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3648U -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 Google Patents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3648U
KR20150003648U KR2020140002493U KR20140002493U KR20150003648U KR 20150003648 U KR20150003648 U KR 20150003648U KR 2020140002493 U KR2020140002493 U KR 2020140002493U KR 20140002493 U KR20140002493 U KR 20140002493U KR 20150003648 U KR20150003648 U KR 2015000364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
iron core
angle
practice
movable ir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24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현
Original Assignee
김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현 filed Critical 김지현
Priority to KR20201400024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03648U/ko
Publication of KR201500036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3648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69/407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with spring-loaded prope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63B2069/401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substantially vertically, e.g. for basebal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43/00Specific ball sports not provided for in A63B2102/00 - A63B2102/3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inball Game Machines (AREA)

Abstract

족구의 공격기술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연습을 할 때에, 조력자의 도움없이 혼자서 편리하게 연습할 수 있도록 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서, 일정한 높이로 고정되어 있는 공으로 연습하는 것이 아니라 실전과 같이 움직이는 공의 형태로 연습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서 해결 수단은 다음과 같다. 원통형 보빈에 코일을 감고 전원을 공급하면 전자기력이 발생하는데, 그 전자기력으로 가동철심을 움직일 수 있게 된다. 가동철심의 직선운동 힘으로 공을 부딪혀서 공을 띠워주게 되는 원리를 활용한 발사장치와 그 발사장치를 지지하고 각도를 조정 및 고정할 수 있는 각도 유지장치, 연습자가 편리하게 무선신호를 통하여 발사시간을 조정할 수 있는 무선신호 장치, 연속해서 연습할 수 있도록 공을 대기 및 준비시키는 공급준비장치로 구성 하여 족구의 공격수가 편리하게 혼자서 공격 기술을 연구하고 훈련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JOG-GU'S SPIKER FOR SETTER MACHINE}
본 고안은 족구경기에서 공격을 하는 공격 선수의 공격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 연습용으로 고안된 것이다. 공격 연습자 스스로 실전과 비슷한 조건에서 혼자서 편리하게 공격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이다. 공격 연습자는 본 고안장치를 이용하여 족구공(이하 "공"으로지칭한다)을 의도한 비거리와 각도로 혼자서 띄워놓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공격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고안된 자동화된 기계장치 부문이다. 관련하여 한번 연습으로 사용한 공을 쉽게 회수하여 편리하게 다시 연속해서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고안했다.
족구 게임에서의 세터 선수와 같이 공을 띄워주는 자동 기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족구게임에서 공격수의 공격기술력은 게임의 승패를 결정짓는 가장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공격수의 기술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과 훈련이 필요하게 되는데, 정상적인 게임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는 다양한 공격기술을 연구하고 연습할 수가 없고, 또 혼자서는 족구게임과 같은 실전 형태의 공을 만들어서 공격연습을 해볼 수가 없다. 그리고 이미 몇 가지 고안되고 출원된 족구 연습기(약칭)들이 있으나, 대부분 실전에 적용하기가 무척 힘들다. 예를 들면, 바닥으로 부터 일정높이로 공을 올려놓거나, 천정으로 부터 일정높이로 공을 매달아 놓은 상태 (즉, 일정한 높이에서 정지되어 있는 상태) 에서 공격연습을 수없이 반복했다 하더라도 실전에서는 공이 시간대별로 높이가 달라지는 변화가 발생하고 있기 때문에 실전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무의미한 훈련 및 연습이 되고 만다. 그리고 실전과 같은 조건 (즉, 움직이는 형태의 공) 에서 연습하기 위해서는 다른 조력자가 공을 띄어주거나, 스스로 혼자서 실전과 같이 공을 띄워 놓은 후에 다음으로 공격연습을 해야 하는데, 불편하거나 연습에 한계가 존재한다. 또한 한번 사용한 공을 다시 회수해 와야 연습을 연속할 수 있기 때문에 연습시간에 비해 공격 기술력 향상에 크게 도움이 되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창안되었다.
