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53715B1 -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 Google Patents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53715B1
KR101053715B1 KR1020090087899A KR20090087899A KR101053715B1 KR 101053715 B1 KR101053715 B1 KR 101053715B1 KR 1020090087899 A KR1020090087899 A KR 1020090087899A KR 20090087899 A KR20090087899 A KR 20090087899A KR 101053715 B1 KR101053715 B1 KR 101053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guide
base
link structure
sw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7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9992A (ko
Inventor
조길연
Original Assignee
조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길연 filed Critical 조길연
Priority to KR10200900878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53715B1/ko
Publication of KR2011002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53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53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63B69/3673Foot inclining aids; Foot wobb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2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 A63B2067/025Special golf games, e.g. miniature golf or golf putting games played on putting tracks; putting practice apparatus having an elongated platform as a putting track with incorporated means acting on the track surface for varying its topography, e.g. slop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 A63B2225/093Heigh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첩식 스윙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링크구조물을 상승 내지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일방향의 스크류 방식으로 적용하고, 백래쉬가 발생하더라도 링크구조물을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는 절첩식 스윙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링크, 베이스, 수평판, 가이드 홈, 롤러

Description

절첩식 스윙플레이트{Hinge Type Swing Plate}
본 발명은 절첩식 스윙플레이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제 필드에서와 같이 매트를 다양한 경사 위치로 형성시켜 골퍼의 스트로크 또는 스윙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절첩식 스윙플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번호 제10-0672897(2007.01.16) "골프연습기"
골퍼들은 그들의 스트로크 또는 스윙 연습을 위해서 다양한 방법을 찾고 있으나 통상적으로 평편한 플랫 위에서 하는 연습방법은 실제 필드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가지 변수들을 모두 수용할 수 없었다. 특히 근래에 들어 골프의 대중화로 인해 스트로크 또는 스윙 연습은 실제 필드와 극히 유사하게 주변 환경이 설정된 실내 또는 간이골프장을 이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환경은 통상 비거리를 향상시키거나 단순한 스트로크 연습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들로서 시각적인 환경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공지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번호 제10-0672897(2007.01.16) "골프 연습기"는 매트를 다양한 기울기로 조절하기 위한 경사조절장치를 제공하여 실제 필드에서 발생할 수 있는 경사면 등에서의 퍼팅, 스윙 등을 연습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공지의 경사조절장치는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하나의 스크류에 형성되고, 스크류가 회전하면 서로 반대로 작동하는 원리를 통해 다수개의 링크구조물로 이루어진 경사조절장치를 상승 또는 하강시켜 경사를 조절하고 있다.
그러나, 나사는 필수적으로 백래쉬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왼나사와 오른나사가 일체로 형성된 스크류는 장기간 사용하다 보면 백래쉬의 불균형으로 인해 의도하는 경사 정도를 조절할 수 없고, 잔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링크구조물을 상승 내지 하강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을 일방향의 스크류 방식으로 적용하고, 백래쉬가 발생하더라도 링크구조물을 안전하게 안내할 수 있는 절첩식 스윙플레이트를 제공한다.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가이드 홈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되, 제1, 2, 3, 4링크부재가 교차하는 링크구조물과,
상기 링크구조물은 간격을 두고 양립하여 구비되되, 상기 링크구조물의 제1, 2링크부재는 X형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링크부재의 말단과 교차지점으로는 양립된 링크구조물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캐스터가 설치된 제1, 2, 3링크연결바와, 상기 제1링크연결바와 결합된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블럭을 이동시키는 링크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작동수단은 모터와, 모터의 제어에 의해서 정, 역회전하여 작동블럭을 전, 후로 이동시키는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측면가이드판이 더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홈으로는 제1, 2, 3링크연결바의 캐스터의 측부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캐스터는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는 롤러와, 가이드베어링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동블럭으로는 가이더가 더 설치되어 베이스 상면으로 작동블럭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및 효과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하게 되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는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스윙플레이트에 의하면, 견고한 구조와 신뢰성 있는 구조로 인해 장기간 사용하여도 구조상에 무리가 없는 링크구조물을 제공하여 실제 필드에서와 같이 매트를 다양한 경사 위치로 형성시켜 골퍼의 스트로크 또는 스윙연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효과가 발생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 히 설명한다. 먼저, 도면에 걸쳐 기능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스윙플레이트의 설치상태도이고, 도 2는 매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매트(M)는 인조잔디로 이루어져 있으며, 장방형의 판이다. 매트(M)는 서로 크기가 다른 2부분으로 나뉘어져 있으며, 작은 크기로 이루어진 매트(M)로 컵홀(10)이 설치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골퍼는 보다 큰 매트(M)의 상면에 위치하게 되고, 큰 매트(M)보다 작은 매트(M)는 스윙 또는 스트로크 시 골프채가 위치하는 영역이며, 양 매트(M)는 개별적으로 작동하게 된다.
