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4692B1 -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 Google Patents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4692B1
KR101194692B1 KR1020100051139A KR20100051139A KR101194692B1 KR 101194692 B1 KR101194692 B1 KR 101194692B1 KR 1020100051139 A KR1020100051139 A KR 1020100051139A KR 20100051139 A KR20100051139 A KR 20100051139A KR 101194692 B1 KR101194692 B1 KR 1011946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mat
switching means
down b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11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31610A (ko
Inventor
강현철
Original Assignee
강현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현철 filed Critical 강현철
Priority to KR10201000511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4692B1/ko
Publication of KR20110131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31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46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46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1Mats for golf practice, e.g. mats having a simulated turf, a practice tee or a green are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23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driving
    • A63B69/3629Visual means not attached to the body for aligning, positioning the trainee's head or for detecting head movement, e.g. by parallax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67Golf stance aids, e.g. means for positioning a golfer's fee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63B2071/0625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 A63B2071/0627Emitting sound, noise or music when used improperly, e.g. by giving a war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4Visual indication, e.g.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공이 위치되는 인조잔디매트의 바닥부에 위치되어 인조잔디매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가 수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이 인조잔디매트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칭수단;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수단의 동작시 점등되는 점등수단;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칭수단의 동작시 상기 점등수단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의 타측 프레임과 베이스 또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타측 프레임과 가이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이동된 베이스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복수단을 포함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Mat for exercising down blow}
본 발명은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어프로치 등을 위한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 스윙시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매트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이와 동시에 매트의 일측에 설치된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연습자 스스로 정상적인 다운 블로우 스윙과 헤드업 방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를 잘하기 위한 하나의 방법은 골프클럽의 특성을 잘 이용하는 것이다. 특히, 아이언 클럽의 경우에는 골프클럽으로 골프공을 다운 블로우 하여야 골프공을 원하는 방향과 위치를 향하도록 하는 골프 스윙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여기서, 다운 블로우란, 골프클럽의 하단부가 골프공이 놓여진 지면을 스치면서 골프공을 타격함에 있어서 골프공을 타격한 다음 골프공이 놓여 있던 위치를 바로 지난 위치의 지면에 접촉하게 되는 골프 스윙의 한 가지 방법이다.
그러나 골프를 처음 시작하는 연습자의 경우 대부분 골프클럽의 하단부가 골프공이 놓여진 바로 아래쪽의 지면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자신이 다운 블로우 스윙을 정확히 했는지 못했는지를 인지할 수가 없다. 또한, 골프 스윙시 샷 이후에는 헤드업을 하게 되는데, 연습자의 경우 연습 과정에서 다운 블로우 및 헤드업에 대한 자세를 교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자세 교정은 코치로부터 교육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스스로 연습을 하고자 하는 경우 자신의 자세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20-0190286호와 제20-0222235호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는,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 상에 놓여지며 골프공이 놓여지는 위치가 표시된 인조 잔디 매트를 구비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형성함에 있어서, 베이스에 건전지 수납부가 형성되어 건전지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수단의 전류가 입력되어 점등하며 인조 잔디 매트가 놓여지는 베이스의 테두리에 매설되고 외부는 램프의 불빛이 용이하게 투과될 수 있는 커버로 보호되는 램프와, 상기 램프를 점멸시키기 위하여 다운 블로우를 이루는 위치에서 인조 잔디 매트가 놓여지는 베이스의 상부 평면 위에 단자가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위쪽으로는 적정한 거리를 두고 인조 잔디 매트의 바닥면에 접촉단자가 형성되는 스위칭 수단을 구비하거나, 상기 스위칭 수단에 의하여 작동하는 음향발생장치를 형성하여 다운 블로우시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는, 상기 골프공이 인조 잔디 매트의 일정한 위치에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골프공이 놓여진 위치의 일측 즉, 골프클럽의 스윙 궤적 진행 방향인 좌측부에 위치된 스위칭 수단을 골프클럽이 가압하는 경우에만 상기 베이스의 상부 평면에 위치된 단자와 상기 단자의 위쪽에 일정 거리를 두고 인조 잔디 매트의 바닥면에 위치된 접촉단자가 접촉되고 이어서, 상기 램프가 점등되기 때문에, 상기 골프공이 인조 잔디 매트의 지정된 위치에 놓여지지 않을 경우 정확한 다운 블로우 스윙이 이루어지더라도 골프클럽이 상기 스위칭 수단을 가압하지 못하게 되어 램프가 점등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다운 블로우 스윙 연습때마다 상기 골프공을 인조 잔디 매트의 지정된 위치에 놓아야만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 