족구의 공격수가 공격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많은 연습을 해야 하는데 종래의 방법(공을 일정높이에 고정 및 부착)으로 수없는 연습을 한다 하더라도 실전에서 움직이는 공을 공격하기는 무척 어려웠다. 그리고 연습한 공을 다시 회수하여 재 연습을 하려고 하면 시간이 걸리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전과 똑같이 움직이는 공으로 스스로 혼자서 편리하게 연속적으로 공격기술을 연마하는데 활용할 목적으로 고안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 과제는 아래와 같다. 1. 족구 공격력을 높이기 위한 연습을 혼자서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기계장치. 2. 실전과 같은 상황(의도한 대로의 비거리와 각도로 움직이는 공)에서 족구 공격연습을 할 수 있는 기계장치. 3. 한번 연습한 공을 편리하게 회수하여 연속적으로 공격연습을 할 수 있는 기계장치
솔레노이드 원리(직류 및 교류를 여자코일에 통전 하면 전자기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 힘으로 가동철심(PLUNGER)을 직선운동이나 회전운동으로 움직이게 하는 원리) 활용한 발사장치와 그 발사장치를 연습자가 무선신호기의 무선신호를 통하여, 연습자가 의도한 높이와 각도로 공을 띄워주는 장치, 그리고 한번 사용한 공을 편리하게 회수하여 발사장치에 재장전(준비) 하기위해 솔레노이드 밸브 2개와 경사진 레일형태의 모양을 갖춘 공 공급준비장치, 한번 사용된 공을 손쉽게 회수하기 위해 족구 네트와 연계된 그물망으로 일정한 형태의 모양을 갖춘 집하장치 등으로 구성된 장치를 통하여 연습자가 무선장치로 의도한 비거리와 높이 및 각도로 공이 띄워지는 시기를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본 과제를 해결한다.
본 고안은 연습자가 혼자서 스스로 편리하게 족구게임의 실전과 비슷한 조건으로 움직이는 공으로 공격 연습이 가능케 함으로서, 연습자의 공격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력자의 도움이 없이도 가능하게 됨으로써 언제든지 연습하여 공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재미있게 연습할 수 있어서 건강 지킴이의 한 운동기구로도 할 용하여 건강을 증진 시킬 수 있다.
[도 1] 발사장치와 공급준비대의 전체적인 구성 개략도 - 대표도
[도 2] 발사장치의 발사된 상태의 개략도
본 고안의 실시 내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공을 의도한 비거리와 각도로 띄워주는 발사 장치에 대하여 먼저 설명한다. 발사 장치는 공을 지지하는 공지지대(10), 코일을 감을 수 있는 구조의 원통형 보빈(20), 원통형 보빈(20)에 코일을 감아놓은 코일뭉치(30), 원통형 보빈(20)의 내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가동철심(40), 가동철심(40)이 직선운동을 할때 직선운동의 중심이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해 주는 가동철심지지대(50), 각도 조절을 하기 한 지지대(60), 일정각도를 유지하고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각도가이드(70), 고정용 나비너트(80), 고정핀(90)으로 구성하고, 전체적으로 여러가지 장치들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판(100), 지지판(100) 위에 구성된 콘트롤 박스(110)로 구성된다.