매트(M)의 하부로는 일정한 공간을 두고 베이스프레임(F)이 설치되어 있으며, 베이스프레임(F)는 바람직하게 매트(M)와 동일한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2를 참조하면, 매트(M)가 분리된 상태로서 베이스프레임(F)의 구체적인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매트(M)와 베이스프레임(F) 사이의 하부 일정공간으로는 링크구조물(200)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링크구조물(200)은 베이스프레임(F) 내부의 모서리에 4개가 설치되어 있다.
링크구조물(200)의 상부로는 보강판(10)이 설치되어 있으며, 미도시되었지만 링크구조물(200)의 저면으로도 베이스(B)가 설치된다.
특히, 보강판(10)은 링크구조물(200)의 상부에 결합된 수평판(210)과 결합되 어 있다.
도 3과 도 4는 보강판(10)이 제거된 상태에서 링크구조물(200)의 구체적인 설치상태를 보여주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링크구조물의 조립상태도이고, 도 6은 측면가이드판이 제거된 링크구조물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구조물(200)은 베이스(B)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제1, 2, 3, 4링크부재(202)(204)(206)(208)이 교차하고 있다.
도 5에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B)의 평면으로는 가이드 홈(102)이 형성되어 있으며, 구체적인 형성이유는 후술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구조물(200)은 간격을 두고 양립하고 있다.
이러한, 링크구조물(200)의 제1, 2링크부재(202)(204)는 X형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제1, 2링크부재(202)(204)의 말단과 교차지점으로는 양립된 링크구조물(200)을 연결하는 제1, 2, 3링크연결바(302)(304)(306)가 설치되어 있다.
제1, 2, 3링크연결바(302)(304)(306)의 양단으로는 캐스터(3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캐스터(310)는 롤러(312)와, 가이드베어링(314)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특히 제1, 2링크연결바(302)(304)에 설치된 캐스터(310) 상의 롤러(312)는 베이스(B) 상기 가이드 홈(102)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102)을 따라 안내된다.
다시, 상기 베이스(B)의 상면으로는 측면에 가이드 홈(402)이 형성된 측면가 이드판(400)이 더 설치되어 있다.
상기 베이스(B)의 가이드 홈(102)(402)은 제1, 2링크연결바(302)(304)에 설치된 캐스터(300)의 롤러(312)가 삽입되어 안내되며, 가이드베어링(314)은 측면가이드판(400)의 가이드 홈(402)에 삽입된 후 지지되며, 작동시 가이드 홈(402)을 따라 안내된다.
이러한 캐스터(300)와 가이드 홈(102)(402)으로 인해 링크구조물(200)은 베이스(B)와 측면가이드판(400)의 지지를 받게 되며, 작동거리는 가이드 홈(102)(402)의 길이에 한정된다.
한편, 제3링크연결바(306)에 설치된 캐스터(300)는 가이드베어링(314) 만이 측면가이드판(400)의 가이드 홈(402)에 삽입되어 지지되며, 작동시 가이드 홈(402)을 따라 안내된다.
이러한 링크구조물(200)은 본 발명의 목적에 따라 상승 내지 하강하여 매트(M)의 경사를 조절해야 한다.
이를 위해 제1링크연결바(302)의 중간부분으로는 작동블럭(500)이 결합되어 있으며, 작동블럭(500)의 내부로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작동블럭(500)은 링크작동수단(600)과 결합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 작동블럭(500)의 내부에 형성된 나사산은 스크류(610)와 나사체결되어 있으며, 스크류(610)는 모터(620)에 의해서 정, 역회전한다.
바람직하게 작동블럭(500)과 스크류(610)는 일체로 연동되며, 스크류(610)의 정 또는 역회전에 따라 작동블럭(500)은 전, 후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작동은 작동블럭(500)이 제1링크연결바(302)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작동블럭(500)의 전, 후작동에 따라 제1링크연결바(302)와 결합된 제1링크부재(202) 역시 작동하여 작동블럭(500)과 동일한 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제1링크부재(202)가 작동하게 되면 X형으로 교차된 제2링크부재(204)는 제1링크부재(202)의 작동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작동하게 된다.
이러한 반대방향으로의 작동은 교차된 제1, 2링크부재(202)(204)를 상승 내지 하강시키게 된다.
다시, 제5, 6링크연결바(305)(307)에 의해서 연결된 제3, 4링크부재(306)(308) 역시도 제1, 2링크부재(202)(204)의 상승 내지 하강에 제5, 6링크연결바(305)(307)를 지점으로 연동되어 상승 내지 하강한다.
특히, 제3, 4링크부재(306)(308)는 제7링크연결바(309)에 의해서 자유단이 결합되어 최종적으로 스크류(610)의 회전이 제7링크연결바(309)를 상승 내지 하강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7링크연결바(309)에는 브라켓(220)이 결합되어 있으며, 브라켓(220)으로는 수평판(210)이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위와 같은 링크구조물(200)을 통해 매트(M)가 경사조절되는 작동과정을 도 7 및 도 8을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구조물(200)은 상승된 상태이다. 모터(620)가 회전하면 스크류(610)는 작동블럭(500) 잡아당기게 되고, 작동블럭(500)은 제1, 2링크연결바(202)(204)를 외측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롤러 (304)들은 베이스(B), 측면가이드판(400)의 가이드 홈(102)(402)을 따라 링크구조물(200)를 지지하면서 안내된다.
다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620)의 구동에 의해 스크류(610)가 반대로 회전하게 제1, 2링크연결바(202)(204)를 내측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때, 롤러(304)들은 베이스(B), 측면가이드판(400)의 가이드 홈(102)(402)을 따라 링크구조물(200)를 지지하면서 안내되어 하강한다.
위와 같은 작동을 수행하는 링크구조물(200)을 다수개 설치하여 제어에 의해 매트(M)를 다양한 경사로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는 일없이, 다른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것으로써, 명세서 본문에 의해서는 아무런 구속도 되지 않는다. 다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첩식 스윙플레이트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매트가 제거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과 도 4는 보강판이 제거된 상태에서 링크구조물의 구체적인 설치상태도
도 5와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된 링크구조물의 도면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된 링크구조물의 작동상태도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200: 링크구조물 300, 310: 캐스터
400: 측면가이드판 500: 작동블럭

