드축(290)에 관통되어 가이드축(290)의 안내에 따라 작동블럭(250)을 포함하고 있는 승강부(200)를 상향으로 안내한다.
이때, 구동베이스(300) 상에 설치된 모터(100)가 회전하면 스크류(150)는 모터(100)의 회전력으로 회전을 시작하고, 스크류(150)와 스크류홈(255)을 통하여 나사결합되어 있는 작동블럭(250)은 상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작동블럭(250)의 이동에 따라 승강부(200)는 상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모터(100)가 작동을 멈추면 스크류(150)도 작동을 멈추게 되고, 작동블럭(250)과 함께 승강부(200)도 정지하게 된다. 이 상태는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가 이동된 상태이다.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가 이동된 상태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작동블럭(250)의 수직 상방 운동에 따라 작동블럭(250)을 포함하고 있는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를 상향으로 이동한 상태이다.
전술하였지만, 승강부(200)에는 복원스프링(220)이 장착되어 있고, 복원스프링(220)의 상단에는 승강판(210)이 위치하고 있으며, 승강판(210)은 상부에 다시 상부프레임(C)과 결합되어 있어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를 상향으로 이동하면 장방형인 상부프레임(C)의 일측이 상승하게 되어 전체적으로 보면 상부프레임(C)의 경사가 변화하게 된다.
이 작동 예에서 상부프레임(C)의 경사가 없는 수평상태를 전제로 하였으므로 위와 같은 작동이 가능하다.
승강부(200)가 일정한 거리를 상승하여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지게 되면, 상부프레임(C)에 결합되어 있는 승강판(210)도 상부프레임(C)과 평행하게 경사를 가지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원스프링(220)은 이탈방지판(240)으로 하부가 지지되고 있고, 일정한 길이를 가지는 고정파이프(230)로 수평방향으로의 유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승강판(210)의 하부에 체결되어 있는 복원스프링(220)은 스프링이 가지는 고유의 탄성 특성 때문에 승강판(210)과 함께 상부프레임(C)의 경사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게 된다.
또한, 상부프레임(C)이 승강판(210)과 함께 다시 수평상태로 복귀하면 스프링의 고유한 탄성 특성 때문에 복원스프링(220)은 수평상태로 복원하게 된다.
상부프레임(C)은 도 2와 도 3에서와 같이 베이스프레임(F)에 안착된 4개의 구동체(P)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 장방형으로 구성된 베이스프레임을 지지하고 있으므로, 각 구동체(P)에 장착된 승강부(200)의 상승 높이를 달리함으로써 베이스프레임(F)의 경사도를 만들어 낼 수 있어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매트(M1,M2)의 경사를 조절하게 된다.
물론 상승된 상태의 구동체(P)에 장착된 승강부(200)를 하강시키는 동작은 상승의 동작과 역방향의 동작을 수행하면 된다.
이제 구동체(P)의 동작에 통해 매트(M1,M2)를 포함한 상부프레임(C)이 경사조절 될 때 벨런스모듈(B)의 동작을 다시 도 9 및 도 10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전술하였지만 벨런스모듈(B)의 하부는 베이스프레임(F)의 중앙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벨런스모듈(B)의 상부에는 균형판(500)이 위치하고 있으며,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의 중앙부와 결합되어 있다.
도 9에서 베이스프레임(F)에 설치된 구동체(P)는 모두 하강한 상태이며 본 발명인 '골프연습판'은 수평상태이다.
이러한 수평상태는 상부프레임(C) 역시 마찬가지이며, 벨런스모듈(B)은 상부프레임(C)에서 가해지는 하중에 의해 아래로 하강하였으며 수평상태이다.
이때 벨런스스프링(560)은 상부프레임(C)의 하중에 의해 압축되어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벨런스스프링(560)의 길이와 탄성력의 선정은 중요하다.
벨런스스프링(560)이 최대한 압축되었을 때의 길이는 구동체(P) 모두가 최하부까지 이동했을 때이며, 이때의 길이가 벨런스모듈(B)이 베이스프레임(F)과 상부프레임(C)의 변형을 유발하지 않는 길이이어야 한다.