그리고, 공급준비대(120)는 공을 여러개 올려놓을 수 있고 자연스럽게 공이 굴려질 수 있도록 경사가 진 반원형태 나 ㄷ자 형태의 레일형 받침대와 그것을 지지해 주고 높이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다리로 구성되어 지며, 솔레노이드 밸브A 와 솔레노이드 밸브(B)가 부착되어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공지지대(10)에 안착시켜 줄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발사 장치 부문은 [고안의 해결수단]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 원리를 활용하여 코일뭉치(30)에 통전을 하게 되면 코일뭉치(30)에 전자기력이 발생 되어 가동철심(40)을 원통형 보빈(20) 내부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끌어올리게 되며, 그 힘으로 공의 하단부를 때려서 공의 탄성과 함께 작용하여 공이 띄어지게 된다. 이때, 코일뭉치(30)에 공급되는 전류량을 콘트롤 박스(110) 내부의 전기회로 장치(저항값이 각각 다른 3개의 저항 및 절환스위치(111)등) 를 통해 다르게 함으로서 공이 띄어지는 높이와 비거리가 다르게 된다. 공을 띄우고 난 후 코일뭉치(30)에 콘트롤 박스(110)내의 전기차단장치를 이용해 전기의 공급을 중단하게 되면 코일뭉치(30)에 형성되었던 전자기력이 사라지게 되고 가동철심(40)은 다시 중력에 의해 원통형 보빈(20) 내부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내려오게 된다. 가동철심(40)이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중에 원통형 보빈(20) 내부의 중심선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보호하고 적절한 유격을 유지하기 위해 가동철심 지지대(50)를 원통형 보빈(20)의 하부에 연결 부착한다. 가동철심(40)과 가동철심 지지대(50), 원통형 보빈(20)과 코일뭉치(30)를 일체로 감싸고 지지하기 위한 발사대 케이스(55)를 외부에 씌어 준다.
공지지대(10)는 발사대 케이스(55)가 일정 각도를 유지할 때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하고 자연스럽게 공을 지지하고 있다가, 가동철심(50)의 힘이 작용 될 때 공이 쉽게 튀어올라 갈 수 있도록 하고, 또 발사대 케이스(55)가 심한 경사각을 구성할 때 공지지대(10)에 있는 공이 이탈되지 않도록 일정한 높이와 각도로 구성되어 진다.
지지판(100)과 발사대 케이스(55) 사이에 고정용 나비너트(80)로 고정할 수 있는 고정볼트을 부착한 지지대(60)을 구성하고 그 지지대(60)와 지지판(100)은 움직임이 가능한 고정핀(90)으로 연결한다. 지지판(100)에 반원 형상과 반원형상의 홈을 만들어놓은 각도가이드(70)을 부착하여 지지대가 일정한 각도로 조절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 된다.
콘트롤 박스(110)는 지지판(100)에 위치하고 전선으로 코일뭉치(30)의 코일양단과 공급준비대(120)에 부착된 솔레노이드 밸브A(121)과 솔레노이드 밸브B(122)에 연결된다. 콘트롤 박스(110) 내부에는 저항값이 각각 다른 3개의 저항들을 통해서 전류의 량(상,중,하)을 조절할 수 있도록 회로를 구성하고 이것들은 콘트롤 박스(110)의 외부에 상,중,하로 구성된 절환스위치(111)을 통하여 코일뭉치(30)에 공급되는 전류의 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된다. 또 콘트롤 박스(110) 외부에서 연습자가 무선신호송신기(130)를 통해 무선신호를 보내면 그 신호를 수신하여 코일뭉치(30)와 솔레노이드 밸브A(121)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B(122)에 전원 공급을 ON / OFF 할 수 있는 수신부(112)도 함께 구성된다.