Claims (3)

  1. 가이드 홈이 형성된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설치되되, 제1, 2, 3, 4링크부재가 교차하는 링크구조물과,
    상기 링크구조물은 간격을 두고 양립하여 구비되되, 상기 링크구조물의 제1, 2링크부재는 X형으로 교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 2링크부재의 말단과 교차지점으로는 양립된 링크구조물을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어 가이드 홈을 따라 이동하도록 캐스터가 설치된 제1, 2, 3링크연결바와, 상기 제1링크연결바와 결합된 작동블럭과, 상기 작동블럭을 이동시키는 링크작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작동수단은 모터와, 모터의 제어에 의해서 정, 역회전하여 작동블럭을 전, 후로 이동시키는 스크류로 이루어지며,
    상기 베이스의 상면으로는 가이드 홈이 형성된 측면가이드판이 더 설치되되, 상기 가이드 홈으로는 제1, 2, 3링크연결바의 캐스터의 측부가 삽입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스터는 가이드 홈을 따라 안내되는 롤러와, 가이드베어링이 순차적으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블럭으로는 가이더가 더 설치되어 베이스 상면으로 작동블럭을 안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KR1020090087899A 2009-09-17 2009-09-17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KR101053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899A KR101053715B1 (ko) 2009-09-17 2009-09-17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7899A KR101053715B1 (ko) 2009-09-17 2009-09-17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992A KR20110029992A (ko) 2011-03-23
KR101053715B1 true KR101053715B1 (ko) 2011-08-02

Family

ID=4393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7899A KR101053715B1 (ko) 2009-09-17 2009-09-17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537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4927B1 (ko) * 2019-04-02 2019-07-03 (주)조은정밀 내구성이 강화된 골프시뮬레이터용 스윙플레이트
KR102115449B1 (ko) * 2019-10-24 2020-05-26 (주)조은정밀 구조가 간단한 골프시뮬레이터용 스윙플레이트
WO2021246594A1 (ko) * 2020-06-03 2021-12-09 주식회사 에이원텍 리얼라이 구현 플레이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759U (ko) * 1996-12-16 1998-09-15 정호기 경사조절용 골프연습대
KR20000055888A (ko) * 1999-02-11 2000-09-15 이진성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KR20100026367A (ko) * 2008-08-29 2010-03-10 강인성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6759U (ko) * 1996-12-16 1998-09-15 정호기 경사조절용 골프연습대
KR20000055888A (ko) * 1999-02-11 2000-09-15 이진성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골프연습장치
KR20100026367A (ko) * 2008-08-29 2010-03-10 강인성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9992A (ko) 2011-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53715B1 (ko)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KR101167707B1 (ko) 골프 타석의 경사 조절장치
KR100657549B1 (ko) 골프 연습용 받침대
KR20100118174A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1130390B1 (ko) 골프연습판
CN205235261U (zh) 一种可升降的踏步训练装置
KR101159017B1 (ko) 피봇식 골프연습판
KR101361124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장치
KR102443616B1 (ko) 퍼팅 연습 시스템
KR20220112407A (ko) 각도 조절형 골프 퍼팅 연습장치
CN103899134B (zh) 一种适用于坡地地形的围栏结构
CN210537674U (zh) 一种园林种植箱
KR101883106B1 (ko) 매트 높낮이 가변형 골프 퍼팅연습기
KR20090131372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타격발판
KR100946011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KR100946012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연습기
CN203947859U (zh) 一种适用于坡地地形的围栏结构
KR100813031B1 (ko) 다수의 천정 거푸집 지지용 지지장치
KR200451028Y1 (ko) 골프공 공급 장치
KR200334082Y1 (ko) 골프연습용 발판 경사조절장치
KR20220000625U (ko) 골프연습장용 경사 퍼팅 연습장치
CN208428099U (zh) 一种用于管件抛光的震动磨光设备
KR102316318B1 (ko)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KR100928630B1 (ko) 스크린 골프용 스윙 플레이트
KR101467510B1 (ko) 골프 연습용 매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