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6318B1 -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 Google Patents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6318B1
KR102316318B1 KR1020200014902A KR20200014902A KR102316318B1 KR 102316318 B1 KR102316318 B1 KR 102316318B1 KR 1020200014902 A KR1020200014902 A KR 1020200014902A KR 20200014902 A KR20200014902 A KR 20200014902A KR 102316318 B1 KR102316318 B1 KR 1023163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spring
compression coil
ball
lever
volleyb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4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0927A (ko
Inventor
홍성우
장규명
Original Assignee
홍성우
장규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우, 장규명 filed Critical 홍성우
Priority to KR1020200014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6318B1/ko
Publication of KR202101009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09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63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63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7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spring-loaded 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0095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volley-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 A63B2243/0095Volleybal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족구공을 자동으로 띄워 올림으로써 족구 연습자가 편리하게 공격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족구 연습용 토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 안착부; 전단부가 상기 공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후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측방 돌출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타격레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작동 시 상기 타격레버의 후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타격레버의 전단부가 상기 공 안착부의 하측으로 회전되게 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타격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 안착부의 하측으로 회전된 상기 타격레버의 전단부를 복귀시킴으로써 타격레버로 하여금 공 안착부에 놓인 공의 하부를 상방으로 타격하게 하는 레버복귀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Toss machine for training of foot volleyball and volleyball}
본 발명은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족구공 또는 배구공을 자동으로 띄워 올림으로써 족구 또는 배구 연습자가 편리하게 공격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 관한 것이다.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 관한 기술로는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3648호(2015.10.07. 공개, 이하 '선행기술'이라고 함)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솔레노이드 원리를 활용하여 공을 띄우기 위한 발사장치와, 상기 발사장치가 임의의 각도로 조절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각도유지 장치와, 공이 띄워지는 높이와 비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발사장치에 전류량을 변환하여 공급하기 위한 절환스위치와, 여러 개의 공을 올려놓고 상기 발사장치로 하나씩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공급준비장치를 포함하는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에 관한 기술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솔레노이드 원리를 활용하여 가동철심을 직선운동시킴으로써 발사장치에 놓인 공이 상승하는 가동철심에 의해 띄워 올려질 수 있도록 하고는 있으나, 솔레노이드 원리가 적용된 발사장치 및 상기 발사장치의 작동을 위한 전기적 장치 등을 구비해야 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발사장치의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될 경우 가동철심의 작동이 원활하지 않게 되므로, 발사장치의 관리가 불편하고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문헌 1] 대한민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3648호(2015.10.07.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족구공또는 배구공을 자동으로 띄워 올림으로써 족구 또는 배구 연습자가 편리하게 공격 기술을 연습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 안착부; 전단부가 상기 공 안착부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프레임의 후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측방 돌출된 회전축에 의해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타격레버;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고, 작동 시 상기 타격레버의 후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타격레버의 전단부가 상기 공 안착부의 하측으로 회전되게 하는 회전구동부; 및 상기 타격레버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해 상기 공 안착부의 하측으로 회전된 상기 타격레버의 전단부를 복귀시킴으로써 타격레버로 하여금 공 안착부에 놓인 공의 하부를 상방으로 타격하게 하는 레버복귀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복귀수단은, 상기 타격레버의 전부 상측에 설치된 압축코일스프링; 하단부가 상기 타격레버의 전부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걸리어 압축코일스프링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지지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타격레버의 상측에 설치된 복귀수단장착부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하단부에 걸리어 압축코일스프링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지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와 제2스프링지지부재는 상기 회전구동부에 의한 상기 타격레버의 회전 시 제1스프링지지부재가 하측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을 압축변형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레버복귀수단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와 통하도록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슬롯과 하부 슬롯을 갖는 안내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는, 상기 안내부재의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제1바디와, 상기 제1바디의 상단부에 측방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상부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 