연습자는 각도 가이드(70)와 고정용 나비너트(80)를 이용하여 발사대 케이스(55)의 각도를 고정한다. 콘트롤 박스(110)의 외부에 있는 절환스위치(111)를 조정하여 상,중,하 하나를 선택한다. 이때 '상'은 비거리가 많은 것이고 '하'는 비거리가 적은 것이다. 연습자가 가지고 있는 무선신호 송신기(130)의 '준비' 스위치를 누르면 수신부(112)에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일시에 솔레노이드 밸브A(121)를 내리고 솔레노이드 밸브B(122)를 올려서 공 1개를 공지지대(10)에 올려놓는다. 그 다음 자동으로 콘트롤 박스(110)의 내부에 장착된 타이머에 의해 일정 시간이 지난 후 솔레노이드 밸브A(121)는 다시 올라가고 솔레노이드 밸브B(122)는 다시 내려가서 공급준비대(120)에서는 처음처럼 공이 대기 상태가 된다. 공 1개가 공지지대(10)에 안착이 되면, 연습자는 무선신호 송신기(130)를 손에 쥐고 공격 연습할 자세를 취한 다음, 무선신호 송신기(130)의 '발사' 스위치를 누르면 무선신호 수신부(112)에서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콘트롤 박스(110) 내부에 구성된 릴레이 전원 스위치가 작동(ON)되어 코일뭉치(30)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전기의 전류량은 연습자가 절환스위치(111)에서 '상'으로 설정했다면 전류의 량은 최대가 되어서 코일뭉치(30)에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코일뭉치(30)에서 최대의 전자기력이 형성되어 원통형 보빈(20) 내부의 하단부에 있는 가동철심(40)을 상단부로 최대로 급격하게 이동시켜서 공지지대(10)에 있는 공의 하단부를 최대로 강력하게 때려 줌으로서, 연습자가 이미 설정 및 고정했던 발사대 케이스(55)의 고정된 각도로 최대 비거리로 띄어지게 된다. 이때 연습자는 의도한 자세와 방법으로 공격연습을 하게 된다.
10 - 공지지대 110 - 콘트롤 박스
20 - 원통형 보빈 111 - 절환 스위치
30 - 코일뭉치 112 - 무선신호 수신부
40 - 가동철심 120 - 공급준비대
50 - 가동철심 지지대 121 - 솔레노이드 밸브 A
55 - 발사대 케이스 122 - 솔레노이드 밸브 B
60 - 각도조절 지지대 130 - 무선신호 송신기
70 - 각도 가이드
80 - 고정용 나비너트
90 - 고정핀
100 - 지지판

Claims (1)

  1. 공을 솔레노이드 원리를 활용하여 공을 띄우기 위하여, 내부 공간이 있는 구조의 원통형보빈(20)과 그 외부 원주에 코일을 감은 코일뭉치(30), 원통형 보빈(20)의 내부에서 직선운동을 하는 원통형 가동철심(40), 가동철심(40)이 직선운동을 할때 중심선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유도해주는 가동철심 지지대(50), 그리고 상기의 구성품을 일체형으로 보호 감싸주는 발사대 케이스(55)으로 구성된 발사장치와:
    상기 발사장치가 임의의 각도로 조절되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발사장치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대(60)와 지지판(100), 지지대(60)가 지지판(100)에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된 고정핀(90), 임의의 각도로 조절 및 고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홈이 있는 각도가이드(70)와 고정용 나비너트(80)으로 구성된 각도유지 장치와;
    띄워지는 공의 높이와 비거리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코일뭉치(30)에 각각 다른 전류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값의 저항 3개를 부착하여 전기회로로 연결한 절환스위치(111)와;
    혼자서 편리하게 공을 띄우기 위하여, 연습자가 조정할 수 있는 무선신호 송신기(130)와 그 무선신호를 수신하여 코일뭉치(30) 및 솔레노이드 밸브A,B(121,122)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일련의 장치와;
    연속적으로 편리하게 연습을 하기 위하여, 여러개의 공을 올려 놓을 수 있고 자연스럽게 공이 굴러 내려갈 수 있도록 경사진 레일형태의 공급준비대(120) 그리고 공이 연습자의 무선신호에 의해 한 개씩 공지지대(10)에 안착시키기 위해 동시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는 솔레노이드 밸브A.B(121.122)로 구성된 공급준비장치를 특징으로 하는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KR2020140002493U 2014-03-28 2014-03-28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KR20150003648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493U KR20150003648U (ko) 2014-03-28 2014-03-28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2493U KR20150003648U (ko) 2014-03-28 2014-03-28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3648U true KR20150003648U (ko) 2015-10-07

Family

ID=54342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2493U KR20150003648U (ko) 2014-03-28 2014-03-28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03648U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4464A (zh) * 2016-01-19 2016-06-15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排球喂球装置
KR101721553B1 (ko) * 2016-10-13 2017-03-30 허태부 볼 자동 슈팅 머신
CN107137898A (zh) * 2017-06-15 2017-09-08 李大德 能自动收集排球的排球场地
WO2017194807A1 (es) * 2016-05-13 2017-11-16 2Pi Projectes 2015, S.L. Máquina lanza balones.