또한 벨런스스프링(560)이 최대한 신장되었을 때의 길이는 베이스프레임(F)에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된 구동체(P) 모두가 최상부까지 이동했을 때이며, 이때의 길이가 벨런스모듈(B)과 베이스프레임(F) 사이에 이격공간이 생기거나, 벨런스스프링(560)이 최초에 생산된 길이 이상으로 늘어나지 않도록 길이가 선정되어야한다.
벨런스모듈(B)은 별도의 동력원이 내장되어 있지 않고 라는 동력원인 모터(100)가 있는 구동체(P)의 동작에 의하여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질 때 유동하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벨런스모듈(B)의 유동은 벨런스모듈(B)의 구성품인 벨런스스프링(560)이 벨런스판(550) 하부에서 벨런스모듈(B)을 지지하며 상부프레임(C)의 유동에 따른 압축에 따른 탄성으로 유동한다.
도 9의 상부프레임(C)과 벨런스모듈(B)이 수평인 상태에서 구동체(P)가 동작하면, 도 10의 상태인 상부프레임(C)과 벨런스모듈(B)에 있는 균형판(500)이 경사를 가지는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10의 상태는 구동체(P)의 승강부(200)가 상승하여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지어 벨런스모듈(B)의 구성품인 균형판(500)은 상부프레임(C)의 경사 변화에 따라 경사도가 변화하게 된 상태이다.
상부프레임(C)이 경사가 변화할 때 벨런스모듈(B)에서의 변화는 다음과 같다.
균형판(500)과 상부프레임(C)이 경사가 변화하면 높이의 변화가 발생하며 수평지지봉(520)은 균형판(500)과 함께 경사의 변화가 일어나고, 균형판(500)과 결합된 수평지지봉(520)의 유동간극과 상하간극 그리고 스페이서(510)의 높이 및 직경이 함께 작용되기 때문에 균형판(500)은 경사변화가 가능하다.
이때 수평지지봉(520) 아래에 위치한 수평판(530)에는 4개의 벨런스판(550)이 사방에 결합되어 있으며, 압축되어 있던 벨런스스프링(560)은 벨런스판(550)의 하부에서 스프링안착판((590)에 의해 지지되며 탄성력으로 벨런스판(550)을 위로 밀어 올리는 작용을 한다.
벨런스판(550)과 직교하도록 설치된 가이드홀더(590)에 의해서 벨런스모듈(B)은 상부프레임(C)의 전체적인 위치를 고정하며 상부프레임(C)의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을 더 수행한다. 즉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지게 되면, 상부프레임(C)의 하중이 어느 한쪽으로 작용하여 상부프레임(C) 전체가 이탈되는 현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수직상하로 운동을 하는 벨런스모듈(B)은 중앙에서 상부프레임(C)을 구속하여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상부프레임(C)과 균형판(500)이 수평상태에서 점차로 경사를 가지게 변화되면서 벨런스모듈(B)은 벨런스스프링(560)의 탄성력을 받으며 벨런스축(574)을 따라 수직으로 상승한다. 이때 상부프레임(C)과 밀착하며 접하는 수평상태인 논슬립판(531)은 상부프레임(C)의 경사변화에 따라 수직방향으로의 높이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상부프레임(C)이 경사가 생기는 반대방향은 상부프레임(C)과 논슬립판(531) 사이의 이격이 생기고, 상부프레임(C)이 경사가 생기는 방향으로는 상부프레임(C)과 논슬립판(531)이 좀 더 강하게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다공성을 가진 수지인 논슬립판(531)은 경사 방향으로 눌려지며 일시적인 형태변경이 생기게 된다.
또 균형판(500)에 연결되어 있는 수평지지봉(520)에 끼워지는 형태로 막이판(525)과 수평판(530) 사이에 설정된 균형스프링(533)이 작용하여 논슬립판(531)과 상부프레임(C)의 밀착도는 더욱 강하게 된다.
물론 상부프레임(C)이 수평으로 되면 논슬립판(531)의 형태변경은 해제되고 논슬립판(531)의 경사의 방향이 변경되면 경사방향으로 새로운 형태변경이 생성됨은 당연하다.