제1걸림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프링지지부재는, 상기 안내부재의 수용공간부에 삽입되는 제2바디와, 상기 제2바디의 하단부에 측방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의 하부 슬롯을 통과하여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내측에 삽입되는 이너바디와, 상기 이너바디의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 외향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지지부재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외측을 감싸는 아우터바디와, 상기 아우터바디의 하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내향플랜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프레임은, 상기 공 안착부, 타격레버 및 회전구동부를 지지하는 하판; 상기 하판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된 상판; 및 상기 하판과 상판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을 지지하는 기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상판의 하측에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의 압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축력조절수단이 구비되되, 상기 압축력조절수단은, 상기 상판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스크루; 상기 스크루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루에 결합된 핸들; 및 상기 스크루에 결합되어 스크루의 회전에 의해 스크루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수단장착부는 상기 슬라이더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는 회전구동부에 의해 회전된 타격레버가 레버복귀수단에 의해 복귀하면서 공 안착부에 놓인 공을 타격하여 띄워 올릴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족구 또는 배구 연습자가 편리하게 공격 기술을 연습할 수 있게 할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내구성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는 압축력조절수단이 구비됨에 따라 타격레버의 회전 시 압축코일스프링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타격레버의 타격에 의해 공이 띄워지는 높이 및 비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서 프레임의 하판 및 이에 설치된 타격레버와 회전구동부에 대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서 레버복귀수단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서 레버복귀수단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복귀수단의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표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서 프레임의 하판 및 이에 설치된 타격레버와 회전구동부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서 레버복귀수단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에서 레버복귀수단의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레버복귀수단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는 크게 프레임(100), 공 안착부(200), 타격레버(300), 회전구동부(400), 레버복귀수단(500) 및 압축력조절수단(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프레임(100)은 공 안착부(200), 타격레버(300), 회전구동부(400), 레버복귀수단(500) 및 압축력조절수단(600)이 설치되는 틀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공 안착부(200), 타격레버(300) 및 회전구동부(400)를 지지하는 하판(110); 상기 하판(110)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된 상판(120); 및 상기 하판(110)과 상판(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120)을 지지하는 기둥(1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하판(110)과 상판(120)은 사각 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기둥(130)은 4개가 구비되어 상판(120)의 각 모서리 부분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판(110)의 하측에는 회전구동부(400)에 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배터리(800) 및 본 발명 토스장치의 이동을 위한 바퀴(140)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기둥(130)의 외측으로 프레임(100)의 전후좌우 면을 덮는 측판(150)이 설치될 수 있다. 측판(150)은 하판(110)과 상판(120)의 사이에 설치된 구성요소들을 감싸 보호하되, 공 안착부(200), 타격레버(300)의 전단부, 압축력조절수단(600)의 핸들이 측판(150)의 외측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된다.
공 안착부(200)는 족구공 또는 배구공(이하 '공(10)'이라고 통칭함)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프레임(100)의 전방에 설치된다. 공 안착부(200)는 대략 바구니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하측이 개방되어 공(10)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놓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공 안착부(200)는 상기 하판(110)의 전방 상측에 위치하도록 설치됨에 따라 지면에 대하여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특히 족구 연습 시 실제 사람이 공(10)을 토스할 때의 발 높이에 가깝게 위치하게 된다.
공 안착부(200)에는 이에 놓인 공(10)을 감지하는 센서(900)가 설치된다. 즉, 센서(900)는 공 안착부(200)에 놓인 공(10)을 감지하여 회전구동부(400)에 작동 신호를 전달하게 된다.
타격레버(300)는 전단부가 상기 공 안착부(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의 후부에 배치되도록 프레임(100)의 하판(110)에 설치된다. 타격레버(300)는 중앙에 측방 돌출된 회전축(310)을 포함하며, 상기 회전축(310)에 의해 프레임(100)의 하판(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타격레버(300)는 회전축(3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된 2개의 막대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는 설계여건에 따라 타격레버(300)를 분할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필요에 따라 타격레버(300)는 상기 회전축(310)을 포함하는 하나의 막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회전구동부(400)는 상기 타격레버(30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00)의 하판(110)에 설치된다.
회전구동부(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410), 상기 모터(410)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회전축의 반경방향으로 연장된 암(arm, 420), 그리고 상기 암(420)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롤러(4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회전구동부(400)는 상기 모터(410)에 의해 상기 암(420)이 도 1에 도시된 것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롤러(430)가 상기 타격레버(300)의 하단부 하면과 접하게 되고, 이후 모터(410)가 계속 회전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타격레버(300)의 후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타격레버(300)의 전단부가 상기 공 안착부(200)의 하측으로 회전되게 한다.