CN107376296A (zh) * 2017-08-16 2017-11-24 温州大学 一种球类自动训练跟踪机
CN109173220A (zh) * 2018-09-27 2019-01-11 嘉善县下甸庙小学 一种网球发球器
CN109603137A (zh) * 2018-12-29 2019-04-12 滨州学院 基于无人陪练的网球自助发球训练装置
CN110721454A (zh) * 2018-06-25 2020-01-24 汪小青 一种击球手训练用连续性发球装置以及发球方法
CN111249710A (zh) * 2020-03-12 2020-06-09 重庆三峡学院 一种气排球扣球训练的传球装置
KR20210100927A (ko) 2020-02-07 2021-08-18 홍성우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664464A (zh) * 2016-01-19 2016-06-15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排球喂球装置
CN105664464B (zh) * 2016-01-19 2017-10-17 中南林业科技大学 一种排球喂球装置
WO2017194807A1 (es) * 2016-05-13 2017-11-16 2Pi Projectes 2015, S.L. Máquina lanza balones.
US11040265B2 (en) 2016-05-13 2021-06-22 2Pi Projectes 2015, S.L. Machine for launching balls
KR101721553B1 (ko) * 2016-10-13 2017-03-30 허태부 볼 자동 슈팅 머신
CN107137898A (zh) * 2017-06-15 2017-09-08 李大德 能自动收集排球的排球场地
CN107376296A (zh) * 2017-08-16 2017-11-24 温州大学 一种球类自动训练跟踪机
CN110721454A (zh) * 2018-06-25 2020-01-24 汪小青 一种击球手训练用连续性发球装置以及发球方法
CN109173220A (zh) * 2018-09-27 2019-01-11 嘉善县下甸庙小学 一种网球发球器
CN109603137A (zh) * 2018-12-29 2019-04-12 滨州学院 基于无人陪练的网球自助发球训练装置
KR20210100927A (ko) 2020-02-07 2021-08-18 홍성우 족구 및 배구 연습용 토스장치
CN111249710A (zh) * 2020-03-12 2020-06-09 重庆三峡学院 一种气排球扣球训练的传球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03648U (ko) 족구 공격수를 위한 연습용 세터머신
US8277340B1 (en) Basketball training device
US8992348B2 (en) Training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a baseball player's swing of a baseball bat
EP3062895B1 (en) Sport training apparatus
US5873798A (en) Soccer speed agility and conditioning training apparatus
US7918769B2 (en) Plyometr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WO2003024543A9 (en) Hockey checking practice dummy
WO2014076515A1 (en) Multi-purpose sports apparatus
US7955082B1 (en) Basketball training device and method
US20060199676A1 (en) Basketball training aid
US6398672B1 (en) Football kicking trainer
JP6343853B1 (ja) リハビリ器具
CN113018810B (zh) 一种武术弓马步训练装置
US3814432A (en) Tubular track marble game apparatus
US20220032146A1 (en) Game playing apparatus
US20150306485A1 (en) Device to prevent injuries
GB2482306A (en) A barbell support with means to limit how far it drops
EP2209536A1 (en) An apparatus for improving motor function
RU2001102264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гры в футбол в инвалидном кресле
CN104117187B (zh) 足球训练装置
US20150148715A1 (en) Device for passive body mobilization
US3819183A (en) Projectile tethered to rotatable target hoop
TWI714461B (zh) 下肢平衡協調訓練裝置
AU2010203102B1 (en) Training apparatus
US20030087711A1 (en) Train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U123 Withdrawal of utility model application requested before decision to regi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