수단의 위치에 강한 골프클럽의 압력이 전해질 경우 상기 단자 또는 접촉단자가 해당 위치로부터 이탈되어 스위칭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오동작 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 스윙시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는 매트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순간 매트의 일측(연습자의 눈과 골프공의 동일 선상)에 설치된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여 연습자 스스로 다운 블로우 스윙 성공과 헤드업의 방지 여부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에 의한 매트의 이동시 매트 이동방향에 위치된 스위칭수단이 매트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하여 골프공의 타격 위치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에 의한 매트의 이동시 매트 이동방향에 위치된 스위칭수단이 매트의 접촉을 감지하도록 하여 강한 타격이 매트에 가해지더라도 스위칭수단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공이 위치되는 인조잔디매트의 바닥부에 위치되어 인조잔디매트를 지지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가 수용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의 내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를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이 인조잔디매트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칭수단;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수단의 동작시 점등되는 점등수단;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칭수단의 동작시 상기 점등수단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 및 상기 스위칭수단의 타측 프레임과 베이스 또는 상기 스위칭수단의 타측 프레임과 가이드수단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수단에 의해 이동된 베이스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복수단을 포함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인조잔디매트는, 인조잔디의 하부에 탄성도가 낮은 물성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 실리콘 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베이스의 세로 길이에는 대응되고 가로 길이 보다는 약간 긴 길이를 가지는 다면체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 내지 제4 프레임이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프레임은, 상기 제1 프레임에 스위칭수단이 구비되기 위한 스위칭수단수납부;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에 수직한 제2 프레임 또는 제3 프레임에 점등수단이 구비되기 위한 점등수단수납부; 및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 또는 점등수단수납부 사이의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과/또는 제3 프레임에 전원공급수단이 구비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수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수단은, 상기 베이스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이 가이드 가능하게 관통되는 가이드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은,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에 구비되어 개구부를 통해 돌출된 접점부재에 상기 베이스가 접촉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접촉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점등수단은, 상기 제2 프레임 또는 제3 프레임의 점등수단수납부에 구비되는 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수단은, 상기 제1 프레임, 또는 제2 프레임과/또는 제3 프레임의 전원공급수단수납부에 구비되는 배터리와;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접촉스위치와 램프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복수단은, 상기 제4 프레임과 베이스 또는 상기 제4 프레임과 상기 가이드수단의 가이드블록에 연결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이 인조잔디매트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베이스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됨으로써, 다운 블로우 스윙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인조잔디매트의 이동방향에 위치된 스위칭수단이 인조잔디매트의 접촉을 감지한 경우에 점등수단이 점등됨으로써, 연습자가 다운 블로우 스윙 후 곧바로 점등수단의 점등을 확인하는 경우 헤드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운 블로우 스윙시 헤드업을 방지하는 연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인조잔디매트의 자유로운 위치에 골프공이 놓여지도록 하여 골프공의 위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에 의한 인조잔디매트의 이동시 인조잔디매트의 이동방향에 위치된 스위칭수단이 인조잔디매트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강한 타격이 인조잔디매트에 가해지더라도 스위칭수단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이용한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른 구성부들의 작용을 나타낸 측단면도와 평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측단면도이고, 도 4와 도 5는 각각 도 1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이용한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른 구성부들의 작용을 나타낸 측단면도와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는, 골프공(B)이 위치되는 인조잔디매트(M)의 바닥부에 위치되어 인조잔디매트(M)를 지지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가 수용되는 사각 형상의 프레임(120),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10)를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GC)이 인조잔디매트(M)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110)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30),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칭수단(140),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동작시 점등되는 점등수단(150),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동작시 상기 점등수단(150)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160) 및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타측 프레임(120)과 베이스(110) 또는 가이드수단(130)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수단(130)에 의해 이동된 베이스(11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복수단(170)을 포함한다.