이러한 논슬립판(531)의 형태변경은 앞에서 상부프레임(C)이 수평상태일 때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프레임(C)과 논슬립판(531)이 면접촉이 되도록 유도함이 그 목적이 있다. 즉, 상부프레임(C)과 논슬립판(531)이 접촉면적을 가급적 크게 하여 미끄럼 저항성을 가지는 수지인 논슬립판(531)이 작용하여 상부프레임(C)이 평면유동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통상적으로 모터(100)는 사용시간이나 제작특성 등 여러 변수에 따라 동일한 속도를 가지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고, 본 발명에서는 상부프레임(C)이 경사를 가지기 위해서는 최소 2개의 모터(100)가 동시에 구동되므로 구동되는 모터(100)의 속도차이가 발생하면 상부프레임(C)의 상승과 하강동작은 불안정한 모습을 가지게 되어 매트(M1,M2) 위에 있는 이용자로 하여금 불안감을 유발시킨다.
그러나, 본 발명에 적용된 복원스프링(220)은 상부프레임(C)과 매트(M1,M2)의 하중으로 일정정도 변형되어 있는 상태이고, 승강부(200)의 상승하강의 속도차이가 발생하면 변형되었던 복원스프링(220)은 신장되며 상부프레임(C)의 상승하강시의 전술한 모터(100)의 속도차이에 의한 불안정함을 일정부분 상쇄시킨다.
또한 벨런스스프링(560)은 벨런스모듈(B)에 구성되어 있고 벨런스모듈(B)은 상부프레임(C)의 중앙부에 결합되어있고, 벨런스스프링(560)은 상부프레임(C)의 하중을 일부 흡수하고 있는 상태로서, 벨런스스프링(560)은 일종의 보조동력의 역할을 수행하며 상부프레임(C)이 하강할 때는 상부프레임(C)의 부드러운 움직임을 만들고 상부프레임(C)이 상승할 때는 구동체(P)에 있는 모터(100)의 구동력을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이러한 동작은 구동체(P)의 승강부(200) 상승속도 차이에서 발생하는 불안감도 어느정도 감소시키는 부수적인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적용된 복원스프링(220)과 벨런스스프링(560)의 상호 작용은 상부프레임(C)의 상승과 하강동작에서의 불안감을 최소화시킨다.
더하여 벨런스모듈(B)에 구성되어 있는 발포성 수지로 구성된 논슬립판(531)은 상부프레임(C)과 매트(M1,M2)의 유동과 골프공을 타격할 때 발생하는 충격을 일정부분 흡수하는 방진 및 내충격성의 효과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P: 구동체 B: 벨런스모듈
220: 복원스프링 560: 벨런스스프링

Claims (7)

  1. 경사각의 변화가 가능한 상부프레임; 상부프레임과 간격을 두고 설치된 베이스프레임; 베이스프레임의 방사형 외곽으로는 다수개의 구동체를 구비하고, 상기 구동체는 모터; 모터의 회전력을 받으며 상향으로 작동하는 스크류; 스크류의 회전으로 상하로 작동하는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프레임 상에 설치된 다수개의 벨런스스프링에 의해 하부가 지지되고, 상부프레임의 균형과 작동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상부프레임을 지지하는 벨런스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벨런스모듈의 측면으로는 천공홀이 형성된 부쉬플레이트가 설치되고, 부쉬플레이트의 천공홀을 통해 상하로 작동하는 벨런스축이 일체로 설치된 가이드홀더가 베이스프레임 상에 고정되어 벨런스모듈이 상하로 작동시 수직방향으로 그 작동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는 내벽과 외벽을 포함하고, 내벽과 외벽의 아래 부분을 가로막는 이탈방지판이 일체로 형성되되,
    내벽과 외벽 사이에는 복원스프링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내벽의 내측으로는 스크류와 나사결합되는 스크류홈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는,
    작동블럭의 하부와 결합된 가이드판;
    가이드판을 지지하면서 안내하는 가이드축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을 포함하는 승강부는
    상기 복원스프링의 상부에 위치하는 승강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승강판은 상부프레임과 결합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벨런스모듈은,
    벨런스판들이 격자형을 이뤄 측면을 형성하고, 상기 벨런스판들의 상부에 고정되는 수평판과 상기 수평판을 기준으로 상, 하부에 설치된 경사조절수단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골프연습판.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벨러스판들의 모서리로는 스프링안착판이 돌출되어 이루어지고, 스프링안착판의 저면으로는 상기 벨런스스프링의 상면이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조절수단은,
    상기 수평판에 안착되는 논슬립판;
    상기 수평판을 기준으로 일단 및 타단이 상하로 연장된 수평지지봉;
    상기 수평지지봉의 일단이 삽입되는 스페이서;
    상기 스페이서의 상면이 위치하는 균형판;
    상기 수평지지봉의 타단이 위치하는 막이판;
    상기 막이판을 관통하고, 수평지지봉에 고정되는 고정체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판의 저면에서 수평지지봉을 관통하고, 막이판에 의해서 압축되는 균형스프링이 더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연습판.