레버복귀수단(500)은 상기 타격레버(300)와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구동부(400)에 의해 상기 공 안착부(200)의 하측으로 회전된 상기 타격레버(300)의 전단부를 복귀시킴으로써 타격레버(300)로 하여금 공 안착부(200)에 놓인 공(10)의 하부를 상방으로 타격하게 하는 것이다.
즉, 레버복귀수단(500)은 상기 회전구동부(400)의 암(420)이 회전되어 상기 롤러(430)가 상기 타격레버(300)에서 벗어나게 되면, 공 안착부(200)의 하측으로 회전되어 있던 타격레버(300)의 전단부를 다시 끌어올림으로써 타격레버(300)로 하여금 공 안착부(200)에 놓인 공(10)을 타격하여 띄워 올릴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상기 레버복귀수단(5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레버(300)의 전부 상측에 설치된 압축코일스프링(510);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541),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541)와 통하도록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슬롯(542)과 하부 슬롯(543)을 갖는 안내부재(540);
상기 안내부재(540)의 수용공간부(541)에 삽입되는 제1바디(521)와, 상기 제1바디(521)의 상단부에 측방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540)의 상부 슬롯(542)을 통과하여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 제1걸림부(522)를 포함하는 제1스프링지지부재(520); 및
상기 안내부재(540)의 수용공간부(541)에 삽입되는 제2바디(531)와, 상기 제2바디(531)의 하단부에 측방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540)의 하부 슬롯(543)을 통과하여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제2걸림부(532)를 포함하는 제2스프링지지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1스프링지지부재(520)의 제1바디(521) 하단부는 "U"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타격레버(300)의 전부(前部)에 형성된 고리형태의 장착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1걸림부(522)는 제1바디(521)의 상단부 양측에 각각 "U"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상측에 걸리어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상측을 지지하게 된다.
제2스프링지지부재(530)는 제1스프링지지부재(520)와 상하 대칭인 구조로 이루어진다. 즉, 제2스프링지지부재(530)의 제2바디(531) 상단부는 "U"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타격레버(300)의 상측에 설치된 복귀수단장착부(700)에 연결된다. 그리고 제2걸림부(532)는 제2바디(531)의 하단부 양측에 각각 "U"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하측에 걸리어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하측을 지지하게 된다.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520)와 제2스프링지지부재(530)는 가느다란 환봉을 절곡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레버복귀수단(500)에 의하면, 상기 회전구동부(400)에 의한 상기 타격레버(300)의 회전 시 도 4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520)가 하측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제1걸림부(522)와 제2걸림부(532)의 간격이 좁혀지게 됨으로써, 제1걸림부(522)와 제2걸림부(5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압축코일스프링(510)이 압축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430)가 상기 타격레버(300)에서 벗어나게 되면 압축변형되어 있던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제1걸림부(522)와 제2걸림부(532)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하측으로 당겨져 있던 제1스프링지지부재(520)가 도 4의 (가)와 같은 상태로 다시 상승하게 됨으로써 타격레버(300)의 전단부가 상승하면서 공 안착부(200)에 놓인 공(10)을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버복귀수단(5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격레버(300)의 전부 상측에 설치된 압축코일스프링(510);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이너바디(523)와, 상기 이너바디(523)의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 외향플랜지(524)를 포함하는 제1스프링지지부재(520); 및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외측을 감싸는 아우터바디(533)와, 상기 아우터바디(533)의 하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내향플랜지(534)를 포함하는 제2스프링지지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레버복귀수단(500)에 의하면, 상기 회전구동부(400)에 의한 상기 타격레버(300)의 회전 시 도 5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520)가 하측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외향플랜지(524)와 내향플랜지(534)의 간격이 좁혀지게 됨으로써, 외향플랜지(524)와 내향플랜지(534)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던 압축코일스프링(510)이 압축변형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430)가 상기 타격레버(300)에서 벗어나게 되면 압축변형되어 있던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외향플랜지(524)와 내향플랜지(534)의 사이가 벌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하측으로 당겨져 있던 제1스프링지지부재(520)가 도 5의 (가)와 같은 상태로 다시 상승하게 됨으로써 타격레버(300)의 전단부가 상승하면서 공 안착부(200)에 놓인 공(10)을 타격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본 발명에서 레버복귀수단(5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실시예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같이, 제1스프링지지부재(520)와 제2스프링지지부재(530)가 이루는 길이가 연장되는 것에 의해 압축코일스프링(510)이 압축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압축변형된 압축코일스프링(510)의 복원력을 이용하여 타격레버(500)를 복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렇게 압축코일스프링(510)을 이용한 타격레버(500)의 복귀 방식에 의하면, 인장코일스프링을 이용한 방식에 비하여 스프링의 내구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압축력조절수단(600)은 상기 프레임(100)의 상판(120) 하측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상판(120)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스크루(610); 상기 스크루(6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루(610)에 결합된 핸들(620); 및 상기 스크루(610)에 결합되어 스크루(610)의 회전에 의해 스크루(610)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슬라이더(6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610)와 슬라이더(630)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어 이송하는 공지의 볼 스크루(ball screw) 또는 리드 스크루(lead screw)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더(630)에는 상기 복귀수단장착부(700)가 형성된다. 즉, 상기 레버복귀수단(500)에서 제2스프링지지부재(530)의 상단부는 상기 복귀수단장착부(700)를 통해 상기 슬라이더(630)에 연결된다.