상기 인조잔디매트(M)는, 인조잔디의 하부에 탄성도가 낮은 물성을 갖는 즉, 충격시 충분히 함몰되어 충격을 흡수하나 고무나 우레탄 소재에 비해 형상 복원 속도가 느려 충격이 반발되지 않도록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 실리콘 층이 형성되어 다운 블로우 스윙시 골프클럽(GC)의 헤드가 충돌하였을 때 상기 실리콘 층이 충격을 원활히 흡수하고 충돌 후 슬립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인조잔디매트(M)는 상기 실리콘 층의 하부에 바닥재인 우레탄폼이 직접 접합되어 상기 우레탄폼의 가장자리가 인조잔디나 실리콘 층의 면적보다 약간 넓은 면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좋다.
상기 베이스(110)는, 골프공(B)이 위치되는 인조잔디매트(M)의 바닥부에 위치되어 인조잔디매트(M)를 지지하는 것으로, 상기 인조잔디매트(M)의 면적에 대응되는 플레이트(11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11)에는 상기 인조잔디매트(M)의 바닥부가 공지의 접착부재 등에 의해 접착되거나 체결부재 등에 의해 체결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111)의 가장자리에 돌출되는 단턱을 통하여 상기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른 충격에 상기 인조잔디매트(M)가 플레이트(1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레이트(111)는 그 무게가 아주 가볍고 내구성이 좋은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20)은, 사각 형상의 테두리를 통하여 상기 베이스(110)가 수용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10) 보다 약간 넓은 면적 즉, 베이스(110)의 세로 길이에는 대응되고 가로 길이 보다는 약간 긴 길이(예를 들면, 1cm 내지 2cm)를 가지는 다면체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 내지 제4 프레임(121,122,123,124)이 사각 형상을 이루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0)은, 제1 프레임(121)에 후술된 스위칭수단(140)이 구비되기 위한 스위칭수단수납부(125),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에 수직한 제2 프레임(122) 또는 제3 프레임(123)에 후술된 점등수단(150)이 구비되기 위한 점등수단수납부(126) 및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 또는 점등수단수납부(126) 사이의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과/또는 제3 프레임(123)에 후술된 전원공급수단(160)이 구비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수납부(127)를 가진다. 이때,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와 점등수단수납부(126)는 해당 프레임(120)에 각각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수단(130)은,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10)를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GC)이 인조잔디매트(M)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110)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블록(131)과,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131)이 가이드 가능하게 관통되는 가이드바(132)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블록(131)과 가이드바(132)는 상호간 마찰을 최소화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수는 복수개 예를 들면,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110)의 지지를 보다 안정하게 하고 상기 베이스(11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가이드바(132)를 따라 가이드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이드수단(130)에 의하면, 상기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GC)이 인조잔디매트(M)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110)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되어 다운 블로우 스윙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즉, 다운 블로우 스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골프클럽(GC)에 의하여 인조잔디매트(M)가 스윙의 진행 방향으로 약 1cm 내지 2cm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인조잔디매트(M)를 지지하는 베이스(110)가 가이드수단(130)에 의해 프레임(120)의 내측에서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어 정상적인 다운 블로우 스윙을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수단(140)은, 상기 제1 프레임(121)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이동을 감지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 즉, 골프클럽(GC)의 스윙 진행 방향에 대응되는 제1 프레임(121)의 스위칭수단수납부(125)에 구비되어 개구부(125a)를 통해 돌출된 접점부재(141a)에 상기 베이스(110)가 접촉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접촉스위치(14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는 복수개가 형성되어도 무방하며, 이 경우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에는 각각 상기 접촉스위치(14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촉스위치(141)는 공지의 마이크로 스위치인 것이 좋으며, 상기 복수개의 접촉스위치(141)는 어느 하나의 스위치라도 접점시 동작되는 OR 논리로 동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스위칭수단(140)에 의하면, 상기 