KR1020100064609A 2010-07-06 2010-07-06 골프연습판 KR1011303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09A KR101130390B1 (ko) 2010-07-06 2010-07-06 골프연습판
PCT/KR2011/004845 WO2012005478A2 (ko) 2010-07-06 2011-07-01 골프연습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4609A KR101130390B1 (ko) 2010-07-06 2010-07-06 골프연습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4001A KR20120004001A (ko) 2012-01-12
KR101130390B1 true KR101130390B1 (ko) 2012-04-02

Family

ID=45441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4609A KR101130390B1 (ko) 2010-07-06 2010-07-06 골프연습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30390B1 (ko)
WO (1) WO201200547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921155B (zh) * 2012-11-04 2015-02-04 陇东学院 马步训练器
KR102115444B1 (ko) * 2019-12-18 2020-06-05 (주)조은정밀 기계식 모듈형 엑츄에이터 및 이를 이용한 스크린 골프용 스윙플레이트
KR102291552B1 (ko) * 2021-02-08 2021-08-20 주식회사 이에스테크놀러지 필라테스용 리포머
KR102526205B1 (ko) * 2021-02-15 2023-04-27 주식회사 에스지엠 경사조절 가능한 타격 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하는 가상 골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759U (ko) * 1996-12-16 1998-09-15 정호기 경사조절용 골프연습대
KR100835859B1 (ko) 2008-03-12 2008-06-09 우병탁 골프연습용 타석 경사 조절장치
KR100912015B1 (ko) 2008-12-31 2009-08-12 (주) 골프존 골프 시뮬레이터용 스윙 플레이트
KR20100026367A (ko) * 2008-08-29 2010-03-10 강인성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759U (ko) * 1996-12-16 1998-09-15 정호기 경사조절용 골프연습대
KR100835859B1 (ko) 2008-03-12 2008-06-09 우병탁 골프연습용 타석 경사 조절장치
KR20100026367A (ko) * 2008-08-29 2010-03-10 강인성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KR100912015B1 (ko) 2008-12-31 2009-08-12 (주) 골프존 골프 시뮬레이터용 스윙 플레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05478A3 (ko) 2012-05-03
WO2012005478A2 (ko) 2012-01-12
KR20120004001A (ko) 2012-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390B1 (ko) 골프연습판
US7878960B1 (en) Waistline slimming exercise machine
JP3113147U (ja) ステッパーの構造
KR20110068629A (ko) 골프 타석의 경사 조절장치
KR20180020726A (ko) 실외기용 방진 거치대
JP7390066B2 (ja) 対象物支持装置
KR200469149Y1 (ko) 3자유도 모션의자
CN210096815U (zh) 一种健美操力量训练装置
KR102522850B1 (ko) 역기 운동장치
KR101864396B1 (ko) 골프연습판
CN113750488B (zh) 一种篮球运动员辅助训练装置及其使用方法
CN107456710B (zh) 一种健身跑步机的跑步板支撑装置
KR101725382B1 (ko) 마루틀 방진 지지구
CN214248133U (zh) 一种用于机电工程的设备安装底座
KR101053715B1 (ko)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KR102492900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유닛
CN216130504U (zh) 一种抗震降噪的装配式地面
KR101649869B1 (ko) 다기능 골프퍼팅연습장치
CN106823268B (zh) 具有自动交替升降踏板的健身装置
KR200287038Y1 (ko) 마루바닥 시공장치
CN202117194U (zh) 具阻尼的减震器构造
CN109453494B (zh) 一种户外健身凳
KR101833890B1 (ko) 런닝머신 전용 충격흡수매트
KR101444901B1 (ko) 밸런스 보드
KR101876058B1 (ko) 조립식 마루판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