상기 압축력조절수단(600)은 선택사항이다. 압축력조절수단(600)이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복귀수단장착부(700)는 프레임(100)의 상판(120) 하측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압축력조절수단(600)에 의하면, 상기 핸들(620)을 이용하여 상기 스크루(61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슬라이더(630)의 위치를 전후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630)를 후방으로 이동시켜 제1스프링지지부재(520)와 제2스프링지지부재(530)가 이루는 길이가 연장되도록 하거나, 상기 슬라이더(630)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1스프링지지부재(520)와 제2스프링지지부재(530)가 이루는 길이가 단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타격레버(300)의 회전 시 압축코일스프링(510)에 발생하는 탄성 복원력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타격레버(300)의 타격에 의해 공(10)이 띄워지는 높이 및 비거리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는 점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및 그 균등 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프레임 110 : 하판
120 : 상판 130 : 기둥
140 : 바퀴 150 : 측판
200 : 공 안착부 300 : 타격레버
310 : 회전축 400 : 회전구동부
410 : 모터 420 : 암
430 : 롤러 500 : 레버복귀수단
510 : 압축코일스프링 520 : 제1스프링지지부재
521 : 제1바디 522 : 제1걸림부
523 : 이너바디 524 : 외향플랜지
530 : 제2스프링지지부재 531 : 제2바디
532 : 제2걸림부 533 : 아우터바디
534 : 내향플랜지 540 : 안내부재
541 : 수용공간부 542 : 상부 슬롯
543 : 하부 슬롯 600 : 압축력조절수단
610 : 스크루 620 : 핸들
630 : 슬라이더 700 : 복귀수단장착부
800 : 배터리 900 : 센서

Claims (6)

  1. 삭제
  2.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전방에 설치되고, 공(10)이 놓이는 공간을 제공하는 공 안착부(200);
    전단부가 상기 공 안착부(200)의 하측에 배치되고, 후단부가 상기 프레임(100)의 후부에 배치되며, 중앙에 측방 돌출된 회전축(310)에 의해 상기 프레임(1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타격레버(300);
    상기 프레임(100)에 설치되고, 작동 시 상기 타격레버(300)의 후단부를 들어올림으로써 타격레버(300)의 전단부가 상기 공 안착부(200)의 하측으로 회전되게 하는 회전구동부(400); 및
    상기 타격레버(300)와 연결되고, 상기 회전구동부(400)에 의해 상기 공 안착부(200)의 하측으로 회전된 상기 타격레버(300)의 전단부를 복귀시킴으로써 타격레버(300)로 하여금 공 안착부(200)에 놓인 공(10)의 하부를 상방으로 타격하게 하는 레버복귀수단(500);을 포함하되,
    상기 레버복귀수단(500)은
    상기 타격레버(300)의 전부 상측에 설치된 압축코일스프링(510);
    하단부가 상기 타격레버(300)의 전부에 연결되고, 상단부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상단부에 걸리어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상측을 지지하는 제1스프링지지부재(520); 및
    상단부가 상기 타격레버(300)의 상측에 설치된 복귀수단장착부(700)에 연결되고, 하단부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하단부에 걸리어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하측을 지지하는 제2스프링지지부재(53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520)와 제2스프링지지부재(530)는 상기 회전구동부(400)에 의한 상기 타격레버(300)의 회전 시 제1스프링지지부재(520)가 하측으로 당겨지는 것에 의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을 압축변형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복귀수단(500)은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내측에 삽입되고, 내부에 형성된 수용공간부(541),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부(541)와 통하도록 상부 측면과 하부 측면에 각각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부 슬롯(542)과 하부 슬롯(543)을 갖는 안내부재(5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520)는, 상기 안내부재(540)의 수용공간부(541)에 삽입되는 제1바디(521)와, 상기 제1바디(521)의 상단부에 측방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540)의 상부 슬롯(542)을 통과하여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 제1걸림부(522)를 포함하며,
    상기 제2스프링지지부재(530)는, 상기 안내부재(540)의 수용공간부(541)에 삽입되는 제2바디(531)와, 상기 제2바디(531)의 하단부에 측방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540)의 하부 슬롯(543)을 통과하여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제2걸림부(5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스프링지지부재(520)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내측에 삽입되는 이너바디(523)와, 상기 이너바디(523)의 상단부에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상단부에 걸리게 되는 외향플랜지(524)를 포함하고,