베이스(1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접촉스위치(141)가 베이스(110)의 일측인 프레임(120)에 위치됨으로써, 골프클럽(GC)으로부터 인조잔디매트(M)에 강한 타격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타격에 의해 접촉스위치(141)가 파손되는 경우가 발생하지 않고 상기 베이스(110)의 이동을 정확히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접촉스위치(141)가 돌출되는 스위칭수단수납부(125)의 개구부(125a) 주위에는 상기 베이스(110)가 골프클럽(GC)의 강한 타격에 의해 프레임(120)에 강하게 충돌시 그 충격에 상기 스위칭수단(14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충격방지용 완충부재(W)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W)는 상기 완충부재(W)가 부착된 제1 프레임(121)에 접촉되는 베이스(110)에도 부착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140)은, 상기와 같이 상기 베이스(1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접촉스위치(141)가 베이스(110)의 일측인 프레임(120)에 위치되는 대신에, 상기 베이스(110)의 일측에 별도로 형성될 수 있는 통공에 구비되어 베이스(110)의 이동시 접촉스위치(141)가 프레임(120)에 접촉되는 유무에 따라 동작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점등수단(150)은, 상기 제2 프레임(122) 또는 제3 프레임(123)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동작시 점등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에 수직한 프레임 즉, 골프클럽(GC)의 스윙 진행 방향에 수직한 상측 프레임이나 하측 프레임에 형성되는 점등수단수납부(126)에 구비되는 램프(151)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120)의 점등수단수납부(126)에는 상기 램프(151)를 보호하며 램프(151)의 발광을 심미적으로 느끼도록 램프투광커버(126a)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점등수단(150)은 해당 프레임에 복수개가 구비되어 골프공(B)이 인조잔디매트(M)에 자유로운 위치를 가질 경우에도 연습자가 보다 용이하게 램프(151)의 점등을 확인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상기 점등수단(150)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수단(140)이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이 정확히 이루어진 상태를 감지하여 동작한 경우에 램프(151)가 점등됨으로써, 연습자가 다운 블로우 스윙 후 곧바로 상기 램프(151)의 점등을 확인하는 경우 헤드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운 블로우 스윙시 헤드업을 방지하는 연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수단(160)은, 상기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과/또는 제3 프레임(123)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동작시 상기 점등수단(150)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 또는 점등수단수납부(126) 사이의 프레임에 형성된 전원공급수단수납부(127)에 구비되는 배터리(161)와, 상기 배터리(161)로부터 상기 접촉스위치(141)와 램프(151)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60)의 골프 연습장의 경우 연습장 건물의 전원공급장치에 플러그와 전선 등을 통해 연결되어 동작전원을 공급받아도 좋다. 이 경우 상기 전원공급수단(160)은 정전압을 발생시키는 어댑터 등과 같은 공지의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60)에 의하면,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동작시 상기 배터리(161)에 전선을 통하여 연결된 램프(151)에 동작 전류가 공급됨으로써, 상기 램프(151)가 스위칭수단(140)의 동작 시간만큼 즉, 일시적으로 점등되게 된다.
상기 회복수단(170)은,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타측 프레임(120)인 제4 프레임(124)과 베이스(110) 또는 가이드수단(130)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수단(130)에 의해 이동된 베이스(11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상기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의해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이동되어 그 이동이 스위칭수단(140)에 의해 감지된 후 곧바로 원래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상기 베이스(110) 또는 베이스(110)를 지지하는 가이드블록(131)과 제4 프레임(124)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부재(171)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회복수단(170)에 의하면,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의해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이동된 베이스(110)가 상기 스위칭수단(130)에 의해 감지됨과 동시에 원래의 위치로 회복되도록 함으로써, 연속하여 다운 블로우 스윙 연습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130)의 동작이 일시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램프(151)에 동작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161)의 전력 소모를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의 작용과 효과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인조잔디매트(M) 상에 골프공(B)이 자유로운 위치를 가지며 놓여진 상태에서 연습자가 골프클럽(GC) 특히, 아이언 클럽을 이용하여 정상적인 다운 블로우 스윙을 하게 되면, 상기 골프클럽(GC)의 헤드가 상기 골프공(B)을 타격한 다음 골프공(B)이 놓여진 인조잔디매트(M)의 지면을 바로 지난 위치의 지면을 스치는 스윙 궤적을 가지게 된다.
이후, 상기와 같이 정상적인 다운 블로우 스윙이 이루어지게 되면, 상기 골프클럽(GC)과 인조잔디매트(M)의 타격 충격으로 인하여 상기 인조잔디매트(M)가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일정거리 즉, 약 1cm 내지 2cm 정도 골프클럽(GC)의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상기 인조잔디매트(M)가 지지된 베이스(110)가 가이드수단(130)의 가이드블록(131)과 가이드바(132)에 의하여 골프클럽(GC)의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일정거리 이동하게 된다.
이후, 상기 베이스(110)가 골프클럽(GC)의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이동시 상기 스위칭수단(140) 접촉스위치(141)의 접촉단자(141a)에 접촉하게 되어 상기 스위칭수단(140)이 상기 베이스(110)의 이동을 감지하도록 동작된다.
이후,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동작에 따라 전원공급수단(160)의 배터리(161)로부터 점등수단(150)의 램프(151)에 동작 전류가 공급되어 상기 램프(151)가 스위칭수단(140)의 동작 시간만큼 점등된다.
이후,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타측 프레임(120)에 구비된 회복수단(170)의 탄성부재(171)에 의하여 상기 스위칭수단(140)에 접촉된 베이스(110)가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 이전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는 다운 블로우 스윙시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GC)이 인조잔디매트(M)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베이스(110)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되고 이를 스위칭수단(140)이 감지하는 경우에 점등수단(150)이 점등되는 것을 통하여 다운 블로우 스윙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 확인하도록 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는, 상기 다운 블로우 스윙시 골프클럽(GC)이 골프공(B)이 놓여진 인조잔디매트(M)의 뒷땅을 타격하는 경우, 즉, 더프(Duff)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베이스(110)가 스윙 진행 방향으로 이동하여 스위칭수단(140)에 감지되고 점등수단(150)이 점등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하여, 더프방지수단(180)을 더 포함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여기서, 상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는, 더프방지수단(180)을 제외하고는 모든 구성부와 그 도면부호가 바람직한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상기 더프방지수단(180)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에 있어서 상기 더프방지수단(18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타측 프레임(120)인 제4 프레임(124)에 구비되어 인조잔디매트(M)에 놓여진 골프공(B)의 타격시 더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4 프레임(124)의 상측부에 고정되는 고정구(181), 상기 고정구(181)로부터 인조잔디매트(M)에 놓여진 골프공(B)의 일측까지 일정거리 신장 또는 신축되는 다단붐(182) 및 상기 다단붐(182)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인조잔디매트(M)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면적을 가지는 충격방지부재(18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더프방지수단(180)에 의하면, 상기 인조잔디매트(B)에 놓여진 골프공(B)의 우측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충격방지부재(183)가 다단붐(182)을 통해 위치된 상태에서 골프공(B)의 타격시 상기 충격방지부재(183)와 골프공(B)의 이격 공간 사이에 골프클럽(GC)의 헤드가 지나도록 함으로써, 다운 블로우 스윙시 더프를 방지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완벽한 다운 블로우 스윙을 가능하도록 할 수 있고 골프클럽(GC)이 더프가 되더라도 상기 충격방지부재(183)를 통하여 그 충격을 완화시켜 연습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충격방지부재(183)의 내측에는 상기 골프클럽(GC)의 헤드의 접촉을 감지하는 공지의 감지부재 또는 감지스위치 등을 가지는 감지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감지부재의 감지에 따라 상기 복수개의 램프(151)가 점등되도록 하여 연습자로 하여금 더프 스윙이 이루어졌음을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는, 상기 스위칭수단(140)과 감지수단 등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수단들의 동작시 전원공급수단(160)으로부터 램프(151)에 동작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 등으로 구성된 제어수단(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음은 자명한 사실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이 인조잔디매트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베이스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됨으로써, 다운 블로우 스윙이 정확히 이루어졌는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매트의 이동방향에 위치된 스위칭수단이 인조잔디매트의 접촉을 감지한 