    상기 제2스프링지지부재(530)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외측을 감싸는 아우터바디(533)와, 상기 아우터바디(533)의 하단부에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어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하단부에 걸리게 되는 내향플랜지(53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상기 공 안착부(200), 타격레버(300) 및 회전구동부(400)를 지지하는 하판(110);
    상기 하판(110)의 상측에 이격되게 설치된 상판(120); 및
    상기 하판(110)과 상판(120)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상판(120)을 지지하는 기둥(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판(120)의 하측에는 상기 압축코일스프링(510)의 압축력을 조절하기 위한 압축력조절수단(600)이 구비되되,
    상기 압축력조절수단(600)은
    상기 상판(120)의 하측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된 스크루(610);
    상기 스크루(610)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스크루(610)에 결합된 핸들(620); 및
    상기 스크루(610)에 결합되어 스크루(610)의 회전에 의해 스크루(610)를 따라 전후로 이동되는 슬라이더(630);를 포함하고,
    상기 복귀수단장착부(700)는 상기 슬라이더(630)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KR1020200014902A 2020-02-07 2020-02-07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KR1023163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02A KR102316318B1 (ko) 2020-02-07 2020-02-07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4902A KR102316318B1 (ko) 2020-02-07 2020-02-07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27A KR20210100927A (ko) 2021-08-18
KR102316318B1 true KR102316318B1 (ko) 2021-10-25

Family

ID=77464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4902A KR102316318B1 (ko) 2020-02-07 2020-02-07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16318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3945A (ko) * 2009-09-01 2011-03-09 최복균 야구 타격 연습기
KR101241707B1 (ko) * 2011-08-24 2013-03-11 최복균 야구 타격 연습기
KR20150003648U (ko) 2014-03-28 2015-10-07 김지현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0927A (ko) 2021-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295599A (en) Automatic golf ball teeing device
CN109395352B (zh) 一种稳固人形拳击靶
US1907412A (en) Game
EP2529799A2 (en) Mobile basketball post for a basketball game
CN102489017A (zh) 乒乓球训练系统
US20140113735A1 (en) Devic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golf balls
KR20110068629A (ko) 골프 타석의 경사 조절장치
KR102316318B1 (ko)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US3901515A (en) Automatic golf tee
US649190A (en) Captive-ball device for practicing golf.
KR101194692B1 (ko)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KR100623159B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200414507Y1 (ko) 골프공 자동 티업장치
KR101041493B1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기
KR20150124798A (ko) 포판 내구성 시험장치
KR200221256Y1 (ko) 골프연습장치
KR101053715B1 (ko) 절첩식 스윙플레이트
KR20100108807A (ko) 골프 볼 공급장치
JP3173718U (ja) ゴルフボール供給ティーアップ装置
KR20090131372A (ko) 경사조절이 가능한 골프 연습용 타격발판
US3767205A (en) Golfer{40 s head movement restraining device rendered non-restraining at ball impact position
CN215609224U (zh) 一种排球训练装置
KR20010025627A (ko) 골프연습기
CN215781539U (zh) 一种体育训练辅助器械跨栏架
KR102432602B1 (ko) 높이조절식 농구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