경우에 점등수단이 점등됨으로써, 연습자가 다운 블로우 스윙 후 곧바로 점등수단의 점등을 확인하는 경우 헤드업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을 알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다운 블로우 스윙시 헤드업을 방지하는 연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조잔디매트의 자유로운 위치에 골프공이 놓여지도록 하여 골프공의 위치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골프클럽의 다운 블로우에 의한 인조잔디매트의 이동시 인조잔디매트의 이동방향에 위치된 스위칭수단이 인조잔디매트의 접촉을 감지함으로써, 강한 타격이 인조잔디매트에 가해지더라도 스위칭수단의 파손 등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의 우측에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더프방지수단의 충격방지부재가 가변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다운 블로우 스윙시 더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다운 블로우 스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진 경우 램프가 점등되도록 하고 있으나 상기 램프 이외에도 음향수단을 구비하여 상기 램프와 동일한 방식을 통하여 음향이 발생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골프공(B)이 위치되는 인조잔디매트(M)의 바닥부에 위치되어 인조잔디매트(M)를 지지하는 베이스(110);
    상기 베이스(110)가 수용되는 프레임(120);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부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베이스(110)를 지지하도록 위치되어 골프클럽(GC)의 다운 블로우 스윙에 따라 골프클럽(GC)이 인조잔디매트(M)를 타격 접촉하는 경우 상기 베이스(110)가 스윙 진행 방향을 따라 일정거리 이동되도록 하는 가이드수단(130);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베이스(110)의 이동을 감지하는 스위칭수단(140);
    상기 프레임(1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동작시 점등되는 점등수단(150);
    상기 프레임(120)의 내부에 위치되거나 또는 외부로부터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동작시 상기 점등수단(150)에 동작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전원공급수단(160); 및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타측 프레임(120)과 베이스(110) 또는 상기 스위칭수단(140)의 타측 프레임(120)과 가이드수단(130)에 연결되어 상기 가이드수단(130)에 의해 이동된 베이스(110)를 원래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회복수단(1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조잔디매트(M)는,
    인조잔디의 하부에 탄성도가 낮은 물성을 갖는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진 실리콘 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베이스(110)의 세로 길이에는 대응되고 가로 길이 보다는 긴 길이를 가지는 다면체 또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지는 제1 내지 제4 프레임(121,122,123,124)이 사각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20)은,
    상기 제1 프레임(121)에 스위칭수단(140)이 구비되기 위한 스위칭수단수납부(125);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에 수직한 제2 프레임(122) 또는 제3 프레임(123)에 점등수단(150)이 구비되기 위한 점등수단수납부(126); 및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 또는 점등수단수납부(126) 사이의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과/또는 제3 프레임(123)에 전원공급수단(160)이 구비되기 위한 전원공급수단수납부(127)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수단(130)은,
    상기 베이스(110)의 하측부를 지지하는 가이드블록(131)과;
    상기 프레임(120)의 내측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블록(131)이 가이드 가능하게 관통되는 가이드바(1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140)은,
    상기 스위칭수단수납부(125)에 구비되어 개구부(125a)를 통해 돌출된 접점부재(141a)에 상기 베이스(110)가 접촉되는 경우 이를 감지하는 접촉스위치(1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점등수단(150)은,
    상기 제2 프레임(122) 또는 제3 프레임(123)의 점등수단수납부(126)에 구비되는 램프(15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수단(160)은,
    상기 제1 프레임(121), 또는 제2 프레임(122)과/또는 제3 프레임(123)의 전원공급수단수납부(127)에 구비되는 배터리(161)와;
    상기 배터리(161)로부터 상기 접촉스위치(141)와 램프(151) 사이에 연결되는 전선(미도시)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9.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복수단(170)은,
    상기 제4 프레임(124)과 베이스(110) 또는 상기 제4 프레임(124)과 상기 가이드수단(130)의 가이드블록(131)에 연결되는 탄성부재(1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140)이 위치된 프레임(120)의 타측에 구비되어 인조잔디매트(M)에 놓여진 골프공(B)의 타격시 더프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더프방지수단(18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더프방지수단(180)은,
    상기 스위칭수단(140)이 위치된 프레임(120)의 타측에 고정되는 고정구(181);
    상기 고정구(181)로부터 인조잔디매트(M)에 놓여진 골프공(B)의 일측까지 일정거리 신장 또는 신축되는 다단붐(182); 및
    상기 다단붐(182)의 일단에 고정되며 상기 인조잔디매트(M)의 일부분을 커버하는 면적을 가지는 충격방지부재(18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11. 삭제
KR1020100051139A 2010-05-31 2010-05-31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KR1011946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39A KR101194692B1 (ko) 2010-05-31 2010-05-31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1139A KR101194692B1 (ko) 2010-05-31 2010-05-31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10A KR20110131610A (ko) 2011-12-07
KR101194692B1 true KR101194692B1 (ko) 2012-10-29

Family

ID=45499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1139A KR101194692B1 (ko) 2010-05-31 2010-05-31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46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58A (ko) * 2018-10-15 2020-04-23 강현철 골프 스윙 연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3804B1 (ko) * 2013-03-08 2014-10-24 강현철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KR101572205B1 (ko) * 2015-05-22 2015-11-26 김양수 다운 블로우 스윙 연습장치
KR20180005442A (ko) * 2016-07-06 2018-01-16 강현철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CN112891841A (zh) * 2021-02-24 2021-06-04 哈尔滨体育学院 一种仰卧起坐用体操垫固定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286Y1 (ko) 2000-02-23 2000-07-15 박정규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KR200222235Y1 (ko) 2000-11-20 2001-05-02 박정규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JP2001353248A (ja) 2000-06-14 2001-12-25 Masao Asechi ゴルフ練習用マッ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0286Y1 (ko) 2000-02-23 2000-07-15 박정규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JP2001353248A (ja) 2000-06-14 2001-12-25 Masao Asechi ゴルフ練習用マット
KR200222235Y1 (ko) 2000-11-20 2001-05-02 박정규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158A (ko) * 2018-10-15 2020-04-23 강현철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102160733B1 (ko) 2018-10-15 2020-10-20 강현철 골프 스윙 연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31610A (ko) 201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94692B1 (ko)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KR101453804B1 (ko)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US20020111222A1 (en) Golf practice and exercise device
KR101263256B1 (ko) 스윙 분석 기능을 가진 골프 연습기
KR20070105292A (ko) 골프 스윙 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헤드업 방지 장치
KR101646558B1 (ko) 라이각측정부를 포함하는 골프 스윙 연습용 보조기구 또는 배트
KR101572205B1 (ko) 다운 블로우 스윙 연습장치
KR20180005442A (ko)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KR101194694B1 (ko) 골프 연습용 표적장치
KR102258643B1 (ko) 골프 연습장치
KR200311959Y1 (ko) 골프 스윙 연습기구
KR100981703B1 (ko) 골프 스윙 자세 교정기
KR100966729B1 (ko) 어프로치 연습용 골프 기구
KR20180048487A (ko) 다운 블로우 연습용 매트
KR100489838B1 (ko) 골프스윙보조장치
KR102160733B1 (ko) 골프 스윙 연습 장치
KR20030078625A (ko) 골프 연습 장치
KR101401085B1 (ko) 흥미를 유발하는 타격 운동기구
KR20090120307A (ko) 샷의 정확도 증진 및 헤드업 교정을 위한 골프 연습기
KR101851461B1 (ko) 타격지점 및 타격시점을 지시하는 레이저 스윙장치.
KR101548829B1 (ko) 디봇 연습용 골프 클럽 헤드
US8287396B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
KR200190286Y1 (ko) 다운 브로우 연습용 매트
KR20170001312A (ko) 스크린 골프의 타석 구조
WO2013031631A1 (ja) ゴルフスイング練習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8